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1세는 1657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1713년 사망한 프로이센의 국왕이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로 즉위한 후, 1701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프로이센의 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지원한 대가로 왕국 승격을 얻어냈으며, 호엔촐레른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예술과 학문을 장려하여 할레 대학교,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그는 세 번 결혼했으며, 베를린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손자인 프리드리히 2세는 그를 "용병왕"으로 불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크리스티안 골트바흐
크리스티안 골트바흐는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출신의 수학자로, 당대 수학자들과 교류하며 수학 연구에 기여했고, 특히 골드바흐 추측으로 유명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러시아 정부에서 공헌했다.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한스 폰 레발트
한스 폰 레발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대북방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및 7년 전쟁에 참전한 프로이센 군인이자 야전원수이다. - 프로이센 공작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게오르크 빌헬름
게오르크 빌헬름은 1595년에 태어나 1640년에 사망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로서, 30년 전쟁 시기 외세 의존적인 정책으로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피해를 입혔다. - 프로이센 공작 -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공작은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으로, 튜튼 기사단장으로서 프로테스탄트로 개종 후 폴란드 왕의 봉신으로 프로이센 공국을 건국하고 종교 및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치세 후반에는 혼란에 직면했다. - 프로이센 국왕 - 프리드리히 3세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1888년에 99일간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자유주의 성향으로 독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으나 후두암으로 짧게 재위하여 독일 자유주의 쇠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프로이센 국왕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프리드리히 1세 |
독일어 이름 | Friedrich I. |
작위 | |
작위 | 프로이센의 왕 |
즉위 | 1701년 1월 18일 |
후대 왕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다른 작위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통치 기간 | 1688년 5월 9일 – 1713년 2월 25일 |
프로이센 공 | 1688년 5월 9일 – 1701년 1월 18일 |
생애 | |
출생일 | 1657년 7월 11일 |
출생지 | 쾨니히스베르크, 프로이센 |
사망일 | 1713년 2월 25일 |
사망지 | 베를린, 프로이센, 신성 로마 제국 |
매장지 | 베를린 대성당 |
가족 | |
배우자 | 엘리자베트 헨리에테 폰 헤센-카셀 (1679년 결혼, 1683년 사망) 조피 샤를로테 폰 하노버 (1684년 결혼, 1705년 사망) 조피 루이제 폰 메클렌부르크-그라보우 (1708년 결혼) |
자녀 | 루이제, 헤센-카셀의 세습 공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왕가 | 호엔촐레른 |
아버지 | 프리드리히 빌헬름 |
어머니 | 루이제 헨리에테 |
종교 | |
종교 | 칼뱅주의 |
서명 | |
![]() |
2. 어린 시절
프리드리히 1세는 1657년 7월 11일 동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과 그의 첫 부인 루이제 헨리에테 사이에서 태어났다. 네덜란드 총독 겸 잉글랜드 왕 윌리엄 3세는 그의 외사촌이었다.[1] 그는 유아기에 사망한 3명의 친형제를 포함하여 6명의 친형제가 있었고, 아버지의 두 번째 결혼으로 7명의 의붓 형제가 있었다. 어린 시절 사고로 인해 꼬인 발목과 굽은 등을 갖게 되어 베를린에서 "구부러진 프리츠"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Friedrich III.de는 1688년 아버지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사망하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자리를 이어받아 프리드리히 3세가 되었다. 즉위 초, 에버하르트 폰 당켈만을 수상으로 임명하여 국정을 맡겼다. 당켈만은 중앙집권화 정책을 추진하고, 새로운 영토를 통합하는 데 기여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우유부단하고 측근에 휘둘리는 경향이 있었다. 1701년부터 1710년까지 요한 카지미르 콜베 폰 바르텐베르크, 아우구스트 다비트 추 자인-비트겐슈타인-호엔슈타인, 알렉산더 헤르만 폰 바르텐슬레벤 등 세 명의 백작이 국정을 농단하여 "세 악인 W" 체제라 불렸다.[4] 이들은 재상 바르텐베르크의 추종자들이었다. 1710년, 프리드리히 1세는 이들을 해임했다.
1674년 형 카를 에밀이 19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프리드리히는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위 상속자가 되었다. 그는 형이 사망한 후 그의 보호자 역할을 맡은 가정 교사이자 친구인 에버하르트 폰 단켈만에게 교육받으며 성장했다.[1]
3.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시절
프리드리히 3세는 프랑스의 루이 14세에 대항하는 대동맹(아우크스부르크 동맹)에 참여하여 9년 전쟁(1688-1697)에서 활약했다. 1689년에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본 포위 공격에 참여하기도 했다.
1692년에는 이복 동생 필리프 빌헬름과의 협정을 통해 할버슈타트의 통치권을 확보했다.
1694년 할레 대학교를 설립하고, 1696년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를 창립하는 등 문화, 학술 진흥에 힘썼다. 1699년에는 리첸부르크 궁전(현재의 샤를로텐부르크 궁전)을 조영했다.
1697년, 프리드리히 3세는 당켈만을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하고 투옥했다. 이후 요한 바르텐베르크, 아우구스투스 비트겐슈타인, 알렉산더 바르텐슬레벤 등 부패한 공무원들이 국정을 농단했다.
4. 프로이센 국왕 즉위
1700년 11월 16일, 프리드리히 3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왕가를 돕기로 약속하고, 그 대가로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로부터 왕의 칭호를 허락받았다.[3] 이로써 프리드리히 3세는 1701년 1월 18일 혹한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대관식을 거행하고 "프로이센의 왕" (König '''in''' Preußen) 프리드리히 1세가 되었다. 이 때부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비롯한 호엔촐레른 가문의 여러 영토가 왕 아래 통합되어 근대 국가로서의 통합을 이루게 되었다.
프리드리히는 레오폴트 1세를 설득하여 왕관 조약을 통해 프로이센을 왕국으로 승격시켰다. 이 협정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루이 14세에 대항하는 동맹과 레오폴트의 군대에 8,000명의 프로이센 군대를 제공하는 대가로 이루어졌다. 프리드리히는 프로이센이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던 적이 없으며, 그는 프로이센을 완전히 주권적으로 통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가 프로이센을 왕국으로 통치하는 데 법적, 정치적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3]
프리드리히는 1701년 1월 18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스스로 대관식을 거행했다. 그는 황제의 동의를 얻었고, 폴란드 국왕 칭호를 가지고 있던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투스 2세의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세임은 이 대관식에 이의를 제기하며 불법으로 간주했다.[4]
5. 통치 스타일 및 정책
프리드리히 1세는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였다. 1696년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1700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했다.[10] 그는 프랑스 문화를 동경하여 베를린 궁정을 베르사유 궁전처럼 꾸몄다. 베를린을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호엔촐레른 궁전을 확장하고, 대규모 무기고를 건설했다.
5. 1. 문화 정책
1694년 할레 대학교 설립을 지원했다. 1696년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회화, 조각, 건축 예술 아카데미)를 창립했다.[10] 1700년 베를린 학술 협회를 창립하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를 초대 회장으로 임명했다.[10] 1693년 건축가 안드레아스 슐뤼터를 초빙하여 베를린 무기고 건설을 시작하게 했다. 왕비 조피 샤를로테는 프랑스어를 잘하는 지성적인 여성이었고, 그녀의 살롱에는 일류 예술가와 학자들이 모여들었기에 베를린의 지식계층은 크게 활발해졌다. 프리드리히 1세의 문교 정책은 그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5. 2. 외교 정책
프리드리히 1세는 아버지 프리드리히 빌헬름과는 달리 프랑스와 동맹을 추구하지 않고, 오히려 프랑스에 대항하는 정책을 펼쳤다. 1689년에는 아우크스부르크 동맹에 브란덴부르크를 참여시켰고, 9년 전쟁에서 연합군의 일원으로 직접 군대를 이끌고 참전하여 본을 포위하고 점령하기도 했다.[3] 이러한 반프랑스 정책은 그의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700년 11월 16일, 프리드리히 1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원하기로 약속했고, 그 대가로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로부터 왕의 칭호를 받았다. 1701년 1월 18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대관식을 거행하고 "프로이센의 왕"(König '''in''' Preußen) 프리드리히 1세가 되었다.[4][5]
1702년, 오라녜 공위를 계승한 요한 빌렘 프리소의 상속권에 이의를 제기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어머니를 통해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상속권을 주장했다. 이 문제는 프리드리히 1세 시대에는 해결되지 않았고, 아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치세인 1732년까지 이어졌다.
6.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헤센-카셀의 엘리자베트 헨리에테 (1679년 결혼, 1683년 사망) | 루이제 도로테아 (1680년 출생, 1705년 사망) |
하노버의 조피 샤를로테 (1684년 결혼, 1705년 사망)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조피 루이제 (1708년 결혼, 1735년 사망) | 자녀 없음 |
카타리나 폰 바르텐베르크 (1696년 ~ 1711년, 정부) | 없음[1] |
7. 유산
프리드리히 1세는 프로이센을 왕국으로 승격시키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여 프로이센이 유럽의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1701년 1월 18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스스로 대관식을 거행하고 "프로이센의 왕" 프리드리히 1세가 되었다.[3] 이 때부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으로 불리던 호엔촐레른 가문의 영토가 왕 아래 통합되어 근대 국가로서의 통합을 이루게 되었다.
그의 문화 정책은 베를린을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1694년 할레 대학을 설립하고, 베를린의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1696년)와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1700년)를 창립하였다.[10] 그는 또한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를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학장으로 임명하는 등 학문 발전에도 힘썼다.
하지만 프리드리히 1세는 명군이라고는 할 수 없었고, 측근의 결정에 휘둘리는 우유부단한 군주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손자 프리드리히 2세(대왕)는 그를 "용병왕"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프리드리히 1세가 프로이센 군대를 다른 지역 방어에 활용하여 이익을 얻었기 때문이다.[11] 프리드리히 2세는 할아버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그는 작은 일에 위대했고, 큰 일에 작았다"고 평가했다.[12]
1713년 2월 25일 베를린에서 사망했으며, 베를린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8. 계보
16.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2세 헥토르 |
---|---|
8.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한 지기스문트 |
17. | 마그달레네 폰 작센 |
4.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게오르크 빌헬름 |
18. |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
9. | 안나 폰 프로이센 여공작 |
19. | 마리아 엘레오노레 폰 율리히클레베스베르크 |
2.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
20. | 팔츠 선제후 루트비히 6세 |
10. |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4세 |
21. | 엘리자베트 폰 헤센 |
5. |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폰 데어 팔츠 |
22. | 침묵공 빌헬름 |
11. | 나사우 백작부인 루이즈 율리아나 |
23. | 샤를로트 드 부르봉몽팡시에 |
1. | 프리드리히 1세 |
24. | 침묵공 빌헬름 |
12. | 침묵공 빌헬름 |
25. | 샤를로트 드 부르봉몽팡시에 |
6. | 오렌지 공작 프리드리히 헨리크 |
26. | 가스파르 드 콜리니 |
13. | 루이즈 드 콜리니 |
27. | 샤를로트 드 라발 |
3. | 나사우 백작부인 루이즈 헨리에테 |
28. | 요한 알브레히트 1세 |
14. | 솔름스-브라운펠스 백작 요한 알브레히트 1세 |
29. | 엘리자베트 폰 만스펠트-힌테르오르트 |
7. | 아말리아 폰 솔름스-브라운펠스 |
30. | 루트비히 1세 |
15. | 아그네스 폰 자인-비트겐슈타인 |
31. | 엘리자베트 폰 졸름스-라우바흐 |
프리드리히 1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프리드리히 1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프리드리히 2세'''
:*** 아우구스트 빌헬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빌헬름 1세'''
:*** '''프리드리히 3세'''
: '''빌헬름 2세'''
1701년 - 1772년: 프로이센 왕
1772년 - 1918년: 프로이센 국왕
1871년 - 1918년: 독일 제국 황제 겸임.
참조
[1]
웹사이트
Stenzel (1841), Band 3, Buch VI, 2. Hauptstück, p. 406
http://digital.ub.un[...]
[2]
서적
Frederick the Great
1970
[3]
웹사이트
Bohemia {{!}} History, Loca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31
[4]
서적
Brandenburg-Prussia, 1466–1806: The Rise of a Composite Stat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
[5]
서적
The Other Prussia: Royal Prussia, Poland and Liberty, 1589–17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6]
서적
Das Gesandtschaftszeremoniell des brandenburgisch-preußischen Hofes um 1700
Duncker & Humboldt
[7]
서적
Anglo-Prussian Relations 1701-1713: The Reciprocal Production of Status Through Ceremony, Diplomacy, an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서적
Anglo-Prussian Relations 1701–1713: The Reciprocal Production of Status through Ceremony, Diplomacy, and War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4-02-20
[9]
서적
History of Frederick the Great: Comprehending a Complete History of the Silesian Campaigns and the Seven Years' War
https://archive.org/[...]
Henry G. Bohn
[10]
서적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Penguin
2006
[11]
서적
Blenheim
Charles Spencer, 9th Earl Spencer
[12]
서적
The Ancien Régime in Europe: Government and Society in the Major States, 1648–1789
The Bodley He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