퍼걸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걸러는 기둥과 보, 서까래 등으로 구성된 개방형 구조물로, 덩굴 식물을 올려 그늘을 만들거나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후기 라틴어 'pergula'에서 유래된 용어로, 18세기와 19세기에는 자연주의 정원 스타일로 인해 인기가 감소했으나,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다시 등장했다. 한국에서는 정자(건축)와 비슷한 개념으로, 공원, 아파트 단지, 주택 정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도심 속 녹지 공간 확충에 기여한다. 퍼걸러는 재료, 형태,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제작되며, 현대에는 목재, 비닐, 유리 섬유,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걸러 |
|---|
2. 역사
퍼걸러의 기원은 후기 라틴어 ''pergula''이며, 이는 '처마'를 뜻한다.[5] 이 영어 단어는 이탈리아어에서 차용되었다. 1645년 존 이블린은 로마의 트리니타 데이 몬티 수도원에서 이 용어를 이탈리아 맥락에서 언급했다.[6] 그는 1654년 솔즈베리 인근 다운랜드에서 토끼 사냥을 관람하면서 "퍼걸러"라는 용어를 영어 맥락에서 사용했다.[7]
후기 중세 시대와 초기 르네상스 시대 정원에서는 유연한 버들가지를 사용하여 그린 터널을 만들었다. 버드나무나 개암나무의 가지를 엮어 아치를 만들고, 긴 판자로 헐겁게 엮어 덩굴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시원하고 그늘진 통로를 만들었다. 메디치 빌라 중 빌라 라 페트라이아에서는 이러한 그린 산책로가 퍼걸러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1498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밀라노의 스포르체스코 성에 16개의 거대한 뽕나무 가지를 얽어 만든 퍼걸러를 설치하여, 살라 델레 아세를 장식했다.[4] 이는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의뢰를 받은 독창적인 프로젝트였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자연주의 정원 스타일이 유행하면서 퍼걸러의 인기가 쇠퇴했다. 그러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에드윈 루티엔스 경과 거트루드 제킬이 설계한 정원에는 벽돌과 석조 기둥 위에 강력한 가로보를 가진 퍼걸러가 다시 등장했다. 특히 햄스테드 (런던)의 더 힐 정원에 있는 광범위한 퍼걸러는 토머스 모슨이 W. H. 레버를 위해 설계한 것이다. 브로츠와프의 퍼걸러는 1911년에 설계되었으며 2006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이 되었다.
2. 1. 한국의 퍼걸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경치 좋은 곳에 나무로 설치하는 정자와 비슷한 개념으로 퍼걸러를 설치해 왔다. 퍼걸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휴게 시설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목적에 부합하면 설치 및 운영에 따르는 법률적 제한이 거의 없다.3. 특징 및 기능
퍼걸러는 기둥과 보, 서까래 등으로 구성된 개방형 구조물로, 지붕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정자와 비슷한 개념의 시설물이지만, 정자와 달리 고정된 지붕이 없어 건축물로 분류되지 않는다.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등나무, 포도나무, 덩굴장미 등 다양한 덩굴 식물을 올려 그늘을 만들거나, 벤치나 테이블을 설치하여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10][11]
- 햇빛을 가려주는 동시에 바람이 잘 통하도록 설계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 공원, 학교, 주택 정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활용된다.[10]
비를 막기 위해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로 비가림 시공을 하기도 하며, 자동판매기를 설치하고 폐기물 회수 시설을 추가하여 편의를 도울 수 있다.


3. 1. 종류
퍼걸러는 재료, 형태,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재료에 따른 분류
| 종류 | 설명 |
|---|---|
| 목재 퍼걸러 | 서부 붉은 삼나무(Thuja plicata)나 해안 레드시쿼이아(Sequoia sempervirens)와 같은 내후성 목재로 만들어진다. 칠하거나 얼룩을 내거나, 방부 처리하여 사용한다. |
| 철재 퍼걸러 | ![]() |
| 현대적인 재료 퍼걸러 | 벽돌이나 돌 기둥 대신 나무, 비닐, 유리 섬유, 알루미늄, 염화 폴리염화 비닐(CPVC) 등 저렴하고 유지 보수가 쉬운 재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는 매년 페인트칠이나 얼룩을 낼 필요가 없으며, 제조를 통해 목재 퍼걸러보다 더 강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전동화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제품도 있다. |
형태에 따른 분류
| 종류 | 설명 |
|---|---|
| 독립형 퍼걸러 | 주택이나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산들바람과 햇빛을 즐길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
| 벽면 부착형 퍼걸러 | 건물 출입구에서 테라스나 수영장과 같은 열린 정원 특징으로 확장될 수 있다. |
기능에 따른 분류
| 종류 | 설명 |
|---|---|
| 휴게형 퍼걸러 | 독립형태로 설치되어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
| 놀이형 퍼걸러 | 학교 등에서는 어린이들의 놀이기구의 일종으로 활용된다.[10] |
| 방재형 퍼걸러 | 재해 시에는 퍼걸러 바깥쪽에 텐트를 쳐서 덮어 피난 및 활동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14] |
기타
- 공원 시설에서는 수경 시설에 위치하며, 등나무 등 덩굴성 식물을 유인하여 녹음을 조성한다.[11]
- 덩굴성 식물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9], 발 모양의 천 루버를 조합한 퍼걸러도 있다.[13]
- 주택에서는 정원이나 처마 끝에 설치하여 등나무나 담쟁이덩굴 등의 덩굴성 식물을 얽히게 하여 그늘을 만든다.[10]
4. 설치 및 관리
퍼걸러 설치는 토지 소유주가 해당 토지에 설치할 경우 일반적으로 제약이 없다. 그러나 도로, 자연녹지 등 건축 행위가 제한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자체나 지방정부의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할 수 있다. 정자처럼 고정된 지붕이 있으면 건축물로 분류되어 건축 허가가 필요하다.
목재 퍼걸러는 정기적인 오일스테인 작업 등으로 내구성을 유지해야 한다. 덩굴 식물을 심은 경우, 병충해 방제와 가지치기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자동판매기를 설치해 음료 등을 판매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폐기물 회수 시설을 설치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1]
4. 1. 설치
토지 소유주가 해당 토지에 퍼걸러를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별다른 제약이 없다. 도로, 자연녹지 등 건축 행위가 제한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자체 또는 지방정부의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할 수 있다. 정자와 같이 고정된 지붕이 있는 경우에는 건축물로 분류되므로 건축 허가를 받아야 한다.4. 2. 관리
5. 현대적 응용
현대에는 벽돌이나 돌 기둥 대신 나무, 비닐, 유리 섬유, 알루미늄, 염화 폴리염화 비닐(CPVC)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퍼걸러가 제작되고 있다. 목재 퍼걸러는 주로 서부 붉은 삼나무(''Thuja plicata'')나 해안 레드시쿼이아(''Sequoia sempervirens'')와 같은 내후성 목재를 사용하며, 칠하거나 얼룩을 내거나 방부 처리하여 사용한다.[3] 비닐, 유리 섬유, 알루미늄, CPVC와 같은 재료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목재 퍼걸러의 대안으로 사용된다.[3]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진 퍼걸러는 매년 페인트칠이나 얼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 기술을 통해 목재 퍼걸러보다 더 강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개폐형 퍼걸러와 같이 첨단 기술이 적용된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3]
공원 시설에서는 등나무 등을 심어 덩굴성 식물을 유인하여 녹음을 조성하기도 한다.[11][12] 주택에서는 정원이나 처마 끝에 덩굴성 식물을 얽히게 하여 그늘을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10]
방재 퍼걸러는 재해 발생 시 텐트를 쳐서 피난 및 구호 활동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14]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건설 현장에서는 퍼걸러 상단으로 철도가 지나가는 독특한 형태의 퍼걸러가 설치되기도 했다.
참조
[1]
뉴스
Which Pergola Is Right for You?
http://www.foxnews.c[...]
Fox News
2016-03-17
[2]
웹사이트
Brush arbor revivals are still around
https://dailyjournal[...]
Daily Journal Online
2019-05-02
[3]
웹사이트
How To Build A Pergola
http://www.ronhazelt[...]
[4]
간행물
Episode 142 – Leonardo da Vinci’s Sala delle Asse
https://rockyruggier[...]
Making Art and History Come to Life, Rebuilding the Renaissance
2021-10-06
[5]
서적
OED
[6]
서적
Diary and Correspondence of John Evelyn, F.R.S.
1645-02-22
[7]
서적
Diary and Correspondence of John Evelyn, F.R.S
1654-07-20
[8]
웹사이트
Centennial Hall in Wrocław
https://whc.unesco.o[...]
2021-04-22
[9]
웹사이트
大阪市の公園におけるパーゴラの設置基準
https://www.city.osa[...]
2024-09-06
[10]
웹사이트
都市農地とまちづくり 2007秋季号(第53号)
https://www.tosinout[...]
2024-09-06
[11]
웹사이트
8 休憩所及び管理事務所
https://www.pref.ish[...]
2024-09-06
[12]
웹사이트
公共施設緑化ガイドライン
https://www.city.tok[...]
2024-09-06
[13]
웹사이트
都市のグリーンインフラ技術の提案
https://urbangreen.o[...]
2024-09-06
[14]
웹사이트
管理事務所兼備蓄倉庫、テントが張れるパーゴラ
https://www.city.ich[...]
2024-09-06
[15]
웹인용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 용례집
http://www.korean.go[...]
2015-08-11
[16]
문서
표준국어대사전
http://krdic.naver.c[...]
[17]
문서
한국공업시설업협동조합 단체표준안
http://www.istand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