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제4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제4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10월 27일부터 1958년까지 존재했던 프랑스의 공화국이다. 샤를 드골의 사임 이후, 대통령 중심제를 주장하며 사임하였고, 1946년 10월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제4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했으나, 내각의 불안정으로 인해 정국이 불안정했다. 제4공화국은 냉전 시기에 서방 진영에 참여했으며, 유럽 통합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영광의 30년'으로 불리는 경제 성장을 경험했지만, 알제리 전쟁과 식민지 문제, 군부 쿠데타로 인해 1958년 샤를 드골의 5공화국 수립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프랑스 - 켈로그-브리앙 조약
켈로그-브리앙 조약은 1928년 국가 정책 수단으로서의 전쟁을 포기하고 평화적 분쟁 해결을 목표로 체결된 국제 조약으로, 실질적 구속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국제법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세기 프랑스 - 제2차 모로코 위기
제2차 모로코 위기는 1911년 프랑스가 모로코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려 하자 독일이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군함을 파견하며 발생했으며, 영국이 프랑스를 지지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었고, 결국 프랑스의 모로코 보호령 확립과 독일의 영토 획득으로 마무리되었으나 유럽 열강 간 불신을 심화시켜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다. - 프랑스 제4공화국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프랑스 제4공화국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프랑스의 공화주의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프랑스의 공화주의 - 프랑스 2월 혁명
프랑스 2월 혁명은 1848년 2월 루이 필립 1세의 7월 왕정을 무너뜨리고 프랑스 제2공화국을 수립한 사건으로, 사회경제적 모순, 경제 공황 및 기근, 개혁 만찬 금지령으로 촉발된 시위가 원인이 되어 일어났으며 유럽 전역에 혁명의 물결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 제4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프랑스 공화국 |
일반 명칭 | 프랑스 |
상징 유형 | 상징 |
![]() | |
![]() | |
기타 상징 유형 | 국새: |
국가 표어 (영어) | Liberty, Equality, Fraternity |
국가 | 라 마르세예즈 |
수도 | 파리 |
최대 도시 | 수도 |
공용어 | 프랑스어 |
종교 | 세속 국가 |
종교 (알자스-모젤) | 로마 가톨릭교회 칼뱅주의 루터교 유대교 |
통화 | 프랑스 프랑 알제리 프랑 |
현재 국가 | 프랑스 알제리 |
정치 | |
정치 체제 | 단일제 의회 공화국 |
대통령 | 뱅상 오리오 (1947–1954) 르네 코티 (1954–1959) |
총리 | 폴 라마디에 (1947, 처음) 샤를 드 골 (1958–1959, 마지막) |
의회 | 의회 |
상원 | 공화국 평의회 |
하원 | 국회 |
역사 | |
시대 | 아프리카 탈식민지화 아시아 탈식민지화 냉전 |
이전 사건 | 헌법 국민투표 |
이전 날짜 | 1946년 10월 13일 |
시작 사건 | 헌법 채택 |
시작 날짜 | 1946년 10월 27일 |
사건 1 | 브뤼셀 조약 |
날짜 1 | 1948년 3월 17일 |
사건 2 | 디엔비엔푸 전투 |
날짜 2 | 1954년 3월 13일 |
사건 3 | 투생 루주 |
날짜 3 | 1954년 11월 1일 |
사건 4 | 수에즈 위기 |
날짜 4 | 1956년 10월 29일 – 11월 7일 |
사건 5 | 5월 위기 |
날짜 5 | 1958년 5월 13일 |
사건 6 | 헌법 국민투표 |
날짜 6 | 1958년 9월 28일 |
종료 사건 | 새 헌법 채택 |
종료 날짜 | 1958년 10월 4일 |
선행 국가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
후행 국가 1 | 알제리 공화국 임시정부 |
후행 국가 2 | 프랑스 제5공화국 |
후행 국가 3 | 프랑스 공동체 |
![]() | |
인구 | |
1946년 | 40,287,000 |
1958년 | 44,563,043 |
기타 | |
ISO 3166 코드 | omit |
2. 탄생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샤를 드 골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 위원회는 14개월 동안 프랑스 임시정부의 대통령으로 통치하였다.[20] 프랑스 임시정부는 임시자문의회의 만장일치 요청에 따라 설립되었다.[1] 골리즘과 공산주의는 프랑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치 세력이 되었다.
샤를 드 골은 1946년 1월, 대통령 중심제를 주장하며 사임하였고, 프랑스 노동자 국제(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프랑스어, SFIO)의 펠릭스 구앵이 그 뒤를 이었다.[20] 프랑스 공산당(Parti communiste français프랑스어, PCF)과 사회주의 SFIO만이 지지한 헌법 초안은 1946년 5월 5일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다.
1946년 선거에서 급진당(프랑스)(Radical-Socialist Party프랑스어), 저항의 민주사회주의 연합 등은 좌파 공화당 연합(Rassemblement des gauches républicaines프랑스어, RGR)을 결성하였으나, MRP–SFIO–PCF 연합에 반대하는데 실패하였다. 새 입법 의회는 삼당 연합에 절대 다수를 제공했다. MRP의 조르주 비도가 정부 수반이 되었다.
SFIO의 레옹 블룸이 1946년부터 1947년까지 GPRF를 이끌었고, 이후 기독교 민주당 조르주 비도가 내각의 지도자직을 맡았다. 드골의 1946년 6월 16일 바이외 연설에도 불구하고, 1946년 10월 13일 국민투표에서 새 헌법 초안이 승인되었고, 1946년 10월 27일 헌법이 발효되어 프랑스 제4공화국이 성립되었다.[20]
제4공화국은 집행권이 국무총리(총리)에게 있었고, 대통령은 상징적인 역할을 부여받았다. 1947년 1월 16일 사회당 계열의 뱅상 오리올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공산당이 집권 연합에서 축출된 후, 프랑스는 냉전에 참여하여 1949년 4월 NATO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2] 로베르 슈만은 프랑스가 유럽 공동체, 유럽 평의회 및 NATO의 회원이 되도록 이끌었다.[3]
3. 정치
3. 1. 의원내각제의 한계와 정국 불안
새 헌법 제정자들의 의도는 의원내각제를 합리화하는 것이었다. 장관들은 입법부인 프랑스 국민의회에 책임이 있었지만, 내각을 보호하고 내각을 이끄는 프랑스 총리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일부 조치가 도입되었다. 새 헌법의 목표는 의원내각제 민주주의와 내각의 안정을 조화시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새 헌법에 따라 국무총리(프랑스 총리)가 행정부의 수반이었다. 국민의회(국민의회와 공화원 상원)가 선출한 프랑스 대통령은 상징적인 역할을 했다. 대통령의 주요 권한은 내각을 구성하기 전에 국민의회의 선출을 받아야 하는 총리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내각의 정당성에 대한 의회 투표를 청구할 수 있는 사람은 총리뿐이었다. 또한 총리는 내각에 대한 신임 투표를 국민의회에 요구할 수 있는 유일한 행정부 구성원이었다 (제3공화국에서는 어떤 장관이든 신임 투표를 요구할 수 있었다). 국민의회 의원의 절대 다수가 내각에 반대표를 던지면 내각은 해임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두 번의 내각 위기가 입법부에서 발생하면 국민의회가 해산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 조치는 효과가 없었다. 1947년 1월, 국민의회의 선출과 장관 임명 후, 폴 라마디에 총리는 의회가 자신의 내각 구성을 승인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임 투표를 요구했다. 이는 총리에 대한 투표와 선택된 내각에 대한 신임 투표가 이어지는 이중 선거 관행을 시작했고, 이는 총리의 내각에 대한 권한을 약화시켰다. 국민의회의 과반수(절대 다수가 아님)가 내각에 반대표를 던지면 내각이 해임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각 위기는 의회 해산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제3공화국과 마찬가지로 이 체제는 내각의 불안정으로 특징지어졌다.
제4공화국은 정치적 상황의 희생자이기도 했다. 1947년 봄 삼당 연합의 분열, 공산당 장관들의 탈당, 골리즘 야당, 그리고 새로운 비례 대표제는 내각의 안정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지 못했다. 연립 정부는 규율이 없는 좌중간과 우중간 정당들의 혼합체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제4공화국은 프랑스 식민 제국의 붕괴에 직면했다.
3. 2. 정당 정치와 연립 정부
4. 경제
4. 1. '영광의 30년'과 경제 성장
'영광의 30년'(Les Trente Glorieuses)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30년간 지속된 프랑스의 높은 경제 성장기를 일컫는 말이다. 1944년 샤를 드 골(De Gaulle)은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상당한 국가 통제를 포함한 지휘 경제 정책을 도입했고, 이는 30년간의 전례 없는 성장으로 이어졌다.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막대했지만, 패전국인 독일로부터의 대규모 배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국은 마셜 플랜(1948~1951)을 통해 프랑스 경제 회복을 지원했으며, 상환 없이 23억 달러를 지원했다. 프랑스는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지원을 받은 국가였다. 1946년부터 1953년까지 미국이 프랑스에 제공한 모든 보조금과 신용의 총액은 49억 달러에 달했다.[4] 이는 운송 시스템, 발전 및 시멘트, 석탄, 철강과 같은 기간산업의 현대화에 절실히 필요한 자금을 제공했다. 이 계획은 프랑스 산업 및 경영 시스템의 현대화, 자유 무역, 그리고 서독과의 우호적인 경제 관계를 요구했다.[5]
프랑스 경제는 서독, 이탈리아, 일본과 같이 마셜 플랜의 틀 안에서 다른 선진국의 경제처럼 급속도로 성장했다. 이러한 수십 년간의 경제 번영은 높은 생산성과 높은 평균 임금, 높은 소비를 동반했으며, 고도로 발달된 사회 복지 시스템도 특징이었다.[6] 여러 연구에 따르면, 평균 프랑스 노동자의 실질 구매력은 1950년부터 1975년 사이에 170% 증가했고, 전체 민간 소비는 1950년부터 1974년 사이에 174% 증가했다.[7]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피해를 입었던 프랑스의 생활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 중 하나가 되었다. 인구 또한 도시화가 훨씬 더 진행되었는데, 많은 농촌 주는 인구 감소를 경험한 반면, 특히 파리의 대도시 지역은 상당히 성장했다. 다양한 가정 용품과 편의시설의 소유가 상당히 증가했고,[8][9][10] 경제가 더욱 번영함에 따라 프랑스 노동 계급의 임금도 크게 상승했다.
1973년 전 세계적인 1973년 석유 위기는 폭발적인 성장을 둔화시켰다. 따라서 1970년대 중반은 이 시대의 종말을 의미했다. 토마 피케티는 영광의 30년을 세계 대전 이후의 특별한 '추격' 시기로 묘사한다. 그는 부유한 국가의 정상적인 성장률은 약 1.5~2%인 반면, 유럽의 성장률은 1913년부터 1950년까지 0.5%로 떨어졌다가 1950년부터 1970년까지 4%의 성장률로 '추격'한 후 1970년부터는 다시 1.5~2%로 안정되었다고 주장한다.[12]
4. 2. 생활 수준 향상과 도시화
5. 대외 관계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새로이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고 패퇴하여 타이완으로 그 영역이 축소된 중화민국과 관계를 유지하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남부의 베트남 공화국을 지지하는 등 대외적으로 친서방 반공정책을 펼쳤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반공은 사민주의가 아닌 소련식 공산주의를 말한다.
5. 1. 냉전과 서방 진영 참여
프랑스 제4공화국은 국공 내전에서 승리하여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고 타이완으로 축소된 중화민국과 관계를 유지하였다. 또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남부의 베트남 공화국을 지지하는 등 대외적으로 친서방 반공정책을 펼쳤다. 여기서 말하는 반공은 사민주의가 아닌 소련식 공산주의를 의미한다.5. 2. 유럽 통합 노력
로베르 슈만 프랑스 외무장관과 장 모네는 1950년 5월 9일, 프랑스와 독일 간의 전쟁을 막기 위해 유럽 석탄 및 강철 공동체(ECSC) 창설을 제안했다.[16] 영국은 초대를 받았지만, 애틀리 내각의 노동당 정부는 참여하지 않았다.[16] ECSC는 프랑스, 이탈리아, 서독,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가 1951년 파리 조약을 체결하며 설립되었다. ECSC는 석탄과 강철에 대한 공동 시장을 만들었으며, '고등 권위'에 의해 관리되었다. '고등 권위'는 각국 정부 대표, 국회의원 중 선출된 회원국 국민 대표,[17] 독립적인 사법부의 감시를 받았다.파리 조약 (1951년)은 1957년 3월 25일 로마 조약으로 대체되었고, 로마 조약은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설립했다. EEC는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으로 설립된 유럽 연합의 전신이다.
5. 3. 대한민국과의 관계
프랑스 제4공화국은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고 타이완으로 축소된 중화민국과 관계를 유지하였다. 또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남부의 베트남 공화국을 지지하는 등 친서방 반공정책을 펼쳤다. 여기서 말하는 반공은 사민주의가 아닌 소련식 공산주의를 의미한다.6. 식민지 문제와 해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민이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하며 세력을 회복한 프랑스군에 대해 게릴라전(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전개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아시아에서 동서 양 진영의 냉전이 격화되었고, 베트민은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게 되었다. 1954년 5월 7일 베트남 북부의 요충지를 둘러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자, 피에르 멘데스프랑스 총리는 7월 20일,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고 베트남에서의 철수를 결정했다.[13] 이 협정으로 베트민은 북위 17도선 이북 베트남을 장악하고 프랑스군은 철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남베트남은 홀로 남게 되었지만, 미국이 개입하여 대규모 재정, 군사 및 경제 지원을 제공했다.[14]
1954년 5월 7일 베트남 북부의 요충지를 둘러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자, 피에르 멘데스프랑스 총리는 7월 20일,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고 베트남에서의 철수를 결정했다. 멘데스 프랑스는 다음으로 튀니지의 민족주의 지도자 하비브 부르기바와 1956년까지 튀니지의 독립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고, 모로코의 민족주의 지도자들과 프랑스 철수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15]
1955년 3월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와 튀니지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에는 알제리에서 프랑스 지배에 대한 독립 투쟁의 봉기가 시작되었고, 프랑스 정부는 알제리는 프랑스계 주민도 많아 쉽게 독립을 인정할 수 없어 탄압을 강화했다. 이 때문에 알제리 전쟁은 깊은 수렁에 빠지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또한 1956년 10월 영국과 공동으로 수에즈 운하 출병을 감행했지만( 제2차 중동 전쟁),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개입으로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
알제리 전쟁의 여파로 1958년 5월 내각에 불만을 품은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고, 일부 지역을 점거한 군부가 알제리 독립 반대, 드골 복귀를 외치며 내각과 대립하자,[18] 피를 보기 꺼려한 정권이 이를 수용하고 드골이 임시 총리에 오른 후, 당해 10월 국민 투표를 통해 대통령에게 더 많은 권한을 주는 이원집정부제를 실시하여 제5공화국이 성립된다.
6. 1. 인도차이나 전쟁과 튀니지, 모로코 독립
1954년 2월 여론조사에 따르면 프랑스 국민의 7%만이 호찌민과 그의 베트민이 이끄는 공산주의자들과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의 전투를 계속하고자 했다. 피에르 멘데스 프랑스는 급진당 지도자로, 1954~1955년 8개월 동안 총리를 역임했다. 그의 최우선 과제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키는 것이었는데, 이는 1954년 5월 초 디엔비엔푸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였다.[13]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아시아에서 동서 양 진영의 냉전이 격화되었고, 베트민은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게 되었다. 그는 제네바 회담에서 베트민이 북위 17도선 이북 베트남을 장악하고 프랑스군을 철수시키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로 인해 남베트남은 홀로 남게 되었지만, 미국이 개입하여 대규모 재정, 군사 및 경제 지원을 제공했다.[14]
1954년 5월 7일 베트남 북부의 요충지를 둘러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자, 피에르 멘데스프랑스 총리는 7월 20일,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고 베트남에서의 철수를 결정했다. 멘데스 프랑스는 다음으로 튀니지의 민족주의 지도자 하비브 부르기바와 1956년까지 튀니지의 독립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고, 모로코의 민족주의 지도자들과 프랑스 철수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15]
1955년 3월 프랑스 정부는 모로코와 튀니지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에는 알제리에서 프랑스 지배에 대한 독립 투쟁의 봉기가 시작되었고, 프랑스 정부는 알제리는 프랑스계 주민도 많아 쉽게 독립을 인정할 수 없어 탄압을 강화했다. 이 때문에 알제리 전쟁은 깊은 수렁에 빠지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또한 1956년 10월 영국과 공동으로 수에즈 운하 출병을 감행했지만( 제2차 중동 전쟁),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개입으로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
6. 2. 알제리 전쟁과 제4공화국의 붕괴
알제리 전쟁의 여파로 1958년 5월, 내각에 불만을 품은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 알제리 독립 반대와 드골의 복귀를 요구하며 내각과 대립했다.[18] 피에드누아와 같은 알제리 주민들은 프랑스에 남기를 원했고, 프랑스군 일부는 Algérie française]]/French Algeria#Algérie française프랑스어(프랑스령 알제리) 운동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반란을 일으켰다.[18]7. 역대 대통령
- 뱅상 오리오
- 르네 코티
참조
[1]
서적
The Fourth Republic of Fr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France, the Cold War and the Western Alliance, 1944–49: French Foreign Policy and Post-War Europe
1990
[3]
서적
Robert Schuman: Neo-Scholastic Humanism and the Reunification of Europe
2008
[4]
간행물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1954
http://www2.census.g[...]
U.S. Bureau of the Census
1955
[5]
서적
America's Feeble weapon: Funding the Marshall Plan in France and Italy, 1948–1950
Greenwood
1994
[6]
서적
Contemporary France: Politics and Society Since 1945
Routledge
[7]
서적
The New France: A Society in Transition 1945-1977
[8]
서적
The Pompidou years, 1969–197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3-13
[9]
서적
French welfare state reform: idealism versus Swedish, New Zealand and Dutch
Anthem Press
[10]
서적
Recent Social Trends in France, 1960–199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1]
서적
Contemporary France: Politics, Society, and Institutions
[12]
서적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Belknap Press
2014
[13]
서적
The French Indochina War 1946–54
Osprey Publishing
2013
[14]
서적
Worse Than a Monolith: Alliance Politics and Problems of Coercive Diplomacy in A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7-01
[15]
서적
The Strange History of Pierre Mendès France and the Great Conflict over French North Africa
1957
[16]
서적
The Schuman Plan and the British Abdication of Leadership in Europe
Clarendon Press
[17]
웹사이트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ECSC)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Article 20
https://en.wikisourc[...]
2021-10-14
[18]
웹사이트
Jacques Massu obituary
http://www.timesonli[...]
2013-09-05
[19]
학술지
France and Algeria
1960-07
[20]
웹사이트
http://www.imgok.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