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여 열거 정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포여 열거 정리(Pólya enumeration theorem)는 조합론에서 대칭성을 가진 대상의 수를 세는 데 사용되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대상에 무게를 부여하는 함수와 대칭군을 활용하여 궤도의 무게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다중 지표, 무게 함수, 생성 함수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포여 열거 정리는 유한군, 유한 집합, 작용, 궤도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며, 헝가리 수학자 포여 죄르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정리는 목걸이, 팔찌, 그래프, 트리, 색칠된 정육면체 등 다양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1937년 존 하워드 레드필드의 연구를 바탕으로 포여에 의해 완성되었다.
2. 정의
유한 집합 ''X''와 ''X''에 군 작용하는 유한 군 ''G''가 주어졌을 때, ''X''는 유한 개의 구슬을 나타내고, ''G''는 구슬의 순열을 나타낸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가 원형으로 배열된 ''n''개의 구슬로 이루어진 목걸이 라면 회전 대칭을 고려하여 ''G''를 순환군 ''Cn ''으로, 팔찌라면 회전 및 반사 대칭을 고려하여 ''G''를 이항군 ''Dn ''으로 잡을 수 있다. 구슬의 색깔을 나타내는 유한 집합 ''Y''가 주어지면, Y^X 는 색깔이 지정된 구슬 배열의 집합(또는 함수 X \to Y 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때, 군 ''G''는 Y^X 에 작용하게 된다. '''포여 열거 정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주어진 색깔 집합 ''Y''와 군 ''G''에 대해, 색깔이 지정된 구슬 배열들의 ''G''에 대한 궤도의 개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제공한다.
2. 1. 무게가 없는 경우의 열거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유한군 G 유한 집합 X . 그 원소를 '''구슬'''(bead영어 )이라고 한다.G 의 X 위의 왼쪽 충실한 작용유한 집합 Y . 그 원소를 '''색깔'''(color영어 )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G 는 함수 집합 Y^X 위에도 역시 다음과 같이 왼쪽 작용을 갖는다. :g\cdot (y_x)_{x\in X}=(y_{g^{-1}\cdot x})_{x\in X} '''포여 열거 정리'''에 따르면, Y^X 의 궤도의 수 |Y^X/G| 는 다음과 같다. :|Y^X/G| = \frac1
\sum_{g \in G} |Y|^{c(g)} 여기서c(g) 는 g 를 X 위의 순열 로 생각하였을 때 순환들의 수이다.X 를 유한 집합 이라고 하고, G 를 X 의 순열 군 (또는 X 에 군 작용하는 유한 대칭군 )이라고 하자. 집합 X 는 유한 개의 구슬을 나타낼 수 있고, G 는 구슬의 순열로 선택된 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가 원형으로 배열된 n 개의 구슬로 이루어진 목걸이 라면, 회전 대칭이 관련되므로 G 는 순환군 C_n 이 되고, X 가 원형으로 배열된 n 개의 구슬로 이루어진 팔찌라면, 회전과 반사 대칭이 관련되므로 G 는 차수가 2n 인 이항군 D_n 이 된다. 또한, Y 를 구슬의 색상인 유한 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Y^X 는 색깔이 지정된 구슬 배열의 집합이 된다(더 정확히는, Y^X 는 함수 X \to Y 의 집합이다). 그러면 군 G 는 Y^X 에 작용한다. 포여 열거 정리는 색깔이 지정된 구슬 배열의 G 에 대한 궤도 수를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left |Y^X/G \right | = \frac{1}\sum_{g \in G} m^{c(g)} 여기서 m=|Y| 는 색상의 개수이고, c(g) 는 집합 X 의 순열로 간주될 때, 군 원소 g 의 순환 순열의 개수이다. 집합 D_1 위의 링 지수 P(x_1, x_2, \cdots, x_n) 를 갖는 치환군을 G라고 하자. D1 에서 D2 로의 사상 f, g에 대해 f(\pi(x))=g(x) 가 되는 \pi 가 존재하지 않을 때, ''f''와 ''g''는 다르다고 한다. 이때, ''D1''에서 ''D2''로의 서로 다른 것의 개수는 : P(x_1, x_2, \cdots, x_n)=\frac{1}\sum_{\pi \in G} |D_2|^{k(\pi)} 가 된다. 여기서, |D_1|=n, |D_2|=m 이라고 하면, |P(x_k)|=m^n 이 되고, :P(x_1, x_2, \cdots, x_n)=\frac{1}\sum_{\pi \in G} |D_2|^{k(\pi)}=\frac{1}\sum_{\pi \in G} m^{k(\pi)} 이다.
2. 2. 일반적 열거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가정한다.유한군 G 크기 n 의 유한 집합 X . 그 원소를 '''구슬'''(bead영어 )이라고 한다. G 의 X 위의 왼쪽 충실한 작용각 다중지표 \vec w\in\mathbb N^k 에 대하여, 유한 집합 Y_{\vec w} . 그 원소를 '''무게 \vec w 의 색깔'''(color of weight \vec w 영어 )이라고 하고, \textstyle Y=\bigsqcup_{\vec w\in\mathbb N^k}Y_{\vec w} 라고 한다. Y 는 무한 집합 일 수 있다. 즉, 무게 함수 \vec w\colon Y\to\mathbb N^k 에 대하여 각 자연수의 원상은 유한 집합이다. 그렇다면, G 는 함수 집합 Y^X 위에 작용한다. 함수 f\colon X\to Y 의 무게 \vec W(f)\in\mathbb N^k 는 각 구슬의 색깔의 무게의 합이다. :\vec W(f)=\sum_{w\in\mathbb N}\sum_{x\in X}\vec w(f(x))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를 정의한다. :F(y_1,\dots,y_k)=\sum_{\vec w\in\mathbb N^k} |W^{-1}(\{\vec w\})/G|x^{\vec w} 여기서 :y^{\vec w}=y_1^{w_1}y_2^{w_2}\cdots y_k^{w_k} 이다. 즉, F(y_1,\dots,y_k) 의 y^{\vec w} 항의 계수는 Y^X 속의 함수 가운데, 무게가 \vec w 인 것들의 수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를 정의한다. :C(y_1,\dots,y_k)=\sum_{\vec w\in\mathbb N^k} |Y_{\vec w}|y^{\vec w} 즉, C(y_1,\dots,y_k) 의 y^{\vec w} 항의 계수는 무게가 \vec w 인 색깔의 수이다. '''포여 열거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F(y_1,\dots,y_k)=Z_G\left(C(y_1,\dots,y_k),C(y_1^2,\dots,y_k^2),\dots,C(y_1^n,\dots,y_k^n)\right) 좌변에서 Z_G 는 순열군 G 의 순환 지표 이다. 즉, 계산하고자 하는 생성 함수 F 는 순환 지표 Z_G 의 특정한 값이다. 무게의 간단한 예로, 색깔 집합 Y 가 유한 집합이며, 무게 집합은 \mathbb N^y 이며, 색깔 y\in Y 의 무게가 :w(y)=(0,0,\dots,0,1,0,\dots,0) 의 꼴이라고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생성 함수의 형식적 변수 y_1,\dots,y_k 는 Y 의 원소로 생각할 수 있다. 정리의 더 일반적이고 더 중요한 버전에서, 색상에는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가중치가 부여되며, 색상 집합이 유한 계수를 가진 생성 함수를 가지고 있다면 무한한 수의 색상이 있을 수 있다. 단변량의 경우, 다음을 가정한다. :f(t) = f_0 + f_1 t + f_2 t^2 + \cdots 는 색상 집합의 생성 함수이므로, 각 정수 ''w'' ≥ 0에 대해 가중치 ''w''의 ''fw ''개의 색상이 있다. 다변량의 경우, 각 색상의 가중치는 정수 벡터이며, 각 주어진 가중치 벡터를 가진 색상의 수를 표로 나타내는 생성 함수 ''f''(''t''1 , ''t''2 , ...)가 있다. 열거 정리는 순환 지표 라고 하는 또 다른 다변량 생성 함수를 사용한다. :Z_G(t_1,t_2,\ldots,t_n) = \frac{1}\sum_{g \in G} t_1^{c_1(g)} t_2^{c_2(g)} \cdots t_n^{c_n(g)} 여기서 ''n''은 ''X''의 요소 수이고, ''ck ''(''g'')는 ''X''의 순열로서의 그룹 요소 ''g''의 ''k''-사이클의 수이다. 색상 배열은 집합 ''YX ''에 대한 ''G''의 작용의 궤도이다(여기서 ''Y''는 색상 집합이고 ''YX ''는 모든 함수 φ: ''X''→''Y''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열의 ''가중치''는 ''X''의 모든 ''x''에 대해 φ(''x'')의 가중치의 합으로 정의된다. 이 정리는 가중치에 따른 색상 배열의 수에 대한 생성 함수 ''F''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고 명시한다. :F(t) = Z_G(f(t),f(t^2),f(t^3),\ldots,f(t^n)) 또는 다변량의 경우: :F(t_1,t_2,\ldots) = Z_G(f(t_1,t_2,\ldots),f(t_1^2,t_2^2,\ldots),f(t_1^3,t_2^3,\ldots),\ldots,f(t_1^n,t_2^n,\ldots)). 앞서 주어진 단순화된 버전으로 축소하려면, ''m''개의 색상이 있고 모두 가중치가 0인 경우 ''f''(''t'') = ''m''이며 :\left |Y^X/G \right | =F(0)= Z_G(m,m,\ldots,m) = \frac{1}\sum_{g \in G} m^{c(g)}. 집합 D_1 위의 링 지수 P(x_1, x_2, \cdots, x_n) 를 갖는 치환군을 G라고 한다. D1 에서 D2 로의 사상 f, g에 대해 f(\pi(x))=g(x) 가 되는 \pi 가 존재하지 않을 때, ''f''와 ''g''는 다르다고 한다. 이때, ''D1''에서 ''D2''로의 서로 다른 것의 개수는 :P(x_1, x_2, \cdots, x_n)=\frac{1}\sum_{\pi \in G} |D_2|^{k(\pi)} 가 된다. 여기서, |D_1|=n, |D_2|=m 이라고 하면, |P(x_k)|=m^n 이 되고, :P(x_1, x_2, \cdots, x_n)=\frac{1}\sum_{\pi \in G} |D_2|^{k(\pi)}=\frac{1}\sum_{\pi \in G} m^{k(\pi)} 이다.
3. 코시-프로베니우스 보조정리 (번사이드 보조정리)
포여 열거 정리의 단순화된 형태는 번사이드 보조정리 에서 파생되며, 번사이드 보조정리는 색칠의 궤도 수는 모든 순열 ''g''에 대해 ''G''의 순열 ''g''에 의해 고정된 Y^X 의 원소 수의 평균이라고 말한다. 정리의 가중치 버전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증명을 가지지만, 가중 열거를 위한 번사이드 보조정리의 개선된 형태를 사용한다. 이는 서로 다른 가중치의 궤도에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더 명확한 표기를 위해 x_1,x_2,\ldots 를 Y 의 생성 함수 ''f''의 변수라고 하자. 가중치 벡터 \omega 가 주어지면, x^\omega 는 ''f''의 해당 단항식을 나타낸다.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가중치 \omega 의 궤도에 적용하면, 이 가중치의 궤도 수는 다음과 같다. :\frac{1}
\sum_{g\in G} \left |(Y^X)_{\omega,g} \right | 여기서 (Y^X)_{\omega,g} 는 ''g''에 의해서도 고정된 가중치 \omega 의 색칠 집합이다. 그런 다음 모든 가능한 가중치에 대해 합하면, 다음을 얻는다. :F(x_1,x_2,\ldots)= \frac{1} \sum_{g \in G, \omega} x^\omega \left |(Y^X)_{\omega,g} \right |. 한편, 사이클 구조 j_1(g),j_2(g),\ldots,j_n(g) 를 가진 그룹 원소 ''g''는 다음 항을 기여한다. : t_1^{j_1(g)} t_2^{j_2(g)} \cdots t_n^{j_n(g)} ''G''의 사이클 지수에. 원소 ''g''는 함수 φ가 ''g''의 모든 사이클 ''q''에서 상수인 경우에만 원소 \phi \in Y^X 를 고정한다. 모든 이러한 사이클 ''q''에 대해, ''f''에 의해 열거된 집합으로부터 |''q''|개의 동일한 색상의 가중치에 의한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f \left (x_1^, x_2^, x_3^, \ldots \right ). 따라서 ''g''에 의해 고정된 점들의 가중치에 의한 생성 함수는 ''g''의 모든 사이클에 대한 위의 항의 곱이다. :\begin{align} \sum_{\omega} x^\omega \left |(Y^X)_{\omega,g} \right | &= \prod_{q \text{ cycle of } g} f \left (x_1^, x_2^, x_3^,\ldots \right )\\ &= f(x_1, x_2, \ldots)^{j_1(g)} f \left (x_1^2, x_2^2, \ldots \right )^{j_2(g)} \cdots f \left (x_1^n, x_2^n, \ldots \right )^{j_n(g)} \end{align} 모든 ''g''에 대한 합에 이것을 대입하면, 주장된 치환된 사이클 지수가 산출된다. ''1'',''2'',…,''n''} 위의 치환군으로, ''k''개의 궤도를 가진 것을 ''G''라고 한다. 이때, G의 치환에 의한 고정점의 개수의 평균은 ''k''이다. : \frac{1}\sum_{\pi \in G} k_n (\pi) = k 위의 식에서, 치환 π에 의한 고정점의 개수를 k_n (\pi) 로 나타낸다. 이 사실은, 각각의 점을 움직이지 않는 G의 요소의 개수를 세는 것으로 알 수 있다.
4. 예시
포여 열거 정리를 적용하여 정육면체를 2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육면체 abcd-efgh의 각 면에 다음과 같이 번호를 붙인다.
면 abcd: 1 면 abef: 2 면 bcfg: 3 면 adeh: 4 면 cdhg: 5 면 efgh: 6 이때, 정육면체의 회전군은 크기가 24이다. (|G|=24 ) 포여 열거 정리를 적용하기 위한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1] : P(x_1, x_2, x_3, x_4, x_5, x_6)=\frac{1}{24} (x_1^6+6x_1^2x_4+6x_1^2x_2^2+8x_3^2) 2가지 색으로 칠하므로, x_1=x_2=x_3=x_4=x_5=x_6=2 를 대입한다. : P(2,2,2,2,2,2)=10 따라서, 정육면체를 2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은 총 10가지이다.
4. 1. 목걸이
크기 n 의 집합 위에서 순환군 \operatorname{Cyc}(n) 의 작용에 대한 궤도들을 '''목걸이 '''라고 한다. k 가지 색깔을 가질 수 있는 길이 n 의 목걸이들을 열거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이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G=\operatorname{Cyc}(n) (3차 순환군 )X 는 크기 n 의 집합Y 는 크기 k 의 집합 순환군 \operatorname{Cyc}(n) 의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Cyc}(n)}(t_1,\dots,t_n)=\frac1n\sum_{d\mid n}\phi(d)t_d^{n/d} 여기서 \phi 는 오일러 피 함수 이다. 따라서, 목걸이의 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Z_{\operatorname{Cyc}(n)}(k,\dots,k)=\frac1n\sum_{d\mid n}\phi(d)k^{n/d} 주어진 색깔들의 중복집합 에 대해 무게를 달리하여 목걸이의 수를 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k=3 이고, 각 색깔 Y=\{c_1,c_2,c_3\} 의 무게가 (1,0,0) , (0,1,0) , (0,0,1) 이라고 하자. 이 경우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Cyc}(3)}(t_1,t_2,t_3)=\frac13(t_1^3+2t_3) 포여 열거 정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를 얻는다. :F(c_1,c_2,c_3)=Z_{\operatorname{Cyc}(3)}(c_1+c_2+c_3,c_1^2+c_2^2+c_3^2,c_1^3+c_2^3+c_3^3)= c_1^3 + c_1^2 c_2 + c_1^2 c_3 + c_1 c_2^2 + 2 c_1 c_2 c_3 + c_1 c_3^2 + c_2^3 + c_2^2 c_3 + c_2 c_3^2 + c_3^3 예를 들어, c_1^2 c_2 의 계수가 1이므로, c_1 색깔 구슬 두 개와 c_2 색깔 구슬 하나로 이루어진 목걸이 는 한가지 종류만 존재한다.
4. 2. 팔찌
크기 n 의 집합 위에, 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n) 의 작용에 대한 궤도들을 '''팔찌'''라고 한다. k 가지 색깔을 가질 수 있는, 길이 n 의 팔찌들의 열거를 생각할 때, 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n) 의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Dih}(n)}(t_1,\dots,t_n)=\frac12Z_{\operatorname{Cyc}(n)}(t_1,\dots,t_n)+\begin{cases} \frac14(t_2^{n/2}+t_1^2t_2^{n/2-1})&2\mid n\\ \frac12t_1t_2^{(n-1)/2}&2\nmid n \end{cases} 따라서, 팔찌의 수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Dih}(n)}(k,\dots,k)=\frac1{2n}\sum_{d\mid n}\phi(d)k^{n/d} +\begin{cases} \frac14(1+k)k^{n/2}&2\mid n\\ \frac12k^{(n+1)/2}&2\nmid n \end{cases} 주어진 색깔들의 중복집합 을 갖는 팔찌의 수를 무게를 달리하여 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k=3 이고 각 색깔 Y=\{c_1,c_2,c_3\} 의 무게가 (1,0,0) , (0,1,0) , (0,0,1) 인 경우,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Dih}(3)}(t_1,t_2,t_3)=\frac16(t_1^3+3t_1t_2+2t_3) 포여 열거 정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를 얻는다. :F(c_1,c_2,c_3)=Z_{\operatorname{Dih}(3)}\left(c_1+c_2+c_3,c_1^2+c_2^2+c_3^2,c_1^3+c_2^3+c_3^3\right) =c_1^3 + c_1^2 c_2 + c_1^2 c_3 + c_1 c_2^2 + c_1 c_2 c_3 +c_1 c_3^2 + c_2^3 + c_2^2 c_3 + c_2 c_3^2 + c_3^3 예를 들어, c_1^2 c_2 의 계수가 1이므로, c_1 색깔 구슬 두 개와 c_2 색깔 구슬 하나로 이루어진 팔찌의 수는 하나이다.
4. 3. 그래프
m 개의 꼭짓점 을 가지는 그래프 의 동형류를 열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G=\operatorname{Sym}(m) 은 꼭짓점 집합 위의 대칭군 이다.X 는 \textstyle\binom m2 개의 가능한 변의 집합이다.Y=\{0,1\} 이며, 0은 변이 없는 것, 1은 변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0의 무게는 0, 1의 무게는 1이다. (즉, 그래프의 무게는 변의 수이다.) 포여 열거 정리는 고정된 꼭짓점 수를 가진 동형 그래프의 수를 계산하거나, 모서리 수에 따른 그래프의 생성 함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3개의 꼭짓점을 가지는 그래프의 경우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Sym}(3)}(t_1, t_2, t_3) = \frac1{3!}(t_1 ^3 + 2 t_3 + 3 t_1 t_2) :C(y)=1+y 따라서, :F(y)=Z_{\operatorname{Sym}(3)}(1+y,1+y^2,1+y^3)=y^3+y^2+y+1 이다. 즉, 꼭짓점이 3개이고 변이 3개, 2개, 1개, 0개인 그래프가 각각 1개씩 존재한다.동형이 아닌 세 개의 꼭짓점에 대한 그래프 4개의 꼭짓점을 가지는 그래프의 경우 순환 지표 는 다음과 같다. :Z_{\operatorname{Sym}(4)}(t_1,t_2,t_3,t_4) = \frac1{4!}\left(t_1^6 + 9 t_1^2 t_2^2 + 8 t_3^2 + 6 t_2 t_4\right) 따라서, :F(y)=Z_{\operatorname{Sym}(4)}(1+y,1+y^2,1+y^3,1+y^4)=y^6+y^5+2y^4+3y^3+2y^2+y+1 이다. 예를 들어, 꼭짓점이 4개이고 변이 3개인 그래프의 동형류는 3개가 있다.네 개의 꼭짓점에 대한 그래프의 동형 클래스
4. 4. 트리
k영어 진 트리는 잎이거나, k영어 개의 k영어 진 트리를 가지로 가지는 마디이다. 즉, k영어 진 트리의 집합 T_k 는 다음과 같다. :T_k^{(0)}=\{\bullet\} :T_k^{(i+1)}=T_k^{(i)}\cup \overbrace{T_k^{(i)}\times T_k^{(i)}\times\cdots\times T_k^{(i)}}^k :T_k=\bigcup_{i=0}^\infty T_k^{(i)} 주어진 마디 수의 k영어 진 트리를 열거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이는 포여 열거 정리로 다음과 같이 다룰 수 있다.G=\operatorname{Sym}(k) 는 대칭군 X=\{1,\dots,k\} Y=T_k . 즉, 각 가지의 "색깔"은 가지에 대응하는 부분 k영어 진 트리이다.Y 의 무게는 꼭짓점의 수이다. 즉, 그 생성 함수는 F(y) 이다. 그렇다면, 포여 열거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얻는다. :F(y)=1+yZ_{\operatorname{Sym}(k)}\left(F(y),F(y^2),\dots,F(y^k)\right) 이를 재귀적으로 풀어, 주어진 마디 수의 k영어 진 트리의 동형류의 생성 함수 F 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영어 =2이라고 하자. 이 경우 순환 지표 는 :Z_{\operatorname{Sym}(2)}(t_1,t_2)=\frac12(t_1^2+t_2) 이다. 따라서 :F(y)=1+\frac12y\left(F(y)^2+F(y^2)\right) =1+y+y^2+2y^3+3y^4+6y^5+\cdots 이다. 마찬가지로, k영어 =3이라고 하자. 이 경우 순환 지표 는 :Z_{\operatorname{Sym}(3)}(t_1,t_2,t_3)=\frac16(t_1^3+3t_1t_2+2t_3) 이다. 따라서 :F(y)=1+\frac16y\left(F(y)^3+3F(y)F(y^2)+2F(y^3)\right) =1+y+y^2+2y^3+4y^4+8y^5+\cdots 이다. 루트 삼진 트리의 집합 ''T''3 는 모든 노드(또는 비 잎 정점)가 정확히 세 개의 자식(잎 또는 서브트리)을 갖는 루트 트리로 구성된다. ''n''개의 노드를 가진 루트 삼진 트리는 (잎을 무시함으로써) 최대 3의 차수를 가진 ''n''개의 정점을 가진 루트 트리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루트 트리는 한 트리의 노드의 자식을 순열하여 다른 트리를 얻을 수 있을 때 동형이다. 즉, 노드의 자식에 작용하는 그룹은 대칭 그룹 ''S''3 이다. 이러한 삼진 트리의 가중치는 노드(또는 비 잎 정점)의 수로 정의한다. 루트 삼진 트리는 잎이거나, 스스로 루트 삼진 트리인 세 자식을 가진 노드로 재귀적 객체로 볼 수 있다. 이 자식들은 구슬과 동일하다. 이에 작용하는 대칭 그룹 ''S''3 의 사이클 지수는 다음과 같다. :Z_{S_3}(t_1,t_2,t_3) = \frac{t_1^3 + 3 t_1 t_2 + 2 t_3}{6}. 폴리아 열거 정리는 루트 삼진 트리의 재귀적 구조를 노드 수에 따른 루트 삼진 트리의 생성 함수 F(t)에 대한 함수 방정식으로 변환한다. 이것은 노드 수로 가중된 루트 삼진 트리로 세 자식을 "색칠"하여 달성되며, 이로써 색 생성 함수는 f(t)=F(t) 로 주어지며, 열거 정리에 의해 :\frac{F(t)^3 + 3 F(t)F(t^2) + 2 F(t^3)}{6} 는 노드 수보다 1 적게 가중된(자식 가중치의 합이 루트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루트 삼진 트리의 생성 함수이므로, :F(t) = 1 + t \cdot \frac{F(t)^3 + 3 F(t)F(t^2) + 2 F(t^3)}{6}. 이는 ''n''개의 노드를 가진 루트 삼진 트리의 수 ''tn ''에 대한 다음 재귀 공식과 동일하다. :\begin{align} t_0 &= 1 \\ t_{n+1} &= \frac{1}{6} \left(\sum_{a+b+c=n} t_a t_b t_c + 3\sum_{a+2b=n} t_a t_b + 2 \sum_{3a=n} t_a \right) \end{align} 여기서 ''a'', ''b'' 및 ''c''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t_n 의 처음 몇 값은 다음과 같다. :1, 1, 1, 2, 4, 8, 17, 39, 89, 211, 507, 1238, 3057, 7639, 19241.
4. 5. 색칠된 정육면체
정육면체의 면을 여러 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를 계산한다. 정육면체의 회전군을 이용하여 가능한 색칠의 종류를 열거한다. 3차원 정육면체의 면을 회전을 고려하여 ''m''가지 색상으로 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정육면체의 회전군 ''C''는 정육면체의 여섯 면에 작용하며, 이는 구슬과 동등하다. 그 순환 지수는 다음과 같다. [1] :Z_C(t_1,t_2,t_3,t_4) = \frac{1}{24}\left(t_1^6 + 6 t_1^2 t_4 + 3 t_1^2 t_2^2 + 8 t_3^2 + 6 t_2^3\right) ''C''의 24개 각 요소가 정육면체의 6면에 미치는 영향은 여기를 참조하여 분석할 수 있다. 모든 색상의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색칠이 존재한다. :F(0)=Z_C(m,m,m,m) = \frac{1}{24}\left(m^6+ 3m^4 + 12 m^3 + 8 m^2\right) 정육면체를 2가지 색으로 칠하는 방법의 수를 세어보면 다음과 같다. 정육면체 abcd-efgh에서 면 abcd를 1, 면 abef를 2, 면 bcfg를 3, 면 adeh를 4, 면 cdhg를 5, 면 efgh를 6으로 명명한다. 이 때, |G|=24 가 되며, P(x_1, x_2, x_3, x_4, x_5, x_6)=\frac{1}{24} (x_1^6+6x_1^2x_4+6x_1^2x_2^2+8x_3^2) 여기서, x_1=x_2=x_3=x_4=x_5=x_6=2 (2가지 색으로 칠하기 위해)이므로 P(2,2,2,2,2,2)=10 이 된다. [1]
5. 역사
1927년에 미국의 수학자 존 하워드 레드필드(John Howard Redfield영어 , 1879~1944)가 발견하였으나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3] [4] 이후 헝가리 의 수학자 포여 죄르지 가 1937년에 같은 정리를 독자적으로 발견하였고, 이를 화합물 의 수를 세는 데 응용하였다. [5]
참조
[1]
논문
The theory of group-reduced distributions
[2]
논문
Kombinatorische Anzahlbestimmungen für Gruppen, Graphen und chemische Verbindungen
[3]
논문
The theory of group-reduced distributions
[4]
논문
The enumeration methods of Redfield
[5]
논문
Kombinatorische Anzahlbestimmungen für Gruppen, Graphen und chemische Verbindungen
19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