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풀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뱀은 짙은 녹색 또는 갈색 몸에 머리 뒤쪽에 노란색 깃이 있는 것이 특징인 뱀으로, 유럽, 중동, 북서 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수영을 잘하고 담수 근처에서 발견되며, 주로 양서류를 먹이로 한다. 위협을 느끼면 마늘 냄새가 나는 액체를 분비하거나 죽은 척하는 방어 행동을 보인다. 발트 신화에서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져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풀뱀속 - 주사위뱀
    주사위뱀은 물고기, 양서류 등을 먹고, 냄새 분비나 죽은 척으로 방어하며, 무리 지어 알을 낳고 동면하는 유라시아 중부 및 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뱀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파충류 - 아르메니아장지뱀
    아르메니아장지뱀은 북동부 튀르키예, 북부 및 북서부 아르메니아, 남부 조지아, 서부 아제르바이잔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 1758년 기재된 파충류 - 늑대거북
    늑대거북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큰 등껍질과 꼬리,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담수 거북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고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일본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 1758년 기재된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풀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뱀과
풀뱀속
풀뱀
일반 정보
학명Natrix natrix
명명자린네, 1758
이전 학명Coluber natrix 린네, 1758
한국어 이름유럽풀뱀
영어 이름European grass snake
분포
Natrix natrix 분포도
Natrix natrix 분포도
보존 상태
IUCNLR/lc
참고European Reptile & Amphibian Specialist Group. 1996. Natrix natrix.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996: e.T14368A4436775. https://doi.org/10.2305/IUCN.UK.1996.RLTS.T14368A4436775.en. Downloaded on 30 November 2017. :European Reptile & Amphibian Specialist Group. 1996. Natrix natrix ssp. cett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996: e.T14364A4436077. https://doi.org/10.2305/IUCN.UK.1996.RLTS.T14364A4436077.en. Downloaded on 30 November 2017. :European Reptile & Amphibian Specialist Group. 1996. Natrix natrix ssp. schweizer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996: e.T14369A4437055. https://doi.org/10.2305/IUCN.UK.1996.RLTS.T14369A4437055.en. Downloaded on 30 November 2017.
사진
유럽풀뱀
유럽풀뱀

2. 특징

풀뱀의 몸 색깔은 짙은 녹색 또는 갈색이 일반적이며, 머리 뒤에 노란색 깃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색깔은 회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할 수 있다. 밑면은 불규칙한 검은색 줄무늬로 희끄무레하다. 영국에서 풀뱀은 가장 큰 파충류이며 암컷의 몸길이는 80cm, 수컷의 몸길이는 보통 약 60cm이다. 몸무게는 약 240g이다.

머리 뒤쪽에 특징적인 노란색 또는 흰색 깃이 있어 고리뱀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추운 지역에서는 더 어두운 색상이 더 흔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어두운 색상의 열적 이점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배는 흰색 바탕에 불규칙한 검은색 덩어리가 있으며, 이는 개체를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 길이는 1m 이상으로 자랄 수 있으며[22], 최대 전체 길이는 200cm이다.[22]

체색은 개체에 따른 변이가 커서 갈색, 녹갈색, 흑녹색, 회색, 검은색 등의 개체가 있다. 체측면에는 검은 가로 줄무늬가 들어간다. 후두부에서 경부 측면에 검게 테두리 쳐진 노란색 (흰색이나 주황색 개체도 있다) 반점이 들어간다.[22]

3. 분포

풀뱀은 스칸디나비아 중부에서 이탈리아 남부에 이르기까지 유럽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중동아프리카 북서부에서도 발견된다.[4]

영국 풀뱀은 한때 아종 ''N. n. helvetica''로 여겨졌으나, 줄무늬 풀뱀(''Natrix helvetica'')으로 재분류되었다. 현재 영국에서 발견되는 ''N. natrix''는 수입된 개체로 간주된다.[4]

4. 생태

풀뱀은 수영을 잘하며 담수 근처에서 발견될 수 있다. 개별 뱀이 전체 계절 동안 물이 필요하지 않다는 증거도 있다.[5] 선호하는 서식지는 밭둑과 숲 경계와 같은 개방된 숲과 "가장자리" 서식지로, 충분한 은신처를 제공하는 동시에 체온 조절을 위한 일광욕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연못 가장자리도 선호하며, 이러한 지역에서 이 은밀한 종을 관찰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연못 및 물과의 연관성이 인식될 수 있다.

특유의 노란색 깃을 보여주는 표본


어린 풀뱀


풀뱀은 대부분의 파충류와 마찬가지로 열 환경에 따라 좌우되며 얼지 않는 지역에서 겨울을 나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온도가 비교적 안정적인 지하에서 겨울을 보낸다.[5] 여름에 번식을 마친 뱀은 사냥을 시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시기에는 하루에 수백 미터까지 이동하며 넓은 지역을 돌아다닐 수 있다.[5] 먹잇감은 뱀의 크기에 비해 큰 편이어서 뱀의 이동 능력을 저해한다. 최근에 먹이를 먹은 뱀은 거의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 머물면서 먹이를 소화할 때까지 체온을 최적화하기 위해 햇볕을 쬔다. 개별 뱀은 한 계절 동안 단 두세 개의 중요한 먹이만 필요로 할 수 있다.

, 호수, 연못, 등 물가나 습지 등의 습한 환경에 서식한다. 주행성이며 수영을 잘하며[21], 머리를 수면 위로 내놓고 헤엄친다. 이름에 "야마카가시"가 있지만, 일본의 야마카가시와 달리 독은 없다.

4. 1. 먹이

풀뱀은 주로 양서류를 잡아먹으며, 특히 두꺼비참개구리를 즐겨 먹지만, 때때로 개미와 유충도 먹는다. 사육된 뱀은 손으로 제공되는 지렁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지만, 죽은 먹이는 절대 먹지 않는다. 뱀은 시력과 후각(야콥슨 기관)을 사용하여 물가에서 먹이를 찾아 적극적으로 돌아다닌다. 수축을 사용하지 않고 산 채로 먹이를 먹는다.[5]

주로 개구리 외에도 다른 양서류, 조류, 소형 포유류 등도 먹는다.[22]

4. 2. 번식

봄이 다가오면 수컷 풀뱀은 먼저 나타나 체온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 하루의 대부분을 햇볕을 쬔다. 이는 수컷이 4월이나 그보다 일찍, 환경 온도가 유리하면 나타나자마자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때문에 정자 생산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술일 수 있다. 가죽 같은 질감의 알은 6월에서 7월 사이에 8개에서 40개씩 낳으며, 약 10주 후에 부화한다.[5] 알이 생존하고 부화하기 위해서는 최소 21°C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8°C의 온도와 높은 습도가 필요하다. 퇴비 더미와 같은 썩어가는 식물 지역이 선호되는 장소이다. 어린 뱀은 부화할 때 약 18cm 길이이며 즉시 독립한다.[5] 번식에 적합한 장소에 여러 암컷이 알을 낳는 경우도 있다.[21]

4. 3. 방어 행동

항문선에서 마늘 냄새가 나는 액체를 분비할 수 있으며, 완전히 무력화되어 죽은 척(강직성 부동)을 할 수 있다.[6] 이때 입과 코에서 피(자가출혈)를 분비할 수도 있다.[7] 또한, 입을 벌리지 않고 쉭쉭 소리를 내며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방어 수단으로 물리는 경우는 드물며, 독니도 없다. 잡히면 위 내용물을 토해내는 경우도 많다.

줄뱀은 몸 앞부분을 들어올리고 머리와 목을 납작하게 만들어 코브라의 후드와 유사한 희귀한 방어 행동을 보인다. 줄뱀과 코브라의 지리적 범위는 거의 겹치지 않지만, 화석 기록에 따르면 멸종된 유럽 코브라 ''Naja romani''는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의 마이오세 지층에서 발견되며, 멸종된 ''Natrix longivertebrata''를 포함한 ''Natrix'' 종과 겹쳐 줄뱀의 코브라 행동 모방이 화석 행동임을 시사한다. 이는 겨울을 맞아 아프리카로 이동하여 코브라를 만나는 포식성 조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8]

위험을 느끼면 가사행동을 한다.[21][22]

5. 분류

다음과 같은 많은 아종이 확인되었다.

아종명명자 및 연도분포 지역
Natrix natrix algirus(fide Sochurek, 1979)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Natrix natrix astreptophora(Seoane, 1885)
Natrix natrix calabraVanni & Lanza, 1983이탈리아 (칼라브리아)
Natrix natrix cypriaca(Hecht, 1930)키프로스
Natrix natrix fuscaCattaneo, 1990
Natrix natrix gotlandicaNilson & Andrén, 1981
Natrix natrix natrix(린네, 1758)
Natrix natrix persa(Pallas, 1814)
Natrix natrix schweizeriL. Müller, 1932그리스[19]
Natrix natrix scutata(Pallas, 1771)
Natrix natrix cettiGene, 1838이탈리아[19]
Natrix natrix corsa(Hecht, 1930)코르시카
Natrix natrix helvetica(Lacépède, 1789)
Natrix natrix lanzaiKramer, 1971
Natrix natrix sicula(Cuvier, 1829)
Natrix natrix syriaca(Hecht, 1930)



''Natrix natrix helvetica'' (라세페드, 1789)는 이전에는 아종으로 취급되었으나, 2017년 8월 유전자 분석 결과 별도의 종인 ''Natrix helvetica''으로 인식되었다. 다른 4개의 아종은 ''N. natrix''에서 ''N. helvetica''로 이전되어 ''N. helvetica cettii'', ''N. helvetica corsa'', ''N. helvetica lanzai'' 및 ''N. helvetica sicula''가 되었다.[4]

6. 인간과의 관계

풀뱀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으나 유통량은 적다.[1]

6. 1. 신화 및 문화

발트 신화에서 풀뱀(리투아니아어: žaltyslt, 라트비아어: zalktis)은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다.[10][11] 풀뱀은 종종 애완동물로 길러졌으며, 부부의 침대 밑이나 난로 근처의 특별한 장소에서 살았다. 사람들이 손으로 주는 음식을 먹었다고 한다.[12]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와 라트비아의 기독교화 이후에도 풀뱀은 여전히 신화적 중요성을 유지했다. 뱀이 기독교에서 악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것과는 달리,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에는 19세기 후반까지 풀뱀을 죽이면 불행을 가져오거나, 다친 뱀이 가해자에게 복수할 것이라는 다양한 민간 신앙이 존재했다. 고대 발트족이 풀뱀을 가신으로 여기는 믿음은 모든 집 밑에 (주민들이 알든 모르든) 뱀이 살고 있으며, 만약 그 뱀이 떠나면 집이 불타 버릴 것이라는 믿음으로 변형되었다.[13] 흔한 라트비아 민간 속담으로는 "풀뱀을 죽이는 자는 자신의 행복을 죽인다"와 "사울레가 죽은 풀뱀을 보면 9일 동안 운다"가 있다.[14]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한 잘 알려진 문학 작품으로는 리투아니아 민담 뱀 여왕 에글레 (''Eglė žalčių karalienė'')와 라트비아 민화 "풀뱀의 신부" (''Zalkša līgava'')가 있다. 이 작품들은 발트 신화의 또 다른 흔한 주제를 담고 있는데, 풀뱀이 왕관을 쓰고(풀뱀의 노란 반점을 주목) 금관을 쓴 뱀의 왕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전통에서는 뱀의 왕이 매년 바뀌는데, 봄에 왕관을 떨어뜨리면 다른 뱀들이 그 왕관을 차지하기 위해 싸운다(아마도 풀뱀의 교미를 바탕으로 한 것일 수 있다).[15]

오늘날 풀뱀은 많은 라트비아인과 리투아니아인들에게 집의 축복의 의미를 지닌다. 한 가지 전통은 뱀이 사는 곳 근처에 우유 한 그릇을 놓는 것이지만, 풀뱀이 우유를 마신 증거는 없다.[16][17] 19세기 후반과 20세기 낭만주의 민족주의에 의해 풀뱀 모티프는 라트비아에서 교육과 지혜의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군대, 민속 무용 그룹, 교육 로고 및 휘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식품이 되었다. 또한 리엘바르데 벨트에서도 발견된다.[18] 풀뱀은 또한 리투아니아 신이교 운동 로무바의 주요 상징 중 하나이다.

베르길리우스는 기원전 29년 그의 저서 ''농경시'' (3권, 425-439행: [https://la.wikisource.org/wiki/Georgicon/Liber_III])에서 풀뱀을 칼라브리아의 늪지에 살며 개구리와 물고기를 잡아먹는 크고 무서운 뱀으로 묘사했다.

6. 2. 보존

이 종은 까마귀, 황새, 올빼미 및 기타 맹금류, 여우, 그리고 집고양이를 포함한 다양한 포식자에게 잡아먹힌다.

덴마크에서는 1981년부터 모든 5종의 파충류가 보호받고 있으며,[9] 풀뱀의 두 아종, 즉 ''N. n. cetti'' (사르데냐 풀뱀)과 ''N. n. schweizeri''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된다.[1] 풀뱀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지만 유통량은 적다.

7. 갤러리

교미

  • -|]]
  • -|]]
  • -|]]

참조

[1] 간행물 Natrix natrix 2021-11-11
[2] 웹사이트 Grass snake (Natrix natrix) http://www.arkive.or[...] 2017-04-18
[3] 웹사이트 Grass snake https://www.woodland[...] The Woodland Trust 2021-12-02
[4] 논문 Hybridization patterns in two contact zones of grass snakes reveal a new Central European snake species
[5] 학위논문 Ecology and vagility of the grass snake Natrix natrix helvetica https://ethos.bl.uk/[...] University of Southampton
[6] 학술지 Why Play Dead? 2006-10-28
[7] 학술지 Death feigning by grass snakes (Natrix natrix) in response to handling by human "predators" http://kar.kent.ac.u[...] 2011-07-11
[8] 학술지 Grass snakes (Natrix natrix, N. astreptophora) mimicking cobras display a 'fossil behavior' https://www.research[...] 2017-10-24
[9] 웹사이트 Snog http://mst.dk/natur-[...] Miljø- og Fødevareministeriet 2018-06-27
[10] 문서 "Egle — zalkša līgava. Pasaka par zalkti — baltu identitāti veidojošs stāsts" LU Akadēmiskais apgāds
[11] 학술지 On the Cult of the Snake in Ancient Baltic and Slavic Tradition (based on language material from the Latvian folksongs) 1998
[12] 학술지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13] 서적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006
[14] 웹사이트 Folklora Ailab http://valoda.ailab.[...]
[15] 웹사이트 Ticējumi čūskas http://valoda.ailab.[...]
[16] 웹사이트 Article "bringer of blessing" http://m.nra.lv/maja[...]
[17] 웹사이트 Latvijas Daba https://www.latvijas[...]
[18] 뉴스 Zalkša zīme https://ztzks.wordpr[...] 2018-04-24
[19] 간행물 Natrix natrix
[20] 웹사이트 Natrix natrix http://reptile-datab[...]
[21] 문서 ヨーロッパヤマカガシ 小学館
[22] 문서 ヨーロッパヤマカガシ ピーシー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