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방은 조위의 제3대 황제이며, 명제의 아들로 8세에 즉위했다. 곽태후의 수렴청정과 조상, 사마의의 섭정을 받았으나, 사마의의 고평릉의 변으로 권력을 잃고 사마씨에게 정권을 빼앗겼다. 사마사의 권력 장악 시도에 반발하다 폐위되어 제왕으로 강등되었고, 서진 건국 후에는 소릉공으로 낮춰졌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섭정 세력 간의 권력 투쟁이 끊이지 않았으며, 결국 폐위되는 비운을 맞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예의 황자 - 조순 (조위)
    조순은 위나라 황족으로 조예의 아들들이 요절하자 입양되었고 진왕에 책봉되었으나 후사 없이 요절했으며, 출생에 대한 의혹이 있다.
  • 조위의 황제 - 조비
    조비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로, 조조 사후 위왕과 승상 자리를 이어받아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을 정비했으나 오나라 정벌에 실패하고 요절했으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문장경국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 조위의 황제 - 조환
    조환은 위나라의 마지막 황제였으며, 사마소에 의해 옹립되어 꼭두각시 황제로 있다가 사마염에게 선양을 강요당하고 진류왕으로 강등되었으며, 사후 원황제의 시호를 받았다.
  • 232년 출생 - 불도징
    불도징은 중국으로 건너와 불교를 전파하고 석륵을 개종시켜 고문이 되었으며, 아나파나사티 명상법을 가르쳐 불교를 대중화하고 중국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232년 출생 - 장화 (서진)
    장화는 서진 시대의 문학가이자 정치가로, 오나라 정벌에 기여하여 광무후에 봉해졌으나 팔왕의 난에 연루되어 처형당했으며 사후 복권되었다.
조방
기본 정보
이름조방
한자 표기曹芳
로마자 표기Cao Fang
생년232년
몰년274년
조방
난경
시호여공
봉호소릉공
통치
왕조조위
즉위일239년 1월 22일
퇴위일254년 10월 17일
선대 황제조예
후대 황제조모
연호정시 (240년 ~ 249년)
섭정조상
가족 관계
아버지조개 (임성왕)
배우자견황후
기타
봉작제왕 (1차) (235년 9월 23일 ~ 239년 1월 22일)

2. 생애

형제 조순과 함께 남몰래 명제가 들여온 아들로 어릴 때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며, 명제가 붕어한 후 8살의 나이에 황위에 올랐다.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올랐기 때문에 곽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고명대신조상, 사마의가 정치를 위임받았다.[13]

고평릉의 변으로 사마의가 권력을 독점하였고, 뒤를 이어 사마사가 정권을 이어받았다. 외척인 장집과 중서령 이풍, 황문감 소삭, 영녕서령 악돈, 중황문 용종복야 유현, 태상 하후현 등과 함께 사마씨를 토벌하고 황실의 위엄을 높이려 하였으나 사마사에게 발각되어 제왕(齊王)으로 강등되고 쫓겨난다.[13]

서진 건국 후에는 소릉공으로 낮춰진다. 그의 시호는 여(厲), 정식으로는 소릉여공(邵陵厲公)이다.[13]

조방은 조위의 모든 군주들 중 가장 오랫동안 재위했지만, 재위 기간 동안 단 한 번도 국가 권력을 장악하지 못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정치 상황은 섭정들이 지배했는데, 처음에는 조상이, 그 다음에는 사마의가 고평릉 사변을 통해 조상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은 후였다. 사마의가 사망한 후, 조방은 사마의의 아들인 사마사로부터 국가 권력을 되찾으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결국 사마사에 의해 폐위되었다.[13]

2. 1. 출신 배경 및 즉위

조방의 출생은 불분명하며, 조씨 일족 중 한 사람으로 추정된다.[13] 《위씨춘추》에 따르면 조창의 아들 임성왕 조해가 조방의 아버지라고도 한다.[4] 조예조비의 친자가 아닌 조창(혹은 조식)의 친자라는 설이 있는데, 이 경우 조예는 자신의 친동생인 조해의 아들 조방을 후사로 삼은 것이 된다.

조방은 어린 나이에 조예에게 입양되었다.[4] 청룡 3년(235년)에 제왕으로 봉해졌다.[4] 경초 3년(239년) 정월 삭 (1일), 조예가 병에 걸리자 조방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같은 날 사망하면서 8세의 나이에 황위에 올랐다.[5] 조예는 조방을 황태자로 책봉하고 같은 날 사망했다. 조예는 처음에는 조방을 삼촌인 조우에게 맡겨 하후현, 조상, 조조(曹肇), 진랑과 함께 섭정하게 하려 했으나, 조예의 측근인 유방손자는 하후현과 조조와 사이가 좋지 않아 결국 조예는 조상과 사마의를 섭정으로 임명하도록 설득당했다. 조우, 조조, 진랑은 섭정에서 제외되었다.[5]

조예가 붕어하고 유해는 고평릉에 묻혔으며, 조방이 황제로 즉위했다. 정무는 조상과 사마의가 처리했으며, 검리상전(검을 차고 신을 신은 채로 승전이 허락됨)·입조불추(조정 안에서 종종 걸음으로 달리지 않아도 책망받지 않음)·알찬불명(황제를 알현할 때 실명이 불리지 않음)이라는 특권을 부여받았다. 사마의는 촉한과의 전선을 담당했기 때문에 조상이 내정을 관장하고, 사마의가 군사를 관할했다. 이 시점에서는 표면적으로 조상이 연장자인 사마의를 존경했기 때문에, 양자 간에 큰 갈등은 보이지 않았다.

정시 2년(241년), 오의 주연 등이 번성을 포위하자, 사마의가 스스로 나서서 경기병을 지휘하여 구원에 나섰고, 주연을 물리쳤다(작피의 역). 정시 4년(243년) 정월, 원복을 했다. 조조의 묘정에 공신 20인을 제사했다[9]。이 해에 왜국 여왕이 조공을 바쳤다[10]

정시 5년(244년), 조상은 큰 공을 세우기 위해 촉한 침공을 꾀한다. 사마의는 실패를 예견하고 강하게 반대했지만, 조상은 촉한 출병을 강행했고(흥세의 역), 결과적으로 큰 실패로 끝나 많은 손해를 입었다. 그 때문에, 이 이후 양자 간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같은 해, 조조의 묘정에 공신 1인을 추가하여 제사했다[11]

정시 7년(246년), 관구검·왕기가 고구려를 토벌한다. 정시 8년(247년), 대방태수 왕기가 부임했다. 이때 한반도의 직할화가 완료되었다.

같은 해 5월, 조상이 정치 권력의 집약을 도모하는 가운데, 신변의 위험을 느낀 사마의는 정무에 관여하지 않고 자택에 틀어박혔다. 이를 들은 조상과 하안은 더욱 전횡을 강화하며, 국가 전복을 꾀하려 했다. 그런 가운데 이승은 조상의 명령으로 사마의 저택을 방문하자, 사마의는 병이 심한 척했다. 그로 인해 조상 등은 사마의에 대한 경계를 풀었다.

2. 2. 섭정 정치와 권력 투쟁

조위의 초대 황제 문제의 아들 명제가 남몰래 들여온 아들로, 어릴 때 황태자에 책봉되었다.[13] 어린 나이에 황위에 올랐기 때문에 곽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고명대신조상사마의가 정치를 위임받았다.[13] 조상과 사마의는 처음에는 국정을 공유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조상은 점차 사마의의 권력을 빼앗았다. 사마의에게 더 높은 관직을 제수하고 명예직을 부여했지만, 이러한 관직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다. 조상은 모든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사마의와 상의하지 않았다. 등양(鄧颺), 이승(李勝), 하안(何晏), 정밀(丁謐)과 같은 조상의 측근들이 고위 관료로 임명되었고, 조상과 관련이 없는 사람들은 조정에서 배제되었다. 사마의는 241년 동오의 공격으로부터 조위를 방어하는 지휘권을 포함하여 군사적 권한을 부여받았지만, 통치에 대한 실제 권한은 없었다.

정시 5년(244년), 조상은 군사적 명성을 얻고자 촉한의 국경 도시 한중을 공격했으나, 식량이 떨어지자 막대한 손실을 입고 철수해야 했다(흥세 전투).[6] 이 실패에도 불구하고 조상은 굳건히 국정을 장악했다. 247년, 사마의는 병을 핑계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가평 원년(249년) 1월 6일, 사마의는 고평릉 사변을 일으켜 조상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았다. 조방과 조상이 조예의 능을 참배하기 위해 수도 낙양을 떠나자, 사마의는 반조상파 관료들을 규합하여 낙양의 모든 문을 봉쇄했다. 그는 곽태후의 이름으로 조방에게 조상이 정부를 장악하고 부패시켰다고 비난하며, 조상과 그의 형제들을 권력에서 제거할 것을 요구하는 조서를 보냈다. 조상은 환범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권력을 넘겨주기로 결정했고,사마의는 조상에게 그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며칠 후, 사마의는 조상과 그의 가족, 측근들을 반역죄로 처형했다. 이때 사마의는 정부를 완전히 장악했다.

사마의가 섭정으로 권력을 장악한 후, 그는 신중하지만 끈질기게 자신의 정치적 반대자들을 제거했다. 조방은 사마의 지지자들의 압박에 의해 사마의에게 구석을 제안했지만, 사마의는 이를 거절했다.

가평 3년(251년), 왕릉은 동남쪽 도시인 수춘을 책임지고 있는 장군이었는데, 초왕 조표와 연합하여 사마의에 대항하는 반란을 계획했다. 왕릉이 계획을 실행에 옮기려 하자, 그의 부하 황화(黃華)와 양홍(楊弘)이 사마의에게 그를 배신했다. 사마의는 왕릉이 행동을 취하기 전에 군대를 이끌고 수춘으로 진격했고, 반란에 대한 왕릉의 사면을 약속했다. 왕릉은 항복했고, 나중에 조표와 함께 자결해야 했다. 왕릉의 일족과 추종자들 또한 학살당했다. 사마의는 그해 9월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사마사가 섭정직을 이어받아 계속해서 국가 권력을 행사했다.[12]

가평 6년(254년), 이풍, 하후현, 장집(장황후의 아버지) 등이 사마사를 추방하려 계획했지만 실패하고, 관계자는 모두 주살되었다. 장황후를 폐하고, 새로이 왕황후를 세웠다. 이 사건으로 사마사는 황제의 폐위를 계획하고, 이미 성인이 되었음에도 정무를 돌보지 않고 색욕에 탐닉하고 있다는 이유로 조방은 폐위되어 제왕으로 강등되었다.

2. 3. 폐위 이후

조방은 폐위된 후 제왕으로 강등되었고, 하내의 궁궐로 옮겨졌다.[13] 사마염이 266년 2월 조위의 제위를 찬탈하고 진나라를 건국하자, 조방은 소릉공으로 강등되었다.[13] 그는 274년에 사망하였으며, 시호는 소릉여공(邵陵厲公)이다.[13] 알려진 후손은 없다.

:''비공식 칭호''

  • 위 소제(魏少帝, 魏少帝; '위의 어린 황제'라는 뜻)
  • 위 폐제(魏廢帝, 魏廢帝; '폐위된 위 황제'라는 뜻)


:''사후 칭호''

  • 제 애왕(齊哀王)
  • 소릉 려공(邵陵厲公)

3. 연호

조방이 사용한 연호는 정시(正始)와 가평(嘉平)이다. 정시는 240년부터 249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가평은 249년부터 254년까지 사용되었다.

전폐제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
(西曆)
240년241년242년243년244년245년246년247년248년249년
간지
(干支)
경신(庚申)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
연호
(年號)
정시(正始)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가평(嘉平)
원년
전폐제11년12년13년14년15년
서력
(西曆)
250년251년252년253년254년
간지
(干支)
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
연호
(年號)
2년3년4년5년6년


4. 가족 관계

조방의 황후는 회황후 견씨, 장황후, 왕황후가 있다. 견씨는 251년에 사망했다.

조방의 황후
이름비고
회황후 견씨 (회황후 견씨/懷皇后 甄氏중국어)251년 사망
장황후 (장황후/張皇后중국어)
왕황후 (왕황후/王皇后중국어)



조방의 후궁으로는 귀인 형씨, 미인 장씨, 보림 이화, 보림 유훈, 우완 등이 있었다. 귀인 형씨는 나중에 손일의 처가 되었다.

4. 1. 황후

조방의 황후는 회황후 견씨, 장황후, 왕황후가 있다. 견씨는 251년에 사망했다.

조방의 황후
이름비고
회황후 견씨 (회황후 견씨/懷皇后 甄氏중국어)251년 사망
장황후 (장황후/張皇后중국어)
왕황후 (왕황후/王皇后중국어)



조방의 후궁으로는 귀인 형씨, 미인 장씨, 보림 이화, 보림 유훈, 우완 등이 있었다. 귀인 형씨는 나중에 손일의 처가 되었다.

4. 2. 형제

5. 한국과의 관계

6. 평가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Wei Shi Pu
[3] 서적 Wei Shi Pu
[4] 서적 Wei Shi Chun Qiu
[5] 서적 Weilüe
[6] 서적 Sanguozhi
[7] 서적 三国志
[8] 서적 梁書
[9] 서적 三国志
[10] 서적 三国志
[11] 서적 三国志
[12] 서적 三国志
[13] 문서 삼소제기(三少帝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