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릉역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경춘선 전철역이다. 1939년 배치간이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의 기능이 변경되었으며, 2010년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섬식 승강장 구조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인근에 시멘트 물류단지 조성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 주변에는 정순왕후의 능인 사릉이 위치하고 있으며, 아파트, 학교, 행정복지센터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사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 |
역 이름 | 사릉역 |
로마자 표기 | Sareung-yeok |
한자 표기 | 思陵驛 |
역 번호 | P126 |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진건우회로 63 (사릉리 605-3) |
좌표 | 37°39′04.1″N 127°10′36.6″E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춘선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39년 7월 25일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노선 거리 | 망우역 기점 11.0 km |
승차 인원 (2018년) | 3,733명 |
승강 인원 (2018년) | 7,251명 |
인접역 | 퇴계원역: 이전 역 금곡역: 다음 역 |
역간 거리 | 퇴계원역까지: 3.3 km 금곡역까지: 3.6 km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사릉역 |
한자 | 思陵驛 |
일본어 표기 | |
히라가나 | しりょうえき |
가타카나 | サルンニョク |
로마자 | Sarun'nyoku |
영어 표기 | |
영어 | Sareung Station |
2. 역 정보
사릉역은 과거 무인역으로 운영되면서 시설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2010년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이후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역으로 변경되었다.[2][3][5] 한편, 역 인근에 시멘트 물류단지를 조성하려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지역 주민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6][7]
2. 1. 역사 시설
2010년 이전까지 운영된 역사는 무인역이었으며, 대합실로 통하는 문이 좁고 승강장의 턱이 높아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 시민은 이러한 문제점을 언론에 기고하기도 했다.[2][3] 또한 열차와 탑승 구간 사이의 거리가 260cm에 불과하고 플랫폼 바깥쪽은 낭떠러지 형태여서, 장애인 단체로부터 구내 시설물의 안전성에 대한 지적이 여러 차례 제기되었다.[4]2010년 경춘선 복선 전철 사업이 진행되면서 인근 퇴계원역은 2010년 7월 22일부터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릉역은 경춘선을 운행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역이 되었으며, 사릉역과 퇴계원역을 오가는 셔틀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다.[5]
2. 2. 시멘트 물류단지 조성 문제
기존의 경기도 북동부권 등 수도권 건설지역에 시멘트 물량을 공급하던 서울 성북양회물류기지가 지역 주민들의 요구와 기부채납 문제로 폐쇄될 위기에 처하면서, 그 대안으로 사릉역 인근 부지가 대체 시멘트 물류단지로 거론되었다.[6] 이에 한국철도공사는 사릉역 인근에 시멘트 물류단지 조성을 추진하기 시작했다.[6] 그러나 한국철도공사가 시멘트 저장시설 9기를 포함한 물류단지를 조성하려 하자, 지역 주민들과 남양주시 측은 환경 문제를 이유로 강력히 반발하며 물류단지 조성 계획의 철회를 요구하는 건의서를 국토해양부와 한국철도공사에 각각 제출하였다.[7]3. 역사
- 1939년 7월 20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8]
- 1964년 12월 15일: 소급 화물 취급을 개시하였다.[9]
- 1973년 1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0]
- 1988년 8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격하되었다.
- 1993년 3월 1일: 을종위탁발매소로 지정되었다.
- 2001년 2월 1일: 을종위탁발매소가 철수하고,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 2010년 7월 22일: 경춘선 선로 이전에 따라 임시 역사에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퇴계원역과 금곡역에 모든 열차가 통과하게 되면서, 사릉역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전철역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거리 기준이 성북 기점 13.3km에서 망우 기점 11km로 변경되었다.[11]
- 2011년 6월 20일: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12]
- 2012년 2월 28일: ITX-청춘 운행이 시작됨과 동시에 급행열차 운행은 종료되었다.
- 2017년 1월 31일: 평일에 한하여 왕복 5회 급행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4. 역 구조
지상역으로, 출구는 1개가 있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층 | 시설 |
---|---|
지상 | 출구 |
대합실 | 고객안내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양쪽 승강장에서 모두 문이 열린다.
5. 이용객 변동
경춘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의 평균이며,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평균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춘선 | 승차 | 2,155 | 3,104 | 3,895 | 3,945 | 3,787 | 3,607 | 3,593 | 3,651 | 3,615 | 3,526 | 2,751 | 2,825 | 2,331 | 2,181 | [13] |
하차 | 1,631 | 2,589 | 3,506 | 3,616 | 3,540 | 3,410 | 3,388 | 3,437 | 3,431 | 3,395 | 2,626 | 2,733 | 2,264 | 2,130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66 | 91 | 109 | 117 | 120 | 122 | 128 | 116 | 90 | 76 | 49 | 37 | ||
하차 | 미개통 | 39 | 55 | 61 | 70 | 68 | 70 | 77 | 74 | 56 | 54 | 32 | 24 |
6. 역 주변
7. 인접한 역
(용산 방면)
ITX-청춘
(춘천 방면)
(청량리 방면)
급행
(춘천 방면)
(상봉·청량리·광운대 방면)
완행
(춘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