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의 엘리자베트는 프랑스의 루이 왕세자와 마리 조제프 드 작스의 막내딸로, 루이 16세의 여동생이다. 프랑스 혁명 시기 국외 탈출을 거부하고 튈르리 궁전에 감금되었으며, 1794년 혁명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다. 그녀는 자선적인 성품과 독실한 가톨릭 신앙으로 칭송받았으며,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반혁명가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프랑스의 반혁명가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1764년 출생 - 서유구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문장가인 서유구는 『임원경제지』 저술과 고구마 재배 장려 등 농정 개혁에 힘썼으며, 숙부의 역모 사건 연루 후 집필한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농촌 사회의 생활 전반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1764년 출생 -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뛰어난 군사 전략과 공화주의적 신념을 바탕으로 나폴레옹 전쟁 중 포로가 되기도 했으며, 부르봉 왕정 복고 후에는 전쟁 및 해군 장관을 역임했고 화가와 음악가로도 활동했다.
  • 프랑스의 군주주의자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프랑스의 군주주의자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엘리자베트 드 프랑스 초상화
엘리자베트=루이즈 비제=르브룅 그림 (1782년경)
본명엘리자베트 필리프 마리 엘렌
칭호프랑스 공주, 하느님의 종
왕가부르봉 왕가
아버지루이, 프랑스 왕태자 (1729-1765)
어머니작센 공녀 마리아 요제파
출생일1764년 5월 3일
출생지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베르사유 궁전
사망일1794년 5월 10일
사망지프랑스 제1공화국 파리, 콩코르드 광장(당시 혁명 광장)
매장지프랑스 파리 에랑시 묘지(처음), 파리 지하 묘지(최종)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기타
관련 웹사이트생트 엘리자베트 드 옹그리 성당 웹사이트

2. 생애

엘리자베트는 1765년 1살 때 아버지를, 3살 때 어머니를 잃고 마담 드 마르상에게 양육되었다. 마담 드 마르상은 엘리자베트가 자애롭고 신앙심 깊은 성격을 갖도록 이끌었다.[5] 엘리자베트는 오빠 루이 16세에게 충성했으며, 모든 혼담을 거절하고 오빠 곁에 남았다.

엘리자베트는 오빠 아르투아 백작과 함께 왕족 중 가장 강경한 보수주의자였지만, 프랑스 혁명 당시 국외로 도피하지 않고 튈르리 궁전에서 국왕 일가와 함께 감금되었다. 1791년 6월 국왕 일가와 함께 도주를 시도했으나, 바렌느에서 발각되어 파리로 강제 귀환되었다. (바렌느 사건)

파리로 돌아온 후 엘리자베트와 국왕 일가는 떵플 탑에 감금되었다. 1793년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조카 루이 샤를 (루이 17세)이 가족과 격리된 후에도, 엘리자베트는 올케 마리 앙투아네트, 조카 마리 테레즈와 함께 탑에 남았다. 1793년 10월 16일 왕비가 처형되었으나, 엘리자베트에게 보낸 편지는 전달되지 않았고, 두 공주는 왕비의 죽음을 알지 못했다.[24]

1794년 5월 9일, 엘리자베트는 콩시에르주리 감옥으로 이송되어 혁명 재판소에 회부되었다. 그녀는 국왕의 탈주를 도운 죄, 왕족의 국외 망명 자금을 지원한 죄 등으로 기소되었고, 조카 루이 샤를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터무니없는 혐의도 받았다. 이는 고문받은 아이의 증언에 의한 거짓 고발이었으며, 재판을 방청했던 관중들은 엘리자베트를 동정했다. 그러나 결국 사형 선고가 내려졌다.

엘리자베트는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단두대로 향했고, 그들 모두에게 인사를 하고 축복했다. 엘리자베트가 묶여 있을 때 어깨의 이 떨어지자, 그녀는 사형 집행인에게 "예의를 지키세요. 아저씨, 숄을 걸어주세요."라고 외쳤고, 그 순간 단두대의 칼날이 떨어졌다. 사형 후 엘리자베트는 에르랑시 묘지에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묻혔고, 혁명 후 카타콤브 드 파리로 유해가 옮겨졌다.

2. 1. 어린 시절

1764년 5월 3일 베르사유 궁전에서 프랑스의 루이 왕세자와 작센의 마리-조제프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부계 조부모는 루이 15세와 마리 레슈친스카였다. 1765년 아버지, 1767년 어머니가 사망하여 두 살 때 고아가 되었다. 이후 마담 드 마르상에게 양육되었다.[8] 마담 드 마르상은 엘리자베트가 종교적이고 자애로운 성격을 갖도록 이끌었다.[5]

엘리자베트는 마리 앙젤리크 드 마코 등의 가정교사에게 교육받았다.[5] 마리 앙젤리크 드 마코는 엘리자베트의 강한 의지를 종교적 원칙으로 이끌어 부드러운 성격을 갖게 했다고 한다.[5]

2. 2. 루이 16세 치하

1774년 5월 10일, 할아버지 루이 15세가 사망하면서 오빠 루이-오귀스트가 루이 16세로 왕위에 올랐다.[8]

1775년 8월, 여동생 클로틸드가 사르데냐 왕국의 왕세자와 결혼하기 위해 프랑스를 떠났다. 엘리자베트는 클로틸드와 떨어지려 하지 않으며 이별을 매우 슬퍼했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는 엘리자베트에 대해 "지성, 성격, 그리고 많은 우아함을 갖춘 매력적인 아이"라고 평하며, 언니와의 이별에 나이보다 훨씬 더 큰 슬픔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또한 엘리자베트가 프랑스에 남아 노처녀로 늙어가는 것을 걱정하며, 그녀의 행복을 위해 결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8]

1781년, 루이 16세는 엘리자베트에게 베르사유에서 멀지 않은 몽트뢰유를 선물했다. 왕비는 "내 여동생, 이제 네가 집에 온 것이다. 이곳이 너의 트리아농이 될 것이다."라며 축하했다.[5] 엘리자베트는 몽트뢰유에서 학업, 운동, 기도 등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 정원 가꾸기와 몽트뢰유 마을에서의 자선 활동에도 힘썼다. 스위스에서 암소와 관리인을 데려와 우유와 달걀을 생산하여 가난한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었다.[5]

엘리자베트는 정치에 관심이 많았고, 절대 왕정을 지지했다. 1787년 명사 회의에 참석하여 회의 결과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왕비가 수심에 잠겨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빠인 루이 16세의 행복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왕족들의 의견 차이(엘리자베트는 부르봉 가문, 왕비는 오스트리아 출신)에 대해 언급했다. 아르투아 백작 (후의 샤를 10세)은 대규모 개혁의 필요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삼부회 소집을 위한 적자 증가를 우려한다고 평했다.[5]

2. 3. 프랑스 혁명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엘리자베트는 아르투아 백작과는 달리 국외 망명을 거부했다.[10] 바스티유 감옥 습격 3일 후인 1789년 7월 17일, 국왕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를 떠난 아르투아와 달리, 엘리자베트는 프랑스 혁명의 심각성을 인지하고도 망명하지 않았다.

1789년 10월 5일, 베르사유 행진을 몽트뢰유에서 지켜본 후 즉시 베르사유 궁전으로 돌아왔다. 그녀는 국왕에게 협상보다는 "폭동에 대한 강력하고 신속한 진압"을 실행하고,[5] 왕가가 파리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로 이전하여 파벌의 영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5] 그러나 자크 네케르의 반대로 실행되지 않았다.

튈르리 궁전으로 거처가 옮겨진 뒤에도, 엘리자베트는 벨뷰 성의 고모들과 함께 지내는 대신 튈르리 궁전에서 국왕 일가와 함께 지내기를 선택했다.

1791년 6월, 바렌으로의 도주를 시도했으나, 바렌느에서 발각되어 파리로 강제 귀환하게 된다. (바렌느 사건). 이 과정에서 엘리자베트는 국왕 일가의 탈출을 정당화하고 혁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하기 위해 앙투안 바르나브와 몇 시간 동안 대화하기도 했다.

파리로 강제 귀환한 엘리자베트와 국왕 일가는 떵플 탑에 감금되었다. 1792년 8월 10일 튈르리 궁전 습격이 발생하자, 엘리자베트는 국왕, 왕비와 함께 입법 의회로 피신했다. 이후 가족과 함께 푀이앙을 거쳐 템플 타워로 이송되었다.

2. 4. 탕플 탑 유폐와 처형

1793년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1793년 7월 3일 조카 루이 샤를(루이 17세)이 가족과 격리된 후에도, 엘리자베트는 올케 마리 앙투아네트와 조카 마리 테레즈와 함께 탕플 탑에 남겨졌다. 마리 앙투아네트1793년 8월 2일 콩시에르주리로 이송되었고, 1793년 10월 16일에 처형되었다. 마리 앙투아네트가 엘리자베트에게 보낸 처형 당일 아침의 편지는 그녀에게 전달되지 않았고, 엘리자베트와 마리 테레즈는 마리 앙투아네트의 죽음을 알지 못했다.[24]

1794년 5월 9일, 엘리자베트는 콩시에르주리 감옥으로 이송되어 혁명 재판소에 회부되었다. 그녀는 국왕의 탈주를 도운 죄, 왕족의 국외 망명 자금을 지원한 죄로 기소되었다. 또한, 조카 루이 샤를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터무니없는 혐의로 고발되었는데, 이는 고문받은 아이의 증언에 의한 거짓 고발이었다. 재판을 방청했던 관중들은 엘리자베트를 동정했지만, 결국 사형 선고가 내려졌다.

엘리자베트는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단두대로 향했고, 그들 모두에게 인사를 받고 축복을 받았다. 엘리자베트가 묶여 있을 때 어깨의 이 떨어지자, 그녀는 사형 집행인에게 "예의를 지키세요. 아저씨, 숄을 걸어주세요."라고 외쳤고, 그 순간 단두대의 칼날이 떨어졌다.

사형 후, 엘리자베트는 에르랑시 묘지에 다른 사형수들과 함께 묻혔다. 혁명 후 그녀의 유해는 파리 지하 묘지로 이장되었다.

3. 성격 및 평가

엘리자베트는 1765년 1살 때 아버지, 3살 때 어머니를 잃고 고아가 되었지만, 마루산 후작 부인의 보살핌으로 자애로운 성격을 갖게 되었다. 신앙심이 깊었던 그녀는 오빠 루이 16세에게 충성하며 모든 혼담을 거절하고 친가에 남았다. 오빠 아르투아 백작과 함께 왕족 중 가장 강경한 보수주의자였지만, 프랑스 혁명 당시 국외로 도피하지 않고 튈르리 궁전에 갇혔다. 1791년 국왕 일가와 함께 도주했으나 바렌느에서 발각되어 떵플 탑에 감금되었다.

1793년 루이 16세마리 앙투아네트가 처형되고, 조카 루이 17세가 사망한 후에도 엘리자베트는 조카 마리 테레즈와 함께 탑에 남았다. 1794년 콩시에르주리 감옥으로 이송된 그녀는 국왕의 탈주를 돕고 왕족의 국외 망명을 도왔다는 죄목으로 재판을 받았다. 조카 루이 샤를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혐의도 받았으나, 이는 거짓 고발로 여겨진다. 결국 사형 선고를 받은 엘리자베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엘리자베트는 사형 후 에란 시 묘지에 묻혔다가 카타콤브 드 파리로 옮겨졌으며, 생드니 대성당에는 그녀의 메달이 걸려 있다.

엘리자베트는 독실한 가톨릭 신앙, 자선 활동, 가족에 대한 헌신으로 칭송받았다. 그녀는 프랑스 혁명에 강경하게 반대했으며, 왕당파들 사이에서 숭배의 대상이었다. 그녀의 모범적인 사생활은 많은 칭찬을 받았으며, 자선적인 성품과 헌신적인 가족애, 독실한 가톨릭 신앙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는 혁명을 악의 화신으로 보았고, 내전을 통해 혁명을 종식시켜야 한다고 믿었다.[22]

엘리자베트에 관한 여러 전기들이 프랑스어로 출판되었으며, 안토니아 프레이저의 마리 앙투아네트 전기와 데보라 캐드버리의 루이 17세에 대한 조사 전기에서 그녀의 삶이 상세히 다루어졌다.

3. 1. 시복 절차

엘리자베트의 시복 절차는 1924년에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1953년, 교황 비오 12세는 엘리자베트의 덕행이 영웅적임을 칙령으로 인정하고 그녀를 하느님의 종으로 선포하였다. 시복 절차는 1953년 12월 23일 추기경 모리스 펠탱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기되었다.[17]

2016년, 파리 대주교 추기경 앙드레 방트르와는 엘리자베트 공주의 시복 절차를 재개했다. 전 생트-엘리자베트 드 헝가리 교구 사제였던 자비에르 스노엑 신부가 보고자로 임명되었고[18] (엘리자베트 공주가 투옥되었던 옛 탕플 지역에 위치한 교회), 2017년 5월에는 그녀의 시복 절차를 지지하는 협회가 인정되었다.[19]

2017년 11월 15일, 방트르와 추기경은 프랑스 주교 회의와 로마 성인 시성성의 동의를 얻어, 이 절차가 루이 16세의 여동생인 엘리자베트 공주의 시성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20]

스노엑 신부는 2017년 7월 11일 교황 프란치스코가 반포한 교황 교서 ''Maiorem hac dilectionem''에 따라 엘리자베트의 시복을 위한 다른 경로를 제안했다. 엘리자베트의 기소 내용에는 종교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신앙에 대한 증오'(odio fidei)로 인해 살해된 것이 아니며, 따라서 순교자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순교자로 인정되지 않는다면, 엘리자베트 사후 그녀의 성인의 중재를 통한 기적이 필요하다고 스노엑 신부는 지적한다.[21]

4. 유산

엘리자베트는 1792년 6월 20일 시위에서 뛰어난 용기를 보여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왕비로 오인받았을 때 "아, 그랬으면 좋았을 텐데, 그들에게 알리지 말고, 더 큰 범죄에서 그들을 구원하십시오."라고 말하며 침착하게 대처했다.[5] 자신을 향해 총검이 겨눠졌을 때도 "조심하십시오, 선생님. 당신은 누군가를 다치게 할 수 있고, 저는 당신이 유감스러워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라며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5]

1792년 6월 20일 시위 중의 엘리자베트


이후 일부 시위대는 왕실 가족에 대한 공격이 실패한 이유가 엘리자베트의 용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한 여성 시위자는 "오늘 할 일은 아무것도 없었어요. 그들의 착한 생트 주느비에브가 거기에 있었어요."라고 말했다.[5]

엘리자베트는 1792년 8월 10일 튀일리 궁전 습격 당시에도 국왕, 왕비와 함께 입법 의회로 피신하여 침착하게 대처했다. 의회에서 오빠의 폐위를 지켜본 후, 가족과 함께 푀이앙을 거쳐 템플 타워로 이송되었다.

알렉산더 쿠차르스키가 그린 템플에 있는 마담 엘리자베트의 초상화

4. 1. 매장

엘리자베트는 사형 후 에랑시 묘지(fr)에 다른 단두대 희생자들과 함께 매장되었다.[16] 혁명 후 유해는 파리 지하 묘지로 옮겨졌다. 생드니 대성당에는 엘리자베트를 기리는 메달이 있다.

5. 가계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가계
프랑스의 엘리자베트
부친: 루이 페르디낭
모친: 마리 조제프 드 작스
조부: 루이 15세
오빠: 루이 16세
오빠: 루이 18세
오빠: 샤를 10세
언니: 클로틸드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의 왕비)



루이 페르디낭 왕세자와 마리 조제프 드 작스 왕세자비의 막내딸로, 베르사유 궁전에서 태어났다. 루이 16세, 루이 18세, 샤를 10세는 엘리자베트의 오빠들이고, 사르데냐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의 왕비 클로틸드는 언니이다.

엘리자베트는 1세에 아버지를, 3세에 어머니를 잃고 마르상 백작 부인에게 언니 클로틸드와 함께 길러졌다. 마르상 백작 부인의 영향으로 엘리자베트는 수녀처럼 많은 시간을 기도에 할애하는 등 신앙심이 깊고 자애로운 성격을 갖게 되었다. 엘리자베트는 3명의 오빠들과 친하게 지냈으며, 특히 오빠 루이 16세 부부와 매우 친했다. 19세 생일에는 루이 16세로부터 베르사유 인근의 작은 영지와 오랑주리 궁전을 받았다. 엘리자베트는 왕족의 혼담은 한 번 시집을 가면 다시 고국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모든 혼담을 거절하고 오빠들 곁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 영지를 받은 후에도 가족과 식사를 하기 위해 베르사유로 갔다.

엘리자베트는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와도 매우 친했다. 클로틸드가 사르데냐로 시집가 슬퍼하는 엘리자베트를 위로한 마리 앙투아네트는 자신의 별궁인 프티 트리아농의 한 방에서 함께 지낼 것을 권할 정도였다. 당시 엘리자베트의 초상화에는 수수하지만 왕비의 영향을 받은 의상을 착용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엘리자베트와 마리 앙투아네트는 승마와 음악이라는 공통의 취미를 즐겼다. 왕비의 아이들 또한 엘리자베트를 제2의 어머니로 여겼으며, 훗날 함께 유폐 생활을 하게 되는 조카 마리 테레즈 샤를로트는 엘리자베트를 매우 따랐고, 엘리자베트의 독실한 신앙심을 물려받았다.

참조

[1] 서적 Histoire généalogique et chronologique de la maison royale de Bourbon Rue de l'École de Médecine
[2] 간행물 Encyclopédie méthodique: Jurisprudence https://books.google[...] Paris
[3] 웹사이트 Bienvenue sur le site de la paroisse Sainte-Élisabeth-de-Hongrie http://www.sainteeli[...] 2017-05-10
[4] 서적 Louis XVI Librairie Arthème Fayard
[5] 서적 Madame Elizabeth de France, 1764–1794 https://archive.org/[...] E. Arnold
[6] 서적 Queenship in the Mediterranean: Negotiating the Role of the Queen in the Medieval and Early Modern Eras
[7] 서적 The Princesse de Lamballe; a biography https://archive.org/[...] Project Gutenberg
[8]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Madame Elisabeth de France, Sister of Louis XVI https://archive.org/[...] Versailles HistoricalSociety
[9] 서적 Marie Antoinette
[10] 서적 Charles X, La fin d'un monde Perrin
[11] 서적 Marie-Thérèse: The Fate of Marie Antoinette's Daughter
[12] 서적 Robespierre Blackwell Publishers
[13] 서적 La vie de Madame Élisabeth, sœur de Louis XVI Henri-Plon Éditeur-Imprimeur
[14] 간행물 Liste générale et très-exacte des noms, âges, qualités et demeures de tous les Conspirateurs qui ont été condamnés à mort par le Tribunal Révolutionnaire établi à Paris par la loi du 17 août 1792... 10 mars 1793 Marchand
[15] 문서 Beauchesne, p. 249.
[16] 문서 Promenades dans toutes les rues de Paris, VIIIe arrondissement Hachette
[17] 웹사이트 Serva di Dio Elisabetta di Borbone (Madame Elisabeth de France) su santiebeati.it http://www.santiebea[...] 2020-10-29
[18] 웹사이트 Bientôt béatifiée ? : Madame Élisabeth, belle âme libre https://www.famillec[...] 2018-04-27
[19] 웹사이트 Madame Élisabeth bientôt canonisée ? https://www.famillec[...] 2017-05-17
[20] 뉴스 French bishops approve opening of Cause for King Louis XVI's sister https://catholichera[...] 2019-04-18
[21] 웹사이트 Que faut-il encore pour qu'Elisabeth de France soit déclarée bienheureuse ? https://fr.aleteia.o[...] 2021-09-20
[22] 서적 Marie Antoinette: The Journey Anchor
[23]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24] 간행물 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の遺言書 : 妹に宛てた最後の手紙 https://osaka-shoin.[...] 大阪樟蔭女子大学学芸学部学術研究委員会 2023-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