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폼페이아 플로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폼페이아 플로티나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아내로, 히스파니아에서 태어나 로마 황후가 되었다. 트라야누스 사후 하드리아누스의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피쿠로스 학파를 후원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그녀는 황제 숭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님에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로마 여성 - 살로니아 마티디아
    살로니아 마티디아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조카딸로서, 세 번의 결혼과 황실과의 관계로 로마 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특히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신격화되어 신전을 헌정받고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는 등 높은 지위와 권력을 누린 인물이다.
  • 폼페이우스 씨족 -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인기를 바탕으로 '마그누스' 칭호를 얻었으며, 술라 내전 참여, 마리우스파 잔당 소탕, 세르토리우스 전쟁 승리, 해적 토벌, 미트라다테스 전쟁 승리 등으로 명성을 쌓았으나, 카이사르와의 갈등으로 내전에서 패배 후 암살당했다.
  • 폼페이우스 씨족 - 섹스투스 폼페이우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폼페이우스 대왕의 아들로, 로마 공화정 말기에 활동하며 카이사르 암살 이후 시칠리아에서 세력을 키웠으나 옥타비아누스와의 갈등 끝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폼페이아 플로티나
기본 정보
바티칸 미술관에 전시된 플로티나 흉상
칭호아우구스타
배우자트라야누스
왕조네르바–안토니누스
생애
출생지테하다 라 비에하, 히스파니아, 또는 네마우스, 갈리아
사망121년/122년
아버지루키우스 폼페이우스
어머니플로티아
통치
재위 기간98년 – 117년
전체 이름폼페이아 플로티나 아우구스타
본명폼페이아 플로티나 클라우디아 포에베 피소
존호폼페이아 플로티나 클라우디아 포에베 피소 아우구스타

2. 생애

플로티나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아내로서, 황실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트라야누스 황제가 죽은 후, 그녀는 황제의 유언을 둘러싼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117년, 트라야누스는 킬리키아의 셀리누스에서 임종을 맞이했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는 그곳에서 하드리아누스를 제국의 후계자로 입양하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고 한다. 이 편지에는 황후 플로티나가 서명했으며, 로마에 도착했을 때 의심을 받았다. 소문에 따르면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와 플로티나는 연인 관계였고, 그들은 후견인 하드리아누스와 매우 가까웠으며, 트라야누스의 임종 자리에 함께 있었다. 이 때문에 하드리아누스의 계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트라야누스의 유언장을 위조했다는 소문이 돌았다.[1][9]

하지만 아넬리제 프라이젠브루흐는 이러한 비난을 일축하며 "2세기의 침묵하는 배우자인 플로티나는 리비아, 소(小) 아그리피나, 도미티아와 함께 로마 황실 여성들이 남편의 죽음을 은폐하거나 공모했다는 혐의를 받는 갤러리에 합류했다."라고 말했다. 프라이젠브루흐는 플로티나의 서명이 이 선언문에 정당하게 찍혔을 수 있는 그럴듯한 설명이 많다고 지적하며, 트라야누스가 편지에 직접 서명하기에는 너무 쇠약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또한 프라이젠브루흐는 이러한 종류의 비난이 수세기 동안 통치자들의 배우자를 따라다녔다고 언급한다.[10]

아티아누스와 마티디아와 함께, 슬픔에 잠긴 미망인 플로티나는 트라야누스의 시신을 셀레우키아로, 유해를 로마로 운구했다.[9]

폼페이아 플로티나의 동전, 뒷면에 피데스를 기념한다.

2. 1. 초기 생애와 가문

폼페이아 플로티나는 네로 황제 재위 시기(54–68년) 히스파니아 속주에 있는 테하다 라 비에하(에스카세나 델 캄포)에서 태어나고 자랐다고 추정되지만, 70년대에 태어났을 수도 있다. 그녀는 방대한 정치적 및 가문 간의 연결 관계를 갖고 있던 루키우스 폼페이우스와 플로티아의 딸이었다. 폼페이에서는 울피아 플로티나라는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이로 인해 폼페이아 플로티나와 트라야누스가 친척 관계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플로티나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2. 2. 트라야누스와의 결혼

트라야누스는 황제가 되기 전에 플로티나와 결혼했으며, 이들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지만 자녀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트라야누스가 남성에게 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일 수 있다.

트라야누스가 황제가 된 후, 플로티나는 황궁에 들어서면서 "나는 떠날 때 내가 되고 싶었던 여성의 모습으로 이곳에 들어왔다"라고 신중하게 말했다고 한다.[14] 그녀는 도미티아누스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를 특징지었던 궁중 내 분쟁이라는 나쁜 관습을 없애려 했다.[15] 플로티나는 전통적인 로마 여성처럼 행동했으며, 베스타(로마의 신성한 불을 지키는 여신)와 미네르바(전쟁과 지혜의 여신)와 같은 정숙한 여신들과 자신을 연관시켰다.[7] 100년에 트라야누스는 그녀에게 아우구스타 칭호를 주었지만, 플로티나는 105년까지 이 칭호를 받지 않았다. 그녀는 112년까지 주화에도 등장하지 않았다.[1]

미래의 황제 하드리아누스와 그의 여동생이 10세 또는 11세 때 부모를 잃자, 트라야누스와 로마 장교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가 이들의 후견인이 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의 사촌이었다(트라야누스의 아버지와 하드리아누스 아버지의 할머니는 남매였다). 플로티나는 하드리아누스와 그의 미래 아내 비비아 사비나를 맺어주었다.[8]

3. 황후 시절

플로티나는 네로 황제 재위 시기(54–68년)로 추정되는 시기에 히스파니아 속주의 테하다 라 비에하(에스카세나 델 캄포)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녀는 루키우스 폼페이우스와 플로티아의 딸이었으며, 이들은 방대한 정치적 및 가문 간의 연결 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라야누스는 황제가 되기 전에 플로티나와 결혼했고, 이들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지만 자녀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플로티나는 황후가 된 후에도 겸손하고 정숙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로마 제국의 전통적인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로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그녀는 또한 남편 트라야누스의 사후 황제 자리에 오른 하드리아누스와도 깊은 관계를 맺으며, 그의 황제 즉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플로티나는 121년에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속주들을 시찰하고 있는 동안, 아테네의 에피쿠로스학파의 수장 자리를 두고 벌어진 논쟁에 관여하였다. 그녀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수장 역할을 하던 포필리우스 테오티무스가 실제 수장이 되도록 법 개정을 요청했고, 하드리아누스는 그녀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관련 문서들은 연속된 비문들에 보존되었다. Freisenbruch는 아테네의 이 비문이 플로티나를 황제에 대한 접근권을 갖고 자신의 동기를 위해 활동적이었던 고도로 교육받은 여성으로 묘사한다고 언급했다.[18]

플로티나가 병으로 사망하자, 그녀는 신격화되었다. 하드리아누스프로방스에 그녀를 기리는 신전을 지었다.

3. 1. 검소하고 정숙한 황후

트라야누스가 황제가 된 후, 플로티나는 황궁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향해 "나는 떠날 때 되고 싶은 여인의 모습으로 이곳에 들어선다."라고 말했다.[14] 플로티나는 도미티아누스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의 가정 불화를 없애고자 했다. 그녀는 전통적인 로마 여인처럼 행동했고, 베스타와 미네르바 같은 정숙한 여신들과 자신을 연관시켰다.[15] 100년에 트라야누스는 플로티나에게 아우구스타 칭호를 주었지만, 그녀는 105년까지 받지 않았다. 플로티나는 112년까지 주화에 나타나지 않았다.[13]

3. 2. 하드리아누스와의 관계

하드리아누스와 그의 누이가 10살 혹은 11살에 부모를 잃었을 때, 트라야누스와 로마 장교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가 이들의 후견인이 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의 5촌이었는데, 플로티나는 하드리아누스와 그의 미래 아내인 비비아 사비나의 결혼을 주선했다.[16]

트라야누스가 임종 중에 하드리아누스를 양자로 삼고 제국의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유언장이 로마에 도착했을 때, 이 유언장에 플로티나의 서명이 있었기 때문에 의혹이 제기되었다. 아티아누스와 플로티나가 자신들의 피후견인이었던 하드리아누스를 매우 총애했고, 117년 8월 킬리키아셀리누스에서 트라야누스가 임종을 맞이할 때 그 자리에 함께 있었다는 점에서, 이들이 연인 관계였으며 트라야누스의 유언을 위조하여 하드리아누스의 황제 계승을 도왔다는 소문이 퍼졌다.[13]

아넬리제 프라이젠브루흐(Annelise Freisenbruch)는 이러한 의혹에 대해, 플로티나가 남편의 죽음에 대한 은폐나 음모에 가담했다는 의심을 받은 리비아, 아그리피나 미노르, 도미티아와 같은 로마 제정 시대 여성들의 사례에 합류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트라야누스가 너무 쇠약해져서 직접 편지를 쓸 수 없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플로티나의 서명이 정당하게 유언장에 포함되었을 수 있다는 여러 가지 그럴듯한 설명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의혹은 수 세기 동안 권력자의 배우자들에게 흔히 따라다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17]

아티아누스, 마티디아와 함께, 슬픔에 잠긴 미망인 플로티나는 셀레우키아로 향하는 트라야누스의 시신과 동행했고, 로마로 향하는 그의 유해와도 동행했다.

4. 트라야누스 사후

117년, 트라야누스킬리키아의 셀리누스에서 임종을 맞이했다. 그는 그곳에서 하드리아누스를 제국의 후계자로 입양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고 전해지는데, 이 편지에는 황후 플로티나가 서명하여 로마에 도착했을 때 의심을 받았다.[14][13] 아티아누스와 플로티나는 연인 관계였고, 그들은 후견인 하드리아누스와 매우 가까웠으며, 트라야누스의 죽음에 함께 있었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때문에 하드리아누스의 계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트라야누스의 유언장을 위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3]

아넬리제 프라이젠브루흐는 이러한 비난을 부정했다. 그녀는 "2세기의 침묵하는 배우자인 플로티나는 리비아, 소(小) 아그리피나, 도미티아와 함께 로마 황실 여성들이 남편의 죽음을 은폐하거나 공모했다는 혐의를 받는 갤러리에 합류했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플로티나의 서명이 이 선언문에 정당하게 찍혔을 수 있는 그럴듯한 설명이 많다고 지적하며, 트라야누스가 편지에 직접 서명하기에는 너무 쇠약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17]

애도하는 미망인 플로티나는 아티아누스와 마티디아와 함께 트라야누스의 시신을 셀레우키아로, 유해를 로마로 운구했다.[13]

4. 1. 에피쿠로스 학파 후원

121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속주들을 시찰하는 동안, 플로티나는 그와 아테네의 에피쿠로스학파 수장 자리를 누구로 할지를 두고 여러 문서들을 주고받으며 관여했다.[18] 그녀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수장 역할을 하던 포필리우스 테오티무스가 실제 수장이 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달라고 요청했다. 하드리아누스는 그녀의 주장을 받아들였으며, 관련된 문서들은 연속된 비문들에 보존되었다.[18] 프라이젠브루흐(Freisenbruch)는 “문헌 기록 속에 그녀의 수동적인 모습과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아테네의 이 비문은 플로티나를 한때 리비아가 누렸던 황제에 대한 일종의 접근권을 갖고, 자신의 본심에 가까운 동기를 위해 활동적이었던 고도로 교육받은 여성으로 재탄생시켰다”라고 언급했다.[18]

4. 2. 죽음과 신격화

플로티나는 질병으로 사망하여 신격화되었다.[18] 하드리아누스프로방스에 그녀를 기리는 바실리카를 건설했고, 그녀의 유해는 트라야누스 원주 기단에 트라야누스의 유해와 함께 안치되었다.

참조

[1]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 서적 The Roman Revolution OUP Oxford
[3] 서적 Continuité gentilice et continuité familiale dans les familles sénatoriales romaines à l'époque impériale: mythe et réalité Unit for Prosopographical Research, Linacre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4] 서적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Dio Cassius
[7] 서적 Caesars' Wives: Sex, Power, and Politics in the Roman Empire Free Press
[8] 서적 Historia Augusta Penguin
[9] 서적 Trajan: Rome's Last Conqueror GreenHill Books 2022
[10] 서적 Caesars’ Wives
[11] 서적 Caesars’ Wives
[12] 서적 Trajan: Optimum Princeps Routledge 1997
[13]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4] 서적 디오 카시우스
[15] 서적 Caesars’ Wives: Sex, Power, and Politics in the Roman Empire Free Press
[16] 서적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Penguin
[17] 서적 Caesars’ Wives
[18] 서적 Caesars’ W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