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나는 산스크리트어로 '호흡'을 포함한 다양한 의미를 지닌 개념으로, 생명 기운, 에너지, 정신 등을 포괄한다. 고대 힌두교 경전에서 언급되며, 인체를 구성하는 요소로 여겨지는 다섯 가지 프라나(프라나, 아파나, 비아나, 우다나, 사마나)로 분류된다. 프라나야마는 프라나를 다루는 호흡 조절 기술을 의미하며, 요가와 아유르베다에서 널리 활용된다. 유사한 개념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견되며, 프라나 요법은 우주 에너지를 활용하는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철학 - 우파니샤드
우파니샤드는 고대 인도 후기 베다 시대에 저술된 브라만교 경전으로, 힌두교도들에게 계시된 경전으로 여겨지며, 브라만과 아트만의 동일성을 비롯한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고, 힌두교 철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서구 철학에도 영향을 주어 널리 연구되고 있다. - 인도 철학 -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아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인도 철학 학파를, 나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학파를 지칭하며, 이 구분은 유신론이나 무신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 힌두교 용어 - 다르마
다르마는 인도 철학과 종교에서 우주적 질서, 법, 의무, 진리, 가르침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핵심 개념으로, 각 종교와 철학적 학파에 따라 해석과 중요성이 다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윤리적, 도덕적 가치관의 지침이 된다. - 힌두교 용어 -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아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인도 철학 학파를, 나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학파를 지칭하며, 이 구분은 유신론이나 무신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 생기론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 생기론 - 쿤달리니
쿤달리니는 힌두교에서 척추 기저부에 잠재된 우주 에너지로, 각성 시 척추를 따라 상승하며 각 차크라를 통과해 다양한 각성과 신비 체험을 유발하고, 시바파, 샤크티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티베트 불교의 조크림 수행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고, 준비 상태와 준비되지 않은 상태 모두에서 각성될 수 있으며, 각성 과정에서 쿤달리니 증후군으로 정의되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프라나 | |
---|---|
개요 |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로마자 표기 | prāṇa |
의미 | 생명력 또는 생명 원리 |
상세 | |
설명 |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보이지 않는 생명 에너지 또는 활력 |
다른 이름 | 기운, 활기, 기 |
관련 개념 | 차크라, 쿤달리니 |
역할 |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조절하고 의식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
중요성 | 요가, 아유르베다, 힌두 철학에서 핵심적인 개념 |
언급 | 베다 우파니샤드 푸라나 |
2. 어원 및 초기 문헌
V. S. 압테(Vaman Shivram Apte)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प्राण|프라나sa''에 대해 호흡을 포함하여 14가지 다른 의미를 제시했다.[4] 브하라차르야는 호흡 조절인 프라나야마를 다루는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생명 기운"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6] 토마스 맥에빌리는 ''prāṇa''를 "정신-에너지"로 번역한다.[7] 호흡은 가장 미묘한 물질 형태로 이해되지만, 혈액에도 존재하며, 정액과 질액에 가장 농축되어 있다고 믿어진다.[8]
학자들은 ''prana''와 ''apana''의 원래 의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오토 폰 뵈트링크(Otto von Böhtlingk) 등은 ''prana''가 들이쉬는 숨, ''apana''가 내쉬는 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고, 도이센 등은 반대로 ''prana''가 내쉬는 숨, ''apana''가 들이쉬는 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은 나중에 두 용어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한 공기를 지칭하게 되었으며, ''prana''는 상체, ''apana''는 하체와 관련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프라나는 우파니샤드와 베다를 포함한 많은 힌두교 경전에 묘사된 고대 개념이다. 프라나는 일반적으로 인체와 관련하여 구성 부분으로 나뉜다. 초기 자료에서 이러한 분류의 이름이나 숫자에 대해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하바라타'', 우파니샤드, 아유르베다 및 요가 자료에서 가장 흔한 목록은 다섯 가지 분류를 포함한다.[9]
초기에 프라나에 대한 언급은 프라나, 아파나, 비아나를 "세 가지 호흡"으로 강조했다. 이는 브라티야의 초기 요가 전통에서 볼 수 있다. ''바이카나사스마르타'' 같은 텍스트는 다섯 가지 프라나를 판차그니 호마 의식의 다섯 가지 희생 화재의 내면화로 사용했다.
3,000년 된 ''찬도기야 우파니샤드''는 프라나에 대한 가장 초기 언급 중 하나이며, ''카타 우파니샤드'', ''문다카 우파니샤드'', ''프라슈나 우파니샤드'' 등 다른 많은 우파니샤드에서도 이 개념을 사용한다. 이 개념은 하타 요가,[10] 탄트라, 아유르베다 문헌에서 매우 상세하게 설명된다.
''아타르바 베다''는 프라나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프라나가 물을 주자 식물들이 일제히 말하되, '진실로 그대가 우리의 생명을 연장시켰고, 우리를 모두 향기롭게 만들었다.' (11.4–6)
- '신성한 (아타르바) 식물, 마법의 (앙기라사) 식물, 신성한 식물, 그리고 인간에 의해 생산된 식물들은, 오 프라나여, 그대가 그들을 생동시킬 때 솟아난다 (11.4–16).
- '프라나가 비로 큰 땅에 물을 주면, 식물들이 솟아나고, 또한 모든 종류의 풀도 솟아난다.' (11.4–17)
- '오 프라나여, 나로부터 돌아서지 마소서, 그대는 나 자신이 아니어도 되나이다! 물의 배아 (불)와 같이, 오 프라나여, 나를 묶으소서, 내가 살 수 있도록.' (11.4)
우파니샤드, 특히 요가 우파니샤드는 특정한 이름과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호흡에 대해 논의한다. ''프라나''는 영어의 호흡과 유사하게 항상 주요 호흡으로 간주되는 반면, ''아파나''는 배설물을 운반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프라슈나 우파니샤드''는 처음으로 상체 기능을 지배하는 ''프라나''와 하체 기능을 제어하는 ''아파나''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 기능을 지배하는 뚜렷한 공기 또는 가스의 개념에 기초한다. ''아이타레야 우파니샤드'' 또한 이러한 호흡의 구분을 뒷받침하며, ''프라나''를 코 부위와, ''아파나''를 복부 부위와 연관시킨다.
2. 1. 어원
V. S. 압테(Vaman Shivram Apte)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प्राण|프라나sa''에 대해 호흡을 포함하여 14가지 다른 의미를 제공한다.[4] ''프라나''는 생명 호흡, 생명 기운, 생명 원리(일반적으로 복수형으로 5개의 생명 기운이 존재한다고 여겨지지만, 3개, 6개, 7개, 9개, 심지어 10개도 언급된다),[4][5] 에너지 또는 활력,[4] 정신 또는 영혼[4] 등으로 번역된다.이러한 의미 중에서 "생명 기운"의 개념은 브하라차르야가 호흡 조절인 프라나야마를 다루는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6] 토마스 맥에빌리는 ''prāṇa''를 "정신-에너지"로 번역한다.[7] 호흡은 가장 미묘한 물질 형태로 이해되지만, 혈액에도 존재하며, 정액과 질액에 가장 농축되어 있다고 믿어진다.[8]
학자들은 ''prana''와 ''apana''의 원래 의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오토 폰 뵈트링크(Otto von Böhtlingk) 등 일부 학자들은 ''prana''가 들이쉬는 숨, ''apana''가 내쉬는 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도이센 등 다른 학자들은 ''prana''가 내쉬는 숨, ''apana''가 들이쉬는 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은 나중에 두 용어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한 공기를 지칭하게 되었으며, ''prana''는 상체, ''apana''는 하체와 관련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2. 2. 초기 문헌
고대 개념인 프라나는 우파니샤드와 베다를 포함한 많은 힌두교 경전에 묘사되어 있다. 프라나는 일반적으로 구성 부분으로 나뉘며, 특히 인체와 관련이 있다. 초기 자료에서 이러한 분류의 이름이나 숫자에 대해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하바라타'', 우파니샤드, 아유르베다 및 요가 자료에서 가장 흔한 목록은 종종 세분화되는 다섯 가지 분류를 포함한다.[9] 이 목록에는 ''프라나''(내향적 에너지), ''아파나''(외향적 에너지), ''비아나''(에너지 순환), ''우다나''(머리와 목의 에너지), ''사마나''(소화 및 동화)가 포함된다.초기에 프라나에 대한 언급은 종종 "세 가지 호흡"으로서 프라나, 아파나 및 비아나를 강조했다. 이는 다른 사람들 중에서도 브라티야의 초기 요가 전통에서 볼 수 있다. ''바이카나사스마르타''와 같은 텍스트는 다섯 가지 프라나를 판차그니 호마 의식의 다섯 가지 희생 화재의 내면화로 사용했다.
가장 초기의 프라나에 대한 언급 중 하나는 3,000년 된 ''찬도기야 우파니샤드''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카타 우파니샤드'', ''문다카 우파니샤드'' 및 ''프라슈나 우파니샤드''를 포함한 많은 다른 우파니샤드에서도 이 개념을 사용한다. 이 개념은 하타 요가,[10] 탄트라, 그리고 아유르베다 문헌에서 매우 상세하게 설명된다.
''아타르바 베다''는 프라나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프라나가 물을 주자 식물들이 일제히 말하되, '진실로 그대가 우리의 생명을 연장시켰고, 우리를 모두 향기롭게 만들었다.' (11.4–6)
- '신성한 (아타르바) 식물, 마법의 (앙기라사) 식물, 신성한 식물, 그리고 인간에 의해 생산된 식물들은, 오 프라나여, 그대가 그들을 생동시킬 때 솟아난다 (11.4–16).
- '프라나가 비로 큰 땅에 물을 주면, 식물들이 솟아나고, 또한 모든 종류의 풀도 솟아난다.' (11.4–17)
- '오 프라나여, 나로부터 돌아서지 마소서, 그대는 나 자신이 아니어도 되나이다! 물의 배아 (불)와 같이, 오 프라나여, 나를 묶으소서, 내가 살 수 있도록.' (11.4)
우파니샤드, 특히 요가 우파니샤드는 특정한 이름과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호흡에 대해 논의한다. ''프라나''는 영어의 호흡과 유사하게 항상 주요 호흡으로 간주되는 반면, ''아파나''는 배설물을 운반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프라슈나 우파니샤드''는 처음으로 상체 기능을 지배하는 ''프라나''와 하체 기능을 제어하는 ''아파나''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 기능을 지배하는 뚜렷한 공기 또는 가스의 개념에 기초한다. ''아이타레야 우파니샤드'' 또한 이러한 호흡의 구분을 뒷받침하며, ''프라나''를 코 부위와, ''아파나''를 복부 부위와 연관시킨다.
3. 바유 (Vāyus)
바유(Vāyu)는 산스크리트어로 "바람" 또는 "공기"를 의미하며, 힌두 철학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된다. 프라나는 다른 바유가 발생하는 기본 바유이자, 5대 주요 바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프라나는 5대 주요 바유를 포함한 모든 호흡의 일반적인 이름이다.[1] ''니스와사트바삼히타 나야수트라''는 나가, 다남자야, 쿠르마로 명명된 3개의 작은 바람을 설명한다.[1] ''스칸다푸라나''(181.46)와 ''시바푸라나 바야비야삼히타''(37.36)에서는 데바다타와 크르타카라는 두 개의 다른 작은 바람을 언급한다.[2]
3. 1. 5대 주요 바유

프라나는 바유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 '바유'(Vāyu)는 वायु|바ː유sa로 "바람" 또는 "공기"를 의미하며, 힌두 철학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된다. 프라나는 다른 바유가 발생하는 기본 바유이자, 5대 주요 바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프라나는 프라나, 아파나, 우다나, 사마나, 비아나의 5대 주요 바유를 포함한 모든 호흡의 일반적인 이름이다.[1] ''니스와사트바삼히타 나야수트라''는 5개의 작은 바람을 설명하며, 이 중 세 개를 나가, 다남자야, 쿠르마로 명명했다.[1] 나머지 두 개는 ''스칸다푸라나''(181.46)와 ''시바푸라나 바야비야삼히타''(37.36)에서 데바다타와 크르타카로 명명되었다.[2]
4. 나디 (Nadis)
인도 철학에서는 프라나가 나디 (채널)를 통해 흐르는 것으로 묘사하는데, 세부 사항은 다르다.[11]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2.I.19)는 인체에 72,000개의 나디가 있으며 심장에서 뻗어 나온다고 언급하는 반면, ''카타 우파니샤드''(6.16)는 101개의 채널이 심장에서 방사된다고 말한다.[11] ''비나쉬키타탄트라''(140–146)는 가장 일반적인 모델을 설명하는데, 세 개의 가장 중요한 나디는 왼쪽의 이다, 오른쪽의 핑갈라, 그리고 중앙의 수슘나이다. 수슘나는 기저 차크라와 관 차크라를 연결하여 프라나가 미세 신체 전체에 흐를 수 있도록 한다.[11]
마음이 세상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격렬해지면 육체도 그 뒤를 따른다. 이러한 동요는 나디에서 프라나의 흐름에 격렬한 변동을 일으킨다.[11]
5. 프라나야마 (Pranayama)
프라나야마는 프라나를 축적하고 확장하며 다루는 다양한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프라나야마는 요가의 8지 중 하나이며, 특정한, 종종 복잡한 호흡 조절 기술을 연습하는 것이다. 프라나의 역학과 법칙은 프라나야마의 체계적인 수행을 통해 프라나를 완벽하게 통달함으로써 이해되었다.[12]
많은 프라나야마 기술은 나디를 정화하여 프라나의 더 큰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기술들은 사마디를 위해 호흡을 멈추거나 수행자의 미세하거나 물리적인 신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인식을 가져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퉁모 수행에서 내적인 열을 생성하는 데 활용된다.[13][14]
아유르베다와 치료 요가에서 프라나야마는 기분에 영향을 미치고 소화를 돕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과제에 활용된다. A. G. 모한은 프라나야마의 신체적 목표는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거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며, 정신적 목표는 "정신적 혼란을 제거하고 명상을 위해 마음을 집중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15]
테오스 버나드에 따르면, 프라나야마의 궁극적인 목표는 호흡의 중단, "마음이 졸도하게 만드는 것"이다.[16] 스와미 요가난다는 "요가 철학의 창시자인 파탄잘리에 따르면, 프라나야마의 진정한 의미는 호흡의 점진적인 중단, 흡입과 호기의 중단이다."라고 썼다.[17] 요가에서는 조기법인 "프라나야마"가 필수적인 행법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6. 유사 개념
라틴어 anima|아니마la("호흡", "생명력", "생동 원리"), 이슬람교 및 수피교의 루흐, 그리스어 프뉴마, 중국의 기, 폴리네시아의 마나, 아메리카 원주민의 오렌다, 독일의 오드, 히브리어 루아흐 등은 프라나와 유사한 개념이다.[18] 프라나는 미묘한 에너지[19] 또는 생명력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0] 티베트 불교 요가에서는 이 개념을 "룽"(rlung|룽bo, 바람)이라고 부른다.
7. 프라나 요법
프라나 요법은 미국에서 인도인을 흉내 내어 만든 자칭 동양 사상에서 생명력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이 요법에서는 우주론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호흡법이나 수기 요법을 실시한다[23]。
7. 1. 요기 라마차라카 (윌리엄 워커 앳킨슨)
요기 라마차라카는 인도식 프라나 요법을 주창했다. 요기 라마차라카는 인도 요가 수행자로 알려졌지만, 그의 정체는 미국의 뉴 소트 교사, 심령 연구가, 프리메이슨, 신지학 협회 회원, 펜실베이니아 주의 변호사이자 최면학 교수였던 William Walker Atkinson|윌리엄 워커 앳킨슨영어이었다[21]。라마차라카는 『최신 정신 요법』에서 다음과 같이 프라나(p-rana)에 대해 설명했다. "진실을 말하자면, 전력이라고 하는 것과 정신력이라고 하는 것은 동일한 것의 형태를 달리하여 나타나는 것이며, 결코 전혀 그 성질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다. ... 인도 철학상에서 말하자면, 일체의 정력과 세력은 프라나 즉 생력 혹은 영기의 현현이며, 프라나는 우주의 마음 혹은 정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믿는다."
프라나 요법에서는 이러한 우주론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호흡법이나 수기 요법을 실시한다[23]。
앳킨슨의 호흡법은 미국의 뉴 소트 계통의 심신 기법이며[23], 서양 에소테리시즘(비밀주의)의 생명 에너지 개념을 인도 사상에 접목한 것으로, 인도 사상의 용어를 차용하고 있지만, 인도 사상과는 별개의 것이다[22]。 앳킨슨은 신지학 등의 서구 비법의 오컬트 심신론을 정리, 합리화하고, 여기에 동양적인 용어를 덧붙여 몇 권의 저서를 발표했다[23]。 이해하기 쉽고 실용적이어서 당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라마차라카 명의의 저서는 구미에서 현재도 읽히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나카무라 덴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3]。
7. 2. 일본의 프라나 요법
메이지 시대에 해외 사상, 학문, 기술이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일본의 수험도, 주술 문화 등과 융합된 영술, 정신 요법 등의 민간 요법이 융성했다. 영술이나 정신 요법 중에는 요기 라마차라카의 프라나 요법이 있었다. 프라나 요법은 다이쇼 시대에 일본에 도입되었으며[23], 라마차라카 명의의 저서는 일본에서 다이쇼 시대에 3권 출간되었다[23].영술가 중에는 프라나 요법을 칭하는 자가 있었고, 윌리엄 워커 앳킨슨의 방법을 실천하는 치료가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3]. 이론은 일본의 영술과 완전히 같으며[23], 영술의 하나인 우스이식 레이키 요법을 기원으로 하는 레이키도 마찬가지이다. 종교 연구가인 요시나가 신이치는 일본에서는 앳킨슨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명의의 저서도 출판되었으며, 호흡법에 대한 시미즈 마사미츠의 『건강 증진 호흡 철학』(인문서원, 쇼와 6년)이나, 메스메리즘 계열 오컬트 서적인 안도 카손의 『의지 요법 활력 증진의 비결』(일본 평론사, 다이쇼 11년) 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후자에서는 고대 아틀란티스인이 사용했다는 브릴[24](생명력, 활력)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 성질은 라마차라카에 의한 프라나의 설명과 매우 가깝다[23]. 『의지 요법 활력 증진의 비결』의 호흡법 설명에서는 완전한 호흡으로 공중의 브릴을 충분히 흡수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Prana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5-04-22
[2]
서적
Sacred journey: living purposefully and dying gracefully
Himalayan Institute Hospital Trust
2002
[3]
웹사이트
Prana: the Universal Life Force
http://www.yogamag.n[...]
Bihar School of Yoga
1981-09
[4]
서적
The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5]
문서
[6]
문서
[7]
문서
The Spinal Serpent
[8]
문서
Indian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Hindu and Buddhist thought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The Science of Pranayama
https://books.google[...]
BN Publishing
2008
[10]
서적
The Shiva Samhita: A Critical Edition and an English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YogaVidya.com
2007
[11]
간행물
The concept of Jnana, Vijnana and Prajnana according to Vedanta philosophy
2015
[12]
서적
Pranayama, The art and science
Swami Vivekananda Yoga Prakashana
[13]
서적
The All-Pervading Melodious Drumbeat: The Life of Ra Lotsawa
https://books.google[...]
Penguin
[14]
서적
Mahayana tantra: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5]
서적
Yoga Therapy: A Guide to the Therapeutic Use of Yoga and Ayurveda for Health and Fitness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04
[16]
서적
Hatha Yoga: The Report of A Personal Experience
Harmony
[17]
서적
The Essence of Kriya Yoga
https://books.google[...]
Alight Publications
2005
[18]
서적
The Yoga Tradition: Its History, Literature, Philosoph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Hohm Press
2013
[19]
간행물
Biophotons as subtle energy carriers
[20]
간행물
Validity of the Biofield Assessment Form (BAF)
2016-08
[21]
웹사이트
バラ十字会の歴史 その15 ハーヴェイ・スペンサー・ルイス(後半)クリスチャン・レビッセ キバリオン
http://www.amorc.or.[...]
[22]
간행물
近代日本における神智学思想の歴史(<特集>スピリチュアリティ)
https://cir.nii.ac.j[...]
日本宗教学会
2010-09-30
[23]
보고서
民間精神療法書誌(明治・大正編)」、「心理主義時代における宗教と心理療法の内在的関係に関する宗教哲学的考察
http://www.maizuru-c[...]
平成13~平成15年度科学研究費補助金(基盤研究(B)(1))研究成果報告書
平成16年3月
[24]
문서
[25]
문서
쿤달리니 요가 여래 이태영 지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