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6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6세기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성립, 솔론의 아테네 정치 개혁, 바빌론 유수 시작 등 서아시아와 지중해 지역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페르시아는 리디아를 정복하고 수도를 파사르가다에로 정했으며, 키루스 2세는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이 시기에는 석가모니의 탄생, 불교의 시작, 16대국 성립 등 동아시아와 인도에서도 중요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또한, 크로이소스의 금화 유통, 고대 로마의 호민관 선출, 클레이스테네스의 아테네 정치 개혁 등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변화가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키루스 2세, 솔론, 석가모니, 공자 등이 있다. 탈레스는 일식을 예측하고, 수슈루타는 결석증 치료를 위한 수술을 기록하는 등 과학적 발전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1천년기 - 기원전 3세기
기원전 3세기는 로마의 지중해 패권 확장과 진나라의 중국 통일을 중심으로 동서양에 걸쳐 격변이 일어났으며, 웅장한 건축물의 완공, 플레브스 권익 신장 법률 제정, 아르키메데스, 에라토스테네스, 유클리드 등 학자들의 활동으로 정치, 군사, 사회, 문화, 과학, 철학 전반에 급격한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 기원전 제1천년기 - 고대 카르타고
고대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경 페니키아에서 건설된 식민 도시 국가로 시작하여 지중해 무역을 통해 번성하며 서지중해의 패권을 장악, 푸니크 문화를 형성하고 로마와 갈등을 겪었으나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한 도시이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6세기 | |
---|---|
6세기 BC | |
기간 | 기원전 600년 ~ 기원전 501년 |
설명 | 기원전 6세기는 기원전 600년부터 기원전 501년까지의 100년이다. |
주요 사건 | |
정치 및 전쟁 | 기원전 600년경: 마르세유가 포카이아인에 의해 설립됨. 기원전 594년: 솔론이 아테네의 아르콘으로 임명되어 개혁을 시작함. 기원전 585년 5월 28일: 밀레투스의 탈레스가 예측한 일식이 발생하는 동안 할리스 강 전투가 벌어져 리디아와 메디아 간의 전쟁이 종식됨. 기원전 580년경: 코린토스 지협 경기가 설립됨. 기원전 562년: 나부-쿠두리-우수르 2세가 아멜-마르두크를 암살하고 바빌로니아의 왕이 됨. 기원전 560년경: 크로이소스가 리디아의 왕이 됨. 기원전 550년경: 카르타고가 시칠리아의 대부분을 정복함. 기원전 547년: 크로이소스가 키루스 2세에 의해 패배함; 페르시아가 리디아를 정복함. 기원전 546년: 키루스 2세가 파사르가대에 수도를 둠. 기원전 540년경: 엘레아가 남부 이탈리아에 설립됨. 기원전 539년: 키루스 2세가 바빌론을 정복함. 기원전 537년: 이스라엘인들이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옴. 기원전 530년경: 마사게타이가 키루스 2세를 죽임. 기원전 525년: 캄비세스 2세가 페르시움 전투에서 이집트의 프삼메티코스 3세를 물리치고 이집트를 정복함. 기원전 522년: 스메르디스가 캄비세스 2세를 계승하여 페르시아의 왕이 됨. 기원전 522년: 다리우스 1세가 스메르디스를 죽이고 페르시아의 왕이 됨. 기원전 516년: 다리우스 1세가 인더스 강 계곡을 정복함. 기원전 513년: 다리우스 1세가 스키타이를 정복하기 위해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넘. 기원전 510년: 히파르코스가 암살됨. 아테네에서 참주 정치가 종식됨. 기원전 510년: 로마에서 마지막 로마 왕인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축출됨; 로마 공화국이 설립됨. 기원전 509년: 로마의 첫 번째 집정관이 선출됨. 기원전 508년: 클레이스테네스가 아테네에서 민주주의 개혁을 시작함. 기원전 506년: 라틴 리그가 아리시아 전투에서 에트루리아인을 물리침. 기원전 502년: 나르본이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에 설립됨. |
과학 및 문화 | |
과학 및 철학 | 기원전 6세기: 고대 그리스에서 문자 해독이 널리 퍼짐. 기원전 6세기: 피타고라스가 크로토네에서 피타고라스 학파를 설립함. 기원전 540년경: 크세노파네스가 콜로폰에서 이탈리아로 이주함. |
종교 및 신화 | 기원전 551년: 공자가 중국의 루나라에서 태어남. 기원전 543년: 쿠시나가라에서 고타마 붓다가 사망함. 기원전 520년경: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인 조로아스터가 사망함. |
기타 | |
발명 및 발견 | 기원전 6세기: 조선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타남. |
주요 인물 | |
군주 | 키루스 2세 (기원전 600년경 – 기원전 530년) 캄비세스 2세 (사망: 기원전 522년) 다리우스 1세 (기원전 550년경 – 기원전 486년) |
철학자 | 탈레스 (기원전 624년경 – 기원전 546년) 피타고라스 (기원전 582년경 – 기원전 496년) 공자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 손자 (기원전 544년 – 기원전 496년) |
참고 |
2. 주요 사건
- 기원전 594년: 솔론이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 정치 개혁을 시작했다.
- 기원전 587년: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바빌론 유수가 시작되었다.
- 기원전 563년경: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가 룸비니에서 태어났다.
- 기원전 550년: 키루스 2세가 메디아 왕국을 정복하고 아케메네스 제국을 건국했다.
- 기원전 546년: 아케메네스 제국이 리디아 왕국을 정복하고,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의 실권을 장악했다.
- 기원전 539년: 아케메네스 제국이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정복했다. 이듬해 키루스 2세는 유대인의 예루살렘 귀환을 허락했다.
- 기원전 530년: 키루스 2세가 전사하고 아들 캄비세스 2세가 즉위했다.
- 기원전 525년: 캄비세스 2세가 이집트를 정복하여 아케메네스 제국이 서아시아 지역을 통일했다.
- 기원전 509년경: 고대 로마에서 왕정이 폐지되고 로마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 기원전 508년: 클레이스테네스가 아테네에서 민주주의 개혁을 단행했다.
- 기원전 6세기 중: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이 결성되었다.
2. 1. 서아시아 및 지중해 세계
기원전 6세기는 서아시아와 지중해 세계에 큰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이 유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바빌론 유수를 일으켰으나, 곧이어 아케메네스 제국이 등장하여 서아시아 대부분을 통일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테네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결성하여 영향력을 확대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왕정이 폐지되고 로마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 세기 초반 (기원전 600년 ~ 기원전 551년) ===
기원전 600년경, 그리스의 포카이아인들은 남부 프랑스에 식민 도시 마실리아를 건설했다. 그리스 본토에서는 고졸기 미술이 발달하여 "수니온의 쿠로스"와 "클레오비스와 비톤의 상" 같은 조각상들이 제작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에트루리아의 영향 아래 라틴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프레스테에서 발견된 피불라(옷을 고정하는 핀)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라틴어 명문이 새겨져 있다. 중앙 유럽에서는 할슈타트 문화가 후기에 접어들었으며, "히르슐란덴의 전사상" 등이 제작되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였다. 기원전 598년, 신바빌로니아는 유다 왕국을 공격하여 여호야긴 왕을 바빌론으로 끌고 갔다. 이듬해인 기원전 597년 3월 16일에는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여호야긴을 폐위시킨 뒤 시드기야를 왕으로 세웠다. 기원전 588년,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다시 예루살렘을 포위했고, 기원전 587년 또는 586년에 예루살렘을 함락시켜 유다 왕국을 완전히 멸망시켰다. 이때 솔로몬 성전이 파괴되었고, 많은 유대인들이 바빌론으로 끌려가는 바빌론 유수가 시작되었다. 신바빌로니아는 기원전 583년부터 기원전 570년까지 13년간 페니키아의 도시 티레를 포위하기도 했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바빌론에 이슈타르 문과 같은 웅장한 건축물들을 남겼다(기원전 575년경 건설).

고대 이집트에서는 프삼메티코스 2세(기원전 595년 즉위)와 아프리에스(기원전 589년 즉위)가 다스렸다. 이집트 군대는 기원전 590년경 남쪽의 쿠시 왕국 수도 나파타를 약탈하여 쿠시 왕실이 메로에로 천도하게 만들었다.[1] 기원전 570년, 아마시스 2세가 아프리에스를 몰아내고 파라오가 되었으며, 그는 그리스인 용병을 우대하여 나우크라티스에 정착하도록 허용했다.
아나톨리아에서는 리디아 왕국과 메디아 왕국이 세력을 다투었다. 기원전 585년 5월 28일, 리디아의 알리아테스 왕과 메디아의 키악사레스 왕이 할리스 강(현재의 크즐으르마크 강)에서 전투를 벌이던 중 개기일식이 발생하자 양측은 이를 신의 계시로 여기고 전투를 멈추고 휴전했다. 이 전투는 "일식 전투"라고 불리며, 이 일식은 밀레토스의 철학자 탈레스가 예측했다고 헤로도토스는 전한다. 이후 리디아는 크로이소스(기원전 561년/560년 즉위) 왕 때 전성기를 맞이했다. 크로이소스는 세계 최초로 정제된 금화와 은화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여러 도시국가(폴리스)들이 발전했다. 아테네에서는 기원전 594년 솔론이 집정관으로 선출되어 귀족과 평민 간의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부채를 탕감하고 시민의 재산 정도에 따라 정치 참여 권한을 나누는 금권정치를 실시하여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초를 놓았다. 기원전 566년에는 파나테나이아 축제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솔론의 개혁 이후에도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고, 기원전 561년(또는 560년)에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스스로를 참주로 선포하며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잠시 축출되었다가 기원전 546년에 다시 실권을 잡았다. 스파르타는 기원전 6세기 중반 이전에 펠로폰네소스반도의 도시국가들과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결성하여 그리스 세계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 델포이에서는 피티아 경기(기원전 582년 창설), 코린토스에서는 이스토미아 경기(기원전 580년 창설), 네메아에서는 네메아 경기(기원전 573년 이전 창설) 등 범그리스적인 종교 및 스포츠 축제가 열리기 시작했다.
고대 로마는 아직 왕정 시대였다. 기원전 579년, 세르비우스 툴리우스가 암살된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전통적 연대). 그는 로마의 일곱 언덕을 둘러싼 세르비우스 성벽을 건설했다고 전해진다(기원전 565년경).
지중해 서부에서는 카르타고가 세력을 확장하여 기원전 550년대에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섬들을 정복했다. 그리스인들은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활발히 식민 도시를 건설했는데, 기원전 580년경에는 아크라가스(현재의 아그리젠토)가 세워졌고, 기원전 540년경에는 엘레아가 건설되었다. 기원전 540년에서 535년 사이에는 코르시카 섬 인근의 알랄리아 해전에서 카르타고와 에트루리아 연합군이 그리스-사르데냐 연합군을 물리쳤다.
=== 세기 중반 (기원전 550년 ~ 기원전 531년) ===
기원전 550년, 안샨의 왕 키루스 2세가 메디아 왕국을 멸망시키고 아케메네스 제국을 건국했다. 이는 서아시아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키루스 2세는 이어서 리디아 왕국을 공격하여 기원전 547년 프테리아 근처(할리스 강 전투)에서 크로이소스 왕과 싸웠고, 이후 튐브라 전투에서 승리한 뒤 기원전 546년에는 수도 사르디스를 점령하여 리디아를 멸망시켰다. 그는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그리스 도시들도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두었다. 키루스 2세는 파사르가다에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기 시작했다.
한편,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마지막 왕 나보니두스(기원전 556년/555년 즉위)는 달의 신 신(Sin)을 숭배하며 전통적인 마르두크 신앙을 소홀히 하여 바빌로니아 제사장들과 갈등을 빚었다. 그는 오랫동안 수도 바빌론을 비우고 아라비아의 타이마에 머물렀으며(기원전 553년경 원정 시작), 아들 벨사자르에게 통치를 맡겼다.
아테네에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기원전 546년에 다시 권력을 잡아 참주로서 통치했다. 그는 기원전 543년경 델로스 섬을 정화하고 아테네의 문화 발전을 지원했다. 사모스 출신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32년경 남이탈리아의 크로토네에 학교를 세웠다.
고대 로마에서는 기원전 534년,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를 살해하고 마지막 왕이 되었다. 같은 해 에트루리아인들은 볼로냐 지역에 펠시나를 건설했다.
=== 세기 후반 (기원전 530년 ~ 기원전 500년) ===

기원전 539년, 키루스 2세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침공하여 오피스 전투(9월?)에서 승리하고 10월 7일 고브리아스가 이끄는 군대가 바빌론에 입성했으며, 10월 29일 키루스 2세가 직접 바빌론에 입성하여 제국을 멸망시켰다. 그는 정복지의 종교와 관습을 존중하는 관용 정책을 펼쳤다. 기원전 538년(또는 537년), 키루스 2세는 칙령을 내려 바빌론 유수로 끌려왔던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하는 것을 허락했다. 이로써 약 50년간의 바빌론 유수가 끝나기 시작했고, 유대인들은 돌아와 기원전 520년에서 516년(또는 515년 3월 12일 완공) 사이에 제2 성전을 건설했다. 성경에 따르면 예언자 다니엘은 기원전 536년경 천사의 방문을 받았다고 한다.[2] 기원전 530년, 키루스 2세는 중앙아시아의 마사게타이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고, 그의 아들 캄비세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키루스 2세의 무덤은 수도 파사르가다에에 세워졌다.
캄비세스 2세는 아버지의 정복 사업을 이어받아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에서 이집트 군대를 격파하고 프삼메티쿠스 3세를 격파하여 이집트를 정복했다. 이로써 이집트 제26왕조가 멸망하고 페르시아의 지배(이집트 제27왕조)가 시작되었으며, 아케메네스 제국은 서아시아 세계를 통일하게 되었다. 캄비세스 2세가 이집트 원정 중이던 기원전 522년, 본국에서 가우마타(또는 왕제 스메르디스)가 왕위를 찬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같은 해 바빌론이 페르시아에 반란을 일으켰다. 캄비세스 2세는 귀국 도중 사망했고, 아케메네스 왕족인 다리우스 1세가 가우마타를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다(기원전 521년). 다리우스 1세는 제국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바빌로니아 반란 포함)을 진압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그는 베히스툰 비문에 자신의 업적을 기록했으며, 새로운 수도 페르세폴리스 건설을 시작(기원전 520년)하고 제국 서부에서 아람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기원전 500년경). 또한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기원전 518년경에는 간다라 지방을, 기원전 516년에는 펀자브 지역을 정복했다. 기원전 513년에는 트라키아를 정복하고 흑해 북안의 스키타이 원정을 단행했으며,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 왕국이 아민타스 1세 치하에서 페르시아의 종속국이 되었다(기원전 512년).
아테네에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기원전 527년에 사망하고 아들 히피아스가 참주 지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기원전 514년 동생 히파르코스가 하르모디오스와 아리스토게이톤에게 암살당한 이후 히피아스의 통치는 폭압적으로 변했다. 결국 기원전 510년, 스파르타의 왕 클레오메네스 1세의 도움을 받은 클레이스테네스를 비롯한 아테네 시민들이 히피아스를 추방했다. 이후 클레이스테네스는 기원전 508년(또는 507년, 501년)에 민주주의 개혁을 단행하여, 모든 시민을 10개의 부족(필레)에 재편성하고 500인 평의회와 장군직을 설치했으며 도편 추방 제도를 도입하는 등 아테네 민주정의 기틀을 더욱 공고히 했다. 기원전 502년에는 에게해의 낙소스 섬이 페르시아에 반란을 일으켜 이오니아 반란이 촉발되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기원전 510년(또는 509년), 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시민들에 의해 추방되고 로마 공화정이 수립되었다고 전해진다.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와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콜라티누스가 초대 집정관으로 선출되었다(기원전 505년에 첫 쌍이 선출되었다는 설도 있음). 기원전 509년 9월 13일에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이 봉헌되었고, 기원전 508년에는 최고 제사장(Pontifex Maximus) 직위가 만들어졌다. 기원전 505년부터 504년까지 로마는 사비니인과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501년에는 사비니족의 위협에 대응하여 티투스 라르키우스 플라우스가 최초의 독재관으로 임명되었다. 기원전 502년에는 라틴 동맹이 아리키아에서 에트루리아의 라르스 포르세나 군대를 격파했다.
2. 2. 동아시아

- 기원전 544년: 주 영왕 사후 둘째 아들인 귀(貴)가 주나라의 24대 왕으로 즉위했다.
- 기원전 543년: 정나라의 정치가 자산이 법을 제정하였다.
- 기원전 529년:
- * 오나라가 주래를 점령하였다.
- * 초 영왕이 전쟁에 나간 사이, 그의 동생들인 공자 비(比), 공자 흑굉(黑肱), 채공 공자 기질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 초 영왕은 고립되어 자결하였고, 공자 비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얼마 후 기질이 유언비어를 퍼뜨려 공자 비와 영윤 자석을 살해하고 스스로 초 평왕으로 즉위하였다.
- 기원전 528년:
- * 거 교공이 거나라의 군주가 되었다.
- * 연 공공이 연나라의 군주가 되었다.
- 기원전 527년: 진나라의 정치가 중항오가 선우(鮮虞)를 공격하여 고(鼓) 땅을 포위했다. 그는 내부 반란 제의를 거절하고, 포위된 고 땅 사람들이 식량이 떨어져 항복하자 한 사람도 죽이지 않고 점령하였다.
- 기원전 520년: 주 도왕이 주나라의 왕이 되었으나 같은 해 사망했다.
- 기원전 519년: 주 경왕이 주나라의 왕으로 즉위했다.
- 기원전 514년: 오왕 합려가 중국에 자신의 수도로 '합려 대성'(현재의 우시시 지역)을 건설했다.
- 기원전 506년: 보주 전투에서 손자가 이끄는 오나라 군대가 초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 기원전 501년: 공자가 노나라의 중도 지역 재상으로 임명되었다.
3. 주요 인물
기원전 6세기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활동했다. 아래는 정치, 철학, 예술 등 하위 분야에서 상세히 다루지 않은 주요 인물들의 목록이다.
- 페이디피데스: 고대 그리스의 육상 선수 (기원전 530년경 출생 추정)
- 아리스티데스: 아테네의 정치가 (기원전 530년경 출생 추정)
- 심제량: 초나라의 영윤 (재상) (기원전 529년경 출생 추정)
- 테미스토클레스: 고대 그리스 아테나이의 정치가 (기원전 524년경 출생)
- 크세르크세스 1세: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황제 (기원전 519년경 출생)
- 키몬: 고대 그리스 아테나이의 정치가, 스트라테고스 (기원전 510년경 출생)
- 초 강왕: 초나라의 제24대 군주 (기원전 545년 사망)
- 자야: 노나라의 군주 (기원전 542년 사망)
- 초 겹오: 초나라의 제25대 군주 (기원전 541년 사망)
- 진 경공: 진나라의 왕 (기원전 537년 사망)
- 진 평공: 진나라의 왕 (기원전 532년 사망)
- 바투스 3세: 키레나이카의 왕 (기원전 530년 사망)
- 초 영왕: 초나라의 제26대 군주 (기원전 529년 사망)
- 초 자오: 초나라의 제27대 군주 (기원전 529년 사망)
- 거 저구공: 거나라의 군주 (기원전 528년 사망)
- 연 도공: 연나라의 제28대 군주 (기원전 528년 사망)
- 마하비라: 자이나교의 창시자 (기원전 527년 사망)[4]
- 초 평왕: 초나라의 왕 (재위 기원전 528년 ~ 기원전 516년, 기원전 516년 사망)
- 노 소공: 노나라의 25대 임금 (기원전 510년 사망)
- 안네이 천황: 일본의 제3대 천황 (전설상 인물, 기원전 510년 사망 추정)
- 루크레티아: 로마 공화국 수립 계기가 된 인물 (기원전 509년경 사망)
- Sudharmaswami: 인도의 종교 지도자 (기원전 507년 사망)
- 심윤술: 초나라의 좌사마 (기원전 506년 사망)
- 예레미야: 구약성서 『예레미야서』에 등장하는 고대 유대인의 예언자 (기원전 7세기 말 ~ 기원전 6세기 전반 활동)
- 에제키엘: 구약성서 『에제키엘서』에 등장하는 고대 유대인의 예언자 (바빌론 유수 시기 활동)
- 다니엘: 구약성서 『다니엘서』에 등장하는 고대 유대인의 예언자 (신바빌로니아 멸망 예언)
- 스룹바벨: 구약성서의 유대인 지도자 (바빌론 유수 이후 예루살렘 제2성전 재건)
3. 1. 정치 지도자
- 고대 그리스
- 솔론: 기원전 594년 아테네의 집정관으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개혁을 시작했다.
- 페이시스트라토스: 기원전 560년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를 점령하고 참주가 되었으나 같은 해 폐위되었다. 이후 추방되었다가 기원전 543년경 다시 권력을 잡았다.
- 클레이스테네스: 기원전 507년 권력을 잡고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확대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기원전 501년 아테네 민주주의를 개혁했다.
- 히피아스: 아테네의 참주. 기원전 510년 스파르타의 클레오메네스 1세 등의 도움을 받은 민중 봉기로 추방되었다.
- 클레오메네스 1세: 스파르타의 왕(재위 기원전 520년경 시작). 기원전 510년 아테네의 참주 히피아스를 축출하는 데 기여했다.
- 데마라투스: 스파르타의 왕. 아리스톤의 뒤를 이었다 (추정 연도 기원전 510년).
- 로마 왕국 / 공화정
-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기원전 579년 암살된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뒤를 이어 로마 왕이 되었다 (전통적 연대, 재위 기원전 578년 - 기원전 535년).
-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기원전 534년 로마 왕이 되었으며(재위 기원전 535년 - 기원전 509년), 기원전 510년 통치가 끝나 로마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콜라티누스: 로마 공화국의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왕을 추방하고 초대 집정관에 취임했다.
-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로마 공화국의 설립자 중 한 명으로, 왕을 추방하고 초대 집정관에 취임했다.
-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메디아, 리디아
- 키악사레스: 메디아의 왕(재위 기원전 624년경 - 기원전 584년). 그의 치세 동안 메디아는 전성기를 맞았다. 기원전 585년 리디아와의 일식 전투 후 휴전했다.
- 아스티아게스: 기원전 585년경 메디아의 왕위를 계승(재위 기원전 585년 - 기원전 550년)했으나, 기원전 550년경 외손자인 키루스 2세에게 패배하여 왕국을 잃었다. 메디아의 마지막 왕이다.
-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신바빌로니아의 왕(재위 기원전 605년 - 기원전 562년). 기원전 587년 또는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유다 왕국을 멸망시켰으며, 바빌론 유수를 시작했다.
- 아멜-마르두크: 기원전 562년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뒤를 이어 바빌론 왕국의 왕이 되었다.
- 네리글리사르: 기원전 560년 아멜-마르두크의 뒤를 이어 바빌론 왕국의 왕이 되었다.
- 라바시-마르두크: 기원전 556년 네리글리사르를 이어 바빌론의 왕이 되었다.
- 나보니두스: 신바빌로니아의 마지막 왕(재위 기원전 556년경 - 기원전 539년). 아들 벨사자르에게 통치를 위임하기도 했다. 기원전 539년 키루스 2세에게 패배했다.
- 벨사자르: 나보니두스의 아들로 공동 통치자였으며, 구약성서 다니엘서에서는 마지막 왕으로 묘사된다. 기원전 539년 사망.
- 키루스 2세: 안샨의 왕 캄비세스 1세의 아들로, 기원전 559년 왕위를 계승했다. 기원전 550년경 메디아를 정복하고 아케메네스 제국(페르시아)을 건설(초대 국왕, 재위 기원전 550년 - 기원전 529년)했다. 이후 리디아(기원전 547년경)와 신바빌로니아(기원전 539년)를 정복했다. 바빌론 유수를 끝내고 유대인들의 귀환을 허락했다.
- 크로이소스: 리디아의 마지막 왕(재위 기원전 560년경 - 기원전 547년경). 부유함으로 유명했으나 키루스 2세에게 패배했다.
- 토미리스: 중앙아시아 유목민족 마사게타이의 여왕. 키루스 2세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캄비세스 2세: 키루스 2세의 아들로 페르시아의 왕(재위 기원전 530년 - 기원전 522년). 기원전 525년 이집트를 정복하여 오리엔트 통일에 기여했다.
- 스메르디스: 기원전 522년 캄비세스 2세의 뒤를 이어 페르시아의 지배자가 되었다.
- 다리우스 1세: 아케메네스 제국의 왕(재위 기원전 521년 - 기원전 486년). 왕위 계승 과정에서의 혼란을 수습하고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페르세폴리스 건설, 제국 행정 및 도로망 정비 등의 업적을 남겼다. 기원전 513년경 유럽으로 진출하여 트라키아 일부를 정복했다. 기원전 516년 펀자브 지역 점령을 완료했다. 기원전 500년경 아람어를 제국 서부의 공용어로 선포했다.
- 고대 이집트 및 쿠시 왕국
- 프삼메티코스 2세: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재위 기원전 595년 - 기원전 589년). 쿠시 왕국의 수도 나파타를 공격했다.
- 아프리에스: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재위 기원전 589년 - 기원전 570년).
- 아마시스 2세: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재위 기원전 570년 - 기원전 526년).
- 프삼메티쿠스 3세: 이집트 제26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재위 기원전 526년 -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의 캄비세스 2세에게 패배했다.
- 암탈카: 쿠시 왕국의 왕(재위 기원전 568년경 시작). 형제 아스펠타의 뒤를 이었다.
- 유다 왕국
- 여호야긴: 기원전 598년 여호야김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기원전 597년 바빌로니아에 의해 폐위되었다.
- 시드기야: 기원전 597년 바빌로니아에 의해 유다 왕국의 왕으로 옹립되었으며, 왕국의 마지막 왕이다.
- 춘추 시대 중국
- 주나라
- 주 정왕: 기원전 586년 사망.
- 주 간왕: 기원전 585년 즉위, 기원전 572년 사망.
- 주 영왕: 기원전 571년 즉위.
- 주 경왕: 기원전 544년 즉위.
- 주 도왕: 기원전 520년 즉위했으나 같은 해 사망.
- 주 경왕: 기원전 519년 즉위.
- 요자교: 주 영왕의 태자. 부왕에게 간언하여 왕위를 단념했다.
- 초나라
- 초 장왕: (재위 기원전 614년 - 기원전 591년). 춘추 오패 중 한 명. 필 전투에서 승리.
- 손숙오: 장왕 시대의 영윤(재상). 초나라 부국강병에 기여.
- 무신: 장왕 시대의 정치가. 후에 진나라로 망명하여 재상이 됨.
- 초 공왕: (재위 기원전 591년 - 기원전 560년). 언릉 전투에서 패배.
- 진(晉)나라
- 진 경공: (재위 기원전 600년 - 기원전 581년). 필 전투에서 초나라에 패배.
- 순림보: 정치가, 장군. 필 전투에서 패배했으나 정나라를 굴복시킴.
- 사회: 정치가, 장군. 필 전투에서 패배했으나 복권 후 "범무자의 법" 제정.
- 한궐: 정치가, 장군. 필 전투에서 패배. 조씨고아의 조무 부흥을 도움.
- 극극: 정치가, 장군, 정경. 안 전투에서 제나라 격파.
- 난서: (? - 기원전 573년). 정치가, 장군. 언릉 전투 승리. 후에 진 여공을 살해하고 도공 옹립.
- 진 도공: (재위 기원전 573년 - 기원전 559년). 언릉 전투 이후 진나라 패권 유지.
- 중행언: (? - 기원전 554년). 정치가, 장군. 난서와 함께 여공 살해.
- 묘분황: 정치가. 초나라에서 망명. 언릉 전투에서 진나라 군사로 활약.
- 조무: (기원전 598년 - 기원전 541년). 정치가. 조씨고아의 모델. 정경이 되어 미병지회를 염.
- 양설희: 정치가. 평공을 지지하여 진나라 세력 유지.
- 제나라
- 최저: (? - 기원전 546년). 정치가. 장공을 살해하고 경공 옹립. "최저시군" 고사로 유명.
- 안영: (? - 기원전 500년). 정치가. 제나라를 안정시킴.
- 사마양저: 장군. 안영의 추천으로 임관. 병법서 『사마법』 저자.
- 송나라
- 화원: 정치가. 상구 공방전에서 송나라 사수. 진나라와 초나라 평화 중재.
- 향술: 정치가. 화원의 뒤를 이어 진나라와 초나라를 중재하고 미병지회를 염.
- 정나라
- 자산: (? - 기원전 522년). 정치가. 정나라 정치 개혁 추진, 중국 최초의 성문법 제정.
- 오나라
- 계찰: 정치가. 오왕 수몽의 막내아들. "연릉계자"로 알려짐.
- 합려: (재위 기원전 514년 - 기원전 496년). 춘추 오패 중 한 명. 기원전 514년 "합려대성" 건설. 기원전 506년 보주 전투에서 손자와 함께 초나라 격파.
- 기타 지역
- 빔비사라: 기원전 544년경 인도 마가다 지역에 하리얀카 왕조를 세웠다.
- 비자야: 기원전 543년경 스리랑카에 싱할라 왕조를 세운 전설적인 왕자.
- 아민타스 1세: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 기원전 512년경 아케메네스 제국의 종속국이 되었다.
- 라르스 포르세나: 에트루리아의 지도자. 기원전 502년 아리키아에서 라틴 동맹에게 패배했다.
3. 2. 철학자 및 사상가
- 그리스 철학 및 사상

- 그리스 7현인: 고대 그리스 초기의 지혜로운 인물들로 존경받았다.
- 솔론 (기원전 639년경 - 기원전 559년경):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입법가. 채무 노예를 금지하고 재산 정도에 따라 정치 참여 권리를 부여하는 "재산 정치" 개혁을 실시했다.
- 탈레스 (기원전 624년경 - 기원전 546년경): 밀레투스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철학자.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주장했으며, 기원전 585년의 일식을 예측하고 피라미드 높이를 측정하는 등 과학적 업적도 남겼다.
- 스파르타의 킬론: 스파르타의 감찰관(에포로스). 외교 정책 전환을 통해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기초를 마련했다.
- 프리에네의 비아스: 프리에네 출신의 웅변가. 명석한 두뇌와 뛰어난 변론술로 유명했다.
- 미틸레네의 피타코스 (기원전 640년경 - 기원전 564년경): 뮈틸레네의 참주 또는 중재자(아이심네테스). 선정을 베풀어 시민들의 존경을 받았다.
- 클레오불로스: 린도스의 참주. 솔론이 아테네에서 추방되었을 때 그를 받아들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페리안드로스 (기원전 627년 이전 - 기원전 585년경): 코린토스의 참주. 항구 개축 등 업적도 있으나 폭군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 케나이의 뮈손 Myson of Chenae|뮈손 오브 케나이영어: 케나이 출신의 농부. 플라톤은 페리안드로스 대신 뮈손을 7현인 중 한 명으로 꼽았다.
- 밀레투스 학파 (이오니아 학파): 자연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 한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
- 탈레스: (위 참조)
- 아낙시만드로스 (기원전 610년 - 기원전 546년): 만물의 근원을 규정할 수 없는 무한정한 것, 즉 '아페이론'이라고 보았다.
- 아낙시메네스 (기원전 585년 - 기원전 525년): 만물의 근원을 '공기'라고 주장했다. 공기의 농축과 희박화 과정을 통해 다른 모든 물질이 생성된다고 설명했다.
- 피타고라스 (기원전 570년경 출생 - 기원전 496년경): 사모스 섬 출신의 철학자이자 수학자. 피타고라스 학파를 창설하고 영혼 윤회설을 주장했으며, 피타고라스의 정리 발견으로 유명하다.
- 크세노파네스 (생몰년 미상): 콜로폰 출신의 철학자이자 시인.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가 묘사한 의인화된 신들을 비판하며 유일신 사상의 기초를 마련했다.
- 헤라클레이토스 (기원전 535년경 출생): 에페소스 출신의 철학자. "만물은 유전한다"는 주장과 '불'을 만물의 근원으로 본 것으로 유명하다.
- 클레이스테네스 (기원전 6세기 후반 - 기원전 5세기 전반): 아테네의 정치가. 기원전 507년경 권력을 잡고 5백인 평의회 설치, 부족제 개편, 도편 추방제 도입 등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초를 확립한 개혁가로 평가받는다.
- 에피메니데스 (생몰년 미상): 크레타 출신의 시인이자 예언자.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라는 에피메니데스의 역설로 알려져 있다.
- 아나카르시스 (생몰년 미상): 스키타이 왕족 출신으로 그리스에서 활동한 철학자.
- 이솝 (기원전 620년경 - 기원전 560년경): 소아시아 출신으로 추정되는 우화 작가. 동물 등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전달하는 이솝 우화를 남겼다.
- 테오그니스 (생몰년 미상): 메가라 출신의 시인. 귀족과 민중 간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망명 생활을 했으며, 엘레게이아 형식의 격언시로 유명하다.
- 이카리아의 테스피스 (생몰년 미상): 최초의 배우이자 극작가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534년 아테네 디오니시아 축제의 비극 경연에서 우승했다.
- 오노마크리토스: 고대 그리스의 신탁 편찬자. (기원전 530년경 활동)
- 잘모크시스 Zalmoxis|잘모크시스영어: 트라키아의 신관이자 신비주의자. 피타고라스의 영향을 받아 영혼 불멸설을 주장했다는 설이 있다.
- 동양 사상

- 석가모니 (기원전 563년경 - 기원전 483년경): 불교의 창시자. 기원전 528년경 깨달음을 얻고 사성제, 팔정도 등을 가르치며 중생 구제를 위한 설법을 시작했다. 불교는 이후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했다.
- 노자 (생몰년 미상): 도가 사상의 창시자로 알려진 전설적인 인물. 도덕경의 저자로 전해지며, 무위자연 사상을 통해 인위적인 것을 배격하고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삶을 강조했다.
- 공자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 유가 사상의 창시자. 춘추 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인(仁)과 예(禮)를 바탕으로 한 도덕 정치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를 강조하며 동아시아 사상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501년 중도의 영주로 임명되기도 했다.
- 민손: 공자의 제자. (기원전 536년경 출생)
- 손무 (기원전 544년경 출생): 중국 춘추 시대의 병법가. 오나라의 장군으로 활동하며 손자병법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병법 사상은 후대 동아시아 군사 전략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자산 (? - 기원전 522년):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정치가. 중국 역사상 최초의 성문법을 제정하는 등 개혁 정치를 펼쳤다.
- 안영 (? - 기원전 500년):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정치가. 검소하고 지혜로운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혼란한 정국 속에서 제나라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 루반 (기원전 507년경 출생): 중국의 전설적인 발명가이자 공예가, 철학자. 목공 기술의 시조로 여겨진다.
3. 3. 예술가 및 작가
- '''그리스 7현인'''
- * 솔론 (기원전 639년경 ~ 기원전 559년경): 아테네의 정치가. 채무 노예 금지 등 "재산 정치"라 불리는 개혁을 단행하여 사회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 * 밀레투스의 탈레스 (기원전 624년경 ~ 기원전 546년경): 철학자. 만물의 근원을 "물"로 보았으며, 일식을 예언하고 피라미드 높이를 측량하는 등 과학적 사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 키론 (생몰년 미상): 스파르타의 감찰관(에포로스). 외교 정책을 정복에서 동맹 중심으로 전환하여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기초를 다졌다.
- * 비아스 (생몰년 미상): 프리에네 출신의 웅변가. 명석한 두뇌와 뛰어난 언변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일부에서는 그를 7현인의 필두로 꼽기도 한다.
- * 피타쿠스 (기원전 640년경 ~ 기원전 564년경): 뮈틸레네의 참주. 중재자(아이심네테스)로도 불렸으며,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 * 린도스의 클레오불로스 (생몰년 미상):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에 의해 아테네에서 추방된 솔론을 린도스로 초청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 페리안드로스 (기원전 627년 이전 ~ 기원전 585년경): 코린토스의 참주. 코린토스 항구를 개축하는 등 업적도 있으나, 폭군적이고 냉혹했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다.
- * 뮈손 (생몰년 미상): 케나이의 농부. 플라톤은 그의 저서 『프로타고라스』에서 페리안드로스 대신 뮈손을 7현인의 한 사람으로 언급했다.
- 에피메니데스 (생몰년 미상): 시인이자 예언가. "거짓말쟁이 크레타인" 이야기로 잘 알려져 있다.
- 아나카르시스 (생몰년 미상): 스키타이 왕족 출신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한 철학자. 그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서간집은 후대의 위작이라는 의혹이 있다.
- 폴리메데스 (생몰년 미상): 아르고스 출신의 아르카이크 시대 조각가. "클레오비스와 비톤" 조각상으로 유명하다.
- 이솝 (기원전 620년경 ~ 기원전 560년경): 소아시아 출신의 우화 작가로, 유명한 "이솝 우화"를 엮었다.
- 파라리스 (? ~ 기원전 554년경): 시칠리아 섬 아크라가스의 참주. 잔혹한 처형 도구인 "파라리스의 황소"로 악명이 높다.
- 아낙시만드로스 (기원전 610년 ~ 기원전 546년): 밀레투스 학파(이오니아 학파) 철학자. 만물의 근원을 무한정한 것, 즉 "아페이론"으로 보았다.
- 아낙시메네스 (기원전 585년 ~ 기원전 525년): 밀레투스 학파(이오니아 학파) 철학자. 만물의 근원을 "공기"로 생각했다.
- 메가라의 테오그니스 (생몰년 미상): 시인. 귀족과 민중 간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망명 생활을 해야 했으며, 엘레게이아 시 형식의 격언시로 유명하다.
- 페이시스트라토스 (기원전 6세기경 ~ 기원전 527년): 아테네의 참주. 라우레이온 은광 채굴을 시작하는 등 아테네의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에크세키아스 (활동 시기 기원전 550년경 ~ 기원전 525년경): 아테네의 도예가이자 그림 작가. 흑회식 도기 기법으로 그린 "아킬레우스와 아이아스" 암포라가 특히 유명하다.
- 사모스의 피타고라스 (기원전 582년 ~ 기원전 496년): 피타고라스 학파의 창시자이자 철학자. 피타고라스의 정리 발견 등으로 수학자로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 잘모크시스 (생몰년 미상): 트라키아의 신관이자 신비주의자. 피타고라스의 노예였을 때 영혼 불멸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 아나크레온 (기원전 582년 ~ 기원전 485년): 이오니아의 테오스 출신 시인. 9명의 서정시인 중 한 명으로, 술과 사랑, 연회를 주제로 한 시로 유명하다.
- 이비코스 (기원전 6세기): 레기온 출신의 서정 시인. 9명의 서정시인 중 한 명으로, 사모스 섬의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이야기 시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콜로폰의 크세노파네스 (생몰년 미상): 철학자이자 시인.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가 묘사한 의인화된 신들을 비판하며 후대의 플라톤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 크로톤의 밀론 (생몰년 미상): 고대 그리스의 전설적인 레슬링 선수. 고대 올림픽 레슬링 종목에서 기원전 540년부터 기원전 516년까지 6번이나 우승했으며, 그와 관련된 많은 일화가 전해진다.
- 이카리아의 테스피스 (생몰년 미상): 무대에 올라 연기한 최초의 배우이자 극작가로 여겨진다. 기원전 534년 아테네의 디오니시아 축제에서 열린 비극 경연 대회에서 우승했다.
- 히피아스 (기원전 6세기 후반 ~ 기원전 5세기 전반): 아테네의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로 아버지의 뒤를 이었으나, 알크마이온 가문에 의해 추방되었다.
- 클레이스테네스 (기원전 6세기 후반 ~ 기원전 5세기 전반): 아테네의 정치가. 500인 평의회를 설치하고 십장군 제도를 도입하는 등 개혁을 통해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4. 발명, 발견, 과학사
- 중국 최초의 수리 기술자인 손숙오는 초 장왕 (기원전 591년 사망)의 치세 동안 대규모 관개 사업을 위해 강을 막아 거대한 인공 저수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585년 - 밀레토스 학파의 탈레스가 일식을 예측하였다.
- 고대 인도의 의사 수슈루타는 결석증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을 수슈루타 삼히타에 기록했으며, 백내장 수술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
- 신바빌로니아의 마지막 왕 나보니두스는 아라비아 반도에 대한 최초의 고고학적 조사를 시행했다.
- 로스트 왁스 주조 기법이 고대 그리스로 전파되었다.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세계 지도 중 하나인 Imago Mundi가 바빌론에서 제작되었다.
- 기원전 530년경 - 피타고라스가 남부 이탈리아의 크로토네로 이주하여 피타고라스 학파를 설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UDAN
http://www.historywo[...]
www.historyworld.net
2007-08-03
[2]
기타
Daniel 10:4
http://bible.gospelc[...]
[3]
웹사이트
Italian villagers fight New York's Met for 2,600-year-old chariot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07-04-09
[4]
서적
Dundas 2002, p. 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