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미라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미라 제국은 3세기에 로마 제국의 혼란을 틈타 시리아의 팔미라를 중심으로 잠시 독립했던 국가이다. 로마가 이민족의 침입과 내분으로 어려움을 겪는 동안, 팔미라의 지도자 오다에나투스는 사산 제국과 싸워 공을 세우고 동방 총독이 되었으며, 그의 아내 제노비아가 섭정으로 실권을 장악하면서 세력을 확장하여 이집트와 소아시아 일부를 점령했다. 그러나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의 반격으로 멸망했으며, 제노비아는 포로로 잡히고 팔미라는 파괴되었다. 팔미라 제국의 성립 배경과 제노비아의 반란 동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역사적 해석이 존재하며, 현대 시리아 민족주의에서는 팔미라 제국을 시리아 문명의 상징으로 여기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팔미라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팔미라 제국 |
일반 명칭 | 팔미라 제국 |
![]() | |
수도 | 팔미라 |
최대 도시 | 알렉산드리아 |
공용어 | 팔미라 아람어 코이네 그리스어 아랍어 |
종교 | 팔미라 종교 |
존속 기간 | 고대 후기 |
건국 | 260년 (왕국) / 270년 (제국) |
멸망 | 273년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통치자 칭호 | 군주 |
주요 지도자 | 우아바알라투스(267/270–272) 제노비아(272–273)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273) |
역사 | |
주요 사건 | 270년: 건국 273년: 해체 |
이전 및 이후 | |
이전 | 로마 제국 |
이후 | 로마 제국 |
2. 역사적 배경
로마 제국은 235년 황제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의 암살 이후[81] 군인 황제들이 난립하며 극심한 혼란기인 3세기의 위기를 맞이했다.[82] 제국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국경 지대는 카르피족, 고트족, 알레만니족 등 외부 세력의 침입에 시달렸고,[83][84] 동방에서는 사산 제국의 공세가 거세졌다.[85] 특히 260년 에데사 전투에서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가 사산 제국의 샤푸르 1세에게 포로로 잡히는 사건은[86] 제국의 위신을 크게 떨어뜨렸고, 동방 속주에서의 권력 공백 상태를 야기했다.[87]
이러한 혼란 속에서 팔미라의 지도자였던 셉티미우스 오다이나투스는 독자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사산 제국에 맞서 싸웠다.[86] 그는 260년 샤푸르 1세를 격퇴하고,[87] 261년에는 시리아에서 로마 황제를 참칭하던 퀴에투스와 마크리아누스를 제거했다.[87] 로마 황제 갈리에누스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동방 총독'의 지위를 부여했지만,[87] 오다에나투스는 스스로 '왕중왕'을 칭하며[94] 사실상 동방의 독자적인 지배자로 군림했다.[93] 오다에나투스가 동방 속주를 지배했던 260년대부터 그의 사후 팔미라가 로마에 함락되기까지의 시기를 '''팔미라 왕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67년, 오다에나투스와 그의 아들 셉티미우스 헤로디아누스가 암살되자,[87] 오다에나투스의 두 번째 부인이었던 제노비아가 당시 10세였던 아들 바발라투스를 내세워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했다.[102][103] 명목상의 지배자는 바발라투스였으나, 실질적인 통치는 제노비아가 주도했다. 그녀는 로마 제국의 혼란을 틈타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꾀했고, 이는 팔미라 제국의 성립으로 이어졌다. 비록 팔미라 제국은 단기간 존속했지만, 제국을 이끈 제노비아는 고대 후기의 야심차고 유능한 여성 지도자로 평가받으며, 현대 시리아에서는 시리아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지고 있다.
2. 1. 3세기의 위기
3세기의 위기는 235년 로마 황제 알렉산데르 세베루스가 자신의 군대에 의해 암살되면서 시작되었다.[6][81] 이후 로마 제국은 극심한 혼란에 빠져들었다. 여러 장군들이 제위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다투면서 내전이 끊이지 않았고,[7][82] 제국의 국경 방어는 소홀해졌다. 이 틈을 타 북방에서는 카르피족(또는 카르피인), 고트족, 알레만니족 등이 빈번하게 제국 영토를 침입했으며,[8][9][83][84] 동방에서는 새롭게 부상한 사산 제국의 공세가 거세졌다.[10][85]사산 제국의 왕 샤푸르 1세는 로마 제국의 혼란을 이용하여 공격을 감행했고, 260년 에데사 전투에서 로마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안겼다.[11][86] 이 전투에서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가 사산 제국군에게 포로로 잡히는 치욕적인 사건이 발생했다.[11] 발레리아누스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였던 갈리에누스가 단독 황제로 즉위했지만, 제국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특히 동방의 시리아 속주에서는 퀴에투스와 마크리아누스가 반란을 일으켜 황제를 자칭하면서 로마 중앙 정부의 권위가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12][87] 이러한 로마 제국의 혼란과 동방에서의 권력 공백은 팔미라가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2. 2. 오데나투스의 등장과 팔미라의 부상
3세기 위기로 알려진 로마 제국의 혼란기에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가 235년 암살된 이후,[6] 제국은 내전과 외침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7] 제국의 변경은 카르피족, 고트족, 알레만니족 등의 침입에 시달렸고,[8][9] 동방에서는 사산 제국의 공세가 거세졌다.[10] 이 위기는 260년 에데사 전투에서 샤푸르 1세가 로마군을 격파하고 발레리아누스 황제를 사로잡으면서 절정에 달했다.[11]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사로잡히기 전, 팔미라의 귀족 출신으로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사산 제국과의 전쟁에 참여한 오다에나투스를 정규 사령관으로 임명했다.황제가 포로가 된 이후에도 오다에나투스는 팔미라인과 시리아 농민들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11][86] 로마에 형식적인 충성을 유지하며 독자적으로 사산 제국에 맞섰다. 오다에나투스의 군대에 로마 정규군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14][89] 260년, 오다에나투스는 유프라테스 강 근처에서 샤푸르 1세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12][87] 261년에는 시리아에서 황제를 참칭하던 퀴에투스와 마크리아누스를 격파했다.[12][87] 발레리아누스의 아들 갈리에누스 황제는 이러한 오다에나투스의 공로를 인정하여 그를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일대의 방위를 책임지는 '동방 총독'(Corrector totius orientis|코렉토르 토티우스 오리엔티스la)으로 임명했다.[12][87]
오다에나투스는 제국의 대리인으로서 시리아를 통치하면서도[18][93] 스스로 '왕중왕'(𐡬𐡫𐡪 𐡬𐡫𐡪𐡠|말카 말카pal)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21][94] 사실상 팔미라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이 칭호는 그의 사후인 271년 비문에서 확인되며,[11][19][86][95] 그의 아들 하이란(셉티미우스 헤로디아누스) 역시 생전에 '왕중왕'으로 불렸다는 점에서[20][96] 오다에나투스 본인도 생전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260년부터 267년까지 동방을 성공적으로 방어해낸 오다에나투스는 267년, 고트족에게 거둔 승리를 축하하는 연회 도중 아들 하이란과 함께 암살당했다.[12][87] 암살범에 대해서는 그의 조카[97] 또는 사촌 메오니우스[22]라는 기록이 엇갈린다. 일부 기록에는 메오니우스가 잠시 황제를 참칭했으나 곧 병사들에게 살해되었다고 전하지만,[22][23][24][97][98][99]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증거는 없으며 암살 직후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25][26][100][101]
오다에나투스가 암살된 직후,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제노비아는 암살자를 처단하고 당시 10세였던 어린 아들 바발라투스를 남편의 후계자로 내세웠다.[27][102] 제노비아는 섭정으로서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며 권력을 장악했다.[27][28][103] 그녀는 로마와의 관계를 신중하게 관리하면서 자신과 아들에게 오다에나투스가 사용했던 칭호를 부여하고, 사산 제국과의 국경을 안정시키며 하우란 지역의 타누크족을 통제하는 등 팔미라의 세력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데 힘썼다.[27]
2. 3. 제노비아의 섭정과 팔미라 제국의 확장
267년, 팔미라의 통치자 오데나투스는 고트족과의 전쟁 승리를 축하하는 연회 자리에서 그의 맏아들 헤로디아누스와 함께 암살당했다.[87] 암살범에 대해서는 오데나투스의 조카라는 설[97]과 사촌 마에오니우스라는 설[97]이 있으나, 범인은 현장에서 오데나투스의 두 번째 부인이었던 제노비아에게 즉시 살해된 것으로 보인다.[100][101]오데나투스가 사망하자 제노비아는 자신의 어린 아들 바발라투스를 후계자로 내세우고 스스로 섭정이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102][103] 당시 바발라투스의 나이는 10세에 불과하여 명목상의 군주였고, 모든 권력은 어머니 제노비아가 행사했다.[103]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신중하게 관리하면서도, 남편 오데나투스와 의붓아들 헤로디아누스가 사용했던 칭호를 자신과 아들 바발라투스에게도 적용했다. 또한 동쪽의 사산조 페르시아와는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하는 한편, 하우란 평원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아랍인 타누흐 부족을 평정하는 등 내부 안정에도 힘썼다.
섭정을 시작한 제노비아는 오데나투스 시대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그녀의 영향력은 소아시아 동부의 카파도키아와 남쪽의 이집트까지 미쳤다. 270년에는 로마 제국의 동방 속주들을 정복하며 로마와 대등한 관계를 추구하려는 야심을 드러냈다. 이는 팔미라 제국의 최대 판도를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3. 제국의 성립과 발전
로마 제국은 3세기에 이민족의 침입과 내란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 중 포로로 잡히면서 위기는 절정에 달했다. 후임 갈리에누스 황제가 위기 수습에 나섰지만, 제국 동방의 소아시아에서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베두인족의 침입으로 불안정했다.
이 시기 팔미라의 귀족 오데나투스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페르시아와의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그를 정식 로마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황제가 포로가 된 후에도 오데나투스는 페르시아군을 여러 차례 격퇴했다. 이에 갈리에누스 황제는 그를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동방 전체의 방위를 책임지는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오데나투스는 260년부터 267년까지 로마 제국을 대신하여 동방 지역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그러나 267년, 오데나투스는 고트족과의 전투 승리 축하 연회에서 조카에게 맏아들과 함께 암살당했다. 그의 두 번째 부인 제노비아는 즉시 암살자를 처단하고 어린 아들 바발라투스를 후계자로 내세웠다. 이후 제노비아는 아들의 섭정을 맡아 팔미라의 실권을 장악했다. 남편과 달리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의 혼란을 틈타 독자적인 세력 확장을 추구하며 팔미라의 영향력을 넓히기 시작했다. 그녀는 소아시아 동부의 카파도키아와 이집트까지 세력을 확장하려는 야심을 보였다.[29][30][104][105]
3. 1. 로마와의 관계

팔미라 제국은 이집트와 소아시아 일부를 정복하는 과정에서도 초기에는 로마 제국에 대한 종속 관계를 유지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44] 제노비아는 아들 바발라투스를 동전에 왕으로 묘사하면서도, 당시 로마 황제였던 아우렐리아누스의 이름을 함께 새겨넣었다. 이는 형식상 로마의 권위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에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도 초기에는 팔미라가 독자적인 동전을 발행하는 것을 허용하고, 바발라투스에게 왕의 칭호를 사용하는 것을 용인했다.[45]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오래가지 않았다. 271년 말, 제노비아와 바발라투스는 스스로 황제를 의미하는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44] 이는 팔미라 제국이 로마 제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선언하고 로마와 대등한 관계를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것이었다.
3. 2. 영토 확장
제노비아는 남편 오데나투스 사후 실권을 장악하고, 로마 제국의 혼란을 틈타 독자적인 세력 확장에 나섰다. 270년 봄,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 치세에 제노비아는 장군 셉티미우스 자바이와 자브다스에게 군대를 맡겨 타누키드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29][30][104][105]
자브다스가 이끄는 팔미라 군대는 먼저 로마령 아라비아로 진격했다. 수도 보스라를 약탈하고 로마 총독을 살해한 뒤 남하하여 아라비아 속주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다.[31][106][107]
같은 해 270년 10월[37][113], 7만 명에 달하는 팔미라 군대는 이집트를 침공했다.[38][39][114][115] 이집트를 성공적으로 정복한 제노비아는 스스로 '이집트의 여왕'을 칭했다.[40][116] 로마의 총독 테나기노 프로부스가 11월에 알렉산드리아를 잠시 탈환하기도 했으나, 결국 팔미라 군에게 패배하여 바빌론 요새에서 포위된 끝에 사망했다. 이후 자브다스는 남쪽으로 진군하여 이집트 전역을 장악했다.[41][117] (팔미라의 이집트 정복)
이듬해인 271년, 팔미라 군대는 소아시아로 눈을 돌렸다. 자바이가 먼저 소아시아에서 군사 작전을 시작했고, 그 해 봄에는 이집트 원정을 마친 자브다스도 합류했다.[42][118] 팔미라 군대는 갈라티아를 복속시키고[42] 앙카라를 점령하며 제국의 영토를 최대로 넓혔다.[43][119] 하지만 비티니아의 칼케돈을 점령하려는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42]
이러한 영토 확장은 초기에는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진행되었다.[44][120] 제노비아는 자신의 아들 바발라투스를 왕으로 내세우면서도, 동전에는 당시 로마 황제였던 아우렐리아누스의 이름과 초상을 함께 넣어 로마에 대한 종속 관계를 형식적으로나마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우렐리아누스 역시 팔미라의 동전 발행과 왕의 칭호 사용을 잠정적으로 용인했다.[45][121] 그러나 271년 말, 제노비아와 바발라투스는 마침내 ''아우구스투스''(황제) 칭호를 사용하며 로마로부터의 완전한 독립 의지를 드러냈다.[44][120]
4. 로마의 재정복과 제국의 멸망
272년,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는 팔미라 제국을 재정복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동방으로 진격했다.[46][122] 그는 아나톨리아와 시리아를 빠르게 가로지르며 임마이 전투와 에메사 전투 등에서 제노비아의 군대를 연이어 격파하고 수도 팔미라를 포위했다.[51][127][56][132][58][134]
결국 제노비아는 페르시아로 도주하려다 유프라테스 강 근처에서 로마군에게 사로잡혔고, 팔미라 시는 항복했다.[60][136][58][61][134][137] 아우렐리아누스는 제노비아와 그 측근들을 에메사에서 재판에 회부했으며, 대부분의 고관들은 처형되었으나 제노비아와 아들 바발라투스의 최후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140][141] 아우렐리아누스는 초반에는 팔미라 시를 파괴하지 않고 수비대만 남겨두었다.[138][139]
그러나 이듬해인 273년, 팔미라에서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를 중심으로 다시 반란이 일어났으나[142][143], 아우렐리아누스는 신속하게 돌아와 반란을 진압했다.[144][145] 반복된 반란에 분노한 아우렐리아누스는 이번에는 팔미라 시를 철저히 파괴하고 약탈하도록 명령했다.[147][149] 가치 있는 기념물들은 로마의 신전 장식을 위해 옮겨졌고[148], 도시의 주요 건물들과 신성한 벨 신전마저 파괴되거나 약탈당했다.[149] 이로써 팔미라 제국은 완전히 멸망하고, 한때 동방 무역의 중심지로서 번영했던 도시는 폐허로 전락했다.
4. 1. 아우렐리아누스의 반격

272년,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는 팔미라 제국을 제압하기 위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로 신속히 진격했다.[46][122] 프로부스가 이끄는 별동대가 이집트를 탈환했다는 기록이 있으나,[123] 다른 기록에 따르면 제노비아가 시리아 방어를 위해 군대를 철수시키면서 별다른 군사적 충돌 없이 수복되었다는 시각도 있다.[47][123]
아우렐리아누스는 계속 진군하여 티아나에 도착했다.[48][124] 티아나의 함락과 관련해서는 전설이 있다. 그 전까지 자신에게 저항하는 도시는 모두 파괴했던 아우렐리아누스가 꿈에서 존경하던 철학자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의 환영을 본 후 티아나를 파괴하지 않고 용서했다는 것이다.[49][125] 전설에 따르면 아폴로니우스는 "아우렐리아누스여, 지배를 원한다면 무고한 자들의 피를 멀리하십시오! 아우렐리아누스여, 정복하려면 자비를 베푸십시오!"라고 간청했다고 한다.[50][126] 이유가 무엇이었든 아우렐리아누스가 티아나에 관용을 베푼 것은 효과적이어서, 황제의 보복을 두려워하던 많은 도시들이 저항 없이 항복하는 결과를 낳았다.[49][125]
이수스를 지나 안티오크로 향하던 아우렐리아누스는 임마이 전투에서 제노비아의 군대를 격파했다.[51][127] 제노비아는 안티오크로 후퇴했다가 다시 에메사로 후퇴했고, 아우렐리아누스는 안티오크를 점령했다.[52][128] 로마군은 안티오크에서 재정비하고, 먼저 다프네(안티오크 남쪽 약 9.66km 지점의 정원[53][129])에 주둔한 팔미라 수비대를 격파한 뒤[54][130] 아파메아로 향했다.[55][131] 이후 에메사로 진격하여 에메사 전투에서 다시 제노비아 군을 격파하자, 제노비아는 수도 팔미라로 후퇴했다.[56][132]
아우렐리아누스는 사막을 가로질러 팔미라로 향했다. 도중에 제노비아에게 충성하는 베두인 부족들의 방해를 겪었으나, 도시 성문에 도착한 뒤 이들과 협상하여 팔미라를 배신하고 로마군에게 물과 식량을 공급하도록 설득했다.[57][133] 272년 여름, 아우렐리아누스는 팔미라 포위 공격을 시작했다.[58][134] 그는 제노비아에게 직접 항복을 조건으로 협상을 시도했으나, 제노비아는 이를 거부했다.[43][119] 로마군은 여러 차례 성벽 돌파를 시도했으나 팔미라 군의 저항에 부딪혀 격퇴되었다.[59][135] 상황이 악화되자 제노비아는 페르시아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도시를 탈출하여 동쪽으로 향했다.[60][136] 그러나 로마군은 그녀를 추격하여 유프라테스 강 근처에서 사로잡아 황제에게 데려왔다. 여왕이 사로잡히자 팔미라 시민들은 평화를 요청했고 도시는 항복했다.[60][136][58][61][134][137]
4. 2. 팔미라 함락과 제노비아의 최후
272년,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로 빠르게 진군했다.[122]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가 이끄는 별동대는 이집트를 재정복했는데,[123] 일부 기록에 따르면 제노비아가 시리아 방어를 위해 군대를 철수시키면서 큰 군사적 충돌 없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23][47] 아우렐리아누스는 진군을 계속하여 티아나에 도착했다.[124][48] 티아나 공방전과 관련해서는 유명한 일화가 전해진다. 이전까지 자신에게 저항하는 도시는 모두 파괴했던 아우렐리아누스였지만, 티아나에서는 그가 존경하던 철학자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가 꿈에 나타나 파괴를 만류했기 때문에 도시를 파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125][49] 전설에 따르면 아폴로니우스는 "아우렐리아누스여, 지배를 원한다면 무고한 자들의 피를 멀리하십시오! 아우렐리아누스여, 정복하려면 자비를 베푸십시오!"라고 간언했다고 한다.[126][50] 이유가 무엇이었든 아우렐리아누스가 티아나에 자비를 베푼 것은 효과가 있었다. 로마 황제가 보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이 퍼지자, 많은 도시들이 저항 없이 아우렐리아누스에게 항복했다.[125][49]
아우렐리아누스는 이수스를 거쳐 안티오크로 향하는 길목에서 벌어진 임마이 전투에서 제노비아의 군대를 격파했다.[127][51] 제노비아는 안티오크로 후퇴했다가 다시 에메사로 도망쳤고, 아우렐리아누스는 안티오크를 점령했다.[128][52] 로마군은 안티오크 근교 다프네에 주둔하던 팔미라 수비대를 격파하고[130][54] 남쪽으로 진격하여 시리아의 아파메아를 거쳐[131][55] 에메사로 향했다. 에메사 전투에서 다시 제노비아 군대를 격파하자, 제노비아는 수도 팔미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132][56] 아우렐리아누스는 사막을 가로질러 팔미라로 진군했는데, 이 과정에서 제노비아에게 충성하는 베두인 부족들의 방해를 받기도 했으나, 도시 성문에 도착한 뒤에는 베두인들과 협상하여 그들이 팔미라를 배신하고 로마군에게 물과 식량을 공급하도록 만들었다.[133][57]
272년 여름, 아우렐리아누스는 팔미라를 포위했다.[134][58] 그는 제노비아에게 직접 항복할 것을 요구하며 협상을 시도했지만, 제노비아는 이를 거부했다.[119][43] 로마군은 여러 차례 도시를 공격했지만 팔미라 군대의 방어에 막혀 격퇴되었다.[135][59] 그러나 상황이 점차 불리해지자, 제노비아는 도시를 탈출하여 동쪽의 페르시아에 도움을 요청하려 했다.[136][60] 하지만 로마군은 그녀를 추격하여 유프라테스 강 근처에서 사로잡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에게 데려왔다. 여왕이 붙잡히자 팔미라 시민들은 곧 평화를 요청하며 항복했다.[136][60][134][137][58][61]
아우렐리아누스는 제노비아와 그녀의 측근들을 에메사로 데려가 재판을 열었다. 팔미라의 고위 관리들 대부분은 처형되었지만,[140] 제노비아와 그녀의 아들 바발라투스의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이 명확하지 않아 불분명하다.[141] 아우렐리아누스는 팔미라 시 자체는 파괴하지 않고 산다리온이 이끄는 600명의 궁병 부대를 남겨두었다.[138] 도시의 방어 시설은 파괴되었고 군사 장비 대부분은 압수되었다.[139]
그러나 이듬해인 273년, 팔미라에서는 셉티미우스 아프사이오스가 이끄는 반란이 다시 일어났다.[142] 반란군은 메소포타미아 총독 마르켈리누스에게 황제가 되어달라고 요청했으나, 마르켈리누스는 협상을 지연시키며 아우렐리아누스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기다리다 못한 반란군은 제노비아의 친척인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를 황제로 추대했다.[143] 아우렐리아누스는 즉시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팔미라 원로원 격인 셉티미우스 하두단 등 도시 내부 협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진압했다.[144][145]
아우렐리아누스는 반란의 주동자였던 안티오쿠스는 살려주었지만,[146] 두 번의 반란에 분노하여 팔미라 시는 철저히 파괴하도록 명령했다.[147] 가치 있는 기념물들은 로마에 있는 황제의 솔 신전을 장식하기 위해 약탈되었고,[148] 건물들은 파괴되었으며 주민들은 학살당했다. 팔미라에서 가장 신성한 장소였던 벨 신전 역시 약탈을 피하지 못했다.[149]
4. 3. 팔미라의 파괴
273년, 팔미라에서는 시민 셉티미우스 아프사이오스가 이끄는 반란이 다시 일어났다.[142] 반란군은 메소포타미아 총독 마르켈리누스에게 접근하여 황제 자리를 차지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마르켈리누스는 시간을 끌며 이 사실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에게 보고했다. 기다림에 지친 반란군은 제노비아의 친척인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를 새로운 황제로 추대했다.[143]반란 소식을 들은 아우렐리아누스는 즉시 군대를 이끌고 다시 팔미라로 향했다. 그는 팔미라 내부의 협력자들, 특히 원로원 격인 셉티미우스 하두단을 중심으로 한 세력의 도움을 받아 도시를 비교적 쉽게 제압할 수 있었다.[144][145]
아우렐리아누스는 반란의 주동자였던 안티오쿠스의 목숨은 살려주었지만[146], 팔미라 도시 자체에 대해서는 이전과 다른 가혹한 조치를 내렸다. 도시는 철저하게 파괴되었고[147], 가치 있는 문화재와 기념물들은 로마에 있는 황제의 솔 신전을 장식하기 위해 약탈당했다.[148] 건물들은 무너졌고, 시민들은 곤봉으로 구타당했으며, 도시에서 가장 신성시되던 벨 신전마저 약탈의 대상이 되었다.[149] 이로써 한때 동방의 번영을 상징했던 팔미라는 폐허로 변했다.
5. 역대 통치자
wikitext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루키우스 셉티무스 오데나투스 | 260년 ~ 267년 | 사실상 통치자 |
와빌라트 | 267년 ~ 273년 | |
제노비아 | 267년 ~ 273년 | 와빌라트의 섭정, 사실상 통치자 |
셉티미우스 안티오쿠스 | 273년 | 로마에 대한 반란 중 추대됨[67] |
6. 평가와 유산
팔미라 제국은 명목상 바발라투스가 통치했지만, 실제 권력은 그의 어머니이자 섭정 여왕인 제노비아가 쥐고 있었다. 270년,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 동방 속주들을 빠르게 장악하며 로마와 대등한 관계를 추구했고, 271년에는 자신과 아들을 황제로 선포했다. 그러나 로마 제국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의 군사 원정으로 272년 제국은 무너졌다.[64][65] 이듬해 팔미라에서 다시 반란이 일어났으나[66], 아우렐리아누스는 이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도시를 파괴했다.[70] 팔미라의 귀중한 문화재들은 로마로 옮겨져 솔 신전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고,[61] 도시의 가장 신성한 벨 신전마저 약탈당하는 비운을 맞았다.[61]
팔미라 제국은 비록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특히 제노비아 여왕은 고대 후기 가장 야심 차고 유능했던 여성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팔미라가 로마에 반기를 든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술적 해석이 존재하며, 이는 제국의 복합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또한 팔미라 제국과 제노비아는 20세기 시리아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다시금 주목받으며 현대 시리아의 정체성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150][151]
6. 1. 다양한 관점
팔미라 제국의 반란 동기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다. 팔미라의 부상과 제노비아의 반란을 다룰 때, 역사가들은 이를 문화적, 민족적, 사회적 요인의 결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안드레아스 알펠디는 이 반란을 로마 제국에 대한 순수한 토착 민족의 저항으로 보았다. 이르판 샤히드는 제노비아의 반란을 칼리파조 시대 아랍 팽창의 선구적인 범아랍주의 운동으로 간주했으며, 이는 프란츠 알트하임과 필립 쿠리 히티를 비롯한 아랍 및 시리아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반면, 마크 휘토우는 반란이 본질적으로 민족적이었다는 해석에 동의하지 않고, 당시 로마의 약화와 팔미라를 페르시아로부터 보호하지 못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강조한다. 워릭 볼은 반란이 팔미라의 독립뿐만 아니라 로마 제국의 황제 자리를 노린 것이라고 보았다. 바발라투스의 비문에는 로마 황제의 양식이 나타나는데, 볼은 제노비아와 바발라투스가 시리아에서 세력을 키워 황제가 된 베스파시아누스처럼 로마 제위를 노린 찬탈자였다고 주장한다. 앤드루 M. 스미스 2세는 반란이 독립과 로마 제위 찬탈 모두를 목표로 했다고 보았다. 그는 팔미라 지배자들이 사용한 '왕 중의 왕' 같은 동방식 칭호는 로마 정치와는 무관하며, 정복 활동은 팔미라의 상업적 이익을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결국 제노비아와 바발라투스가 로마 황제를 칭한 것은 통치 말기의 짧은 기간이었다. 퍼거스 밀러는 반란이 단순한 독립 운동만은 아니었다는 견해에 주목하면서도, 반란의 본질을 명확히 규명하기에는 아직 증거가 부족하다고 본다.
20세기 중반, 시리아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팔미라 제국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150] 현대 시리아 민족주의자들은 팔미라 제국을 레반트 민중을 로마 통치로부터 해방시키려 했던 독특한 시리아 문명으로 간주한다.[151] 시리아에서는 제노비아의 삶을 다룬 TV 드라마가 제작되었고, 전 시리아 국방장관 무스타파 탈라스가 그녀에 대한 전기를 저술하기도 했다.
6. 2. 시리아 민족주의와의 연관성
20세기 중반, 시리아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팔미라 제국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150] 현대 시리아 민족주의자들은 팔미라 제국을 로마 제국의 지배로부터 레반트 지역의 민중을 해방시키려 했던 독특한 시리아 문명으로 여긴다.[151] 특히 여왕 제노비아는 이러한 관점에서 영웅으로 숭배받고 있으며, 그녀의 삶을 다룬 텔레비전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했다. 또한 시리아의 전 국방부 장관이었던 무스타파 탈라스는 제노비아의 전기를 집필하기도 했다.참조
[1]
서적
Coinage and History of the Roman Empire, C. 82 B.C.--A.D. 480: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0
[2]
서적
History and Literature of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
간행물
The Population of Roman Alexandria
[4]
간행물
Rise and fall of Palmyra, Syria
https://books.google[...]
[5]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6]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284-430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284-430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Imperial Roman Army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The Myth of Nations: The Medieval Origins of Europ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Walls of Rom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USA
[11]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Oup USA
[12]
서적
Coinage and History of the Roman Empire, C. 82 B.C.--A.D. 480: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
서적
Rome and Persia in Late Antiquity: Neighbours and Riv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8-11-17
[15]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16]
서적
Imperial Rome AD 193 to 284: The Critical Century
https://books.google[...]
[17]
서적
The Policy of the Emperor Gallienus
https://books.google[...]
BRILL
[18]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19]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20]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21]
서적
The Middle East Under Rome
https://books.google[...]
[22]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 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23]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24]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25]
서적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for the use of families and young persons: reprinted from the original text, with the careful omission of all passagers of an irreligious tendency, Volume 1
https://books.google[...]
[26]
서적
The Age of the Soldier Emperors: Imperial Rome, A.D. 244-284
https://archive.org/[...]
Noyes Press
[27]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8]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9]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0]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Oup USA
[31]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2]
서적
Dirasah li-āthār Mintaqat al-Jawf
https://books.google[...]
King Fahd National Library
[33]
서적
The Roman Near East, 31 B.C.-A.D. 337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Histories of the Middle East: Studies in Middle Eastern Society, Economy and Law in Honor of A.L. Udovitch
https://books.google[...]
BRILL
[35]
서적
The Politics and Culture of an Umayyad Tribe: Conflict and Factionalism in the Early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6]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7]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38]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39]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40]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41]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42]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43]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44]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45]
서적
Coinage and History of the Roman Empire, C. 82 B.C.--A.D. 480: History
https://books.google[...]
[46]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47]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48]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49]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50]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51]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52]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53]
서적
Syria, the Holy Land, Asia Minor, &c. illustrated: In a series of views drawn from nature
https://archive.org/[...]
Fisher, Son, & Co.; London, Paris, & America.
[54]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55]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56]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57]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5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59]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60]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61]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62]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63]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64]
서적
Zenobia, Or, The Fall of Palmyra: A Historical Romance in Letters from L. Manlius Piso from Palmyra, to His Friend Marcus Curtius at Rome
https://books.google[...]
[65]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6]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Oup USA
[67]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Oup USA
[68]
서적
Roman Syria and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69]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7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Romans: All That Matter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Press
[72]
서적
Among the Ruins: Syria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3]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74]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75]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76]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77]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78]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79]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80]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81]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284-430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AD 284-430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Imperial Roman Army
https://books.google[...]
[84]
서적
The Myth of Nations: The Medieval Origins of Europ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85]
서적
The Walls of Rome
https://books.google[...]
[86]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87]
서적
Coinage and History of the Roman Empire, C. 82 B.C.--A.D. 480: History
https://books.google[...]
[88]
서적
Rome and Persia in Late Antiquity: Neighbours and Rivals
https://books.google[...]
[89]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8-11-17
[90]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91]
서적
Imperial Rome AD 193 to 284: The Critical Century
https://books.google[...]
[92]
서적
The Policy of the Emperor Gallienus
https://books.google[...]
[93]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94]
서적
The Middle East Under Rome
https://books.google[...]
[95]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96]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97]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 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98]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99]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100]
서적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for the use of families and young persons: reprinted from the original text, with the careful omission of all passagers of an irreligious tendency, Volume 1
https://books.google[...]
[101]
서적
The Age of the Soldier Emperors: Imperial Rome, A.D. 244-284
https://archive.org/[...]
Noyes Press
[102]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03]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104]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05]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106]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07]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108]
서적
Dirasah li-āthār Mintaqat al-Jawf
https://books.google[...]
[109]
서적
The Roman Near East, 31 B.C.-A.D. 337
https://books.google[...]
[110]
서적
Histories of the Middle East: Studies in Middle Eastern Society, Economy and Law in Honor of A.L. Udovitch
https://books.google[...]
[111]
서적
The Politics and Culture of an Umayyad Tribe: Conflict and Factionalism in the Early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112]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13]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14]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115]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16]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17]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18]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19]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120]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121]
서적
Coinage and History of the Roman Empire, C. 82 B.C.--A.D. 480: History
https://books.google[...]
[122]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23]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24]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25]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26]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127]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28]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29]
서적
Syria, the Holy Land, Asia Minor, &c. illustrated: In a series of views drawn from nature
https://archive.org/[...]
Fisher, Son, & Co.; London, Paris, & America.
[130]
서적
Empress Zenobia: Palmyra's Rebel Queen
https://books.google[...]
[131]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32]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33]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3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135]
서적
Palmyra and Its Empire: Zenobia's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136]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37]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138]
서적
Ancient Syria: A Three Thousand 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139]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40]
서적
Zenobia, Or, The Fall of Palmyra: A Historical Romance in Letters from L. Manlius Piso from Palmyra, to His Friend Marcus Curtius at Rome
https://books.google[...]
[141]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142]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143]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https://books.google[...]
[144]
서적
Roman Syria and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145]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46]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14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2, The Crisis of Empire, AD 193-337
https://books.google[...]
[148]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149]
서적
Rome in the East: The Transformation of an Empire
https://books.google[...]
[150]
서적
The Romans: All That Matter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Press
[151]
서적
Among the Ruins: Syria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