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데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데나이는 고대 에트루리아 정착지였으며, 로마 왕국 및 로마 공화국과의 갈등을 겪었다. 기원전 8세기부터 여러 차례 로마에 패배했으며, 클라우디아 씨족에게 영토를 제공하며 로마와의 관계가 복잡해지기도 했다. 기원전 435년 로마에 점령된 후 파괴되었으나, 서기 27년에는 원형경기장 붕괴 참사로 2만 명 이상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로마 원로원은 검투사 경기 주최 자격 제한, 경기장 안정성 검사 의무화 등의 조치를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옛 취락 - 헤르쿨라네움
헤르쿨라네움은 이탈리아 에르콜라노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오스칸족이 건설한 후 로마의 무니키피움이 되었으나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묻혀 1709년에 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파피루스의 빌라 등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고대 로마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 이탈리아의 옛 취락 - 폼페이
기원전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멸망한 폼페이는 로마 식민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화산재에 묻혀 보존되면서 고대 로마 사회상을 보여주는 유적이 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라치오주의 로마 유적 - 포르투스
포르투스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물자 수송의 중심 역할을 한 고대 로마 제국의 주요 항구로,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확장되었으며 티베르 강과 연결되어 다양한 물품을 운송했으나 중세 시대에 쇠퇴하여 현재는 피우미치노 지역에 유적이 남아있다. - 라치오주의 로마 유적 - 알바 롱가
알바 롱가는 고대 이탈리아의 도시로, 로마 신화에 따르면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건국 이전 라틴족의 중심 도시였으나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과 베스타 신앙의 중심지였다.
| 피데나이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국가 | 고대 로마 |
| 위치 | 라티움 |
| 역사 | |
| 중요 사건 | 기원전 435년: 로마에 의해 파괴됨 |
| 중요 사건 상세 | 로물루스 왕에 의해 정복됨 로마의 세 번째 왕인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에 의해 파괴됨 기원전 435년에 로마인에 의해 파괴됨 |
| 지리 | |
| 위치 정보 | 로마에서 북동쪽으로 8km 떨어진 곳 |
| 상세 위치 | 티베르 강을 따라 살라리아 가도에 위치 |
| 추가 정보 | |
| 관련 정보 | 현재는 로마의 피데네 지역 |
2. 역사
로마 왕국 시대부터 로마 제국 시대까지 피데나이의 역사는 이어진다.
초기 피데나이는 에트루리아인의 정착지로, 로마 왕국과 베이이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로물루스 왕 시기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이후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왕과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왕 시기에도 로마에 패배했다.
로마 공화국 초기에는 사비니인 망명자들에게 영토를 제공하면서 로마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로마에서 추방된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왕은 에트루리아와 연합하여 로마를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기원전 505년/기원전 504년에는 로마가 사비니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피데나이를 포위하여 함락시켰다. 기원전 437년과 기원전 426년에도 웨이이와 연합하여 로마에 맞섰으나 패배하고 파괴되었다.
서기 27년에는 피데나이에서 아틸리우스가 건설한 목조 원형경기장이 붕괴되어 2만 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티베리우스 황제는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피데나이로 달려갔고, 로마 원로원은 경기장 안전 규정을 강화하고 아틸리우스를 추방했다.[27][28][29][30]
2. 1. 로마 왕국과의 갈등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6세기)
에트루리아인의 정착지였던 피데나이는 로마 왕국의 변방에 위치하여 로마와 베이이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23]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8세기 로마 초대 국왕인 로물루스 통치 시기에 피데나이와 베이이는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였다.[24] 리비우스는 피데나이를 로마의 식민지로 기록하였는데, 전쟁에서 패배한 뒤 식민지가 설립되었다는 설이 있다.[25]
기원전 7세기 중반 로마 제3대 국왕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치세와 기원전 6세기 초 로마 제5대 국왕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치세에도 피데나이와 베이이는 로마에 패배했다.
2. 2. 로마 공화국과의 갈등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로마 공화국 초기, 피데나이는 사비니인 망명자로 구성된 클라우디아 씨족에게 영토를 제공하면서 로마와의 관계가 복잡해졌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사비누스 인레길렌시스가 친족, 500명의 병사 및 클리엔테스와 함께 로마로 망명하자, 로마는 클라우디우스를 원로원 의원으로 삼고 아니에네 강 북쪽의 토지를 주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로마는 아니에네 강 북쪽, 피데나이 주변의 토지도 약속했지만, 피데나이에서 승리해야만 했다.[11]로마의 마지막 국왕인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로마에서 추방된 후, 기원전 509년에 복위를 목표로 에트루리아에 개입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 기원전 508년에는 클루시움(현재 키우시) 왕 라르스 풀세나스의 지원을 요청했으나,[15] 풀세나스는 로마를 포위했지만 강화하고 귀국했다.
이후 타르퀴니우스 일가는 라티움을 전복시키려는 행동에 나섰다. 섹스투스 타르퀴니우스는 루크레티아를 강간하여 왕정 폐지의 원인을 제공하였고, 사비니족에게 로마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도록 설득했다. 그는 이전의 조약이 왕의 추방으로 무효화되었다고 주장했다. 타르퀴니우스 가문은 이전 로마 동맹국이었던 피데나이와 카메리아를 끌어들였다.
기원전 505년/기원전 504년, 로마는 사비니족과의 결전에서 대승한 데 이어 피데나이에 포위전을 이어갔다.[16] 피데나이는 며칠 후 함락되었고, 로마는 피데나이를 주둔지로 삼았다.[26] 피데나이의 지도층은 채찍질을 당한 후 파스케스 도끼로 참수되었다.[11] 기록은 없지만, 클라우디우스 씨족도 로마군에 가담하여 피데나이와 싸웠고, 수비병에 가담했을 가능성도 있다.
기원전 437년, 웨이이 왕 라르스 톨루미우스가 웨이이, 피데나이, 팔스키, 카페나의 에트루리아 도시 연합군을 이끌고 로마에 도전했으나, 일기토에서 패하여 전사했고 연합군은 패배했다. 기원전 426년에는 웨이이와 피데나이가 또다시 로마와 싸웠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피데나이의 반란은 일곱 번째였다. 웨이이·피데나이는 패배했고, 피데나이는 파괴되었다. 피데나이 병사들은 로마로 끌려가 노예로 경매되었다.[17] 피데나이는 기원전 435년 로마의 점령 이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이 시점에서 거의 버려진 도시였다고 전해진다.
2. 3. 원형경기장 붕괴 참사 (서기 27년)
서기 27년, 피데나이에서 아틸리우스라는 사업가가 건설한 값싼 목조 원형경기장이 무너져, 현장에 있던 관람객 5만 명 가운데 최소 2만 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는 역사상 최악의 경기장 붕괴 참사가 발생했다.[27][28]티베리우스 황제는 검투사 경기 금지령을 해제했는데, 이로 인해 처음으로 치러지는 경기에 수많은 관람객이 몰려들었다. 피데나이 원형경기장에도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경기장이 붕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사건 당시 티베리우스는 카프리의 도피처에 안전하게 머물러 있었으나, 붕괴 참사의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급히 피데나이로 달려갔다.[29]
붕괴 사고에 대한 대응으로 로마 원로원은 재산이 40만 세스테르티우스 미만인 자의 검투사 경기 주최를 금지하고, 추후 건설될 모든 원형경기장은 안정된 부지에 건립하고 안정성을 검사 및 인증받도록 조치했다. 또한 경기장 건립을 주도한 아틸리우스를 추방했다.[30]
3. 현대적 의의
피데나이의 역사는 고대 로마와 주변 도시 간의 권력 투쟁, 그리고 대규모 참사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서기 27년, 피데나이에서 발생한 원형경기장 붕괴 참사는 안전 불감증과 부실 공사가 초래할 수 있는 비극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사례이다.[27][28]
당시 아틸리우스라는 사업가가 건설한 목조 원형경기장은 값싸게 지어졌으며, 티베리우스 황제의 검투사 경기 금지령이 해제된 직후 열린 경기에 수많은 관람객이 몰리면서 붕괴되었다.[27][28] 이 사고로 최소 2만 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여 역사상 최악의 경기장 붕괴 참사로 기록되었다.[6][7]
로마 원로원은 붕괴 사고에 대한 대응으로 재산이 40만 세스테르티우스 미만인 자의 검투사 경기 주최를 금지하고, 향후 건설될 모든 원형경기장은 안정된 부지에 건립하고 안정성 검사 및 인증을 받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하였다.[30] 또한 경기장 건립을 주도한 아틸리우스는 추방되었다.[30]
이러한 피데나이 원형경기장 붕괴 참사는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EB1911
[2]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3]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4]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5]
서적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6]
서적
Annales
[7]
서적
The Lives of the Twelve Caesars
[8]
서적
The First Century: Emperors, Gods, and Everyman
Castle Books
[9]
서적
Annales
[10]
간행물
Failure at Fidenae: Understanding the site of the largest structural disaster of the Roman world
https://www.scienced[...]
2018
[11]
서적
ローマ建国史
[12]
서적
ローマ建国史
[13]
서적
ローマ建国史
[14]
서적
ローマ建国史
[15]
서적
地理誌
[16]
서적
歴史叢書
[17]
서적
ローマ建国史
[18]
서적
年代記
[19]
서적
皇帝伝(ティベリウス)
[20]
서적
The First Century: Emperors, Gods, and Everyman
Castle Books
[21]
서적
年代記
[22]
EB1911
[23]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24]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25]
서적
Ab Urbe Condita
http://www.gutenberg[...]
[26]
서적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27]
서적
Annales
https://archive.org/[...]
[28]
서적
The Lives of the Twelve Caesars
https://archive.org/[...]
[29]
서적
The First Century: Emperors, Gods, and Everyman
https://archive.org/[...]
Castle Books
[30]
서적
Annale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