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 롱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 롱가는 고대 이탈리아에 존재했던 도시로, 현재는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단일 도시가 아닌 여러 취락의 연맹체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로마 신화에 따르면, 알바 롱가는 아이네이아스의 아들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건국 이전까지 라틴족의 중심 도시였다. 이후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과 베스타 신앙의 중심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 롱가 - 라티움 동맹
    라티움 동맹은 기원전 7세기경 라티움 지역 도시들이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로마와 상호 방위 조약을 맺었으나 로마의 세력 확장에 따라 라티움 전쟁 후 해체되어 로마 제국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알바 롱가 - 첼리오 언덕
    첼리오 언덕은 로마의 일곱 언덕 중 하나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알바 롱가 이주민의 정착지, 부유층 거주지를 거쳐 현재는 성당, 유적, 공원, 현대 시설 등이 있는 곳이다.
  • 기원전 7세기 폐지 - 두르샤루킨
    두르 샤루킨은 기원전 713년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가 건설을 시작한 도시이며, 3제곱킬로미터 규모로 궁전, 신전, 요새화된 시벽 등을 갖추었으나 사르곤 2세 사망 후 버려졌고 2015년 ISIL에 의해 파괴되었다.
  • 기원전 7세기 폐지 - 프리기아
    프리기아는 아나톨리아 고원 서쪽에 위치했던 고대 국가로, 기원전 8세기경 왕국을 건설하여 아나톨리아 대부분을 지배했으나 킴메리아의 침입으로 멸망 후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그리스·로마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구라티움 문화 - 라틴어
    라틴어는 기원전 8세기 라티움 지방에서 시작된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언어로, 로마 제국 확장을 통해 유럽에 퍼져나가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고, 로마 가톨릭교회 전례어와 학문 공용어로 쓰였으며, 현재는 사어이지만 바티칸 시국 공식어이고, 로망스어족의 모체로서 유럽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 구라티움 문화 - 라틴족
    라틴족은 기원전 1000년경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계 민족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라티알 문화를 형성하고 도시국가를 건설, 공동 종교 의례를 통해 동족 의식을 유지했고, 로마 건국 신화의 기원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 팽창과 함께 라틴어는 로망스어군의 기반이 되었다.
알바 롱가

2. 고고학

알바 롱가의 위치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다. 리비우스는 아스카니우스가 라비니움의 혼잡함을 덜기 위해 알바 롱가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5]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아스카니우스가 신탁에 따라 다른 라틴족 사람들도 모았으며, albala는 "하얀"을, longala는 "긴"을 의미하여, 도시 이름을 그리스어로 "긴 하얀 도시"로 번역했다. 디오니시우스는 도시를 알반 산과 알바노 호수 사이에 위치시켰다.[6]

카스텔 간돌포는 알바노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길고 햇볕이 잘 드는 능선에 위치해 있으며, 고대 알바 롱가의 가장 유력한 위치이다.


그러나 이 시기 알반 언덕 지역에 강력한 국가가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다. 고전학자 팀 코넬은 당시 이 지역에서 패권을 잡을 수 있는 도시화된 도시 국가는 없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현대 도시 알바노 라치알레가 고대 알바 롱가와 관련이 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도 없다. 고대 세계에서 알바 롱가가 중요했던 이유는 유피테르 라티아리스를 기리기 위해 알바누스 산에서 열린 연례 라틴 축제를 주최했던 종교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철기 시대에 각자 자체 묘지를 가진 일련의 마을들이 알바노 호수의 남서쪽 해안을 따라 존재했다.[7] 이 마을들은 로마에 의해 파괴될 당시까지 도시 이전 단계에 있었으며, 더 큰 묘지가 있는 카스텔 간돌포를 중심으로 그룹을 이루기 시작했을 수 있다.

후기 공화정 시대에 알바 지역(''아게르 알바누스'')은 많은 주거 로마 빌라로 다시 정착되었으며, 고대 문헌에 언급되고 유물이 남아 있다. 16세기 이후, 알바 롱가의 위치는 알바노 라치알레 근처 팔라촐라의 성 바울 수도원, 마리노 (RM) 근처 코스테 카셀레, 그리고 카스텔 간돌포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카스텔 간돌포는 유베날리스에 따르면 알바의 아르크스에 위치했던 도미티안의 별장 부지를 점유하고 있다.[8]

2. 1. 알바 롱가 유적에 대한 현대 고고학적 해석

현대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알바 롱가는 단일 도시가 아니라, 알바노 산지에 흩어져 있던 여러 취락의 연맹체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해석은 알바 롱가의 위치 비정에 대한 고대의 기록과도 일치하며, 알바 롱가 중심 도시의 부재를 설명한다.[7]

과거에는 알바 롱가를 로마 남동쪽 약 30km에 위치한 알바노 호수 주변의 카스텔 간돌포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 고고학적 성과에 따르면, 알바노 산지는 인구가 많고 풍요로운 산지였지만, 주거지는 분산되어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알바 롱가는 취락의 연맹을 가리키는 명칭에 불과하며, 중심 도시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알바 롱가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고대부터 라틴인들 사이에서는 매년 알바노 산지에 있는 카보 산 산정의 신전에서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을 모시는 알바 연맹의 대제가 열렸다. 이 대제가 알바노 산지에 알바 롱가가 있었다고 상정하게 한 듯하다. 고대 사람들이 알바 롱가의 후보지로 몇몇 다른 장소를 언급하고 있는 사실은 위의 고고학적 성과와 일치한다.[6]

3. 전설과 신화

로마 신화에 따르면, 기원전 1184년 트로이 함락 이후, 아이네이아스는 트로이 생존자들을 이끌고 지중해를 거쳐 시칠리아, 카르타고를 지나 이탈리아 반도에 도착했다.[10][11] 그는 라틴족의 왕 라티누스에게 환영받았고, 그의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여 라비니움을 건국했다. 라티누스가 전쟁에서 사망하자 아이네이아스가 왕위를 계승했고, 아들 아스카니우스(이울루스)가 그 뒤를 이었다.

아이네이아스 사후, 아스카니우스는 라틴족의 왕이 되었다. 그는 알바 산 경사면에 알바 롱가를 건설하고 600가구를 이주시켰다.[12] 이는 라비니움 건국 30년 후인 기원전 1151년이었다.[5][6] 그의 후손들은 500년간 라틴족을 통치했다. 페스투스에 따르면, 이 왕들은 로마 귀족들이 착용한 붉은색 또는 티리안 퍼플 칼케우스 물레우스의 기원이었다.[13]

알바 롱가는 약 30개 도시와 식민지를 이끌며 라틴 동맹의 맹주였다. 동맹 회의는 4세기 중반까지 알바노와 마리노 사이 페렌틴 샘에서 열렸다.[14] 라티움 전체가 보이는 알반 산에서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로마 전통에 따르면, 알바 롱가는 로마의 모도시였다. 알바 롱가 왕자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왕위 다툼으로 추방된 후 로마를 건국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이 사건을 기원전 8세기 중반으로 추정했다.[17]

3. 1. 알바 왕조

알바 롱가의 왕 계보는 초대 아스카니우스와 그 뒤를 잇는 실비우스, 로마 건국 직전에 등장하는 로물루스의 증조부 프로카스, 아물리우스, 누미토르의 이름과 순서는 여러 문헌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그 사이에 등장하는 왕들에 대해서는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 베르길리우스는 아스카니우스와 실비우스 다음에 프로카스, 카피스, 누미토르, 실비우스 아이네아스의 이름을 순서 지정 없이 언급한다.
  • 오비디우스는 아스카니우스, 실비우스, 라티누스, 알바, 에피투스, 카피스, 카페투스, 티베리누스, 레물루스, 아크로타, 아벤티누스, 프로카스를 언급하며, 레물루스와 아크로타는 형제 관계로 형이 레물루스이다.
  • 리비우스는 아스카니우스, 실비우스, 아이네아스 실비우스, 라티누스 실비우스, 알바, 아티스, 카피스, 카페투스, 티베리누스, 아그리파, 로물루스 실비우스, 아벤티누스, 프로카스를 언급한다.
  •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아스카니우스, 실비우스, 아이네아스 실비우스, 라티누스 실비우스, 알바스, 카페투스, 카피스, 카르페투스, 티베리누스, 아그리파스, 알로디우스, 아벤티누스, 프로카스를 언급한다.

4. 로마와의 관계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는 이탈리아 반도에 도착하여 라비니움을 건설했고, 그의 아들 아스카니우스가 알바 롱가를 건설했다고 한다. 아스카니우스의 후손인 프로카 왕 사후, 누미토르와 아물리우스 형제간 왕위 다툼이 벌어졌고, 아물리우스가 왕위를 찬탈했다. 그러나 누미토르의 딸 레아 실비아가 낳은 쌍둥이 형제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아물리우스를 몰아내고, 기원전 753년 로마를 건국했다.

로마 제3대 왕 툴루스 호스틸리우스는 알바 롱가와 전쟁을 벌였다. 알바 왕 가이우스 쿠르빌리우스는 로마 근교에 진을 쳤으나 급사했고, 메티우스 푸페티우스가 지휘를 맡았다. 양측은 에트루리아인의 침입을 우려하여 대규모 전투 대신 호라티우스 삼형제와 쿠리아티우스 삼형제의 결투로 승패를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투에서 로마가 승리하여 알바 롱가는 로마에 복속되었다.[19][20]

메티우스는 이후 피데나이 전투에서 배신을 꾀하다 처형되었고, 호스틸리우스는 알바 롱가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로마의 카엘리우스 언덕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4. 1. 알바 롱가 멸망 이후

로마가 에트루리아인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툴루스 왕은 메티우스의 배신 행위에 대해 처형했다. 툴루스 왕의 명령에 따라 로마 군인들은 400년 된 알바 롱가 도시를 파괴하고 사원만 남겨 두었으며, 알바 롱가 전체 인구를 로마로 이주시켰다. 이로써 로마 시민의 수는 두 배로 늘었다. 툴루스는 율리우스, 세르빌리, 퀸크티우스, 게가니, 쿠리아티우스, 클로엘리 등 알바의 유력 가문들을 파트리키 계급에 편입시켰다.[4] 그는 확장된 로마 원로원을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원로원 건물인 쿠리아 호스틸리아를 건설했으며, 알바인들 중에서 새로운 10개의 투르마 (turma)의 기사와 새로운 군단을 모집했다.[4] 알바 이민자들은 로마의 카엘리우스 언덕에 살았다.[25]

5. 종교

알바 롱가는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의 중심지였다. 알반 산 정상에는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전이 있었고, 라틴 동맹의 도시들은 매년 이곳에서 제사를 지냈다.[8]

베스타 신앙 또한 알바 롱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베스타 여사제들은 알바 롱가에서 로마로 이어지는 종교적 전통의 중요한 부분이었다.[30]

5. 1. 베스타 신전

로마 외곽 팔라티노 언덕 기슭에 있던 베스타 신전은 아마도 도시보다 먼저 세워졌을 것이다.[26] 로마 건국 당시에는 언덕 꼭대기만 점유하고 있었는데, 베스타의 화로는 일반적으로 도시 성벽 밖에 세워지지는 않았을 것이다.[27]

이탈리아에서 베스타 숭배는 알바 롱가의 모도시인 라비니움에서 시작되었다. 라비니움에서 베스타 숭배는 알바 롱가로 옮겨졌다. 베스타 여사제로 알려진 베스타의 여사제들은 그녀의 신전을 관리하고 영원한 불을 지켰다. 알바 롱가에서의 그들의 존재는 초기 로마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는데, 로물루스의 어머니인 실비아가 여사제였기 때문이다.[30]

5. 2.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전

몬테 카보(몬스 알바누스) 정상에는 매우 오래된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전이 있었다. 플로루스(2세기)는 이 장소가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언급하는데, 그는 알바를 세운 후 모든 라틴족을 초대하여 그곳에서 유피테르에게 제사를 지내게 했고, 이 관습은 결국 페리에 라티나에의 연례 행사를 이끌었다.[8] 이 행사에서 라틴 동맹에 속한 모든 도시들이 알바의 보호 아래 모여 흰 수소를 희생했고, 그 고기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분배되었다.

알바 롱가가 파괴되고 로마가 그 지도자 역할을 맡은 후, 전통에 따르면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치세에 알반 산에 유피테르 라티아리스를 위한 본격적인 사원이 건설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에는 외부로 옮겨진, 둘레 벽의 몇 층만 남아 있다. 그러나 그것을 아리치아 근처의 아피아 가도와 연결하는 포장도로의 상당한 유적이 남아 있다.

6. 현대 소설에서의 등장

L. 스프레이그 드 캠프의 과학 소설 단편 "빛을 가져오다"의 상당 부분은 로마 건국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알바 롱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소설에서 알바 롱가는 제정 로마 시대에 살다가 천 년 전으로 시간 여행을 한, 교양 있는 여성 플라비아 헤로실라의 시각으로 묘사되며, 그녀는 로마가 예정대로 건국되도록 하는 데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그녀는 알바 롱가에서 유혈 사태를 동반한 정권 교체를 성공적으로 일으킨다.[1]

참조

[1] harvard
[2] 백과사전 Alba Longa Prentice Hall Press
[3] 백과사전 Alba Longa Merriam-Webster Inc.
[4]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5] 서적 History of Rome https://archive.org/[...] Getty Publications
[6] 서적 Roman Antiquities
[7] 웹사이트 Iron Age necropolis that predates Rome unearthed near Naples https://www.livescie[...] 2024-11-07
[8] 서적 Roms Campagna in beziehung auf alte geschichte: dichtung und kunst (The Ancient World of Roman Campagna: Poetry and Art) https://books.google[...] F. A. Brockhaus 2016-10-12
[9] harvard
[10] 서적 The Aeneid
[11] 서적 Virgil's the Aeneid
[12] 서적 Roman Antiquities
[13] 서적 Breviarium Rerum Gestarum Populi Romani
[14] 서적 The World's History: The Mediterranean nations https://books.google[...] W. Heinemann 1902
[15] harvard
[16] 서적 The History of Rome, Volume 2 https://books.google[...]
[17] harvard
[18] 서적 Early Rome: From the Foundation of the City to Its Destruction by the Gauls https://archive.org/[...]
[19]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0]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1]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2]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3]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4]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5]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6] 서적 Fastorum libri sex
[27] 서적
[28] 서적 Fast
[29] 서적 The Classical Journal, Volume 15 https://books.google[...]
[3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www.perseus.[...] 2015-05-04
[31] 서적 Life of Nu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