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부스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부스는 276년부터 282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다. 판노니아 출신으로 군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빠르게 승진했고,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측근으로 활약했다. 타키투스 황제 사후 동방 군대의 지지를 받아 황제가 되었으며, 플로리아누스와의 경쟁에서 승리한 후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프로부스는 게르만족을 격퇴하고 반란을 진압하며 제국의 국경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로마 제국의 군사적 우위를 회복하고, 원로원을 존중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군인들의 불만을 사 282년 시르미움에서 암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82년 사망 - 가충
    가충은 삼국시대 위나라부터 서진 시대까지 사마씨 일가를 섬긴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조모 시해에 가담했으며, 서진 건국 공신으로서 《진율령》 편찬에 기여했지만, 딸 가남풍으로 인해 서진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282년 사망 - 황보밀
    황보밀은 삼국시대 위나라 말부터 서진 시대에 걸쳐 활동한 학자이자 저술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저술에 전념하며 《침구갑을경》, 《제왕세기》 등의 저서를 남겼고, 특히 《침구갑을경》은 침구학의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 232년 출생 - 조방
    조방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제3대 황제로, 조예의 양자로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곽태후의 수렴청정과 조상, 사마의의 보좌를 받았으나, 고평릉의 변으로 실권을 잃고 폐위되어 제왕, 소릉공으로 강등되었다.
  • 232년 출생 - 불도징
    불도징은 중국으로 건너와 불교를 전파하고 석륵을 개종시켜 고문이 되었으며, 아나파나사티 명상법을 가르쳐 불교를 대중화하고 중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친위대에게 살해된 로마 황제 - 카라칼라
    카라칼라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로서 권력을 누렸으나 동생 게타를 살해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으며, 자유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안토니누스 칙령을 발표했지만 폭정과 잔혹 행위로 암살당한 로마 황제이다.
  • 친위대에게 살해된 로마 황제 - 엘라가발루스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출신으로 태양신 헬리오가발루스의 사제였으며, 로마 황제가 된 후 엘라가발 신앙을 전파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다 살해당한 인물로,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지만 긍정적인 재평가도 존재한다.
프로부스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이미지
흰색의 긴 머리 조각상
로마의 카피톨리니 미술관에 있는 실물 크기의 대리석 흉상
기본 정보
이름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로마자 표기Marcus Aurelius Probus
전체 이름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출생230년 ~ 235년 사이
출생지세르비아 현대의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시르미움
사망282년 9월 (50세)
사망지시르미움
매장지알려지지 않음
후손후손이 있었음
아버지달마티우스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 기간기원후 276년 6월경 – 282년 9월
이전 통치자타키투스, 플로리아누스
다음 통치자카루스

2. 어린 시절

프로부스는 언제 태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역사학자들은 그가 230년과 235년 사이에 판노니아 지방의 시르미움(오늘날 세르비아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에서 달마티우스라는 사람의 아들로 태어난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로마의 역사책 알렉산드리아 연대기에 따르면, 그가 232년에 태어났다고도 한다.[8][9] 《아우구스타 연대기》는 그의 아버지의 이름을 막시무스라고 밝히고, 그의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높은 신분이었으며, 클라우디아라는 누이가 있었고, 황제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와 친척 관계였으며, 개인적인 재산은 그다지 많지 않았고, 가장 가까운 친척들은 중요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0] 프로부스에게는 272년경부터 284년 사망할 때까지 비잔티움 주교였던 비잔티움의 도메티우스라는 형제가 있었다.

3. 군대 생활

프로부스는 250년경 성년이 되자 군에 입대하여, 발레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어린 나이에 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2][13] 그는 일리리아 국경에서 사르마티아인들을 상대로 승리하며 능력을 입증했다.[14] 발레리아누스 황제 시기, 일리리아는 클라우디우스 2세, 아우렐리아누스 등 유능한 장군들 덕분에 야만족의 침입을 막아낸 거의 유일한 속주였다.[15]

나폴리 박물관에 소장된 프로부스의 대리석 흉상


프로부스는 아우렐리아누스의 최측근으로, 273년 제노비아로부터 아이깁투스(이집트)를 탈환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타키투스 황제는 그를 동방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동방 국경을 안정시켰다.[16] 276년 타키투스 황제가 사망하자, 프로부스는 소아시아에서 군대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기 전까지 제국 국경에서 성공적인 전투를 이끌었다고 전해진다.[17]

272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팔미라 제국 정벌에 참여하여 아이깁투스(이집트)를 점령하고, 동방 전역의 방어 임무를 맡았다. 276년 타키투스 황제가 사망하자 동방 속주 군대의 지지로 황제를 자칭, 플로리아누스와 대립했으나 플로리아누스의 암살로 상황이 종료되었다.

4. 황제 즉위

276년 타키투스 황제가 판노니아에서 사망하자, 소아시아 병사들은 신망이 높던 프로부스를 새 황제로 추대하였다. 한편 로마 원로원은 타키투스의 이부동생 플로리아누스를 황제로 인정했고, 플로리아누스는 프로부스를 진압하고자 서아시아로 쳐들어왔다. 그러나 프로부스의 계략과 전술에 사기를 잃은 플로리아누스 군대는 반란을 일으켜 플로리아누스를 살해했고, 프로부스는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18][19] 플로리아누스와 달리, 프로부스는 원로원에 예의를 갖춘 서한을 보내 자신을 인정해줄 것을 부탁했고, 원로원은 기뻐하며 그를 새 황제로 인정하였다.

안토니니아누스 프로부스, 280년 주조. 뒷면에는 태양신 솔 인빅투스가 사두마차를 타고 있는 모습. 문구: PROBVS P. F. AVG.


북부 이탈리아 브레시아에서 발견된 프로부스 금도금 청동 두상.


프로부스와 솔 인빅투스를 묘사한 서기 280년경 동전. 비문: IMP·C·PROBUS·INVIC·P·F·AUG ("황제 카이사르 프로부스, 정복되지 않음, 경건함, 축복받음")


프로부스 금화 아우레우스, 표기: IMP C MAVR PROBVS P AVG.


군복을 입은 프로부스 금화. 문구: IMP. PROBVS AVG.

4. 1. 갈리아 원정과 게르만족 격퇴

원로원과 군대의 지지를 얻은 프로부스는 제국의 서쪽 국경, 즉 갈리아 지방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원정을 떠났다. 당시 갈리아 지방에서는 알레만니족, 프랑크 족 등이 약탈을 일삼고 있어 민심이 크게 흉흉했다. 프로부스와 그의 장군들은 갈리아 지방에서 활개치던 게르만 족들을 대부분 잡아 죽였고, 이로 인해 약 40만 명에 달하는 게르만 약탈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큰 성과로 인해, 원로원에서는 프로부스에게 ''Gothicus Maximus, Germanicus Maximus'' 등의 칭호를 내려 치하하였다.

갈리아 지방을 평정한 프로부스는 라인 강을 건너 게르만 족의 본거지를 직접 공격하기로 결심한다. 이 때 프로부스는 라인 강과 다뉴브 강 사이에 있던, 상대적으로 방비가 취약했던 공간들을 다시 대대적으로 정비하였으며, 거의 무너져가던 하드리아누스의 방벽을 다시 쌓아 방어력을 공고히 하였다. 또한 야만 부족들을 정착시킨 후 그들 가운데에서 인력을 차출하여 그들을 로마 제국의 국경을 지키는 보조 조직으로 삼았고, 이는 국경 지대를 안정시키는 데에 큰 효과를 냈다. 당시 이 지방은 무거운 세금, 지속적인 야만족들의 침략, 전쟁 등으로 인해 인구가 크게 줄어있었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역이 안정을 되찾을 최소한의 시간을 벌었을 뿐만러 농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정비했던 군대의 기강은 프로부스 황제 때에 들어 더더욱 확고해진다. 프로부스는 잔인한 성품이 아니었고, 피를 보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 아니었다. 그는 군대를 단순한 무력 조직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조직으로 보내고자 했다. 그의 군대 운용 원칙은 군인들을 게으르게 놔두지 않는 것이었고, 평화로운 기간에는 군인들을 갈리아 지방의 포도원을 가꾸고 기반 시설들을 보수하는 등 황폐해진 갈리아 지방을 복구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도록 하였다.

프로부스는 279년과 289년 사이에 라에키아와 리키아와 일리리쿰 지방에서 반달 족을 상대로 전투를 벌여 그들을 물리쳤다. 그는 라인강・도나우강 전선에서의 야만족 격퇴에 힘썼으며, 로마 제국으로 침입하는 야만족을 거의 격파했고, 반대로 야만족의 땅으로 쳐들어가 국경의 안정을 꾀하기도 했다.[1]

4. 2. 군대 운용과 내치

프로부스는 로마 속주 판노니아의 주도 시르미움 출신으로, 젊은 시절부터 군대에 지원하여 발레리아누스 황제 치세에 출세하여 군단장에 발탁되었다.

272년,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의 팜미라 제국 정벌전에 종사하여 팜미라 지배 하에 있던 아이깁투스(이집트)를 점령하여 승리에 기여했다. 또한 아우렐리아누스가 로마로 귀환할 때 팜미라 왕국이 지배하고 있던 동방 전역의 방어 임무를 맡았다.

276년 황제 타키투스가 시리아에서 사망한 후, 동방 속주의 군의 지지를 받아 황제를 자칭했으며, 서방 속주 및 원로원이 지지한 플로리아누스와 대립했지만, 플로리아누스가 암살되면서 해결되었다.

그의 치세 대부분은 라인강・도나우강 전선에서 야만족을 격퇴하는데 사용되었다. 군인으로서 그의 능력은 높았으며, 로마 제국으로 침입하는 야만족을 거의 격파했고, 반대로 야만족의 땅으로 쳐들어가 국경의 안정을 꾀하기도 했다. 한편 로마 제국 내에서는 내란이 끊이지 않고 발생했으며, 280년에는 이집트에서 사투르니누스 등의 반란을 진압했다. 또한 황폐해진 농지를 부흥시키는 중요한 일을 추진했지만, 이를 담당한 군대 내에서 반발이 일어나 282년, 페르시아 원정으로 향하던 도중에 병사들에게 암살되었다.

4. 3. 반란 진압

280년에 이집트에서 사투르니누스 등의 반란을 진압했다.[4]

5. 암살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 요하네스 조나라스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근위대장이었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가 병사들에 의해 새로운 황제로 추대되었다.[34] 프로부스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병사들을 보냈으나, 이미 대부분의 병사들이 그에게서 등을 돌린 상태였고, 결국 프로부스는 휘하 병사들에게 282년 9월에 살해당했다.[35]

다른 기록에 따르면, 프로부스는 시르미움에서 병사들에게 배수로 공사 등 지속적인 토목 공사를 요구했고, 이에 병사들이 점차 불만을 품기 시작했다고 한다.[36] 이후 병사들은 프로부스가 상비군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모습을 우연히 목격하고 격분하여 그를 살해했다고 한다.

이후 황위에 오른 카루스는 반란을 진압하고 프로부스를 살해한 병사들을 처벌하였다.[37]

6. 평가

프로부스는 원로원을 예우를 갖추어 대해준 거의 마지막 황제였다. 그의 후임이었던 카루스는 황제 자리를 인정받기 위해 원로원에 허락을 구하는 행위 자체를 경멸하였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아예 원로원의 권위를 낮추고 황권을 크게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등, 강력한 1인 독재 체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38]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 이후 로마 원로원은 제국 통치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군사적인 측면에서 프로부스 황제는 고티쿠스 황제 이후 계속되어 온 일리리아 지방 출신의 군인 황제들을 계승하였으며, 3세기 군인 황제 시기 동안 크게 약화되었던 로마 제국의 군사적 우위를 다시금 회복해 놓았다는 업적이 있다.

에우트로피우스는 그의 인품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Victor, 37:1
[2]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3] 문서 Gibbon, pp. 289, 290
[4] 문서 Gibbon, p. 283
[5] 문서 Gibbon, p. 287
[6] 문서 Gibbon, p. 288
[7] 문서 Gibbon, p. 292
[8] 웹사이트 Roman Emperors - DIR probus http://www.roman-emp[...] 2023-08-08
[9] 문서 Gibbon, p. 282, note
[10] 서적 Emperors and Biography: Studies in the 'Historia Augusta'. Clarendon Press
[11] 서적 Aurelian and Probus: The Soldier Emperors Who Saved Rome Pen and Sword Military
[12] 서적 History of Rome: And of the Roman People, from Its Origin to the Invasion of the Barbarians https://books.google[...] Dana, Estes & Company 1886
[13] 서적 Aurelian and Probus: The Soldier Emperors Who Saved Rom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Military 2020-06-24
[14] 문서 Gibbon, p. 282
[15] 문서 Gibbon, ch. X., pp. 226, 227
[16]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Probi, 6–7
[17]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Probi, 10:1
[18] 문서 Gibbon, p. 281
[19] 문서 Zosimus, 1:32
[20] 문서 Gibbon, p. 284
[21] 서적 Small Bronze Sculpture from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2] 문서 Southern, pg. 129
[23] 문서 Gibbon, p. 286
[24] 문서 Gibbon, pp. 286-288
[25] 문서 Gibbon, p. 291
[26] 문서 '120-Interregnum,' The History of Rome
[27]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Probi, 9:3–4
[28] 문서 Gibbon, Ibid.
[29] 문서 Victor, 37:2
[30] 웹사이트 Roman Emperors - DIR probus http://www.roman-emp[...] 2023-08-08
[31] 서적 The reign of the Emperor Probus University of London Press
[32] 서적 Der Kaiser Marcus Aurelius Probus und seine Zeit https://archive.org/[...] Franz Steiner Verlag
[33]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Probi, 20:1
[34] 문서 Zonaras, 12:29
[35] 문서 Victor, 37:4
[36] 서적 Vita Probi
[37] 서적 Vita Cari
[3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