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트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3세는 1696년 드레스덴에서 태어나 1763년 사망한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 작센 선제후였다. 그는 강건왕 아우구스투스 2세의 아들로, 1733년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을 거쳐 즉위했다. 아우구스트 3세는 예술 후원에 힘썼으나, 폴란드 통치에는 소홀하여 폰 브륄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7년 전쟁으로 작센이 침략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1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드레스덴 궁정 교회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폴란드 사람 - 미하우 클레오파스 오긴스키
폴란드의 외교관이자 정치가, 작곡가인 미하우 클레오파스 오긴스키는 폴란드 분할 시기 폴란드인들의 염원을 담은 폴로네이즈 "고별"을 작곡하고 코시치우슈코 봉기에 참여하는 등 정치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18세기 폴란드 사람 -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는 스웨덴의 지원으로 폴란드 왕이 되었으나 폴타바 전투 패배 후 왕위를 잃었고, 이후 프랑스 루이 15세의 장인이 되어 잠시 왕위를 되찾았지만 다시 잃은 후 로렌 공작으로서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며 계몽 군주로 활동했다. - 작센 선제후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로서 1697년부터 1706년, 1709년부터 1733년까지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를 지냈으며, 폴란드 왕위를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 대북방 전쟁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을 러시아 영향력 아래 두었고 드레스덴을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 작센 선제후 -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는 17세기 초 30년 전쟁 시기 작센을 통치하며, 중립 외교에서 스웨덴 동맹, 프라하 조약 체결 등 복잡한 정치적 행보를 보인 인물이다. - 1763년 사망 - 아베 프레보
아베 프레보는 격정적인 삶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사제, 번역가이다. - 1763년 사망 - 피에르 드 마리보
프랑스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피에르 드 마리보는 희극 작품에서 섬세한 연애 심리를 묘사하는 '마리보다주' 문체로 유명하며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도 활동하며 연극과 소설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우구스트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폴란드어 | August III Sas 아우구스트 3세 사스 |
리투아니아어 | Augustas III 아우구스타스 3세 |
독일어 | Friedrich August II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
통치 | |
폴란드 국왕 및 리투아니아 대공 즉위 | 1733년 10월 5일 |
폴란드 국왕 및 리투아니아 대공 퇴위 | 1763년 10월 5일 |
작센 선제후 즉위 | 1733년 2월 1일 |
작센 선제후 퇴위 | 1763년 10월 5일 |
폴란드 왕 대관식 | 1734년 1월 17일 바벨 대성당, 크라쿠프 |
이전 통치자 | 스타니스와프 1세 |
다음 통치자 |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투스 |
이전 작센 선제후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 |
다음 작센 선제후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
개인 정보 | |
전체 이름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작센 |
출생일 | 1696년 10월 17일 |
출생지 | 드레스덴,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사망일 | 1763년 10월 5일 |
사망지 | 드레스덴, 작센 선제후국, 신성 로마 제국 |
매장지 | 드레스덴 대성당, 드레스덴 |
종교 | 가톨릭 교회 (1712년부터), 루터교 (1712년까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마리아 요제파 (1719년 결혼, 1757년 사망) |
자녀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마리아 아말리아, 스페인 왕비 마리아 안나, 바이에른 선제후비 프란츠 크사버 공자 마리아 요제파, 프랑스 왕세자비 카를, 쿠를란트 공작 마리아 크리스티나, 레미르몽 여수도원장 마리아 엘리자베트 공녀 알베르트 카지미르, 테셴 공작 클레멘스 벤첼라우스, 트리어 대주교 선제후 마리아 쿠니군데, 에센 여수도원장 |
아버지 | 아우구스트 2세 |
어머니 | 크리스티아네 에버하르디네 폰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
왕가 | 베틴 가문 |
2. 왕실 칭호
Augustus tertius, Dei gratia rex Poloniae, magnus dux Lithuaniæ, Russiæ, Prussiæ, Masoviæ, Samogitiæ, Kijoviæ, Volhiniæ, Podoliæ, Podlachiæ, Livoniæ, Smolensciæ, Severiæ, Czerniechoviæque, nec non hæreditarius dux Saxoniæ et princeps elector.la
아우구스토 3세, 신의 은총으로 폴란드 국왕, 리투아니아, 루스, 프로이센, 마조비아, 사모기티아, 키예프, 볼히니아, 포돌리아, 포들라셰, 리보니아, 스몰렌스크, 세베리아, 체르니히우의 대공, 그리고 작센의 세습 공작이자 선제후
2. 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왕으로서의 칭호
Augustus tertius, Dei gratia rex Poloniae, magnus dux Lithuaniæ, Russiæ, Prussiæ, Masoviæ, Samogitiæ, Kijoviæ, Volhiniæ, Podoliæ, Podlachiæ, Livoniæ, Smolensciæ, Severiæ, Czerniechoviæque, nec non-hæreditarius dux Saxoniæ et princeps elector etc.|아우구스트 3세, 신의 은총으로 폴란드 왕, 리투아니아 대공, 루스, 프로이센, 마조비아, 사모기티아, 키예프, 볼히니아, 포돌리아, 포들라셰, 리보니아, 스몰렌스크, 세베리아, 체르니히우의 대공, 그리고 작센의 세습 공작이자 선제후 등.la3. 생애
드레스덴에서 1696년 10월 17일 강건왕 아우구스투스 2세의 유일한 적자로 태어났다.[2] 어머니는 크리스티안 에버하르디네 폰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였다. 어머니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으나, 아우구스트 3세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1712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공식 발표는 1717년).[6][9][10]
어릴 때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왕이 될 준비를 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온 최고의 가정교사들에게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라틴어를 배웠다.[3] 러시아어도 배웠지만 유창하게 말하지는 못했다.[4] 수학, 화학, 지리학 등의 학문과 승마도 배웠다.[4][5]
아버지가 폴란드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어린 아우구스투스는 할머니인 안나 소피 덴마크 공주의 보살핌을 받으며 루터교 신앙으로 양육되었다.[6] 아우구스트 2세는 아들이 가톨릭과 가까워지기를 바라며 유럽의 가톨릭 국가들을 순방하도록 주선했다. 베네치아에서 폴란드 일행은 앤 여왕의 영국 요원들이 그가 개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직한 유괴 시도를 무산시키기도 했다.[7][8]
1714년 9월 26일,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에서 아우구스투스를 따뜻하게 환영했다. 루이 14세는 아우구스투스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는 소식에 기뻐하며 그가 왕실 궁정에 머물도록 허락했고 파리에 머물게 했다. 어린 왕자는 루이 14세가 주최한 무도회, 가면 무도회 및 개인 파티에 참석했다.[5] 이 기간 동안 아우구스투스는 프랑스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정치와 외교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웠다.[5] 1715년 6월, 그는 베르사유를 떠나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보르도, 모아사크, 툴루즈, 카르카손, 마르세유, 리옹을 방문했다.[5]
1719년 8월 20일, 아우구스트 3세는 빈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1세의 딸인 마리아 요제파와 결혼했다.[12] 이 결혼은 작센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아우구스트 2세의 주도로 이루어졌다.[12] 가톨릭 신자인 카를 6세와의 동맹은 신성 로마 제국 내 개신교 국가들의 반발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었다.[12] 마리아 요제파는 결혼 열흘 전인 1719년 8월 10일에 삼촌의 딸인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해야 했다.[12] 드레스덴에서의 결혼 축하는 유럽 바로크 시대의 가장 화려하고 비용이 많이 든 행사 중 하나였다.[13] 800명 이상의 하객이 2주간의 축하 행사에 초대되었다.[13] 주요 연회는 인공 은광으로 변모한 방에서 열렸으며, 이국적인 요리와 함께 비아워비에자 숲에서 공수된 500마리 이상의 사슴이 제공되었다.[13] 이 행사에 약 가 사용되었다.[13]
1733년 2월 아버지 아우구스트 2세가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에 즉위했다.[32] 선거왕정이었던 폴란드는 세임에 의한 국왕 자유 선거를 거쳐야만 선왕의 후계자라도 왕위 계승이 인정되었다.[32]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국사조서 승인을 통해 카를 6세의 지지를 얻었고, 러시아 제국의 쿠를란트 공국에 대한 주장 승인을 통해 안나 여제의 지지를 받아 1733년 10월 아우구스트 3세로서 폴란드 왕으로 선출되었다.[32] 러시아 군의 도움을 받아 스타니스와프 1세 레슈친스키를 폴란드에서 몰아내고(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4년 1월 크라쿠프에서 대관식을 거행했으며, 1736년 6월 바르샤바에서 널리 승인받았다.[32]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영토 문제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고, 사냥, 오페라, 미술품 수집 등에 몰두했다. 30년 통치 기간 중 폴란드에 머무른 기간은 3년도 채 되지 않았다. 그 사이 폴란드에서는 차르토리스키 가문과 포토츠키 가문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세임(의회)이 마비되고, 리베룸 베토(거부권)로 인해 내부적으로 정치적 무정부 상태가 초래되어 연방이 약화되었다.[18]
아우구스트 3세는 하인리히 폰 브륄에게 대부분의 권한과 책임을 위임했고, 브륄은 폴란드의 부왕과 같은 역할을 했다. 브륄은 폴란드 정치를 유력 귀족들에게 맡겼으며, 이는 광범위한 부패를 초래했다.[18] 아우구스트 3세 치하에서 폴란드는 주요 분쟁에 연루되지 않아 유럽 내에서 폴란드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고, 주변 국가들이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이득을 취했다. 브륄은 작센군이나 러시아군을 동원하여 반대 세력을 진압했으며, 이들은 폴란드에 영구적으로 주둔했다.[18]
아우구스트 3세는 오스트리아 공주 마리아 요제파와의 결혼으로 마리아 테레지아를 지지해야 했으나, 초기에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합스부르크 가문 영토의 일부를 요구했다.[32] 1742년, 마리아 테레지아 지지로 돌아서면서 작센군은 제2차 슐레지엔 전쟁에서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2세의 군대와 싸웠다.[32]
1756년에 발발한 7년 전쟁에서 작센은 프로이센 군의 침공을 받았다. 작센군은 피르나 포위전에서 1756년 10월에 항복했고,[32] 아우구스트 3세는 바르샤바의 사스키 궁전(작센 궁전)으로 피신했다.[33] 작센은 전쟁 기간 동안 프로이센에 점령된 상태로 남았다.[32] 1763년 2월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으로 전쟁이 종결되자 아우구스트 3세는 작센으로 돌아왔다.[32]
1763년 4월, 아우구스투스는 건강이 좋지 않고 쇠약해진 상태로 폴란드에서 드레스덴으로 돌아왔다.[24] 1763년 10월 5일 드레스덴에서 뇌졸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4] 아버지와 달리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에 묻히지 않고 드레스덴 궁정 교회에 매장되었으며, 폴란드 밖에서 묻힌 몇 안 되는 폴란드 군주 중 한 명이다.[24]
3. 1. 초기 생애와 교육
드레스덴에서 1696년 10월 17일에 강건왕 아우구스투스 2세의 유일한 적자로 태어났다.[2] 그의 어머니는 크리스티안 에버하르디네 폰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였다. 어머니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으나, 아우구스트 3세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1712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공식 발표는 1717년).[6][9][10]어릴 때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왕이 될 준비를 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온 최고의 가정교사들에게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라틴어를 배웠다.[3] 러시아어도 배웠지만 유창하게 말하지는 못했다.[4] 수학, 화학, 지리학 등의 학문과 승마도 배웠다.[4][5]
아버지가 폴란드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어린 아우구스투스는 할머니인 안나 소피 덴마크 공주의 보살핌을 받으며 루터교 신앙으로 양육되었다.[6] 아우구스투스 2세는 아들이 가톨릭과 가까워지기를 바라며 유럽의 가톨릭 국가들을 순방하도록 주선했다. 베네치아에서 폴란드 일행은 앤 여왕의 영국 요원들이 그가 개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직한 유괴 시도를 무산시키기도 했다.[7][8]
1714년 9월 26일,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베르사유 궁전에서 아우구스투스를 따뜻하게 환영했다. 루이 14세는 아우구스투스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는 소식에 기뻐하며 그가 왕실 궁정에 머물도록 허락했고 파리에 머물게 했다. 어린 왕자는 루이 14세가 주최한 무도회, 가면 무도회 및 개인 파티에 참석했다.[5] 이 기간 동안 아우구스투스는 프랑스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정치와 외교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웠다.[5] 1715년 6월, 그는 베르사유를 떠나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보르도, 모아사크, 툴루즈, 카르카손, 마르세유, 리옹을 방문했다.[5]
3. 2. 결혼
1719년 8월 20일, 아우구스트 3세는 빈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1세의 딸인 마리아 요제파와 결혼했다.[12] 이 결혼은 작센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아우구스트 2세의 주도로 이루어졌다.[12] 가톨릭 신자인 카를 6세와의 동맹은 신성 로마 제국 내 개신교 국가들의 반발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었다.[12] 마리아 요제파는 결혼 열흘 전인 1719년 8월 10일에 삼촌의 딸인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권을 포기해야 했다.[12]드레스덴에서의 결혼 축하는 유럽 바로크 시대의 가장 화려하고 비용이 많이 든 행사 중 하나였다.[13] 800명 이상의 하객이 2주간의 축하 행사에 초대되었다.[13] 주요 연회는 인공 은광으로 변모한 방에서 열렸으며, 이국적인 요리와 함께 비아워비에자 숲에서 공수된 500마리 이상의 사슴이 제공되었다.[13] 이 행사에 약 가 사용되었다.[13]
3. 3. 폴란드 왕위 계승
1733년 2월 아버지 아우구스트 2세가 사망하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작센 선제후에 즉위했다.[32] 선거왕정이었던 폴란드는 세임에 의한 국왕 자유 선거를 거쳐야만 선왕의 후계자라도 왕위 계승이 인정되었다.[32]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는 국사조서 승인을 통해 카를 6세의 지지를 얻었고, 러시아 제국의 쿠를란트 공국에 대한 주장 승인을 통해 안나 여제의 지지를 받아 1733년 10월 아우구스트 3세로서 폴란드 왕으로 선출되었다.[32]아우구스트 3세는 러시아 군의 도움을 받아 스타니스와프 1세 레슈친스키를 폴란드에서 몰아내고(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4년 1월 크라쿠프에서 대관식을 거행했으며, 1736년 6월 바르샤바에서 널리 승인받았다.[32]
3. 4. 통치와 외교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영토 문제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고, 사냥, 오페라, 미술품 수집 등에 몰두했다. 30년 통치 기간 중 폴란드에 머무른 기간은 3년도 채 되지 않았다. 그 사이 폴란드에서는 차르토리스키 가문과 포토츠키 가문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세임(의회)이 마비되고, 리베룸 베토(거부권)로 인해 내부적으로 정치적 무정부 상태가 초래되어 연방이 약화되었다.[18]아우구스트 3세는 하인리히 폰 브륄에게 대부분의 권한과 책임을 위임했고, 브륄은 폴란드의 부왕과 같은 역할을 했다. 브륄은 폴란드 정치를 유력 귀족들에게 맡겼으며, 이는 광범위한 부패를 초래했다.[18] 아우구스트 3세 치하에서 폴란드는 주요 분쟁에 연루되지 않아 유럽 내에서 폴란드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고, 주변 국가들이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이득을 취했다. 브륄은 작센군이나 러시아군을 동원하여 반대 세력을 진압했으며, 이들은 폴란드에 영구적으로 주둔했다.[18]
아우구스트 3세는 오스트리아 공주 마리아 요제파와의 결혼으로 마리아 테레지아를 지지해야 했으나, 초기에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합스부르크 가문 영토의 일부를 요구했다.[32] 1742년, 마리아 테레지아 지지로 돌아서면서 작센군은 제2차 슐레지엔 전쟁에서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2세의 군대와 싸웠다.[32]
1756년에 발발한 7년 전쟁에서 작센은 프로이센 군의 침공을 받았다. 작센군은 피르나 포위전에서 1756년 10월에 항복했고,[32] 아우구스트 3세는 바르샤바의 사스키 궁전(작센 궁전)으로 피신했다.[33] 작센은 전쟁 기간 동안 프로이센에 점령된 상태로 남았다.[32]
1763년 2월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으로 전쟁이 종결되자 아우구스트 3세는 작센으로 돌아왔다.[32]
3. 4. 1. 폴란드
아우구스트 3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영토 문제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고, 사냥, 오페라, 미술품 수집 등에 몰두했다. 그는 30년의 통치 기간 중 폴란드에서 3년도 채 머무르지 않았다. 그 사이 폴란드에서는 차르토리스키 가문과 포토츠키 가문 간의 정치적 갈등이 세임을 마비시키고 (리베룸 베토), 내부 정치적 무정부 상태를 초래하여 연방을 약화시켰다.[18]아우구스트 3세는 대부분의 권한과 책임을 하인리히 폰 브륄에게 위임했는데, 브륄은 폴란드의 부왕과 같은 역할을 했다. 브륄은 폴란드 정치를 유력 귀족들에게 맡겼고, 이는 광범위한 부패를 초래했다.[18] 아우구스트 3세 치하에서 폴란드는 주요 분쟁에 연루되지 않아 유럽 내에서 폴란드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고, 주변 국가들이 이러한 혼란을 틈타 이득을 취하게 되었다. 브륄은 작센군이나 러시아군을 동원하여 반대 세력을 진압했으며, 이들은 폴란드에 영구적으로 주둔했다.[18]
3. 4. 2.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아우구스트 3세는 오스트리아 공주 마리아 요제파와의 결혼으로 마리아 테레지아를 지지해야 했으나, 초기에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합스부르크 가문 영토의 일부를 요구했다.[32] 1742년, 마리아 테레지아 지지로 돌아서면서 작센군은 제2차 슐레지엔 전쟁에서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2세의 군대와 싸웠다.[32]3. 4. 3. 7년 전쟁
1756년에 발발한 7년 전쟁에서 작센은 프로이센 군의 침공을 받았다. 작센군은 피르나 포위전에서 1756년 10월에 항복해야 했고,[32] 아우구스트 3세는 바르샤바의 사스키 궁전(작센 궁전)으로 피신했다.[33] 작센은 전쟁 기간 동안 프로이센에 점령된 상태로 남았다.[32]1763년 2월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으로 전쟁이 종결되자 아우구스트 3세는 작센으로 돌아왔다.[32]
3. 5. 사망
1763년 4월, 아우구스투스는 건강이 좋지 않고 쇠약해진 상태로 폴란드에서 드레스덴으로 돌아왔다.[24] 1763년 10월 5일 드레스덴에서 뇌졸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4] 아버지와 달리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에 묻히지 않고 드레스덴 궁정 교회에 매장되었으며, 폴란드 밖에서 묻힌 몇 안 되는 폴란드 군주 중 한 명이다.[24]4. 유산
아우구스트 3세는 예술과 건축을 사랑하고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드레스덴에 바로크 양식의 가톨릭 왕실 교회(현재의 드레스덴 성당)가 건설되었으며, 그는 크라쿠프의 바벨 대성당 외부에 묻힌 몇 안 되는 폴란드 국왕 중 한 명이 되었다. 드레스덴 미술관을 크게 확장하여 1747년 현재의 요하네움에 새로운 위치에 배치하였고, 1855년 새로 건설된 젬퍼 갤러리로 옮겨질 때까지 그곳에 있었다. 1748년에는 바르샤바에 오페라 하우스(Operalnia)와 드레스덴 최초의 의과 대학인 "Collegium medico-chirurgicum"을 설립했다.[25] 왕궁 동쪽 파사드의 재건을 명령하여 비스와 강의 바르샤바 구시가지 파노라마의 상징적인 부분인 작센 파사드를 만들었다.
1733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작센 선제후 계승을 기념하여 B단조의 키리에-글로리아 미사 초기 버전을 아우구스트에게 헌정했는데, 이는 3년 후 궁정 작곡가로 임명되기를 희망했기 때문이다.[26] 바흐의 "왕립 폴란드 궁정 작곡가" 및 작센 선제후의 궁정 작곡가 칭호는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표지에 새겨졌다. 아우구스트 3세는 작곡가 요한 아돌프 하세의 후원자이기도 했으며, 하세는 1731년 그의 아버지 아우구스트 2세로부터 왕립 폴란드 및 선제후 작센 카펠마이스터 칭호를 받았다.[27] 1716년에는 작곡가 요한 다비트 하이니헨도 아우구스트 3세 덕분에 같은 칭호를 얻었다.[28]
4. 1. 개인적인 삶과 평가

아우구스트 3세는 아내 마리아 요제파에게 헌신적인 남편이었으며, 슬하에 16명의 자녀를 두었다. 아버지와는 달리 여성 편력이 없었으며, 배우자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겼는데, 이는 당시 왕족에게는 드문 일이었다.[31] 사냥을 즐기기도 했다.
1732년, 프랑스 사제 가브리엘 피오트르 보두앵은 바르샤바 구시가지에 폴란드 최초의 고아원을 설립했다. 이 시설은 이후 바레키 광장(현재 바르샤바 봉기군 광장)으로 이전되었고, 1758년 아우구스트 3세는 이 기관을 '예수 아동 종합 병원'(Szpital Generalny Dzieciątka Jezus)으로 명명했다. 새로 설립된 병원은 고아뿐만 아니라 병든 사람과 가난한 사람들을 치료하는 사업으로 확장되었다.[29] 아우구스트 3세는 평생 자선 활동을 펼치며 병원에 기부했다. 그의 후계자인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도 이러한 자선 사업에 기여했다.
이러한 자선적인 모습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트 3세는 당대에 폴란드에서 무능하고 뚱뚱하며 못생기고 게으른 쾌락주의자로 여겨졌으며, 국가의 일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군주로 평가받았다.[30] 이러한 평가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역사학자 야체크 스타셰프스키는 1980년대 후반 드레스덴 문서 보관소에서 아우구스트 3세가 정직하고 애정 어린 사람으로 여겨졌으며, 재위 기간 동안 작센인과 폴란드인 모두에게 널리 존경받았다는 기록을 발견했다.[30]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 따르면, 아우구스트 3세는 정치적인 재능이나 흥미가 없었고, 폴란드를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두었으며, 작센의 통치는 대신들에게 맡겼다.[32] 그는 음악과 회화에 관심을 가졌으며, 드레스덴의 미술 컬렉션을 확충하는 데 힘썼다.[32]
5. 자녀
마리아 요제파de와의 사이에서 16명의 자녀를 두었다.[10]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프레데리크 아우구스투스 프란츠 자비에르 | 1720년 11월 18일 | 1721년 1월 22일 | 유아기에 사망 |
요제프 아우구스투스 빌헬름 프리드리히 프란츠 자비에르 요한 네포무크 | 1721년 10월 24일 | 1728년 3월 14일 | 어린 시절에 사망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레오폴트 요한 게오르크 프란츠 자비에르 | 1722년 9월 5일 | 1763년 12월 17일 | 작센 선제후 |
이름 미상의 사산 딸 | 1723년 6월 23일 | 사산 | |
마리아 아말리아 크리스티나 프란치스카 자베리아 플로라 발부르가 | 1724년 11월 24일 | 1760년 9월 27일 | 스페인의 카를 3세와 결혼 |
마리아 마르가레타 프란치스카 자베리아 | 1727년 9월 13일 | 1734년 2월 1일 | 어린 시절에 사망 |
마리아 안나 조피아 사비나 안젤라 프란치스카 자비에리아 | 1728년 8월 29일 | 1797년 2월 17일 |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선제후와 결혼 |
이름 미상의 아이 | 1729년 | 1730년 | |
프란츠 자비에르 알베르트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베노 | 1730년 8월 25일 | 1806년 6월 21일 | 작센의 섭정 (1763–1768) |
마리아 요제파 카롤리나 엘레오노레 프란치스카 자베리아 | 1731년 11월 4일 | 1767년 3월 13일 | 프랑스의 루이 도팽, 프랑스의 루이 15세의 아들과 결혼 |
카를 크리스티안 요제프 이그나츠 오이겐 프란츠 자비에르 | 1733년 7월 13일 | 1796년 6월 16일 | 쿠를란트와 젬갈레의 공작(1758–1763) |
마리아 크리스티나 안나 테레시아 살로메아 에울랄리아 프란치스카 자비에리아 | 1735년 2월 12일 | 1782년 11월 19일 | 레미르몽 수도원의 공주-수도원장 |
마리아 엘리자베트 아폴로니아 카시미라 프란치스카 자비에리아 | 1736년 2월 9일 | 1818년 12월 24일 | 미혼으로 사망 |
알베르트 카시미르 아우구스트 이그나츠 피우스 프란츠 자비에르 | 1738년 7월 11일 | 1822년 2월 10일 | 테센 공작 및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총독 (1781–1793) |
클레멘스 벤체슬라우스 아우구스트 후베르투스 프란츠 자비에르 | 1739년 9월 28일 | 1812년 7월 27일 | 트리어 대주교 |
마리아 쿠니군데 도로테아 헤드비히 프란치스카 자비에리아 플로렌티나 | 1740년 11월 10일 | 1826년 4월 8일 | 토른과 에센의 공주-수도원장 |
참조
[1]
웹사이트
Augustus III | king of Poland and elector of Saxony
https://www.britanni[...]
[2]
서적
Queenship in Europe 1660–1815: The Role of the Cons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August III Sas
Wrocław
[4]
문서
Staszewski, ''[[Op. cit.]]''
[5]
웹사이트
August III - przedostatni król i jego legenda | Łazienki Królewskie
https://www.lazienki[...]
[6]
웹사이트
August III Wettyn (król Polski 1733–1763)
https://twojahistori[...]
[7]
웹사이트
Polski slownik biograficzny: Kopernicki, I.-Kozłowska
https://books.google[...]
Skład główny w księg, Gebethnera i Wolffa
1935-03-21
[8]
웹사이트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https://books.google[...]
Nakł. Polskiej Akademii Umiejętności
1969-03-21
[9]
간행물
Friedrich August II., Kurfürst von Sachsen
Duncker & Humblot
[10]
간행물
August III. Kurfürst von Sachsen und König von Polen
Akademie-Verlag
[11]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Reconsidered
Berghahn
[12]
서적
Queenship in Europe 1660–1815: The Role of the Cons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Ostatnia polska królowa. Władczyni. o której nie powiedzieli Ci na lekcjach historii
https://wielkahistor[...]
2019-07-30
[14]
서적
The Political History of Poland
https://archive.org/[...]
Polish Book Importing Company, New York
[15]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16]
서적
The political History of Poland
https://archive.org/[...]
Polish Book Importing Company, New York
[17]
웹사이트
Od Sasa do Lasa
https://www.werandac[...]
2015-04-17
[18]
웹사이트
Zdanie, które podobno mówi wszystko o rządach Augusta III Sasa. Ale czy słusznie?
https://twojahistori[...]
2019-01-16
[19]
웹사이트
Swan Service | porcelain tableware
https://www.britanni[...]
[20]
웹사이트
Zachodnie kresy Rzeczpospolitej: wzdłuż granicy na Odrze i Nysie : przewodnik
https://books.google[...]
Oficyna Wydawnicza "Rewasz"
2011-03-22
[21]
웹사이트
Historya Polski ilustrowana
https://books.google[...]
Nakł. i drukiem Wydawn. Braci Worzałłów
1918-03-22
[22]
웹사이트
Fundacja Warszawa 1939
http://www.warszawa1[...]
[23]
서적
War of the Austrian Succession
https://books.google[...]
Alan Sutton
[24]
웹사이트
250. rocznica śmierci króla Polski Augusta III Wettyna
https://dzieje.pl/ak[...]
[25]
웹사이트
Collegium medico-chirurgicum
http://www.stadtwiki[...]
2019-11-28
[26]
웹사이트
Missa in B Minor ("Kyrie" and "Gloria" of the B Minor Mass)
http://www.wdl.org/e[...]
2013-08-08
[27]
웹사이트
Johann Adolph Hasse Museum
http://www.komponist[...]
2019-11-28
[28]
웹사이트
Słuchajmy Heinichena...
https://www.radiokra[...]
2019-11-28
[29]
웹사이트
Szpital Kliniczny Dzieciątka Jezus - O Szpitalu
http://www.dzieciatk[...]
2020-03-22
[30]
서적
August III Sas: Amazon.co.uk: Staszewski, Jacek: 9788304050341: Books
[31]
웹사이트
August III Sas - Staszewski Jacek - Ossolineum - Księgarnia internetowa czytam.pl
https://czytam.pl/k,[...]
[32]
문서
Augustus III.
[33]
저널
フリードリヒ大王の七年戦争
学習研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