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니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비니인은 고대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이다. 그들의 언어는 이탈리아어파의 움브리아어 계열로 추정되지만,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사비니인은 현재의 움브리아, 라치오, 아브루초 지역에 걸쳐 사비눔이라는 지역을 형성했으며, 로마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로마 건국 초기에는 사비니 여성 납치 사건을 겪기도 했으며, 로마의 문화와 종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비니인들은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로마 시민권을 얻었고, 일부 씨족은 사비니 혈통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비니인 - 티투스 타티우스
티투스 타티우스는 로마 건국 초 사비니족의 왕으로서 로마와 전쟁 후 로물루스와 공동 통치하며 도시 확장과 사비니 숭배 전파에 기여했고, 소달레스 티티족의 시조 영웅으로 숭배받았다. - 사비니인 - 사비니 여인들의 강간
로마 건국 초기 로물루스가 인구 부족을 해결하고자 사비니 여인들을 납치한 사건은 로마와 사비니 간의 전쟁을 일으켰으나, 여인들의 중재로 종결되어 동맹을 맺었으며, 이후 예술 작품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 아브루초주의 역사 - 삼니움인
삼니움인은 기원전 4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에 저항한 이탈리아 중남부 삼니움 지역의 고대 민족으로, 사비니족과 관련이 있으며 독자적인 문화와 사회 조직을 가졌으나 술라의 탄압 이후 로마에 동화되었다. - 아브루초주의 역사 - 2009년 라퀼라 지진
2009년 4월 6일 이탈리아 라퀼라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3의 지진으로 라퀼라와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여 3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부실 건축과 지진 예측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 라치오주의 역사 - 밀비우스 다리 전투
312년 10월 28일에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밀비우스 다리 인근에서 승리한 전투는 로마 제국 내전의 전환점이 되어 콘스탄티누스가 서로마 제국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기독교 공인의 길을 열었다. - 라치오주의 역사 - 플라미니아 가도
플라미니아 가도는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가 건설한 로마의 주요 도로로, 로마와 아드리아 해 연안을 연결하며 군사적 확장과 무역에 기여했고, 현재는 SS 3번 국도로 이용되고 있다.
사비니인 | |
---|---|
개요 | |
위치 | 고대 이탈리아 중부 |
주요 지역 | 사비니움 |
언어 | 사비네어 |
역사 | |
기원 | 이탈리아 토착 민족 |
로마와의 관계 | 초기 로마 왕국과 충돌 및 융합 |
로마 시민권 획득 | 기원전 268년 |
문화 | |
결혼 풍습 | 사비니 여인들의 강탈 신화 |
종교 | 세모 산쿠스 숭배 다양한 이탈리아 토착 신앙 |
언어 |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오스크움브리아어군 |
기타 | |
관련 민족 | 움브리아인 라틴족 오스크족 |
후손 | 현대 이탈리아인 |
2. 언어
사비니인들의 언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나, 고대 주해자들이 남긴 일부 주해들이 존재하며, 하나 혹은 두 개의 비문들이 잠정적으로 사비니어로 쓰였다고 여겨진다.[22] 또한 사비니인들의 지역에서 나온 라틴어로 된 비문들에 사용된 사비니식 인명들이 존재하긴 하지만 라틴어 형태로 나타나 있다. 로버트 시무어 컨웨이는 그의 저서 ''Italic Dialects''에서, 사비니어로 분명히 증명된 것에서부터 사비니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까지 다양한 약 100개의 단어들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그는 사비니어에서 전래한 지명을 제시했고, 때로는 사비니어 형태로 복원하려는 시도도 하였다.[22] 모든 증거들을 근거로 하여, 링귀스트 리스트는 사비니어를 인도유럽어족의 갈래인 이탈리아어파의 움브리아어 계열로 잠정적으로 분류하였다.
라틴어 화자들은 오늘날 움브리아주, 라치오주, 아브루초주에 걸쳐 있었던 사비니인들의 본거지를 Sabinum|사비눔la이라 불렀다. 오늘날 사비나라는 이탈리아어 형태에 이 옛 이탈리아족의 이름이 남아있다. 오늘날 라치오주(또는 라티움) 내에 속하는 사비나는 리에티 일대인 로마의 북동쪽에 위치한 하위 지역을 구성한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에 따르면, 많은 로마 역사가들(포르키우스 카토,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포함)은 토착 로마인들의 기원이 그리스인이라 생각했지만, 그들의 지식은 그리스의 전설 기록에서 전래한 것이었다.[23]
로마인들은 새로 건설된 로마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사비니 여인들을 납치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 결과 벌어진 전쟁은 여인들이 자신과 자녀들을 아버지와 남편의 군대 사이에 던지면서 끝이 났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분쟁 이후 사비니와 로마 국가는 통합되었으며, 사비니 왕 티투스 타티우스는 로물루스와 함께 5년 동안 로마를 공동 통치했다.[4]
3. 역사지리학
4. 기원
고대 역사가들은 사비니인들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 논쟁했었다. 트로에젠의 제노도토스는 사비니인들이 본래는 펠라스기인들에게 리에티 지역에서 밀려난 뒤에 이름을 바꾼 움브리아인들이라 주장하였다. 하지만, 포르키우스 카토는 사비니인들이 산쿠스 [Sancus, 이따금 유피테르 피디우스 (Jupiter Fidius)라고 불리던 이 지역의 신]의 아들인 사부스 (Sabus)의 이름에서 붙여진 집단이라 주장하였다.[25] 디오니소스의 저서에 언급된 다른 기록들에선, 라케다이몬인 집단이 리쿠르고스의 규칙들이 너무나 강압적이라 여겨 스파르타를 떠났다고 전한다. 이탈리아에서, 이들은 포로니아 (Foronia, 포멘티네 평야 인근)라는 스파르타 식민지를 세웠고 포로니아의 일부가 사비니인들로 정착했다고 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투쟁적 (적극적이거나 호전적인 성향)이고 검소한 (낭비하지 않으려는 신중성) 사비니인들의 습성들은 스파르타인들한테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26] 플루타르코스 역시도 《누마 폼필리우스의 생애》에서, "사비니인들, 라케다이몬의 식민지라 자처하는 자들"라고 언급한다. 플루타르코스는 올림픽 풋 레이스 우승자였던 스파르타의 피타고라스가 누마가 로마 정부를 조성하는 것을 돕고 많은 스파르타 관습들이 누마와 로마인들에게 도입되도록 했다고 기록했다.[27]
사비니인은 고대 움브리아인으로부터 직접 파생되었으며, 사미트족 및 사벨리인과 같은 민족 집단에 속했다. 이는 '사피네이스'(고대 그리스어: σαφινείςgrc)라는 공통적인 민족 명칭과 '사피님' 및 '사피나'(사미움 및 사비눔이라는 용어의 기원)이라는 지명에서 증명된다.[2]
언어학자 율리우스 포르코니는 어원을 다소 더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a-가 일리리아에서의 선사 시대 거주 동안 -o-에서 변경되었다고 추측하며, 이 이름을 소유 형용사의 확장된 e-등급 *''swe-bho-''의 o-등급 확장 *''swo-bho-''에서 파생시킨다. *''s(e)we-'', 즉 재귀 대명사 *''se-''의 "자기 자신"(영어 ''self''의 어원)이다. 그 결과는 게르만족의 수에비와 셈노네스, 수이오네스; 켈트족의 세노네스; 슬라브족의 세르비아인과 소르브인; 이탈리아족의 사벨리인, 사비니인 등과 같은 인도유럽 부족 이름(인도유럽인들의 고유어인지 여부는 불분명)과 많은 친족 용어이다.
5. 로마와의 관계
고대 로마의 팽창 과정에서 사비니족과의 일련의 갈등이 있었다.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는 기원전 290년에 사비니족을 정복했고, 같은 해에 사비니족에게는 참정권 없는 시민권이 부여되었다.[20] 기원전 268년에는 사비니족에게 참정권이 부여되었다.[21]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사비니인을 아보리진과 관련하여 언급하는데, 그들은 아보리진으로부터 아미테르눔에서 시작된 기습 전쟁을 통해 수도 리스타를 훔쳤다고 한다.[6] 고대 역사가들은 사비니인의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스트라본에 따르면 사비니인은 움브리아인과의 오랜 전쟁 후 고대 이탈리아의 베르 사크룸 의식을 따라 오피치의 땅으로 이주했고, 이후 사비니인은 오피치를 몰아내고 그 지역에 정착했다.[7] 트로이젠의 제노도투스는 사비니인이 원래 움브리아인으로, 펠라스기족에게 레아티네 영토에서 쫓겨난 후 이름을 바꿨다고 주장했다. 포르키우스 카토는 사비니인이 종종 유피테르 피디우스라고 불리는 이 지역의 신인 산쿠스의 아들 사부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민족이라고 주장했다.[8] 디오니시우스의 저서에 언급된 또 다른 기록에 따르면, 스파르타의 리쿠르고스의 법이 너무 엄격하다고 여겨 스파르타에서 도망친 라케다이몬인 집단이 있었다. 이탈리아에서 그들은 스파르타 식민지 ''포로니아''(포멘틴 평원 근처)를 건설했고, 그 식민지에서 온 일부는 사비니인 사이에 정착했다. 그 기록에 따르면, 사비니인의 호전성과 검소함은 스파르타인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9] 플루타르코스는 《누마 폼필리우스의 생애》에서 "자신을 라케다이몬인의 식민지라고 선언하는 사비니인"을 언급하며, 발 경주에서 올림픽 우승을 차지한 스파르타의 피타고라스가 누마가 도시의 정부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고 그가 도입한 많은 스파르타 관습이 누마와 백성에게 전해졌다고 기록했다.[10]
5. 1. 사비니 여인의 납치
전설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새롭게 세워진 로마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사비니 여성들을 납치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벌어진 전쟁은 사비니 여성들이 자신들의 몸과 아이들을 아버지의 군대와 남편들의 군대 사이에 내던지고 나서야 끝이 났다. 사비니 여성의 납치는 예술에서 흔한 소재가 되었으며, 전쟁을 끝내는 여성들은 그렇게 잦지는 않지만 여전히 다시 등장하는 소재이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분쟁이 끝나고 사비니인들과 로마인들의 나라가 합쳐졌고, 사비니족의 왕 티투스 타티우스는 그가 5년 뒤에 사망할 때까지 로물루스와 공동으로 로마를 다스렸다고 한다. 사비니족의 왕 타티우스의 이름을 딴 이들을 포함하여, 새로운 삼백 명의 에퀴테스들이 로마에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변형 형태가 위서 ''야세르의 서''에 기록되기도 하였다.
5. 2. 문화적, 종교적 영향
전승에 따르면 초기 로마 왕정 시대의 인구는 사비니인들과 다른 민족들의 결합의 결과였다고 한다. 로마 공화정 시기의 씨족 일부는 클라우디아 씨족처럼, 자신들의 사비니 혈통을 자랑스러워 했으며, 코그노멘 혹은 아그노멘으로서 사비누스 (Sabinus)를 사용했다.[28]
특히나 세모 산쿠스, 퀴리누스 등 일부 사비니의 신들과 종교들이 로마에 알려지게 되었고, 최소한 로마의 한 지역, 사비니족의 신들이 배치된 신전이 있는 퀴리날레는 한때 사비니족의 중심지였다. 바로와 키케로는 조점술, 꿈을 통한 점복 및 미네르바와 마르스에 대한 숭배가 사비니인들한테 비롯했다는 주장을 펼쳤지만, 이런 행동들은 로마와 사비니의 두 번째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가 신봉하던 것들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족과 라틴족의 관습일뿐만 아니라 에트루리아의 관습이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28]
5. 3. 로마-사비니 전쟁
고대 로마의 팽창 과정에서 사비니족과의 일련의 갈등이 있었다. 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는 기원전 290년에 사비니족을 정복했다. 같은 해에 사비니족에게는 참정권 없는 시민권이 주어졌고,[29] 기원전 268년에 참정권이 주어졌다.[30]
6. 종교
사비니인은 움브리아인에서 파생되었으며, 사미트족 및 사벨리인과 같은 민족 집단에 속했다.[2] 이들은 '사피네이스'(σαφινείς|사피네이스grc)라는 공통적인 민족 명칭과 '사피님' 및 '사피나'(사미움 및 사비눔이라는 용어의 기원)라는 지명을 공유했다.[2]
인도유럽어족 어근 '' 또는 ''는 'Safen'이라는 단어로 발전했고, 이것이 나중에 'Safin'이 되었다. 'Safinim', 'Sabinus', 'Sabellus' 및 'Samnis'에서 인도유럽어 어근 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라틴-팔리스크어에서는 Sab-|삽-mis으로, 오스코-움브리아어에서는 Saf-|삽-mis로 변한다: Sabini|사비니mis 및 *Safineis|사피네이스mis.
로마 왕국 초기 인구는 사비니인과 다른 이들의 연합의 결과였다고 전해진다. 로마 공화국의 일부 씨족은 클라우디우스 씨족과 같이 자신들의 사비니인 혈통을 자랑스럽게 여겼으며, 사비누스를 코그노멘 또는 아그노멘으로 사용했다. 로마에는 몇몇 사비니 신과 신앙이 알려져 있었다. 세모 산쿠스와 퀴리누스가 대표적이며, 두 신에게 바쳐진 신전이 있던 도시의 적어도 한 구역인 퀴리날레는 한때 사비니인의 중심지였다. 바론과 키케로는 점술, 꿈을 통한 점(divination) 그리고 미네르바와 마르스 숭배가 사비니인에게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로마의 두 번째 왕이자 사비니인이었던 누마 폼필리우스가 옹호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이탈리아와 라틴 관습이었을 뿐만 아니라 에트루리아 문명의 관습이기도 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다.[11]
로마 작가 바론은 사비니 출신으로, 로마인들이 받아들인 사비니 신들의 목록을 제공한다.[15] 그는 목록에 있는 신들에 대해 "몇몇 이름은 두 언어 모두에서 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마치 경계선에 자란 나무가 양쪽 밭으로 뻗어 나가는 것과 같다."라고 썼다.
다음은 바론이 제시한 사비니 신들과 그 신들의 특징이다.
신 | 설명 |
---|---|
안기티아 | |
디아나 | 나중에 고대 로마 종교로 채택되었다.[15] |
페로니아 | |
포르투나 | |
폰스 | |
피데스 | 셈노 산쿠스 또는 디우스 피디우스 참조.[12] |
플로라 | |
헤렌타스 | 비너스와 동등[13] |
라레스 | 수호신 |
라룬다 | |
루키나 | |
루나 | |
마메르스 | 전쟁의 신, 천둥 속성 |
메피티스 | |
미네르바 | |
노벤시데스 | 천둥 신들의 회의[14] |
옵스 | |
팔레스 | |
퀴리누스 | |
사부스 | |
살루스 | |
산쿠스 | |
사투르누스 | |
솔 | |
소라누스 | 지하 불의 신, 천둥 속성 |
스트레니아 | |
수마누스 | 어둠의 신, 천둥 속성 |
테르미누스 | |
바쿠나 | |
베디오비스 | |
보르툼누스 | |
Vitula|비툴라it | |
불카누스 |
이 신들 중 다수는 에트루리아 종교와 공유되었으며, 파생된 삼니트와 고대 로마 종교에도 채택되었다.
7. 저명한 사비니인
- 티투스 타티우스 - 사비니 왕
- 누마 폼필리우스 - 로마 왕정의 왕
- 안쿠스 마르키우스 - 로마 왕정의 왕
- 퀸투스 세르토리우스 - 로마 공화정의 장군
- 아티우스 클라우수스 - 클라우디우스 씨족의 시조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푸블리콜라 - 발레리우스 씨족의 시조
-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 - 정치가, 역사가
-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 학자, 저술가, 정치가
7. 1. 사비니 기원 씨족
씨족명 | 파트리키 여부 |
---|---|
아이밀리아 씨족 | O |
아우렐리아 씨족 | |
칼푸르니아 씨족 | |
칼비시아 씨족 | |
클라우디아 씨족 | O |
쿠르티아 씨족 | O |
플라비아 씨족 | |
리가리아 씨족 | |
마르키아 씨족 | O |
미나티아 씨족 | |
오피아 씨족 | O |
옵시아 씨족 | |
오스토리아 씨족 | |
판툴레이아 씨족 | |
페트로니아 씨족 | |
피나리아 씨족 | |
폼필리아 씨족 | |
폼포니아 씨족 | |
포파이아 씨족 | |
퀴리니아 씨족 | |
라니아 씨족 | |
루벨리아 씨족 | |
사비니아 씨족 | |
사피니아 씨족 | |
살루스티아 씨족 | |
사투리아 씨족 | |
세르토리아 씨족 | |
시키니아 씨족 | |
타르페이아 씨족 | O |
티네이아 씨족 | |
티티아 씨족 | |
발레리아 씨족 | O |
7. 2. 사비니 혈통 로마인
인물 | 설명 |
---|---|
티투스 타티우스 | 전설상의 사비니 왕 |
누마 폼필리우스 | 전설상의 로마 왕 |
안쿠스 마르키우스 | 전설상의 로마 왕 |
퀸투스 세르토리우스 | 로마 공화정 시기 장군 |
아티우스 클라우수스 | 로마 클라우디아 씨족 시조 |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 | 로마 저술가, 정치가, 역사가 |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 로마 학자, 저술가, 정치가 |
베스파시아누스 | 로마 황제 및 플라비우스 왕조 시조 |
섹스투스 베툴레누스 케리알리스 | 로마 원로원 의원, 군 사령관, 유대 총독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푸블리콜라 | 발레리우스 씨족 시조 |
참조
[1]
LPD
3
[2]
서적
Rivista Italiana di NVMISMATICA e scienze affini
http://www.socnumit.[...]
Tipografia popolare
[3]
서적
The Italic Dialects Edited with a Grammar and Glossa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4]
뉴스
I Sabini e l'agricoltura: origine, storia, leggende, pastorizia, coltivazioni
https://antropocene.[...]
2021-12-10
[5]
서적
Convegno di studio: Preistoria, storia e civiltà dei Sabini
Centro di studi varroniani
[6]
서적
Roman Antiquities
[7]
간행물
Geography
7 BCE
[8]
서적
Roman Antiquities
[9]
서적
Roman Antiquities
[10]
서적
Numa
[11]
백과사전
Sabini
Little, Brown and Company
[12]
문서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2021-10
[13]
학술지
Ven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3-07
[14]
문서
Or [[Novensiles]]: the spelling ''-d-'' for ''-l-'' is characteristic of the [[Sabine language]]
[15]
문서
De Lingua Latina
https://archive.org/[...]
[16]
서적
De lingua latina
[17]
서적
Imperium and Cosmos: Augustus and the northern Campus Marti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8]
문서
Divine Qualities: Cult and community in republican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19]
문서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UK
[20]
문서
1.14.6
[21]
문서
1.14.7
[22]
서적
The Italic Dialects Edited with a Grammar and Glossa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23]
서적
Roman Antiquities
[24]
서적
Roman Antiquities
[25]
서적
Roman Antiquities
[26]
서적
Roman Antiquities
[27]
서적
Numa
[28]
백과사전
Sabini
Little, Brown and Company
[29]
문서
1.14.6
[30]
문서
1.1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