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교는 자신의 신념이나 대의를 위해 고통이나 죽음을 감수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행위를 한 사람을 의미한다. 종교적으로는 신앙을 증언하다 죽임을 당한 경우를, 정치적으로는 정치적 신념을 지키다 희생된 경우를 가리킨다.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최초의 순교자로 여기며, 유대교, 이슬람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순교는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정치적 순교는 민주화 운동, 혁명, 저항 운동 등에서 나타나며, 현대 사회에서도 정의와 가치를 위해 희생하는 정신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융의 원형 - 궁정 광대
    궁정 광대는 역사적으로 왕이나 귀족을 즐겁게 하던 연예인이었으며, 정치적 풍자를 통해 권력자를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했지만 찰스 2세 이후 그 전통은 점차 사라졌고, 폴란드의 스탄치크나 독일의 틸 오일렌슈피겔과 같이 역사적 상징으로 남아있는 광대들도 존재한다.
  • 융의 원형 - 페르소나 (심리학)
    페르소나는 카를 융이 제시한 개념으로, 개인이 사회적 역할에 맞춰 발달시키는 가면 또는 사회적 인격을 의미하며, 융은 페르소나와 동일시되는 것을 경계하고 개성화 과정을 통해 페르소나를 재구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 종교 용어 - 섭리
    섭리는 삶과 역사가 신의 깊은 배려로 일어난다는 종교적 관점으로, 세상과 인간을 향한 신의 개입과 돌보심을 강조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핵심 교리로 여겨지지만, 인간의 자유 의지 및 예정론과의 관계는 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종교 용어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순교

2. 종교적 순교

종교적 순교는 자신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원래 '순교자'라는 단어는 '증인'을 의미하는 μάρτυς|마르티스el(martys)에서 유래했으며, 성경신약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영역에서도 사용되었다.[4] 증언하는 과정 자체가 증인의 죽음을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고대 작가(요세푸스 등)와 신약에서는 증인들이 자신의 증언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이 용어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증언하도록 부름받았고, 이 증언 때문에 고통이나 죽음을 견뎌낸 신자들을 가리키는 확장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순교자의 죽음 또는 그 죽음에 부여된 가치를 '순교'라고 부른다.

2. 1. 유대교

''일곱 히브리 형제의 순교'', 아타반테 데글리 아타반티, 바티칸 도서관.


유대교에서 순교는 '신의 이름의 성화'를 뜻하는 '키두쉬 하쉠'(Kiddush Hashem)의 중요한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유대교의 가르침과 관습을 공개적으로 지키려는 헌신을 통해 나타난다. 종교적 순교는 헬레니즘 유대교가 서양 문명에 남긴 중요한 기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한 최초의 사례들은 고대 유대교에서 발견된다. 유대교는 고대 다신교 사회에서 독특한 일신교였으며, 신자들에게 특별한 생활 방식을 요구했기 때문에, 점차 헬레니즘화되는 세계 속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마카베오기 상과 마카베오기 하에는 헬레니즘 시대에 유대인들이 겪었던 수많은 순교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당시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들은 유대인들에게 그리스 사상과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며 헬레니즘화 정책을 펼쳤다. 많은 유대인들은 안식일 준수, 할례 시행, 코셔 규정(특히 돼지고기나 이방 신에게 바쳐진 고기를 먹지 않는 것) 등을 지키려다 처형당하며 신앙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었다.

특히 기원전 2세기,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안티오코스 4세는 유대교를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폐지하려 했다. 그는 유대인들에게 유대교 신앙을 버리도록 강요했다. 마카베오기 하에는 이러한 박해 속에서 배교를 거부하고 순교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율법학자 엘르아자르와 일곱 아들을 둔 한 어머니가 고문을 견디며 신앙을 지키다 순교한 이야기는 후대에 신앙의 모범으로 칭송받았다.

다만,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 순교를 이해하는 방식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25]

2. 2. 기독교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20세기 순교자 갤러리. 왼쪽부터 러시아의 엘리자베스 수녀, 마틴 루터 킹,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


마다가스카르에서 라나발로나 1세의 명령으로 화형당한 기독교 순교자 삽화.


얀 루이켄의 그림. 1597년 벨기에 빌보르데에서 살아있는 채로 묻힌 재세례파 신도 안나 위텐호벤. 가톨릭 사제가 신앙 포기를 종용하지만 거부하자 처형인이 흙으로 덮으려 하고 있다. 이 판화는 위텐호벤을 순교자로 기리는 개신교도의 분노를 보여준다.


예수와 12사도의 순교를 묘사한 그림.


미국 북아메리카 순교자 국립 성지의 콜로세움 내부. 제단과 높은 제단을 보여준다.


원래 순교자(μαρτυρία|마르티리아el)는 '증인'을 뜻하는 말로, 신약뿐 아니라 세속적인 영역에서도 사용되었다.[4] 증언 자체가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고대 문헌(요세푸스 등)과 신약에서는 증언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경우가 종종 언급된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이 용어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증언하다가 고통이나 죽음을 겪는 신자를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기독교에서 순교자는 그리스어 '마르티스'(martys)의 의미처럼 글이나 말로 증언하는 사람이며, 특히 기독교 복음이나 하나님의 말씀을 증언하는 이를 뜻한다. 이러한 증언의 결과로 죽음을 맞이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성경적 의미의 증인이다.[26]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십자가형을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순교로 여겼다.[5][6][7] 그들은 예수를 순교자의 원형으로 보았던 것으로 보인다.[8] 복음서의 수난 이야기 분석을 통해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순교 기록의 장르와 양식을 따른다고 결론지었다.[27][28][29] 또한 사도 바울 역시 예수의 죽음을 순교로 이해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0][31][32][33][34][35] 이러한 관점에서 3세기까지의 초기 기독교인들이 예수의 십자가형을 순교로 해석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8][36]

교회사적으로는 로마 제국초기 기독교 박해 시기부터 순교자는 종교적 믿음을 지키다 죽임을 당한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는 임박한 죽음을 알면서도 신앙을 지킨 경우를 말한다(단, 의도적으로 죽음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기독교는 아벨, 마카베오 등 구약의 유대인 인물도 성인으로 인정하며, 신약에서는 예수의 길을 예비한 세례자 요한의 투옥과 참수를 언급한다. 기독교 신앙이 오순절 이후 확립된 뒤, 최초의 기독교 순교자는 스테파노였다(그의 이름은 '면류관'을 뜻하며, 순교자들은 '면류관을 썼다'고 표현된다). 사도 야고보 역시 초기 순교자로 꼽힌다. 전승에 따르면 열두 사도 중 요한을 제외한 모든 사도가 순교했다고 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

로마 제국은 전통 신 숭배와 황제 숭배를 강조했는데, 유일신을 믿는 기독교는 이러한 정책과 충돌했다. 네로 황제 이후 기독교는 여러 차례 금지되었고, 하드리아누스,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는 제국의 정신적 통합을 위해 전통 신앙을 강조하면서 기독교인들이 억압받고 추방당했다. 후기 로마 제국에서 황제 숭배가 강화되면서 박해는 더욱 심해졌다. 사도 요한의 제자로 알려진 폴리카르포스는 황제 숭배를 거부하여 화형 후 칼에 찔려 순교했다고 전해진다.[56][57] 특히 디오클레티아누스데키우스 황제 시대에는 대대적인 박해가 이루어졌다. 로마인들은 황제를 신으로 믿기보다는 복종의 표시를 형식적으로 요구했지만, 기독교인에게 황제 숭배는 신앙을 거부하는 중대한 문제였다. 황제 숭배를 거부한 기독교인들은 체포되어 사형에 처해졌고, 이들을 '순교자' 즉, 신앙의 증인으로 여겼다. 세례 전에 순교하는 것은 '피의 세례'라고 불렸다.

콘스탄티누스 1세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테오도시우스 1세가 국교로 선포하면서 로마 제국 내에서의 박해는 크게 줄었다(단, 니케아 신경을 따르지 않는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는 계속되었다). 박해가 줄어들자 일부 기독교인들은 사막 교부들이 실천했던 은둔 생활, 자기 부정, 고행, 세상과의 분리 등 '사막 영성'을 통해 신앙을 실천하려 했다. 이는 폭력적인 죽음을 통한 '적색 순교'와 대비되는, 일상 속에서 자기를 부정하는 '백색 순교'로 여겨졌다.[37]

기독교 교회는 순교자를 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성인으로 여기고 기도의 대상으로 삼았다. 순교자의 유해(성유물, 불후체)는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병을 고치는 등 기적을 일으키는 힘이 있다고 믿어져 고가에 거래되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유물 거래를 비판했지만, 성인 숭배 자체는 장려했다. 유럽에 기독교가 확산되면서 각 지역에서 성인과 성유물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이 과정에서 과거 순교 전설이 과장되기도 했다.

중세 이후에는 기독교 내부의 교파 갈등으로 인한 순교도 발생했다. 종교 개혁 시기에는 가톨릭개신교 양측에서 서로를 박해하며 순교자가 나왔다. 예를 들어, 1534년 잉글랜드 교회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분리된 후 양측 모두에서 순교자가 인정되었다. 1553년부터 1558년까지 잉글랜드의 가톨릭 여왕 메리 1세는 288명의 개신교도를 신앙을 이유로 화형에 처했으며, 이는 폭스의 순교자 열전에 기록되었다. 반대로 16세기와 17세기에는 잉글랜드 교회 당국에 의해 약 300명의 가톨릭 신자가 순교했다고 전해진다.[38] 헨리 8세가 이혼 문제로 가톨릭 교회에서 이탈하여 독자적인 교회를 세우려 할 때, 이에 반대했던 존 피셔와 토머스 모어는 처형되어 순교자로 여겨진다. 또한 왈도파는 1545년 메린돌 학살에서 수백에서 수천 명이 순교했다. 이 외에도 페트루스 마르티누스, 토머스 베켓, 네포무크의 요한, 모스크바의 필리프 등 교파 갈등이나 정치적 반대로 순교한 인물들이 있다.

선교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다른 문화권과의 충돌로 인한 순교도 늘어났다. 예수회를 비롯한 여러 교파가 전 세계에 선교사를 파견하면서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살해된 예수회 회원처럼 각지에서 순교가 발생했다. 대규모 순교는 주로 국가 권력이 기독교를 배제하기 위해 사형 정책을 시행하면서 발생했는데, 일본, 한국, 베트남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일본에서는 특정 교리나 행동이 아니라 기독교 신자라는 사실 자체가 죄로 간주되었다. 체포된 키리시탄은 배교하면 용서받았지만, 이를 거부하면 추방되거나 고문 끝에 잔혹하게 처형되었다.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많은 외국인 선교사와 일본인 신자가 순교했다. 도요토미 정권 하의 일본 26 성인[58]과 도쿠가와 정권 하의 성 토마스 니시와 15순교자[59]는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고, 베드로 기베와 187위 복자는 2008년 복자로 시복되었다.[60] 다카야마 우콘은 신앙 때문에 추방되어 2017년 복자로 시복되었다.[61] 이러한 박해 배경에는 일향일규와의 투쟁 경험으로 인한 종교 세력에 대한 경계심, 일부 외국인의 일본인 노예 매매, 그리고 기독교 선교사를 식민지화의 첨병으로 여긴 지배층의 위기감이 작용했다. 일본에서의 기독교 박해는 메이지 시대 초 서구 열강의 압력으로 법적으로 폐지되었다.

현대에도 기독교 신앙 때문에 순교하는 사례가 보고되지만, 그 정확한 숫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매년 10만 명의 기독교인이 신앙 때문에 살해된다는 주장은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상당수는 전쟁과 관련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와 순교가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는 부인하기 어렵다.[40][41][42][43]

다음 표는 전형적인 순교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을 요약한 것이다.

전형적인 순교의 일반적인 특징[9]
순서요소설명
1.영웅칭송받을 만한 대의에 헌신하는 명망 있는 인물.
2.반대그 대의에 반대하는 세력.
3.예측 가능한 위험영웅은 자신의 헌신 때문에 반대자들로부터 해를 입을 것을 예측함.
4.용기와 헌신영웅은 위험을 알면서도 대의를 위해 나아감.
5.죽음반대자들은 영웅의 헌신을 이유로 그를 죽임.
6.청중의 반응영웅의 죽음을 기리고 기념함. 사람들은 그를 순교자로 칭할 수 있으며, 다른 이들이 같은 대의를 따르도록 영감을 받음.



=== 주요 기독교 순교자 ===


  • 스테파노 (1세기 초, 예루살렘)
  • 베드로 (1세기, 전승에 따르면 로마)
  • 바울 (1세기, 전승에 따르면 로마)
  • 아녜스 (3세기경, 로마)
  • 발렌티노 (3세기, 로마, 실존 여부 논란)
  • 블라시오 (3세기, 아르메니아)
  • 크누트 4세 (11세기, 덴마크)
  • 토머스 모어 (1535년, 잉글랜드)
  • 일본 26 성인 (16세기, 일본)
  • 카를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19세기, 우간다)
  • 안드레아 둥락과 동료 순교자들 (19세기, 베트남)
  • 쓰와노 순교자 (19세기, 일본)
  • 안드로니크 니콜리스키 (20세기, 러시아, 신품 치명자)
  • 막시밀리아노 콜베 (20세기, 폴란드)
  • 에디트 슈타인 (20세기, 독일)
  • 디트리히 본회퍼 (20세기, 독일)
  • 오스카 로메로 (20세기, 엘살바도르)

2. 3. 이슬람교

카르발라 전투에서 후세인 이븐 알리가 순교하는 장면 묘사. 중앙의 말을 탄 인물이 쓰러져 있고 주변 인물들이 슬퍼하거나 전투하고 있다.
서기 680년 카르발라 전투에서 순교한 제3대 시아파 이맘 후세인 이븐 알리를 기리는 그림.


이슬람에서 순교자는 شهيد|샤히드ara(Shahid)라고 불린다. 이는 아랍어로 "증인"을 의미하는 용어이지만 순교자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여성 순교자는 شهيدة|샤히다ara(shahida)라고 한다. '샤히드'라는 용어는 꾸란에서 주로 "증인"이라는 의미로 자주 등장하며, "신념을 위해 죽는 자" 즉, 순교자라는 의미로는 한 번만 사용된다. 순교자로서의 의미는 하디스 문헌에서 더 널리 사용된다.[44]

이슬람에서는 전장 안팎에서 지하드(성전)를 수행하다가 목숨을 잃은 남성 또는 여성을 순교자로 본다(더 큰 지하드와 더 작은 지하드 참조).[44] 대표적인 예로 680년 카르발라 전투에서 우마이야 칼리파조에 맞서 싸우다 순교한 무함마드의 손자 후세인 이븐 알리와, 692년경 같은 우마이야 칼리파조에 저항하다 순교한 압둘라 이븐 알-주바이르가 있다.[48]

이슬람의 순교 개념은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과 이후 벌어진 1980년부터 1988년까지의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중요하게 부각되었으며, 순교자에 대한 숭배는 혁명과 전쟁 과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45]

꾸란에서는 지하드에서 죽은 자는 순교자이며 천국으로 가는 길이 약속된다고 여겨진다.[67] 2000년대 초반부터 이 순교 개념은 주로 이슬람 극단주의지하디즘과 연관되어 부정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46] 특히 2001년, 알카에다에 의한 9.11 테러를 계기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순교의 개념을 자신들의 폭력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하는 방식이 국제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내란과 분쟁을 겪는 지역을 중심으로, 순교가 무슬림의 의무이며 나이는 상관없다는 극단적인 주장이 퍼지면서, 성인뿐만 아니라 소년 소녀까지 자폭 공격을 감행하는 비극적인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68]

2. 4. 기타 종교

현대 중국에서는 중국동맹회와 중국 국민당이 순교를 널리 장려했다. 신해혁명중화민국 시대에 청나라에 맞서 싸우며 혁명을 위해 헌신한 혁명가들은 순교자로 인정받았다.

사나타 다르마(힌두교)는 기본적으로 ''아힘사''(비폭력)를 강조하며 순교라는 개념이 뚜렷하지 않지만[23], 다른 모든 방법이 실패했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 폭력을 사용하는 의로운 의무(''다르마'')에 대한 믿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마하바라타에서는 망명 생활을 마친 판다바 형제들이 사촌 두르요다나에게 왕국 반환을 거부당했고, 크리슈나, 비두라, 산자야의 평화 중재 노력도 실패했다. 이후 벌어진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아르주나가 친족과의 싸움을 망설이자, 크리슈나는 그에게 의로운 전사(크샤트리아)로서 싸워야 할 의무를 일깨워 주었다.

1716년 무굴에 의해 처형된 반다 싱 바하두르의 조각상, 메디아나 사히브.


순교(ਸ਼ਹਾਦਤ|샤하다트pan)는 시크교의 근본적인 개념이자 중요한 제도이다. 시크교도들은 "이바다트 세 샤하다트"(사랑에서 순교로)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24] 시크교의 주요 순교자들은 다음과 같다.

  • 구루 아르잔: 시크교의 다섯 번째 구루. 순교하기 전 약 5일 동안 잔혹한 고문을 받았다.
  • 구루 테그 바하두르: 시크교의 아홉 번째 구루. 1675년 11월 11일에 순교했다. 그는 '다람 디 차다르'(종교의 방패)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그가 힌두교도를 보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음을 시사한다.
  • 바이 다야라: 1675년 11월 델리의 찬드니 초크에서 이슬람교 개종을 거부하여 순교했다.
  • 바이 마티 다스: 힌두교 브라만을 구하기 위해 1675년 11월 델리의 찬드니 초크에서 순교한 시크교의 위대한 순교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 바이 사티 다스: 카슈미르 판디트를 구하기 위해 1675년 11월 델리의 찬드니 초크에서 구루 테그 바하두르와 함께 순교한 시크교의 위대한 순교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 사히브자다 아지트 싱, 사히브자다 주자르 싱, 사히브자다 조라와르 싱, 사히브자다 파테 싱: 열 번째 시크교 구루인 구루 고빈드 싱의 네 아들.
  • 바이 마니 싱: 20명 이상의 순교자를 배출한 가문 출신이다.


바하이 신앙에서는 순교자를 하느님의 이름으로 인류에게 봉사하다가 생명을 희생한 사람으로 정의한다.[47] 그러나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올라는 문자 그대로 목숨을 바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으며, 대신 순교란 인류에 대한 봉사에 헌신하는 삶이라고 설명했다.[47]

3. 정치적 순교

정치에서 순교자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나 대의를 지키거나, 혹은 이를 포기하기를 거부하다가 박해를 받거나 죽음을 맞이한 사람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여러 인물이 정치적 순교자로 여겨진다:


  • 1835년 – 힌트사 카카우타: 코사족 군주로, 제6차 프론티어 전쟁(힌트사 전쟁) 중 포로 상태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총에 맞아 사망했다.
  • 1853년 – 벨피오레 순교자(Martiri di Belfioreit):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기에 활동한 이탈리아 독립 투사들로, 오스트리아 제국에 의해 만토바 인근 벨피오레 계곡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티토 스페리와 사제 엔리코 타촐리 등이 포함된다.
  • 1859년 – 존 브라운: 미국의 급진적인 노예제 폐지론자로, 하퍼스 페리 습격 이후 처형되었다. 당시 많은 폐지론자들은 그를 순교자로 기렸다.
  • 1865년 – 에이브러햄 링컨: 제16대 미국 대통령. 남북 전쟁 종전 직후 남부 지지자 존 윌크스 부스에게 암살당했다.
  • 1867년 – 맨체스터 순교자: 영국 맨체스터에서 경찰관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된 3명의 아일랜드인. 이 사건은 아일랜드 독립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리드리히 엥겔스카를 마르크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페니안에게 아직 부족했던 유일한 것은 순교자였다"라고 언급하며 이들의 처형이 아일랜드 분리 운동에 미칠 영향을 시사했다.[49] 이후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에서 보비 샌즈를 포함한 10명의 임시 IRA 대원들이 사망한 사건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 1940년 – 레프 트로츠키: 소련마르크스주의 혁명가.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령을 받은 NKVD 요원 라몬 메르카데르에 의해 멕시코 시티에서 암살되었다. 트로츠키주의 인터내셔널은 그를 순교자로 간주한다.
  • 1967년 – 체 게바라: 쿠바 혁명을 비롯해 콩고, 볼리비아 등지에서 활동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가. 볼리비아에서 반혁명군에게 처형된 후, 전 세계적인 정치적 저항과 혁명의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 2024년 – 알렉세이 나발니: 러시아의 야권 지도자이자 변호사, 반부패 운동가. 정치범으로 FKU IK-3에서 19년 형을 복역하던 중 사망했다.

3. 1. 기타

미국에서는 1965년 말콤 X와 1968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암살되었다. 이들의 죽음은 각각 흑인 민족주의 운동과 시민권 운동을 이끌며 흑인 시민의 권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했던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

4. 중동 지역의 순교

현대 중동 문화에서 '순교자'를 뜻하는 아랍어 단어(شهيد|샤히드ara)는 영어 단어 'martyr'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10] 이 단어는 본래 종교적인 이유로 목숨을 잃은 사람을 가리키지만, 일반적으로는 폭력적인 상황에서 사망한 사람을 의미하는 데 더 널리 쓰인다. 따라서 넓게 보면 '희생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11]

예를 들어, 자신의 정체성 때문에,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12] 또는 구호 활동이나 의료 봉사 활동 중에 사망한 경우에도 순교자로 불릴 수 있다. 2010년 가자 해상 봉쇄 사건 당시 이스라엘군에 의해 살해된 이브라힘 빌겐은 인도주의 활동가로서 사망했기 때문에 알 자지라 방송 등에서 그를 순교자로 칭했다.[13]

순교는 민족주의와도 연관되는데, 국가적인 투쟁 과정에서 사망한 사람을 순교자로 여기기도 한다.[14] 예를 들어, 레바논 베이루트에 있는 순교자 광장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처형된 레바논 민족주의자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곳이다.

특히 팔레스타인에서는 '순교자'라는 단어가 전통적으로 종교와 관계없이 이스라엘군에 의해 살해된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5][16] 팔레스타인 기독교인 언론인이었던 시린 아부 아클레는 이스라엘군에 의해 살해된 후 아랍 언론에서 '순교자'로 불렸다.[17] 이는 모든 팔레스타인인의 죽음이 이스라엘의 점령에 대한 저항의 일부라는 공동체적 인식을 반영한다.[18] 마찬가지로 어린이 희생자들도 순교자로 불리는데,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사망한 언론인 와엘 알-다두의 어린 자녀들이 그 예이다.[19]

또한, 2020년 베이루트 폭발의 희생자들을 정부 부패에 대한 항의의 의미를 담아 '부패의 순교자'라고 부른 것처럼, 특정 서사 안에서 사망한 이들을 기리는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0]

'순교자'라는 용어의 폭넓은 사용은 아랍어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아르메니아 문화에서도 아르메니아인 학살의 희생자들을 ''성스러운 순교자''라고 부르며 기린다.[21] 매년 4월 24일은 아르메니아인 학살 추모일이며, "아르메니아 순교자의 날"이라고도 불린다.[22]

5. 혁명적 순교

혁명적 순교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혁명 투쟁 중에 사망한 사람들을 지칭한다.[51][52] 20세기 동안 이 개념은 특히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혁명의 문화와 선전에 걸쳐 발전했지만, 민족주의 혁명과 관련해서도 사용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공산당의 대의를 위해 사망한 사람들이 순교자로 존경받고 기념된다. 여기에는 1927년 상하이 대학살의 많은 희생자를 비롯하여, 중국 내전 동안 헌신적으로 활동한 캐나다 의사 틸슨 해리슨과 같은 인도주의자들도 포함된다. 1억 명이 넘는 소년 선봉대가 착용하는 붉은 스카프는 순교자들의 피를 기리는 상징이다. 장주윤과 류후란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념된 대표적인 여성 순교자이다. 상하이 중심부의 쑤저우 강과 황푸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인민 영웅 기념비(상하이)와 룽화 순교자 기념관 등은 이들을 기리는 대표적인 기념 시설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공산주의자 활동가들이 CPI(M) 및 CPI와 같은 다양한 공산당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순교자로 여겨진다. 이들은 주로 케랄라, 트리푸라와 같은 좌익 성향 주 출신이다. 케랄라에서는 경찰의 시위 진압 과정에서 사망하거나, INC 및 RSS와 같은 다른 정당 활동가들에 의해 암살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칸누르 구는 정치적 살인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보고되었으며, 이곳에서 RSS는 CPI(M)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폭력을 행사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사회주의 투쟁의 역사를 언급할 때 "혁명적 순교자"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며, 인도의 저명한 독립 운동가이자 공산주의 정치인이었던 구루 라다 키샨은 이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 문화에서 순교는 진행 중인 혁명 투쟁의 중요한 주제로 다뤄지며, 이는 《피바다》와 같은 문학 작품에서도 잘 나타난다. 또한 평양에는 혁명 열사 능이 조성되어 있다.

베트남에서는 인도차이나 전쟁과 같은 독립 투쟁 과정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종종 순교자, 즉 베트남어로 liệt sĩ|리엣 시vie로 존경한다. 응우옌 타이 학과 여학생 보 티 사우가 대표적인 예이다.[53]

알제리에서는 알제리 독립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이 공식적으로 순교자로 인정받는다.[54]

6. 순교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순교자(martyr)라는 단어는 원래 '증인'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성경신약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영역에서도 사용되었다.[4] 증언하는 행위 자체가 죽음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지만, 고대 역사가 요세푸스나 신약성경의 기록처럼 증인들이 자신의 증언 때문에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이 용어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증언하도록 부름받고, 그 증언 때문에 고통이나 죽음을 겪는 신자들을 가리키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 의미로 순교자라는 단어는 차용어로서 영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에 받아들여졌다. 순교자의 죽음 또는 그 죽음에 부여되는 가치를 '순교'라고 한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십자가형을 통해 겪은 고난과 죽음을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순교로 여겼다.[5][6][7] 그들은 예수를 순교자의 원형으로 보았다.[8]

'순교자'라는 단어는 영어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다음 표는 전형적인 순교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전형적인 순교의 일반적인 특징[9]
번호요소설명
1.영웅숭고하다고 여겨지는 대의에 헌신하는 명망 있는 인물.
2.반대그 대의에 반대하는 세력의 존재.
3.예측 가능한 위험영웅은 자신의 신념 때문에 반대 세력으로부터 해를 입을 위험을 예측함.
4.용기와 헌신영웅은 위험을 알면서도 자신의 신념과 대의를 위해 나아감.
5.죽음반대 세력은 영웅이 신념을 굽히지 않자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함.
6.청중의 반응영웅의 죽음은 기념되며, 사람들은 그를 순교자로 칭송할 수 있다. 그의 희생은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어 같은 대의를 따르도록 이끌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Martyrdom and the Struggle for Power.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on Martyrdom in the Modern Middle East. https://www.academia[...] Behemoth 12, no. 1 (2019): 2–13
[2] 웹사이트 The Imaginary Field of the Heroic: On the Contention between Heroes, Martyrs, Victims and Villains in Collective Memory. https://www.academia[...] 2020-01-03
[3] 학술지 annual convention https://books.google[...] The Diocese
[4] 서적 The New Testament Concept of Witness
[5] 서적 The Use of Sacrificial Ideas in Greek Christian Writers from the New Testament to John Chrysostom Wipf & Stock 2004
[6] 문서 Eusebius, Church History 5.1.2
[7] 문서 Scholars believe that Revelation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when the word for witness was gaining its meaning of martyr. Revelation describes several Christian reh with the term martyr (Rev 17:6, 12:11, 2:10–13), and describes Jesus in the same way ("Jesus Christ, the faithful witness/martyr" in Rev 1:5, and see also Rev 3:14).
[8] 서적 Moral Transformation: The Original Christian Paradigm of Salvation Bridgehead 2011
[9] 서적 Moral Transformation: The Original Christian Paradigm of Salvation Bridgehead 2011
[10] 학술지 Martyrdom in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2
[11] 뉴스 Martyrs, never victims https://www.theguard[...] 2000-10-12
[12] 학술지 Islamic Attitudes to Disasters in the Middle Ages: A Comparison of Earthquakes and Plagues https://journals.sag[...] 2006
[13] 뉴스 Remembering the Mavi Marmara victim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6-07-21
[14] 학술지 The Martyrs' Revolutions: The Role of Martyrs in the Arab Spring https://www.tandfonl[...] 2014
[15] 웹사이트 The Culture of Palestinian Shaheeds https://www.terroris[...] 2018-01-04
[16] 학술지 Martyrdom in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2
[17] 뉴스 Shireen Abu Akleh: A martyr to the truth of Israeli inhumanity https://www.arabnews[...] Arab News 2022-05-16
[18] 뉴스 For Palestinians, a Rush to Claim 'Martyrs' Killed by Israel https://www.nytimes.[...] 2022-12-31
[19] 뉴스 كتاب وأدباء عرب: صلابة وائل الدحدوح نموذج للجسارة الفلسطينية [Arab writers and writers: Wael Al-Dahdouh's toughness is a model of Palestinian courag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3-10-28
[20] 웹사이트 Martyrdom in Lebanon: An Evolution of Memory-Making https://www.xcept-re[...] 2023-05-10
[21] 웹사이트 Holy Martyrs of the Armenian Genocide https://armenianchur[...] 2023-10-28
[22] 웹사이트 President Biden formally recognizes the Armenian Genocide https://genocideeduc[...]
[23] 서적 The Power of the Dharma: An Introduction to Hinduism and Vedic Culture https://books.google[...] iUniverse
[24] 웹사이트 Biographies of Great Sikh Martyrs http://www.sikh-hist[...] Sikh-history.com 2000-02-11
[25] 간행물 « Martyre talmudique et martyre chrétien » Kentron : Revue du Monde Antique et de Psychologie Historique
[26] 웹사이트 Martyr, or Witness? http://www.newmatthe[...] New Matthew Bible Project 2011-05-11
[27] 서적 Jewish Martyrdom and Jesus' Death Mohr Siebeck 2005
[28] 학술지 The Martyr Motif i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924
[29] 서적 The 'Trial Scene' Chronotype in Mark and the Jewish Novel Peeters 2006
[30] 서적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Paul's Cultic Atonement Metaphors SBL 2004
[31] 서적 Death as Saving Event: The Background and Origin of a Concept Scholars Press for Harvard Theological Review 1975
[32] 서적 The Noble Death JSOT Press 1990
[33] 서적 A Rereading of Romans: Justice, Jews, and Gentiles Yale University Press 1997
[34] 서적 Maccabean Martyr Traditions in Paul's Theology of Atonement Wipf and Stock 2010
[35] 서적 Paul and the Crucified Christ in Antio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6] 서적 Beyond the Passion: Rethinking the Death and Life of Jesus Fortress 2004
[37] 간행물 Arena Saints 2006
[38] 웹사이트 Forty Martyrs of England and Wales Description, History, Canonization,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9-13
[39] 뉴스 Are there really 100,000 new Christian martyrs every year? https://www.bbc.co.u[...] BBC News 2014-08-22
[40] 뉴스 IS 'beheads Christian hostages' in Nigeria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2-17
[41] 웹사이트 Martyr killed by bulldozer becomes symbol of growing persecution of Christians in China https://www.foxnews.[...] 2020-02-17
[42] 웹사이트 Christian evangelist murdered in southeast Turkey https://www.jpost.co[...] 2020-02-17
[43] 웹사이트 Christianity's Modern-Day Martyrs: Victims of Radical Islam https://abcnews.go.c[...] 2020-02-17
[44] 간행물 The Concept Of Martyrdom In Islam http://www.al-islam.[...] Tehran University 1986
[45] 논문 "Martyrdom and Masculinity in Warring Iran. The Karbala Paradigm, the Heroic, and the Personal Dimensions of War." https://www.academia[...] Behemoth 2019
[46] 학술지 The Punishment of the Grave: A Neglected Motivation for Jihad and Martyrdom https://pt.icct.nl/s[...] International Centre for Counter-Terrorism 2024-05-03
[47] 서적 Dying for God: Martyrdom in the Shi'i and Babi Religions https://web.archive.[...] M.A. Thesis 2007-01-23
[48] 웹사이트 Biography of Hazrat Abdullah bin az-Zubayr (رضئ اللہ تعالی عنہ) https://aalequtub.co[...] 2023-09-05
[49] 서적 Marx and Engels in Ireland http://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Moscow 1971
[50] 웹사이트 The Tolpuddle Martyrs http://www.historic-[...] Historic-uk.com 2014-08-22
[51]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2004
[52] 서적 Revolutionary Mexico: The Coming and Process of the Mexican 1987
[53] 서적 Vietnam At War 2009
[54] 뉴스 Algeria says 5.6 million died under French colonialism https://www.newarab.[...] 2023-08-18
[55] 서적 ユスト高山右近 いま、降りていく人へ ドン・ボスコ社 2014-07-04
[56] 문서 『ポリュカルポス殉教伝』 http://www.newadvent[...]
[57] 문서 尾山令仁『ヨハネが受けたキリストの啓示(黙示録)』 羊群社
[58] 웹사이트 3.秀吉のキリシタン禁教令と26聖人殉教 Laudate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59] 웹사이트 9月28日 聖トマス西と15殉教者 Laudate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60] 웹사이트 7月1日 ペトロ岐部と187殉教者 Laudate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61] 웹사이트 高山右近、福者に カトリック新聞オンライン http://www.cathoshin[...]
[62] 서적 迫害下のロシア正教会 無神論国家における正教の70年 教文館 1996
[63] 서적 神の栄光のみ―殉教者朱基徹牧師伝 すぐ書房
[64] 서적 日韓教会成長比較 いのちのことば社
[65] 서적 アジア伝道史 いのちのことば社
[66] 서적 日本における福音派の歴史 いのちのことば社
[67] 문서 shahīd
[68] 웹사이트 幼い少女が自爆テロ、カメラの前で「殉教します」 https://www.huffingt[...] huffingtonpos 2018-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