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내호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내호평역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경춘선의 전철역이다. 1939년 평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노선이 변경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ITX-청춘과 경춘선 급행, 완행 열차가 정차한다. 주변에는 이마트 남양주점, 호평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춘선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경춘선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평내호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 | |
역명 | |
한국어 | 평내호평역 |
한자 | 坪內好坪驛 |
로마자 표기 | Pyeongnaehopyeongnyeok |
일본어 | ピョンネホピョン |
영어 | Pyeongnae Hopyeong Station |
기본 정보 | |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1375 (평내동 162-7) |
좌표 | 37.6533, 127.2445 |
개업일 | 1939년 7월 20일 |
역 구조 | 고가역 |
승강장 | 2면 4선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관리역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가평관리역 |
역 등급 | 을종대매소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춘선 |
역 번호 | P128 |
영업 거리 (망우 기점) | 18.6 km |
이전 역 | 금곡 |
이전 역 거리 | 4.0 km |
다음 역 | 천마산 |
다음 역 거리 | 4.2 km |
평내기지선 정보 | |
노선 | 평내기지선 |
영업 거리 (평내호평 기점) | 0.0 km |
다음 역 | 평내기지 |
다음 역 거리 | 2.5 km |
이용 정보 | |
2015년 승차 인원 | 7,253명 |
2015년 승하차 인원 | 13,672명 |
2. 역사
1939년 7월 20일 '''평내역'''이라는 이름의 임시승강장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2] 이후 여러 변화를 거쳐 2006년 8월 31일 현재의 이름인 '''평내호평역'''으로 변경되었고,[7]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었다.[8]
2. 1. 평내역 (1939년 ~ 2006년)
- 1939년 7월 20일 : '''평내역'''(坪內驛)이라는 이름의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2]
- 1958년 4월 25일 : 배치간이역으로 승격[3]
- 1958년 12월 24일 : 역사 신축 준공
- 1969년 2월 21일 : 보통역으로 승격[4]
- 1997년 6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5]
- 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6] 및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06년 8월 31일 : 인근 호평동 주민들의 요구로 '''평내호평역'''(坪內好坪驛)으로 역명을 변경하고 역사를 현재 위치로 이전함. 을종위탁발매소 설치 및 철도승차권 단말기 재설치[7]
구 평내역은 현재의 평내호평역보다 북쪽에 있었으며, 쌍섬식 승강장 구조였고 역 건물은 승강장 중간에 위치했다. 위치는 현재의 신명스카이뷰아파트 1405동[9] 앞의 늘을3로 자리였다.
2. 2. 평내호평역 (2006년 ~ 현재)
- 2006년 8월 31일 : 기존 '''평내역'''에서 '''평내호평역'''(坪內好坪驛)으로 역 이름을 바꾸고, 역사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여 고가역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이때 을종위탁발매소가 설치되고 철도승차권 단말기도 다시 설치되었다.[7]
- 2010년 12월 21일 :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어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었다. 이에 따라 역의 기준점도 성북 기점 21.5km에서 망우 기점 18.6km로 변경되었다.[8]
- 2012년 2월 28일 : ITX-청춘 열차 운행이 시작되면서 기존에 운행하던 급행 열차는 폐지되었다.
- 2017년 1월 31일 : 폐지되었던 급행열차가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운행 구간도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었다.
3. 역 구조
층 | 구분 | 내용 |
---|---|---|
L1 (대합실) | 대합실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G (지상) | 지상 | 출구 |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승강장 | 노선 | 방면 | 비고 |
---|---|---|---|
1 | 경춘선 ITX-청춘 | 마석 · 청평 · 가평 · 춘천 방면 | 완행 (다음 역: 천마산) |
2 | 마석 · 청평 · 가평 · 춘천 방면 | 급행 (다음 역: 마석) | |
3 | 사릉 · 상봉 · 청량리 · 광운대 · 용산 방면 | 급행 (다음 역: 사릉) | |
4 | 사릉 · 상봉 · 청량리 · 광운대 · 용산 방면 | 완행 (다음 역: 금곡) |
4. 이용객 변동
경춘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며,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춘선 | 승차 | 4,536 | 5,232 | 5,330 | 5,479 | 5,618 | 5,621 | 5,756 | 6,051 | 5,888 | 6,029 | 4,678 | 5,188 | 5,697 | 5,964 | [10] |
하차 | 4,480 | 5,015 | 5,146 | 5,275 | 5,419 | 5,476 | 5,657 | 5,856 | 5,757 | 5,950 | 4,622 | 5,113 | 5,582 | 5,861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980 | 1,308 | 1,519 | 1,632 | 1,716 | 1,566 | 1,614 | 1,610 | 1,165 | 1,192 | 1,336 | 1,423 | ||
하차 | 876 | 1,173 | 1,359 | 1,443 | 1,529 | 1,408 | 1,432 | 1,430 | 1,037 | 1,082 | 1,203 | 1,266 |
5. 역 주변
6. 인접한 역
(시종착역 방면)
(종착역 방면)
(용산역 방면)
(춘천역 방면)
(청량리역 방면)
(춘천역 방면)
(상봉역·청량리역·광운대역 방면)
(춘천역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