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로마의 세 번째 왕으로, 기원전 673년에 즉위하여 32년간 통치했다. 알바 롱가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도시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로마 시민으로 편입시켰으며, 쿠리아 호스틸리아를 건설했다. 그러나 종교 의식에 소홀한 탓에 유피테르의 노여움을 사 벼락을 맞아 죽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현대 역사가들은 그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한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오페라, 영화,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국왕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 로마 국왕 - 로물루스
    로물루스는 로마 건국 신화의 중심이자 전설적인 초대 왕으로, 쌍둥이 형제 레무스와 함께 로마 건설, 통치, 신화적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기본 정보
칭호로마 왕
재위 기간기원전 672년 – 기원전 640년 (추정)
이전누마 폼필리우스
이후안쿠스 마르키우스
기욤 루이예의 "Promptuarium Iconum Insigniorum" (1553)에 있는 초상화
이름
로마자 표기Tullus Hostilius
기타 정보
직책Praefectus urbi

2. 생애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알바 롱가와의 전쟁, 쿠리아 호스틸리아 건설, 그리고 의문의 죽음 등 다사다난한 생애를 보냈다.

그는 로마와 알바 롱가 사이의 농지 분쟁을 전쟁으로 해결하려 했으며, 양국 대표로 나선 호라티우스 3형제와 쿠리아티우스 3형제의 결투에서 로마가 승리하며 알바 롱가를 복속시켰다. 알바 롱가가 페데나이와 웨이이를 선동해 로마를 공격하려 하자, 툴루스는 이를 간파하고 역이용하여 승리했다. 배신한 알바 롱가의 왕은 처형되었고, 알바 롱가 주민들은 로마로 이주하여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율리우스 씨족과 같은 유력 가문이 원로원에 합류했고, 늘어난 의원들을 수용하기 위해 "호스틸리우스 회의장"이 건설되었다.

기원전 641년, 32년간의 통치 끝에 툴루스는 사망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유피테르 신을 불러내는 의식을 잘못 치러 낙뢰를 맞아 사망했다고 한다.[13][10]

2. 1. 초기 생애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왕정 로마 초기, 왕을 라틴족과 사비니족에서 번갈아 뽑는다는 규정에 따라, 초대 로물루스는 라틴족, 2대 누마 폼필리우스는 사비니족이었으므로, 3대 왕은 라틴족 명문 출신인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선출되어 기원전 673년에 즉위했다. 그의 할아버지 호스틸리우스 호스틸리우스는 사비니족과의 전쟁에서 맹활약하며 장렬하게 전사한 명장이었다.

2. 2. 알바 롱가와의 전쟁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즉위 당시 로마는 이웃 나라 알바 롱가와 농지 경계를 둘러싼 불만이 쌓여 있었지만, 강국인 알바 롱가를 두려워하여 협상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툴루스는 전쟁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했다. 양국은 전쟁을 벌였지만, 알바 롱가는 초대 왕 로물루스의 출신이기도 하여 불필요한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대표자 간의 결투로 승패를 가리기로 했다.

전쟁은 알바 롱가와 로마에서 각각 태어난 세 쌍둥이가 각 도시를 위해 싸우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사람이 승자가 되고, 그의 도시는 군대 간의 전투 없이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이 세 쌍둥이는 양 도시의 챔피언으로 선정되었다.[7] 리비우스에 따르면, 세 쌍둥이는 호라티우스와 쿠리아티우스로 불렸으며, 대부분 호라티우스는 로마 출신이고 쿠리아티우스는 알바 롱가 출신이라고 믿었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8] 로마 측 호라티우스 3형제, 알바 롱가 측 쿠리아티우스 3형제를 대표로 내세웠고, 처음에는 알바 롱가 측이 압도하는 듯했지만 결국 로마 형제 중 한 명이 승리하여 로마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전투에서 승리했다.[9]

결과적으로 알바 롱가는 로마에 충성을 맹세하게 되었지만, 속으로는 크게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에 알바 롱가는 페데나이와 웨이이 두 도시를 선동하여 로마에 선전 포고를 하게 했다. 그리고 알바 롱가는 로마의 아군으로 참전하는 척하면서, 전투가 벌어지는 순간 배신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툴루스는 이 계략을 간파하고 있었다.

알바의 독재자 메티우스 푸페티우스는 에트루리아인과의 전쟁에서 로마를 배신했다. 로마는 알바의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메티우스는 이에 동의했지만, 전투 중에 로마를 버리고 툴루스를 혼자 싸우게 하겠다는 에트루리아인과의 비밀 협약도 맺고 있었다. 메티우스는 또한 전투에 전혀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에트루리아인도 배신했다.[10] 툴루스는 배신에도 불구하고 전투에서 승리했다. 메티우스는 툴루스에게 포로로 잡혔다.[5]

페데나이 근처에서 전투가 시작되자, 알바 롱가 군은 로마군에서 이탈하여 페데나이·웨이이 연합군 쪽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이때 툴루스는 적군에게 들릴 정도의 큰 소리로 "보아라, 얼마나 용감하게 뛰어드는지. 적들은 곧 속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라고 외쳤고, 페데나이·웨이이 연합군은 대혼란에 빠져 패주했다.

툴루스는 알바 롱가를 파괴하라고 명령했고 알바 시민들을 로마로 이주시켰으며, 그곳에서 통합되어 로마 시민이 되었다. 로마를 배신한 죄로, 툴루스는 메티우스 푸페티우스를 두 대의 전차에 묶어 말들이 그를 두 조각으로 찢어 죽이게 했다.[10] 그 후 알바 롱가의 왕은 개선 축하 연회에 초대되어 무기도 없이 참석했다가 붙잡혀 처형되었다. 알바 롱가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로마로의 이주를 강요받았다. 그러나 알바 롱가 사람들은 노예가 된 것이 아니라, 전원이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고, 유력 가문의 일족은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 율리우스 씨족은 이때 이주한 유력 가문 일족이라고 전해진다.

2. 3. 쿠리아 호스틸리아 건설

알바 롱가의 지도자들이 로마 원로원에 통합된 후, 훨씬 더 커진 로마 원로원을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건물을 세울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쿠리아 호스틸리아가 건설되었다.[11] 전통적으로 이 건물은 툴루스에 의해 지어졌고,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고 여겨지며, 포룸 북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그 유적은 기원전 600년경으로 추정된다.[12] 비록 이 날짜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통치 기간으로 전통적으로 여겨지는 시기보다 훨씬 뒤에 해당하지만, 학자들은 로마 왕들의 지나치게 긴 통치 기간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있다.

최근의 고고학 연구는 역사가 팀 코넬이 제시한 더욱 그럴듯한 연대기, 즉 왕정 시기를 240년에서 120년으로 단축하는 제안을 뒷받침한다. 이는 왕들의 역사적 업적을 로마가 처음으로 도시화되고 통일된 기원전 625년과 기원전 500년 사이에 위치시킨다.[12] 이 기간을 사용하면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통치 기간 동안 쿠리아 호스틸리아를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피데나이 및 베이와 사비니와의 성공적인 전쟁을 이끌 수 있었던 점을 설명한다.

알바 롱가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로마로 이주를 강요받았다. 그러나 알바 롱가 사람들은 노예가 된 것이 아니라, 전원이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고, 유력 가문의 일족은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 율리우스 씨족은 이때 이주한 유력 가문 일족이라고 전해진다. 의원 수가 증가하여 회의장이 좁아지자 새롭게 건설된 회의장이 "호스틸리우스 회의장"이라고 불렸다.

2. 4. 죽음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32년간 통치한 후 사망했다.[13][10]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툴루스는 재위 기간 동안 종교 의식을 소홀히 하였고, 왕의 관심을 받을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재위 말년에 로마는 몬테 카보(알바노 산)에 돌이 쏟아지는 사건 (''노벤디알리스''라고 불리는 9일간의 종교 축제가 열렸다)과 알바인들이 예전 신들에게 헌신하지 않았다는 산 정상에서 들려온 큰 목소리, 그리고 로마에 닥친 역병 등 일련의 예언에 시달렸다. 툴루스는 병에 걸려 미신에 사로잡혔고, 누마 폼필리우스의 주석서를 보고 희생 제사를 지내려 했다. 그러나 유피테르 엘리키우스 의식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유피테르의 분노로 인해 그와 그의 집은 벼락을 맞아 잿더미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로는, 안쿠스 마르키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이 옷 속에 칼을 숨기고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집에 가서 툴루스와 그의 가족, 하인들을 죽이고 왕위 계승자가 없도록 재산을 헐어버렸다는 이야기가 있다.[13][10]

3. 역사적 실존 여부와 평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통치 기간에 일어난 사건들은 대부분 전설적인 요소가 강하며,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1] 특히 알바 롱가의 파괴와 쿠리아 호스틸리아 건설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2]

일부 학자들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업적이 로물루스의 업적과 유사하게 과장되었거나, 그의 성격이 누마 폼필리우스와 대비를 이루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두 인물 모두 목동 사이에서 자랐고, 피데나이와 베이이를 상대로 전쟁을 벌였으며, 시민의 수를 두 배로 늘리고 군대를 조직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호전적인 성격은 평화롭고 독실한 누마 폼필리우스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그러나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실존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도 존재한다. 그의 이름, 특히 "툴루스"라는 흔치 않은 프라이노멘과 고풍스러운 씨족 이름은 그가 실제로 로마를 통치했던 왕이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4. 문화적 영향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의 이야기는 오페라,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1694년 로마에서 조반니 보논치니의 음악으로 공연된 오페라 ''툴로 오스틸리오''가 그 시작이었다. 1727년 프라하와 1735년 브르노에서 공연된 ''툴로 오스틸리오''라는 제목의 오페라 파스티치에는 안토니오 비발디의 음악이 포함되었다. 당시의 관습에 따라, 이야기는 주요 등장인물의 가족 구성원과 관련된 조작된 사랑 이야기에 집중한다.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1961년 영화 ''챔피언의 결투''에서 로버트 키스가 연기했으며, 이 영화는 호라티우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아이네아스의 방패에 대한 묘사에서 간략하게 언급된다. 그는 거짓말쟁이 메티우스 푸페티우스의 유해를 덤불을 통해 끌고 가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필립 호세 파머의 소설 ''흩어진 몸들에게'', 즉 ''리버월드''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의 등장인물이다. 부활 이후, 그는 헤르만 괴링과 협력하여 노예 국가를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 chapter 22 https://www.perseus.[...] 2020-12-12
[2]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1.31 https://www.perseus.[...] 2020-12-12
[3] 논문 Vires/Robur/Opes and Ferocia in Livy's Account of Romulus and Tullus Hostillus 1990-05
[4] 서적 History of Rome
[5] 서적 Ab urbe condita
[6] 서적 The Life of Numa
[7]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 chapter 24 https://www.perseus.[...] 2020-12-08
[8]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 chapter 24 https://www.perseus.[...] 2020-12-12
[9]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 chapter 25 https://www.perseus.[...] 2020-12-12
[10] 백과사전 Alba Longa John Wiley & Sons 2015-06-30
[11]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 chapter 30 https://www.perseus.[...] 2020-12-12
[12]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Italy and Rome from the Bronze Age to the Punic Wars (c. 1000–264 BC) Routledge
[13] 서적 Dionysius of Halicarnassus (lll.35.3-4.)
[14] 서적 Ab urbe condita
[15] 서적 Ab urbe condita
[16] 서적 Ab urbe condita
[17] 서적 Ab urbe condi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