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동대학교는 대한민국 포항시에 위치한 사립 기독교 대학으로, 1992년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 개교했다. 설립 초기 재정적 어려움과 포항 시민들의 반대 등 여러 난관을 겪었으나, 교육 개혁 우수 대학 선정,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장, 정부 지원 사업 참여 등을 통해 발전을 거듭했다. 2학년부터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복수 전공을 의무화하는 등 학사 과정의 특징을 가지며, 국제법학전문대학원을 운영하며, 개발도상국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제도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수업에서 창조과학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포항시의 학교 - 포항명도학교
포항명도학교는 1989년 개교한 경상북도 포항시 소재 특수학교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과정을 운영하며 장애 학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2016년 학교기업 다빈, 2021년 다목적 강당 창파관을 개관했다. - 포항시 북구 - 송라면
포항시 북구에 있는 송라면은 광천리, 대전리, 방석리 등 8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연산, 보경사, 화진해수욕장 등의 명소와 교육, 금융, 의료 시설이 있고, 동해대로, 보경로 등의 도로망이 갖춰져 있다. - 포항시 북구 - 기계면
기계면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면으로, 신라 시대에 기계현으로 개칭된 후 영일군을 거쳐 포항시에 통합되었으며, 기계환승센터를 중심으로 교통이 연결되고 기계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 역사적으로 인물을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 경상북도의 대학교 -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는 1994년 현암학원이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경상북도 영주시에 본캠퍼스, 경기도 동두천시에 제2캠퍼스를 둔 이원화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며, 과거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및 표창장 위조, 학력 위조 논란이 있었다. - 경상북도의 대학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한동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동대학교 |
| 로마자 표기 | Handong Global University |
| 슬로건 | Why Not Change the World? |
| 설립 | 1995년 |
| 종류 | 사립 |
| 종교적 제휴 | 비교파 기독교 |
| 총장 | 최도성 |
| 학부생 | 3,955명 (2021년) |
| 대학원생 | 397명 (2021년) |
| 도시 | 포항시, 경상북도 |
| 국가 | 대한민국 |
| 캠퍼스 | 농촌 |
| 다른 이름 | HGU |
| 마스코트 | 갈매기 |
| 웹사이트 | 한동대학교 웹사이트 |
| 교직원 수 | 130명 |
| 행정 직원 수 | 78명 |
![]() | |
![]() | |
![]() | |
| 위치 | |
| 상징 | |
| 상징물 | 갈매기 해당화 해송 |
| 교훈 | |
| 교훈 | 사랑, 겸손, 봉사 |
2. 연혁
1992년 8월 14일 대학설립계획 인가 후, 1994년 12월 2일 교육부로부터 한동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5년 2월 1일 초대 총장 김영길 박사가 취임하고, 3월 7일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거행했다. 설립 초기에는 설립자 회사 파산 및 포항 시민들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교육부 '교육개혁추진 우수대학'으로 선정되며 재정적 안정을 찾았다. 1999년 2월 24일 제1회 졸업식을 개최하고, 11월 2일 대학원 신설 인가를 받았다.
2000년대에는 제2공학관(뉴턴홀) 준공(2000년), 영문 교명 변경(2001년), 한동국제법률대학원(HILS) 및 오석학술정보관 개관(2002년) 등 시설 확충과 국제화를 추진했다. 2007년 유네스코 UNITWIN 프로그램 주관대학 선정,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인턴파견 협정 체결, 2009년 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원 개원 및 Vision2020 선포 등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2010년 올네이션스홀 준공,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UNAI) 글로벌 허브 기관 선정(2011년), 한동대 국제개발협력대학원 개원 및 NFC 스마트 캠퍼스 서비스 개시(2012년) 등 교육 혁신을 이어갔다. 2013년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2월 1일 장순흥 총장 취임 후, '세상을 변화시키는 10가지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 이후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내용 |
|---|---|
| 2014년 5월 25일 | 산업통상부 고출력레이저 상용화 기반구축 사업 선정 |
| 2014년 6월 30일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대학특성화사업 선정(2014~2018) |
| 2014년 8월 31일 | 2014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한동대학교 사모아 포럼 개최 (피지, UN국제회의) |
| 2014년 12월 16일 | 한동대 도서관, UN 기탁도서관 지정 |
| 2015년 3월 25일 | 2015 포스코청암상(청암교육상) 수상 |
| 2015년 5월 21일 | 교육부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선정 |
| 2015년 7월 1일 | 교육부 학부교육선도대학(ACE)육성사업 선정 |
| 2015년 8월 31일 | 교육부 대학 구조개혁 평가 최상위 등급(A등급) 획득 |
| 2015년 12월 2일 | 교육부/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 수상 |
| 2015년 12월 15일 |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제4회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수상 |
| 2016년 1월 28일 | 고용노동부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사업 운영대학 선정 |
| 2016년 5월 3일 | 교육부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사업’ 선정 |
| 2016년 5월 30일 | 제66차 UN DPI-NGO 컨퍼런스 공동주관 (한국, 경주) |
| 2016년 9월 21일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여성공학인재양성(WE-UP) 사업’ 선정 |
| 2017년 2월 27일 | 행복기숙사(하용조관) 및 복지동 준공 |
| 2017년 3월 28일 | 미래창조과학부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 선정 |
| 2017년 4월 10일 | 한동대학교 보아스메디컬 의원 개원 |
| 2017년 6월 9일 |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 선정 |
| 2017년 11월 15일 | 포항 지진 발생 (2주간 온라인 수업, 긴급복구 후 19일 만에 수업 재개) |
| 2017년 12월 29일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대학 2회 연속 선정(2014, 2017) |
| 2018년 3월 7일 | 총동문회 지진피해 복구 후원 기념 느헤미야홀 기부벽 제막 |
| 2018년 4월 23일 |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경상권 교육기부 지역센터(~2020)’ 운영기관 6년 연속 선정 (2014~2018) |
| 2018년 6월 12일 | 산학협력관 준공 |
| 2018년 11월 22일 |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제7회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수상(2015, 2018 2회 수상) |
| 2018년 12월 17일 |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우수상담기관상(프로그램 부문) 수상 |
| 2019년 2월 28일 | 통일교육 선도대학사업 선정 |
| 2019년 4월 4일 |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레이저 광융합 전문인력양성사업 선정 |
| 2019년 5월 8일 | 코너스톤홀 준공 |
| 2019년 5월 27일 | UNAI 반기문 글로벌 교육원(IGE) 개원 |
| 2018년 6월 17일 |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6년 연속 선정 (2014~2019) |
| 2019년 8월 26일 | 한동대-KOTRA 美 실리콘밸리무역관과 MOU 체결 |
| 2019년 10월 14일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지원사업’ 3년 연속 선정 (2017-2019) |
| 2019년 11월 27일 | 한동대–한인세계선교사회 협약체결(2020 한인세계선교사대회 공동 개최) |
2. 1. 설립 초기 (1992-1999)
1992년 8월 14일 대학설립계획이 인가(10개 학과 400명)되었고, 9월 21일 학교법인 현동학원 설립이 허가되었다.[1] 1994년 12월 2일, 교육부로부터 한동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 (10개 학과, 400명)[1] 초대 총장으로는 김영길 박사가 1995년 2월 1일에 취임하였다.[1]1995년 3월 7일, 교육기본시설이 준공되었고, 한동대학교가 개교하면서 제1회 입학식(입학정원 400명)을 거행하였다.[1] 설립 초기, 설립자의 회사 파산과 포항 시민들의 반대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1] 특히, 한동대학교가 기독교 대학으로서 전국에서 학생을 모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포항 시민들이 설립에 반대하여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1] 이 과정에서 김영길 총장은 정부 보조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혐의로 기소되어 56일 동안 수감되었다가 무죄로 풀려나기도 했다.[1]
재정 부족으로 인해 파산 위기에 처하기도 했으나, 김영길 총장과 교직원들의 노력으로 위기를 극복했다.[1] 김영길 총장은 KAIST에서 받은 퇴직금을 기부하였고, 많은 교수들이 수개월간 무보수로 봉사했다.[1] 온누리교회 담임목사가 한동대학교 이사장을 맡으면서 두 기관 간의 오랜 협력 관계가 시작되기도 했다.[1]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교육부로부터 '교육개혁추진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고, 이를 통해 정부의 교육 프로젝트를 유치하여 재정적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1] 1997년 10월 9일에는 포항 선린병원을 한동대에 기증받았다.[1]
1999년 2월 23일 효암관을 준공하고 피지 순교 기념비를 제막하였으며, 2월 24일에는 제1회 졸업식(학사 76명)을 개최하였다.[1] 11월 2일에는 대학원(일반대학원 45명, 특수대학원 40명) 및 교육대학원(80명) 신설 인가를 받았다.[1]
2. 2. 발전 및 국제화 (2000-2013)
2000년 제2공학관(뉴턴홀)이 준공되었고, 제1회 대학원 입학식이 열렸다.[1] 2001년 영문 교명이 Handong University에서 Handong Global University로 변경되었다.[1] 2002년에는 한동국제법률대학원(Handong International Law School, HILS)이 개원하고 오석학술정보관이 준공 및 개관하였다.[1]2007년 유네스코 UNITWIN 프로그램 주관대학으로 선정되었고,[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인턴파견 협정을 체결하였다.[1] 2009년에는 글로벌 녹색성장 연구원을 개원하고, 한동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 Vision2020 선포식을 가졌다.[1]
2010년 올네이션스홀이 준공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1] 2011년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UNAI) 고등교육역량개발 분야 글로벌 허브 기관으로 선정되었다.[4][5] 2012년에는 학생생활관 9호관(벧엘관)이 준공되었고, 한동대 국제개발협력대학원이 개원하였다.[1] 또한, NFC와 GPS를 결합한 스마트 캠퍼스 서비스를 개시하였다.[1] 2013년에는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우수사례' 중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모델분야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1]
2. 3. 도약 및 사회적 기여 (2014-현재)
2014년 2월 1일, 장순흥 박사가 한동대학교 제5대 총장으로 취임했다.[8] 장 총장은 취임 후 "세상을 변화시키는 10가지 프로젝트"를 대학교의 새로운 주요 목표로 발표했다.| 날짜 | 내용 |
|---|---|
| 2014년 5월 25일 | 산업통상부의 2014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고출력레이저 상용화 기반구축)에 선정 |
| 2014년 6월 30일 |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실시한 2014 대학특성화사업에 선정(2014~2018) |
| 2014년 8월 31일 | 2014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한동대학교 사모아 포럼을 피지 UN국제회의에서 개최 |
| 2014년 12월 16일 | 한동대 도서관이 UN 기탁도서관(닥 함마르횔드 도서관, Dag Hammarskjöld Library)으로 지정 |
| 2015년 3월 25일 | 2015 포스코청암상(청암교육상)을 한동대학교가 수상 |
| 2015년 5월 21일 | 교육부의 2015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 선정 |
| 2015년 7월 1일 | 교육부의 2015~2018 학부교육선도대학(ACE)육성사업에 선정 |
| 2015년 8월 31일 | 교육부의 2015 대학 구조개혁 평가에서 최상위 등급(A등급)을 획득 |
| 2015년 12월 2일 |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2015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을 수상 |
| 2015년 12월 15일 |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실시한 2015 제4회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을 수상 |
| 2016년 1월 28일 | 고용노동부의 2016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 |
| 2016년 5월 3일 | 교육부의 ‘2016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사업’에 선정 |
| 2016년 5월 30일 | 제66차 UN DPI-NGO 컨퍼런스를 한국 경주에서 공동주관 |
| 2016년 9월 21일 |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실시한 ‘여성공학인재양성(WE-UP) 사업’에 선정 |
| 2017년 2월 27일 | 행복기숙사(하용조관) 및 복지동 준공 및 헌명식 |
| 2017년 3월 28일 | 미래창조과학부의 ‘2017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 |
| 2017년 4월 10일 | 한동대학교 보아스메디컬 의원 개원 |
| 2017년 6월 9일 | 교육부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에 선정 |
| 2017년 11월 15일 | 포항 지진 발생 (2주간 온라인 수업 진행, 긴급복구 후 19일 만에 수업 재개) |
| 2017년 12월 29일 |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실시한 2017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대학에 2회 연속 선정(2014, 2017) |
| 2018년 3월 7일 | 총동문회 지진피해 복구 후원 기념 느헤미야홀 기부벽(Donor Wall) 제막 |
| 2018년 4월 23일 |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실시한 ‘2018 경상권 교육기부 지역센터(~2020)’ 운영기관으로 6년 연속 선정 (2014~2018) |
| 2018년 6월 12일 | 산학협력관 준공 |
| 2018년 11월 22일 |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실시한 ‘2018 제7회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수상(2015, 2018 2회 수상) |
| 2018년 12월 17일 | 전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에서 2018 우수상담기관상(프로그램 부문)을 수상 |
| 2019년 2월 28일 | 2019 통일교육 선도대학사업에 선정 |
| 2019년 4월 4일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실시한 레이저 광융합 전문인력양성사업에 선정 |
| 2019년 5월 8일 | 코너스톤홀 준공 |
| 2019년 5월 27일 | UNAI 반기문 글로벌 교육원(IGE) 개원 |
| 2018년 6월 17일 | 교육부의 ‘2019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6년 연속 선정 (2014~2019) |
| 2019년 8월 26일 | 한동대-KOTRA 美 실리콘밸리무역관과 MOU 체결 |
| 2019년 10월 14일 |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지원사업’에 3년 연속 선정 (2017-2019) |
| 2019년 11월 27일 | 한동대–한인세계선교사회 협약체결(2020 한인세계선교사대회 공동 개최) |
한동대학교는 대한민국 포항시에 위치하며, 캠퍼스 면적은 약 200acre이다. 포항시는 현재 인구 약 50만 명의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이다.[1]
2007년, 한동대학교는 유네스코의 대학 자매결연 및 네트워킹(UNITWIN) 프로그램에 참여했다.[2] 2010년과 2011년에는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잘 가르치는 대학(ACE)'으로 선정되었다.[3] UNITWIN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2010년에는 10개의 UNAI 허브 대학 중 하나로 지명되었다.[4][5] 고등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UNAI 글로벌 허브로서, 이 대학교는 2017년에 반기문 글로벌 교육원(GEI) 기공식을 가졌다.[6][7]
3. 캠퍼스
캠퍼스 내에는 효암채플, 현동홀, 느헤미야홀, 뉴턴홀, 코너스톤홀, 오석관, 생활관, 반기문 IGE 센터 & 김영길그레이스스쿨, 올네이션스홀, 학생회관, GLC(Global Language Center), 피지광장, 비전광장, 나눔평봉 필드, 히딩크 드림필드 등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각 시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주요 건물'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건물
한동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건물들이 있다.
한동대학교 정문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건물이다. 효암 성룬량 선생의 자녀들이 기부한 유산으로 지어졌다. 매일 아침 '첫 시간' 예배와 저녁 '끝 시간' 예배가 열리며, 수요일 채플, 입학식, 졸업식 등 학교의 주요 행사도 이곳에서 진행된다. 채플별관 1층과 효암채플 2층에는 교목실이 있다.[1]
1995년 한동대학교 개교와 함께 세워진 건물 중 하나이다. 건물 정면 중앙에는 'Handong-God’s University'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1]
구약 성서의 느헤미야처럼 세상의 무너진 곳을 바로 세울 인재를 양성한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 경영경제학부,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생명과학부, 언론정보문화학부 사무실과 관련 강의실이 있다.[1]
과학자이자 신학자인 뉴턴과 같은 공학자를 양성하자는 의미로 이름 붙여진 공대 건물이다. 기계제어공학부, 전산전자공학부 사무실과 관련 강의실, 실습실이 있다.[1]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전용 건물로, 건축 관련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익명의 후원자들과 교수들의 기부로 넓고 쾌적한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1]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치기 위해 준비한 5개의 물맷돌처럼,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학업에 힘쓰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도서관, 자료실, 휴게 공간, 공부 및 토론 공간 등이 마련되어 있다.[1]
학생들은 4인 1실 또는 2인 1실로 구성된 생활관에서 함께 생활하며 공동체 의식과 배려심을 배운다. 각 생활관은 RC(Residential College)로 구성되어 인성, 영성, 지성 통합 교육을 제공한다.[1]
UNAI(UN Academic Impact,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한국협의회와 함께 국내외 대학 및 기관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UN SDGs(지속 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다.[1]
한동국제법률대학원(HILS)과 법학부 사무실 및 강의실이 있다. 300여 석 규모의 오디토리움에서는 외부 인사 초청 강연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4층에는 국제협력실, 국제개발협력대학원, UN Academic Impact 한국협의회 사무실이 있다.[1]
동아리실, 밴드 연습실, 극장, 학부협력회실 등 학생 활동 공간과 학생식당이 있다.[1]
영어 및 외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곳으로, 토론 및 회화 중심의 수준별 영어 수업을 제공한다.[1]
1997년 피지에서 봉사활동 중 순교한 故 권영민, 故 강경식 학우를 기리기 위한 장소이다.[1]
한동대학교 학생들의 기도 공간으로, 매일 오후 1시부터 30분 동안 중심 기도회가 열린다.[1]
2012년 개장된 다목적 구장으로, 축구, 농구, 배구, 족구 등을 즐길 수 있으며, 미식축구 골대와 육상 트랙도 갖추고 있다.[1]
2008년 7월 준공된 시각 장애인 전용 축구장이다. 거스 히딩크 감독이 준공식에 참여했다.[1]
한동대학교는 대한민국 포항시에 위치해 있으며, 약 200acre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3. 2. 생활관
한동대학교 학생들은 생활관에서 단순한 숙박을 넘어, 4인 1실 또는 2인 1실의 공동생활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배려심을 배운다. 각 생활관에는 RC(Residential Colledge)가 구성되어 있어, 생활관을 전인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며 인성, 영성, 지성 통합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학습과 생활이 어우러지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기독교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1]
3. 3. 기타 시설
한동대학교로 들어오는 모든 이들을 가장 먼저 반기는 건물이다. 효암 성룬량 선생의 자녀들이 유산을 기부하여 만들어졌으며, 한동의 하루가 시작되고 마무리되는 곳이다. 하루를 시작하며 새벽에 드려지는 ‘첫 시간’과 하루의 일과가 끝난 후에 드려지는 ‘끝 시간’ 예배가 이곳에서 열린다.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요일 채플과 입학식, 졸업식, 학부합창대회 등 한동대의 중요하고 다양한 행사들도 이곳에서 열린다. 채플별관 1층과 효암 채플 2층에는 학생들의 영성 교육을 담당하는 교목실이 있다.
1995년도 한동의 탄생과 함께 처음 세워진 4동의 건물 중 하나이다. 건물 정면 4층 높이 중앙에는 한동대학교의 영문 교명인 Handong Global University 가 아닌 대학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Handong-God’s University’가 새겨져 있다.
구약 성서에서 무너진 성을 재건한 느헤미야와 같은 세상의 무너진 곳을 바로 세울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이름 붙여진 건물이다. 느헤미야홀에는 경영경제학부, 콘텐츠융합디자인학부, 생명과학부, 언론정보문화학부의 사무실이 있고, 관련 학부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대한 과학자이자 신학자인 ‘뉴턴 같은 공학자를 양성하자’는 의미로 이름 붙여진 공대 건물이다. 기계제어공학부, 전산전자공학부의 사무실이 있고, 관련 학부수업과 실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전공 특성상 건축관련 수업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학부 전용건물을 세우기 위한 모금 운동을 통해 세워진 건물이다. ‘눈칫밥 먹지 말고 공부하라’는 익명의 후원자들 및 교수의 손길로 넓고 쾌적한 환경의 건물이 탄생하고 관련 학부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시험기간에 평소보다 더 많은 학생이 모인다고 하는 오석관은 다윗이 골리앗을 물리치기 위해 담대함과 5개의 물맷돌(五石)을 준비한 것처럼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학업에 힘쓰며 준비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도서관과 자료실 외에도 학생들을 위한 휴게 공간이 있고, 공부와 토론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학생들은 한동의 또 다른 교실인 생활관에서 단순히 잠만 자는 것이 아니라 4인 1실 혹은 2인 1실로 구성된 방에서 팀원들과의 공동 생활을 통해 한동의 공동체 의식과 배려심을 배우게 된다. 각 생활관에는 RC(Residential Colledge)가 구성되어 학생들이 생활하는 생활관을 전인교육의 장으로 활용해 인성, 영성, 지성 통합 교육의 실질적인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학습과 생활이 어우러짐으로 삶과 배움의 일치를 추구하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기독교적인 가치관과 세계관으로 행동할 줄 아는 인재는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동대학교와 UNAI(UN Academic Impact,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한국협의회는 반기문 IGE 센터를 통해 국내 68개 포함 전 세계 1,200여개 UNAI 회원 대학•관련 기관들과 공동연구과제를 진행, UNAI 10개 원칙을 성취하기 위한 혁신적이고 실질적인 해법을 UNAI 회원 대학들 및 국제기구들과 더불어 연구하고 있다. IGE는 유엔의 지속 가능발전목표(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UN SDGs)를 달성하기 위해 다 양한 국제 이슈, 전문성, 리더십/인성교육을 포함한 ‘글로벌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올네이션스홀에는 한동국제법률대학원(HILS)과 법학부 사무실이 있으며 관련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300여석 규모의 오디토리움은 외부 유명인사 초청 강연회를 비롯한 다양한 강의 및 행사가 가능한 열린 강의실이다. 4층에는 한동대학교의 국제화를 주도해나가는 국제협력실과 국제개발협력대학원, UN Academic impact 한국협의회 사무실이 있다.
학생회관은 학생들의 열정으로 가득한 공간이다. 동아리 활동이 이루어지는 동아리실과 지하 밴드 연습실, 그리고 각종 공연이나 연극이 열리는 극장(104호)이 위치해 있다. 13개의 학부가 모여 학부 활동을 계획하는 학부협력회실 등 학생들의 여러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들이 있다. 학부 간 연합을 도모하는 학부체육대회 및 학부합창 대회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해마다 활기차게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학생회관에는 다양한 메뉴의 식사와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학생식당이 1층에 위치해 있어 학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국제화를 지향하는 한동의 영어 및 외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실무 영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토론 및 회화 중심의 수준별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입학 전 학생들은 영어 시험을 치른 후, 수준별 4단계로 나누어 진행되는 영어 수업 중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단계의 수업을 듣게 된다.
효암채플 옆 작은 광장. 이 곳은 피지에서 순교한 한동의 첫 밀알, 바로 95학번 故 권영민, 故 강경식 군을 기억하기 위한 장소이다. 한동의 첫 밀알이 된 두 학생은 1997년 여름, 남태평양 서부의 작은 섬 피지로 단기 선교를 떠난 팀의 일원이었고, 이 팀은 현지 원주민에게 컴퓨터와 영어 교육, 집과 교회 수리, 그리고 식수 시설을 개선하는 등의 봉사활동을 했다. 두 학생은 원주민들의 식수시설 개선을 위한 우물 만들기에 동참한 후 몸에 묻은 모래를 씻어내기 위해 바다로 들어갔다가 파도에 휩쓸려 순교하였다. 그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피지광장에서는 아직도 선교를 향한 기도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비전 광장은 한동인들의 꿈이 담긴 상징적인 곳이다. 한동의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기도할 수 있으며, 학교는 캠퍼스 내 곳곳에 기도실을 두어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비전광장은 하루의 중심인 1시부터 매일 30분동안 중심 기도회를 통해 우리 모두의 꿈인 열방을 향한 마음이 기도의 향이 되어 올려지는 곳이기도 하다.
2012년 개장된 ‘나눔평봉필드’는 ‘평봉’ 선생님과 학부모님들의 오병이어 기부금으로 만들어졌다. 축구, 농구, 배구, 족구 등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 구장으로 미식축구 골대 1세트와 육상트랙 3레인도 포함하고 있다. 이곳은 한동대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꿈의 구장이다.
2008년 7월 준공된 히딩크 드림필드(Hiddink Dream Field)는 시각 장애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축구를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각 장애인 전용 축구장’이다. 2002년 월드컵의 꿈을 이뤄낸 주역 거스 히딩크 감독은 자신의 한국을 향한 사랑이 담긴 히딩크 드림필드 2호의 준공식을 위해 한동대학교에 방문하였다.
200acre를 차지하는 한동대학교는 대한민국 포항시에 위치해 있다. 포항시는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로, 현재 인구는 약 50만 명이다.
4. 학사 과정 특징
- '''무전공/무학과 입학'''
- *: 입학 당시 계열에 상관없이 학부 및 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입학한다.
- *: 2학년 진학 시(1학기 말 신청) 계열, 성적, 인원 수에 상관없이 원하는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 전공 선택 후에도 학기 수에 상관없이 전공을 변경할 수 있다.
- '''복수전공제'''
- *: 한동대학교 학부는 생명과학부를 제외하고 유사성 있는 두 전공이 하나의 군으로 묶여 있다.
- *: 신입생들은 2학기 말에 2가지 이상 전공을 선택하여 2학년부터 의무적으로 복수전공을 한다.
- *: 선택한 복수전공 중 1전공의 학부가 학생의 소속 학부가 된다.
- *: 2전공은 같은 학부 또는 다른 학부의 전공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른 학부 전공 선택을 연계전공이라 한다.
- '''실용영어'''
- *: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차별화, 실무화' 취지 하에 외국인 학생 및 교수진과의 빈번한 접촉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진다. (외국인 교수 비율은 전체 교수의 30% 이상)
- *: 재학생들은 1, 2학년 동안 12학점의 영어회화 및 영어토론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 *: 3, 4학년에는 전공 강의의 30% 이상이 영어로 진행된다.
- *: 졸업 요건(2009년 졸업자 이후)으로 TOEFL(IBT) 74점(국제어문학부 영어학 전공 94점, 국제어문학부 국제지역학 전공 및 상담사회복지학부 86점), TEPS 602점(국제어문학부 영어학 전공 773점, 국제어문학부 국제지역학 전공 및 상담사회복지학부 712점), TOEIC 700점(국제어문학부 영어학 전공 850점, 국제어문학부 국제지역학 전공 800점, 상담사회복지학부 70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 '''실무중심 전산 교육'''
- *: 모든 학생은 실무 전산(8학점) 또는 컴퓨터공학부 전공(21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 *: 단, 컴퓨터공학 전공, 컴퓨터공학 심화 전공, 전자공학 전공, 전자공학 심화 전공, IT 전공자는 실무 전산 필수 과목과 C 프로그래밍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팀 제도'''
- *: 교수 1명당 35명 내외의 학생이 팀을 이루어 1년간 기숙사 내 이웃한 호실에서 함께 생활한다.
- *: 팀 내 근로 의무 수행, 팀 모임 등을 통해 교수와 학생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리더십 훈련을 수행한다.
- *: 팀 제도는 공동체 리더십이라는 정규 교과의 일환으로 운영되며 0.5학점이 부여된다.
- '''무감독 양심 시험(Honor Code)'''
- *: 개교 이후 무감독 시험제를 고수하고 있다.
- '''개신교 신앙 교육'''
- *: 정규 과목에 성경 연구를 적용할 수 있는 강좌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이 과목 중 일부는 졸업 요건에 포함된다.
5. 대학원
한동대학교는 미국 변호사 자격증 취득 과정을 개설하는 국제법률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다. 많은 변호사들이 졸업 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한동국제법률대학원(Handong International Law School, HILS)은 2002년에 설립되었다.[10]
학위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학위 과정 | 설명 |
|---|---|
| 법무박사(J.D.) | 3년 과정: 미국 및 국제법 영어 강의 |
| 석사(M.A) | 2년 과정: 국제법 연구[10] |
- 일반대학원
- 교육대학원
- 통번역대학원
- 글로벌 리더십 & 경영대학원
- 상담대학원
- 컴퓨터공학대학원
- 전기공학과 대학원
- 기계공학과 대학원
- 한동국제법률대학원(HILS)
6. 국제화 프로그램
한동대학교는 50개 이상의 다양한 국가 출신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국제 프로그램 학생들과 대학원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1] 매 학기 약 40%의 강좌가 영어로 진행되며, 전 과정이 영어로 진행되는 전공은 다음과 같다.[1]
또한, 한국과 모국 간의 가교 역할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글로벌한국학 전공에서는 글로벌 기업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한국학 관련 과목과 '한국어 교원 자격증' 과정을 제공한다.[1]
7. 재정 지원
한동대학교는 개발도상국 출신이거나, 고등 교육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위해 학업 보조금과 장학금을 제공한다. 많은 후원자들이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장학 기금을 조성했다. 유학생들은 전액 또는 부분 장학금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한동대학교 발전재단을 통해, 학교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하며, 대부분은 제한적이거나 다른 재단과 연계되어 있다. 또한, 대학교는 한국 학생들을 위해 학업 성적과 재정적 필요에 따라 장학금을 제공한다.
8. 입학 요건
한동대학교 입학은 경쟁력 있는 학업 능력을 요구하며, 지원자는 이전 학업 성적, 면접, 영어 능력의 세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받는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졸업자는 뛰어난 학업 기록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최고점을 받아야 입학을 고려할 수 있다. 대한민국 외 지원자는 한국 교육 시스템과 동등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9. 논란
한동대학교는 일부 수업에서 창조과학, 지적설계와 같은 사이비과학을 가르친다는 논란이 있다.
9. 1. 사이비과학 수업 의혹
일부 수업에서 창조과학, 지적설계와 같은 사이비과학을 "창조와 진화"라는 제목으로 가르치고 있어[11][12], 학생들의 과학교육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학교 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다.[13] 이는 진화와 같은 관찰 가능한 사실을 부정하고, 과학적 근거가 없는 창조과학을 과학에 포함시키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또한, 다른 과학 연구소들과 함께 "창조과학 연구소"라는 사이비과학 단체를 연구소 중 하나로 소개하여, 한동대학교의 연구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행보를 보인다는 문제점도 있다.[14]
참조
[1]
서적
The Papyrus Basket: The School in the Wilderness
Xulon
2006
[2]
웹사이트
listnetworks3112014.pdf
http://www.unesco.or[...]
2022-03-01 # 추정 날짜, Bare URL PDF에서 date를 추출
[3]
웹사이트
Handong Global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4-12-19
[4]
웹사이트
UNAI Hubs | Academic Impact
https://web.archive.[...]
2017-07-21
[5]
웹사이트
GLOBAL: Leadership education gets boost through UN
http://www.universit[...]
2011-08-14
[6]
웹사이트
UN Chief Welcomes Ban Ki-moon Global Education Institute
http://www.indepthne[...]
International Press Syndicate
2017-07-11
[7]
웹사이트
Handong Global University held a ground-breaking ceremony for the 'Ban Ki-moon Global Education Institute in Support of UNAI'
https://web.archive.[...]
2017-07-12
[8]
웹사이트
한동대학교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14-12-19
[9]
웹사이트
Handong Global University holds an inauguration ceremony for new President Choi Do-soung
http://www.koreapost[...]
2022-02-10
[10]
웹사이트
Handong International Law School
https://lawschool.ha[...]
[11]
웹인용
한동 교육 방침
https://www.handong.[...]
[12]
웹인용
"창조와 진화"라는 과목의 실체
https://www.hgupress[...]
[13]
웹인용
창조와 진화 수업을 규탄한다
https://www.facebook[...]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7-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