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르나 공성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르나 공성전은 7년 전쟁 초기인 1756년, 프로이센이 작센을 침공하면서 발생한 군사 작전이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드레스덴을 점령한 후, 작센군을 피르나 요새에 포위했다. 작센군은 지형을 이용한 방어선을 구축했지만, 프로이센군의 병참선 차단 전략에 고립되었다. 작센군은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기다렸으나, 오스트리아군의 구원 시도가 실패하면서, 결국 식량 부족과 사기 저하로 항복했다. 이로 인해 프로이센은 작센을 점령하고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으나, 작센군 병사들의 탈영으로 인력 손실을 겪었다. 반면 오스트리아는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6년 분쟁 - 과라니 전쟁
    18세기 중반 마드리드 조약으로 자신들의 땅에서 쫓겨나게 된 과라니족이 세페 티아라주를 중심으로 스페인-포르투갈 연합군에 맞서 저항한 전쟁으로, 볼테르의 《캉디드》나 영화 《미션》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 1756년 분쟁 - 메노르카섬 해전
    메노르카섬 해전은 1756년 영국과 프랑스 간의 전투로, 프랑스가 영국령 메노르카섬을 점령하려 하자 영국 해군 제독 존 빙이 이를 막으려 했으나, 소극적인 전술로 패배하여 처형당하고 영국은 메노르카섬을 상실하게 된 사건이다.
  • 7년 전쟁의 전투 - 민덴 전투
    민덴 전투는 1759년 7년 전쟁 중 브라운슈바이크 공 페르디난트의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한 전투로, 프랑스는 하노버 점령에 실패하고 영국군은 승리했지만 지휘관의 명령 불복종으로 비판받았으며, 영국 군대 전통에 깊이 새겨져 민덴 데이로 기념된다.
  • 7년 전쟁의 전투 - 플라시 전투
    플라시 전투는 1757년 영국 동인도 회사와 벵골 태수 시라주 앗 다울라 간의 전투로, 영국의 승리로 끝나 인도의 식민지 지배를 본격화하고 프랑스를 인도에서 철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피르나 공성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피르나 공성전
분쟁7년 전쟁 (제3차 슐레지엔 전쟁)
날짜1756년 9월 10일 – 1756년 10월 14일
장소작센 선제후국 피르나
결과프로이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로이센
교전국 2작센
오스트리아
지휘관
지휘관 1프리드리히 대왕
지휘관 2프리드리히 폰 루토프스키
막시밀리안 울리세스 브라운
병력
병력 162,000명
병력 2작센군 20,076명
오스트리아군 8,000명
피해 규모
피해 1불명
피해 2포로 15,000명
사망 및 부상 5,000명
지리 정보
엘베 강과 릴리엔슈타인 (작센군 항복 지점)
1759년 피르나 지도

2. 배경

1756년 8월 29일, 프로이센군은 작센을 침공했다. 프리드리히 대왕은 군대를 셋으로 나누어 작센을 포위하고, 드레스덴을 목표로 진군했다. 서쪽은 마그데부르크에서 페르디난트 군이, 동쪽은 프랑크푸르트에서 아우구스트 빌헬름 군이 각각 동서로 진군해 보헤미아로 연결되는 도로를 봉쇄했다.[8] 그리고 대왕 자신은 중앙군을 지휘하여 베를린에서 남하하여 드레스덴을 목표로 진군해 들어갔다.

당시 작센군은 2만 정도의 병력 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군을 피르나의 요새로 후퇴시켜 방어전을 펼치고, 오스트리아 군대의 구호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 작센 선제후 겸 폴란드 왕 아우구스트 3세와 재상 브륄도 드레스덴을 피해 피르나 군에 합류하였고, 드레스덴에는 공비 마리아 요제파만 남았다.[8]

9월 9일, 대왕은 드레스덴에 입성하였고, 9월 10일 피르나 서쪽 그로스제드리츠에 진을 치고 프리드리히 성관에 본영을 두고 작센군을 포위하기 시작했다.[8]

포위와 동시에 양측의 협상이 진행되었다. 아우구스트 3세는 프로이센의 침공에 항의하고 중립을 약속하며 철군을 요구했다. 그러나 대왕은 작센이 오스트리아, 러시아와 대 프로이센 전쟁에서 협력할 예정임을 알고 있었다. 대왕은 작센이 프로이센과 동맹을 맺고 오스트리아와 싸울 것을 요구했지만, 아우구스트 3세는 거부했다. 9월 19일까지 빈터펠트를 사자로 하여 협상이 이어졌으나, 결국 중단되었다.[11] 그동안 작센은 오스트리아에 구원 요청을 보냈고, 프로이센군은 카이트가 지휘하는 주력 부대가 아우시히를 점령했다.

3. 피르나 포위전



피르나는 엘베 강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주변은 작센 스위스라고 불리는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천연 요새와 같았다.[9] 작센군은 존넨슈타인 성을 서쪽, 쾨니히슈타인 성을 동쪽 거점으로 삼고, 북쪽으로는 엘베 강, 남서쪽으로는 고틀로이바 계곡, 남동쪽으로는 빌라 계곡을 활용하여 L자형 방어선을 구축했다.[10] 이들은 두 성을 연결하고 계곡 위에 야전 축성을 실시하여 진지를 강화했다.[10] 또한 주변 산에서 잘라낸 말뚝 울타리를 촘촘히 설치하여 공격 경로를 차단했다.[10]

존넨슈타인 성과 쾨니히슈타인 성에 설치된 대포는 주변과 엘베 강 건너편을 제압할 수 있었다.[11] 특히 쾨니히슈타인 성은 요새로서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었고, 고지대에서 포격을 가하여 엘베 강 우안의 돌출부도 제압할 수 있었다.[11]

작센군의 방어 진지를 정찰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치밀하게 계산된, 유럽에서도 가장 강력한 진지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9], 공격 대신 병참선을 차단하는 전략을 택했다. 프로이센군은 엘베 좌안에서는 계곡 반대편에 진지를 구축하고, 우안에서는 로멘에서 슈타트 베렌, 라텐, 바트 샨다우에 이르는 엘베 강변에 병력을 배치하여 작센군을 봉쇄했다.[12] 바스타이에는 감시소를 설치하여 작센군 진지를 감시했다.[12]

프로이센군은 하이데나우 부근에 교량을 건설하여 양안을 연결하고[12], 샨다우의 다리와 함께 군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피르나의 다리는 양측 포병의 사정거리 안에 있어 사용할 수 없었으며, 서로 적의 기습이나 돌파에 대비했다.[11] 프로이센군이 진지를 강화하는 동안 작센군은 움직이지 않았고, 양군은 거의 교전하지 않았다. 프로이센군 진지가 완성되자 작센군은 완전히 봉쇄되었고, 작센 병사들은 결핍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프로이센 병사들은 풍족한 생활을 했다.[13]

3. 1. 작센군 진지와 프로이센의 포위

피르나는 엘베 강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주변은 작센 스위스라고 불리는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천연 요새와 같았다.[9] 작센군은 존넨슈타인 성을 서쪽, 쾨니히슈타인 성을 동쪽 거점으로 삼고, 북쪽으로는 엘베 강, 남서쪽으로는 고틀로이바 계곡, 남동쪽으로는 빌라 계곡을 활용하여 L자형 방어선을 구축했다.[10] 이들은 두 성을 연결하고 계곡 위에 야전 축성을 실시하여 진지를 강화했다.[10] 또한 주변 산에서 잘라낸 말뚝 울타리를 촘촘히 설치하여 공격 경로를 차단했다.[10]

존넨슈타인 성과 쾨니히슈타인 성에 설치된 대포는 주변과 엘베 강 건너편을 제압할 수 있었다.[11] 특히 쾨니히슈타인 성은 요새로서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었고, 고지대에서 포격을 가하여 엘베 강 우안의 돌출부도 제압할 수 있었다.[11]

작센군의 방어 진지를 정찰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치밀하게 계산된, 유럽에서도 가장 강력한 진지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9], 공격 대신 병참선을 차단하는 전략을 택했다. 프로이센군은 엘베 좌안에서는 계곡 반대편에 진지를 구축하고, 우안에서는 로멘에서 슈타트 베렌, 라텐, 바트 샨다우에 이르는 엘베 강변에 병력을 배치하여 작센군을 봉쇄했다.[12] 바스타이에는 감시소를 설치하여 작센군 진지를 감시했다.[12]

프로이센군은 하이데나우 부근에 교량을 건설하여 양안을 연결하고[12], 샨다우의 다리와 함께 군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피르나의 다리는 양측 포병의 사정거리 안에 있어 사용할 수 없었으며, 서로 적의 기습이나 돌파에 대비했다.[11] 프로이센군이 진지를 강화하는 동안 작센군은 움직이지 않았고, 양군은 거의 교전하지 않았다. 프로이센군 진지가 완성되자 작센군은 완전히 봉쇄되었고, 작센 병사들은 결핍된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프로이센 병사들은 풍족한 생활을 했다.[13]

3. 2. 브라운의 구출 작전

브라운은 콜린에 군을 집결시킨 뒤 작센군 구원을 명령받았다.[15] 브라운은 에거 강 남안의 부딘으로 군을 이동시켜 프로이센군의 침공에 대비하는 한편, 작센군과 연락을 취하며 구출 작전을 검토했다. 브라운은 곧장 북상하여 카이트 군을 격파하고 피르나를 포위 해제하는 방안, 서쪽으로 크게 우회하여 작센으로 진출하는 방안, 엘베 강 우안에 구출군을 별도로 구성하고 주력 부대로 좌안을 지키는 동안 구원군이 산을 넘어 작센군을 도하시켜 수용하는 방안을 고려했다.[15]

브라운은 처음에 첫 번째 방안을 제안하고 작센군에게 남쪽으로 포위를 돌파할 수 있을지 타진했으나,[16] 작센군은 프로이센군의 방어가 견고하여 어렵다고 회신하고 다른 작전을 요구했다. 그래서 브라운은 세 번째 방안으로 전환하여, 우안에서 구출 부대를 보내기로 하고 르토프스키도 승낙했다.

9월 30일 브라운 군은 에거 강을 도하하여 로보지츠로 진출했고, 10월 1일 로보지츠 전투에서 대왕에게 패배했다. 브라운 군은 부딘으로 후퇴했지만, 몇몇 부대를 빼내 엘베 강 북안으로 이동하여 구원군을 구성하여 작센으로 북상을 시작했다.[18]

브라운과 르토프스키는 오스트리아군이 샤다우 근처까지 진출하여 작센군의 신호를 기다리고, 작센군은 10월 11일 밤에 엘베 강에 가교를 놓고 우안으로 도하하여 다음날 아침 쾨니히슈타인으로부터의 포격을 신호로 양군이 프로이센군의 봉쇄선을 협격하기로 합의했다.[17] 로보지츠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대왕의 관심과 프로이센군의 전력을 보헤미아로 유인하고 차단하는 동안 작센군을 구원하려는 브라운의 작전은 전반 단계의 성공을 거두었다.[18]

4. 탈출전

작센군은 심각한 식량 부족과 사기 저하에 직면했다. 루토프스키는 엘베 강 도하를 통해 포위망을 돌파하려 했으나, 프로이센군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었다.

=== 도하전 ===

작센군은 10월 8일부터 엘베 강에 배를 띄워 강 건너편을 정찰하며 도하 작전을 준비했다.[19] 그러나 프로이센군의 포격으로 정찰은 실패했다. 10일부터 12일까지 작센군은 쾨니히슈타인 맞은편 우안 돌출부 끝에 도하하기로 결정하고, 튀름스도르프를 가교 지점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공병 부족으로 작업은 난항을 겪었다.[19]

12일, 가교 준비가 완료되자 루토프스키는 각 부대에 밤에 도하 지점으로 집결하라고 명령했다. 밤과 함께 가교가 이루어졌고, 작센 병사들은 진지를 떠나 튀름스도르프로 후퇴했다. 기병은 말을 끌고 걸었고, 포병은 포의 대부분을 버렸다. 악천후 속에서도 13일 아침까지 척탄병 7개 대대가 도하하여 교두보를 확보했고,[21] 나머지 부대도 도하했다.

13일 이른 아침, 프로이센군 프린츠 모리츠는 작센군 도하 보고를 받고 추격을 시작했다.[22] 프로이센군은 고트로이바 계곡을 넘어 작센군 진지로 쇄도했고, 치텐의 후사르는 튀름스도르프 부근까지 돌입했다. 작센군 후위는 엘베 좌안 진지 내에서 약 반나절 동안 저항했지만, 프로이센군의 공격에 밀려 후퇴했다. 독립대대 병사들과 엽병은 숲 속에서 작센군에게 사격을 가했고, 엽병은 다리를 건너는 작센 병사를 저격했다. 오후 늦게 프로이센군이 포격을 가하자 작센군 후위는 무너져 궤주했고, 작센군은 부교 연결 밧줄을 절단했다. 다리는 라텐에서 프로이센군에 의해 회수되었다.

=== 돌파전 ===

작센군은 엘베 강 도하에 성공했지만, 좁은 돌출부에 갇히게 되었다.[19] 이 돌출부는 좌우가 엘베 강으로 막혀있고, 정면에는 릴리엔슈타인 산이 가로막고 있었다. 릴리엔슈타인 너머 발터스도르프를 지나면 돌출부를 빠져나갈 수 있었지만, 그 앞에도 산과 라쿠스 강의 험준한 계곡이 있어 돌파가 쉽지 않았다.

프로이센군은 릴리엔슈타인과 리히텐하인 사이에 이중 삼중의 봉쇄선을 구축하여 작센군의 진격을 막았다.[23][20] 작센군 바로 앞에는 레초우의 보병 5개 대대가 릴리엔슈타인을 포함한 진지를 구축했고, 그 뒤에는 보병 6개 대대와 기병 5개 중대가 제2선을 형성했다.[23]

작센군은 릴리엔슈타인 앞 에벤하이트에 집결하여 휴식을 취했지만, 좁은 공간과 엘베 강으로의 경사, 하안림 때문에 병력 배치에 어려움을 겪었다. 13일 오후부터 비가 내려 병사들은 비를 피할 곳도 없었고, 식량 부족, 탄약 부족, 텐트도 없는 열악한 상황에 놓였다.[21]

한편, 리히텐하인에서 프로이센군 진지 너머의 전투 소리를 들은 오스트리아군 브라운은 작센군의 도하를 인지하지 못하고 대기했다. 브륄은 다음 날인 14일 아침에 돌파를 시도할 테니 기다려 달라고 요청했다.[21] 그러나 브라운은 자군의 안전을 위해 철수를 결정하고, 14일 오전 9시까지 작센군이 공격을 시작하면 협력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철수하겠다고 통보했다.[24]

14일, 루토프스키는 쾨니히슈타인의 아우구스트로부터 공격 명령을 받았지만, 작센군은 릴리엔슈타인 양쪽에 설치된 프로이센군의 강력한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다.[19] 병사들은 피로하고 굶주렸으며, 탄약도 부족했다. 아우구스트는 신호 대포를 쐈지만, 브라운 군에게는 들리지 않았고, 루토프스키의 공격은 실행되지 않았다.[25]

루토프스키는 공격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했지만, 아우구스트는 공격을 강요했다. 결국 루토프스키는 장군 회의를 통해 항복을 결정하고, 프로이센군에게 휴전을 제안했다.[19] 브라운은 이미 작센군 구원을 포기하고 보헤미아로 철수했다.[26][21]

=== 항복 ===

루토프스키는 장군 회의를 통해 항복을 결정하고, 프로이센군에 휴전을 제안했다.[27] 10월 15일, 루토프스키는 프로이센군에 출두하여 슈토르펜에서 항복 교섭을 진행했다.[19] 프로이센 측은 빈터펠트가 교섭을 담당하여 작센군의 항복 조건을 제시했다.[19]

항복 조건에 따라 작센군 장교는 해방 선서 후 즉시 해방되었고, 작센군의 군기와 군용 북은 쾨니히슈타인으로 보내졌다. 쾨니히슈타인 성은 중립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우구스트는 바르샤바로 이동하여 궁정을 두는 것이 허락되었다.[28] 이를 제외한 작센군은 모든 장비, 물자, 인원 조직과 함께 완전히 항복했다.[19]

10월 17일, 작센군은 항복했고, 프로이센군은 라텐에 가교를 건설하여 작센군의 항복을 수리했다. 작센 병사들은 무장 해제되었고, 옛 진지로 돌아갔다. 18일, 아우구스트는 쾨니히슈타인을 출발하여 바르샤바로 향했다.[29]

항복 조약에서 모호하게 남겨두었던[19] 포로가 된 작센 병사들은 프로이센군에 강제 편입되었다. 이들은 충성 선서를 복창해야 했으며, 거부하는 자는 처벌받았다.[30]

4. 1. 도하전

작센군은 10월 8일부터 엘베 강에 배를 띄워 강 건너편을 정찰하며 도하 작전을 준비했다.[19] 그러나 프로이센군의 포격으로 정찰은 실패했다. 10일부터 12일까지 작센군은 쾨니히슈타인 맞은편 우안 돌출부 끝에 도하하기로 결정하고, 튀름스도르프를 가교 지점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공병 부족으로 작업은 난항을 겪었다.[19]

12일, 가교 준비가 완료되자 루토프스키는 각 부대에 밤에 도하 지점으로 집결하라고 명령했다. 밤과 함께 가교가 이루어졌고, 작센 병사들은 진지를 떠나 튀름스도르프로 후퇴했다. 기병은 말을 끌고 걸었고, 포병은 포의 대부분을 버렸다. 악천후 속에서도 13일 아침까지 척탄병 7개 대대가 도하하여 교두보를 확보했고,[21] 나머지 부대도 도하했다.

13일 이른 아침, 프로이센군 프린츠 모리츠는 작센군 도하 보고를 받고 추격을 시작했다.[22] 프로이센군은 고트로이바 계곡을 넘어 작센군 진지로 쇄도했고, 치텐의 후사르는 튀름스도르프 부근까지 돌입했다. 작센군 후위는 엘베 좌안 진지 내에서 약 반나절 동안 저항했지만, 프로이센군의 공격에 밀려 후퇴했다. 독립대대 병사들과 엽병은 숲 속에서 작센군에게 사격을 가했고, 엽병은 다리를 건너는 작센 병사를 저격했다. 오후 늦게 프로이센군이 포격을 가하자 작센군 후위는 무너져 궤주했고, 작센군은 부교 연결 밧줄을 절단했다. 다리는 라텐에서 프로이센군에 의해 회수되었다.

4. 2. 돌파전

작센군은 엘베 강 도하에 성공했지만, 좁은 돌출부에 갇히게 되었다.[19] 이 돌출부는 좌우가 엘베 강으로 막혀있고, 정면에는 릴리엔슈타인 산이 가로막고 있었다. 릴리엔슈타인 너머 발터스도르프를 지나면 돌출부를 빠져나갈 수 있었지만, 그 앞에도 산과 라쿠스 강의 험준한 계곡이 있어 돌파가 쉽지 않았다.

프로이센군은 릴리엔슈타인과 리히텐하인 사이에 이중 삼중의 봉쇄선을 구축하여 작센군의 진격을 막았다.[23][20] 작센군 바로 앞에는 레초우의 보병 5개 대대가 릴리엔슈타인을 포함한 진지를 구축했고, 그 뒤에는 보병 6개 대대와 기병 5개 중대가 제2선을 형성했다.[23]

작센군은 릴리엔슈타인 앞 에벤하이트에 집결하여 휴식을 취했지만, 좁은 공간과 엘베 강으로의 경사, 하안림 때문에 병력 배치에 어려움을 겪었다. 13일 오후부터 비가 내려 병사들은 비를 피할 곳도 없었고, 식량 부족, 탄약 부족, 텐트도 없는 열악한 상황에 놓였다.[21]

한편, 리히텐하인에서 프로이센군 진지 너머의 전투 소리를 들은 오스트리아군 브라운은 작센군의 도하를 인지하지 못하고 대기했다. 브륄은 다음 날인 14일 아침에 돌파를 시도할 테니 기다려 달라고 요청했다.[21] 그러나 브라운은 자군의 안전을 위해 철수를 결정하고, 14일 오전 9시까지 작센군이 공격을 시작하면 협력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철수하겠다고 통보했다.[24]

14일, 루토프스키는 쾨니히슈타인의 아우구스트로부터 공격 명령을 받았지만, 작센군은 릴리엔슈타인 양쪽에 설치된 프로이센군의 강력한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다.[19] 병사들은 피로하고 굶주렸으며, 탄약도 부족했다. 아우구스트는 신호 대포를 쐈지만, 브라운 군에게는 들리지 않았고, 루토프스키의 공격은 실행되지 않았다.[25]

루토프스키는 공격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했지만, 아우구스트는 공격을 강요했다. 결국 루토프스키는 장군 회의를 통해 항복을 결정하고, 프로이센군에게 휴전을 제안했다.[19] 브라운은 이미 작센군 구원을 포기하고 보헤미아로 철수했다.[26][21]

4. 3. 항복

루토프스키는 장군 회의를 통해 항복을 결정하고, 프로이센군에 휴전을 제안했다.[27] 10월 15일, 루토프스키는 프로이센군에 출두하여 슈토르펜에서 항복 교섭을 진행했다.[19] 프로이센 측은 빈터펠트가 교섭을 담당하여 작센군의 항복 조건을 제시했다.[19]

항복 조건에 따라 작센군 장교는 해방 선서 후 즉시 해방되었고, 작센군의 군기와 군용 북은 쾨니히슈타인으로 보내졌다. 쾨니히슈타인 성은 중립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우구스트는 바르샤바로 이동하여 궁정을 두는 것이 허락되었다.[28] 이를 제외한 작센군은 모든 장비, 물자, 인원 조직과 함께 완전히 항복했다.[19]

10월 17일, 작센군은 항복했고, 프로이센군은 라텐에 가교를 건설하여 작센군의 항복을 수리했다. 작센 병사들은 무장 해제되었고, 옛 진지로 돌아갔다. 18일, 아우구스트는 쾨니히슈타인을 출발하여 바르샤바로 향했다.[29]

항복 조약에서 모호하게 남겨두었던[19] 포로가 된 작센 병사들은 프로이센군에 강제 편입되었다. 이들은 충성 선서를 복창해야 했으며, 거부하는 자는 처벌받았다.[30]

5. 결과

프로이센은 자크센을 점령함으로써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고,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했다.[34] 자크센은 전쟁 초기에 프로이센에 점령되어 전쟁에서 이탈했다.[34] 강제 편입된 작센 병사들은 대규모로 탈영하여 프로이센군에 인력 손실을 안겼다.[33] 프로이센은 작센 병사들을 프로이센군에 편입하려 했으나, 이들은 겨울부터 대대 단위로 탈영하기 시작해 1년도 지나지 않아 절반 이상이 도망쳤다.[33]

오스트리아는 자크센을 잃었지만, 군대를 재정비할 시간을 벌었다.[37] 1756년 당시 오스트리아 군은 아직 전쟁 준비를 완전히 갖추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자크센 군의 항전으로 인해 프로이센 군의 보헤미아 침공이 지연된 것은 오스트리아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38] 클라우제비츠는 자크센 군이 보헤미아로 퇴각하지 않고 피르나에 머무른 덕분에 오스트리아 군이 시간을 벌 수 있었다고 평가하며, 만약 자크센 군이 퇴각했다면 프리드리히 대왕이 프라하를 점령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7][38]

참조

[1] 서적 Szabo
[2] 문서 降伏の実施された日。
[3] 서적 THE SEVEN-YEARS WAR: FIRST CAMPAIGN
[4] 간행물 Duffy 1985
[5] 간행물 Duffy 1977
[6] 간행물 Duffy 1985
[7] 서적 The history of the late war in Germany ,Part 1
[8] 서적 Holcroft 1789
[9] 서적 Holcroft 1789
[10] 서적 Holcroft 1789
[11] 서적 THE SEVEN-YEARS WAR: FIRST CAMPAIGN
[12] 서적 Holcroft 1789
[13] 서적 ブレーカー 2000
[14] 서적 ブレーカー 2000
[15] 서적 Holcroft 1789
[16] 서적 Asprey 1986
[17] 서적 Asprey 1986
[18] 서적 Lloyd 1789
[19] 서적 THE SEVEN-YEARS WAR: FIRST CAMPAIGN
[20] 서적 Holcroft 1789
[21] 서적 Asprey 1986
[22] 서적 Holcroft 1789
[23] 서적 Holcroft 1789
[24] 서적 Asprey 1986
[25] 서적 THE SEVEN-YEARS WAR: FIRST CAMPAIGN
[26] 서적 Holcroft 1789
[27] 서적 Holcroft 1789
[28] 서적 Holcroft 1789
[29] 서적 Holcroft 1789
[30] 간행물 Duffy 1996
[31] 서적 Holcroft 1789
[32] 서적 S.フィッシャー=ファビアン 1981
[33] 간행물 Duffy 1985
[34] 서적 クラウゼヴィッツ 1968
[35] 서적 クラウゼヴィッツ 1968
[36] 서적 クラウゼヴィッツ (1968) 下
[37] 서적 クラウゼヴィッツ (1968) 下
[38] 서적 クラウゼヴィッツ (1968) 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