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아트 쿠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아트 쿠페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된 피아트의 전륜구동 쿠페이다. 피아트의 사내 디자인팀인 첸트로 스타일과 피닌파리나가 디자인 경쟁을 벌였으며, 첸트로 스타일의 크리스 뱅글이 디자인한 외관을 채택했다. 다양한 엔진 옵션과 특별판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총 72,762대가 생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아트의 차종 - 피아트 132
    피아트 132는 1972년 피아트 125의 후속으로 출시된 후륜구동 4도어 세단으로, 1.6L/1.8L 트윈 오버헤드 캠 엔진을 탑재하고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이탈리아 외 여러 국가에서 생산, 특히 폴란드와 한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피아트의 차종 - 피아트 500
    피아트 500은 1936년 이탈리아에서 처음 출시되어 1957년 누오바 500으로 재탄생했으며, 다양한 파생 모델을 거쳐 1975년 단종되었다가 2007년에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출시되었다.
  • 1990년대 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9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200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2000년대 자동차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피아트 쿠페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개요
합금 휠과 도어 미러가 장착된 2도어 차량의 전면 4분의 3 보기
1999년형 피아트 쿠페 20V 터보
별칭쿠페 피아트
제조사피아트
조립 장소토리노, 이탈리아 (피닌파리나)
생산 기간1993년–2000년
선행 차종피아트 124 스포르트 쿠페
피아트 128 쿠페
차체 스타일2도어 쿠페
레이아웃전륜구동
플랫폼티포 두에
디자이너크리스 뱅글 (첸트로 스틸레 피아트, 1991년), 피닌파리나 (내부)
차체 크기
휠베이스2540mm
전장4250mm
전폭1768mm
전고1340mm
차량 중량1250-1320kg
파워트레인
엔진1.8L 패밀리 B 16V I4
2.0L 패밀리 B 16V I4
2.0L 트윈 캠 16V 터보 I4
2.0L 패밀리 C 20V I5
2.0L 패밀리 C 20V 터보 I5
변속기5단 및 6단 수동변속기
관련
관련 차종피아트 티포 (160)

2. 역사

피아트 쿠페는 1992년, 테스트 중인 차의 여러 스파이샷이 공개된 후 자동차 잡지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피아트캐딜락 알란테 프로젝트 실패 후 1990년경 가동을 멈춘 핀닌파리나 공장을 활용하여, 구형 티포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쿠페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3] 디자인은 피아트의 사내 디자인 센터인 첸트로 스타일과 핀닌파리나가 경쟁했는데, 첸트로 스타일 소속의 미국인 디자이너 크리스 뱅글이 제시한 안이 피아트 경영진에게 채택되었다. 핀닌파리나가 제안했던 디자인은 이후 푸조가 채택하여 1996년 10월 406 쿠페로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은 휠 아치 상부로 뻗은 대담한 캐릭터 라인이 특징이며, 이는 후에 BMW에서 보여준 뱅글 디자인의 특징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핀닌파리나는 내장 디자인을 맡아, 외장색과 동일한 색상의 라인이 들어간 독특한 인테리어를 완성했다.

1994년 1월 출시된 쿠페는 란치아 델타 인테그랄레에서 계승된 피아트 트윈 캠 엔진의 후기 버전인 4기통 2.0 L 16V 엔진을 탑재했으며, 터보차저 버전(190 PS)과 자연 흡기 버전(139 PS)으로 나뉘었다. 이 엔진은 세계 랠리 챔피언십에서 6번의 우승을 거둔 엔진에 기반한다. 터보 모델에는 강력한 전륜구동 차량의 언더스티어를 억제하기 위해 효율적인 비스코 드라이브 LSD가 장착되었다. 플랫폼은 피아트 티포의 것을 공유했으며, 이는 알파 로메오 145, 155, GTV, 란치아 데드라와 동일한 플랫폼이다. 차체 크기는 전장 4250mm, 전폭 1766mm, 전고 1340mm, 휠베이스 2540mm였다. 서스펜션은 앞 맥퍼슨 스트럿, 뒤 트레일링 암 방식의 독립 서스펜션 구조를 채택했다.

1995년 초부터 영국 시장 등을 위한 우측 운전 모델 생산이 시작되었고, 같은 해 일본에서는 감성적인 디자인을 평가받아 굿 디자인상 금상을 수상했다.

1996년에는 엔진 라인업이 개편되어 1.8 L 16V 엔진(131 PS, 영국 제외), 2.0 L 5기통 20V 엔진(147 PS), 그리고 2.0 L 5기통 20V 터보 엔진(220 PS)이 새로 추가되었다. 이와 함께 전면 그릴, 스티어링 휠, 가죽 도어 패널, 내부 중앙 콘솔 디자인 변경 및 디지털 시계를 아날로그 시계로 교체하는 등 사소한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5기통 20V 모델은 개선된 주행 성능과 출력을 제공했으며, 브렘보제 브레이크 캘리퍼를 장착했다.

1998년에는 리미티드 에디션(LE)이 출시되었다. LE 모델은 전용 바디 키트,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휠, 연료 캡, 후미등 컵, 미러 케이스, 빨간색 브렘보 브레이크 캘리퍼 등을 적용했다. 실내에는 푸시 버튼 시동 장치, 빨간색 가죽 인서트가 적용된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대시보드가 장착되었다. 기계적으로는 표준 20V 터보 모델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6단 MT와 스트럿 바가 추가되었고 엔진 커버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었다.[4] LE는 블랙, 레드, 빈치 그레이, 크로노 그레이, 스틸 그레이 색상으로 생산되었다. 각 LE 차량에는 고유 번호가 새겨진 배지가 부착되었는데, 당초 피아트는 약 300대만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1,400대 가량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초기 구매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0001번 차량은 미하엘 슈마허가 소유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슈마허 본인은 빨간색 쿠페를 소유했지만 0001번은 아니라고 확인했다.) 같은 해, 2.0 L 5기통 20V 자연흡기 엔진은 가변 흡기 시스템을 적용하여 출력이 154 PS로 향상되었고, 터보 모델의 사이드 실은 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또한 LE와 유사한 사양(고유 배지 제외)을 갖춘 2.0 L 5기통 터보 '플러스' 모델도 출시되었다.

2000년 초에는 유럽 본토 시장 전용으로 1.8 L 엔진을 탑재한 특별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다른 디자인의 가죽 시트, 노란색 화살표가 있는 흰색 속도계, 새로운 16인치 BBS 휠, 허니콤 디자인 그릴을 특징으로 했다. 같은 시기, 피아트는 나머지 라인업에도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시트(플러스 모델의 레카로 시트와 유사한 피아트 자체 제작 시트 포함), 사이드 스커트, 2.0 L 20V 모델용 신규 휠 디자인, '플러스' 에디션 휠, 터보 모델의 6단 변속기 기본 적용, 추가 에어백 등을 적용했다.

피아트 쿠페는 2.0 L 20V 터보 모델 기준으로 0–100 km/h 가속 6.5초(터보 플러스는 6.3초), 최고 속도 240km/h(후기 6단 변속기 모델은 250km/h)의 성능을 발휘했다. 데뷔 당시 20V 터보 모델은 시판되는 전륜구동 자동차 중 가장 빠른 차 중 하나로 여겨졌다. 다만 앞 차축 하중이 커서 급격한 코너링에는 약점을 보였다. 일본 시장에는 터보 모델만 수입되었으며,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추고 있었고 '말괄량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2000년 12월 생산이 최종 종료될 때까지 총 72,762대가 생산되었으며, 직접적인 후속 모델은 없었다.

생산량[1]
연도생산 대수
1993119
199417,619
199513,732
199611,273
199712,288
19989,042
19996,332
20002,357
총계72,762



3. 디자인

피아트 쿠페의 디자인은 피아트의 사내 디자인 센터인 피아트 센트로 스틸레와 이탈리아의 유명 디자인 하우스 핀닌파리나 간의 경쟁을 통해 결정되었다. 1992년 테스트 차량의 스파이샷이 공개되며 자동차 잡지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피아트는 캐딜락 알란테 프로젝트 종료 후 가동이 중단된 핀닌파리나 공장을 활용하고 구형 티포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쿠페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3]

두 회사가 디자인 안을 제시했는데, 피아트 경영진은 피아트 센트로 스틸레 소속의 미국인 디자이너 크리스 뱅글이 제안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디자인을 예상외로 채택했다. 크리스 뱅글은 이후 BMW에서 선보인 혁신적인 디자인 언어의 단초를 피아트 쿠페에서 이미 보여주었는데, 특히 휠 아치 위를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대담한 캐릭터 라인은 쿠페의 가장 큰 외관 특징으로 꼽힌다. 경쟁에서 탈락한 핀닌파리나의 디자인 안은 이후 푸조에 채택되어 1996년 406 쿠페로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은 크리스 뱅글의 안이 채택되었지만, 실내 디자인은 핀닌파리나가 담당했다. 차량 외부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라인이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는 디자인은 피아트 쿠페 인테리어의 특징적인 요소가 되었다. 피아트 쿠페의 디자인은 일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 1995년 굿 디자인상 금상을 수상했다.

1996년에는 엔진 라인업 변경과 함께 일부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전면 그릴, 스티어링 휠, 도어 패널, 센터 콘솔 등이 새롭게 디자인되었고, 디지털 시계가 아날로그 시계로 교체되었다.

1998년에는 리미티드 에디션(LE) 모델이 출시되어 디자인에 변화를 주었다. 전용 바디킷,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디테일(휠, 연료캡, 미러 등), 빨간색 브렘보 브레이크 캘리퍼 등이 적용되었다. 실내에는 푸시 버튼 시동,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 등이 추가되었다.[4] 같은 해, 일반 터보 모델의 도어 실(sill) 색상이 차체 색상과 통일되었고, LE와 유사한 사양을 갖춘 '터보 플러스' 모델도 출시되었다.

2000년 초에는 1.8리터 엔진을 탑재한 마지막 특별판이 유럽 본토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새로운 디자인의 가죽 시트, 흰색 바탕에 노란색 바늘을 사용한 속도계, BBS 휠, 허니콤 그릴 등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모델들에서도 시트 디자인 변경, 사이드 스커트 추가 등의 변화가 있었다.

3. 1. 외관

피아트 쿠페의 외관 디자인은 피아트의 사내 디자인 센터인 피아트 센트로 스틸레와 이탈리아의 유명 디자인 회사 핀닌파리나 간의 경쟁 끝에 결정되었다. 당시 센트로 스틸레에 소속되어 있던 미국인 디자이너 크리스 뱅글이 제시한 디자인 안이 피아트 경영진에게 예상치 못하게 채택되었다.[3] 크리스 뱅글은 이후 BMW에서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피아트 쿠페 디자인에서도 그의 특징적인 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특히 휠 아치 위를 가로지르는 대담한 캐릭터 라인이 눈에 띈다. 핀닌파리나가 제시했던 다른 디자인 안은 나중에 푸조에 채택되어 1996년 406 쿠페로 출시되었다. 일본 시장에서도 감성적인 디자인이 좋은 평가를 받아 1995년 굿 디자인상 금상을 수상했다.

외관 디자인은 센트로 스틸레가 맡았지만, 실내 디자인은 핀닌파리나가 담당했다. 차량 외부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라인이 대시보드와 도어 트림 등에 적용된 것이 특징적인 실내 디자인 요소이다.

1994년 1월 출시 이후, 1996년에는 엔진 라인업 변경과 함께 약간의 디자인 변화가 있었다. 전면 그릴 디자인이 수정되었고, 스티어링 휠, 가죽 소재가 포함된 도어 패널, 내부 중앙 콘솔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시계는 아날로그 시계로 교체되었다.

1998년에는 한정판 모델인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LE)'이 출시되었다. LE 모델은 전용 바디 키트를 장착했으며, 휠, 연료 주입구 캡, 후미등 주변부, 사이드 미러 커버 등에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디테일이 적용되었다. 전륜 브레이크에는 빨간색으로 도색된 브렘보 캘리퍼가 장착되었다. 실내에는 푸시 버튼 시동 장치, 빨간색 가죽이 부분적으로 적용된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이 적용되었고, 차체 색상과 동일했던 대시보드는 티타늄 그레이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엔진 커버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었고, 스트럿 바가 추가되었다.[4] LE 모델은 블랙(무광), 레드(무광), 빈치 그레이(메탈릭), 크로노 그레이(무광), 스틸 그레이(메탈릭) 색상으로 생산되었다. 각 LE 차량에는 리어뷰 미러 옆에 고유 번호가 새겨진 배지가 부착되었다.

같은 해인 1998년, 터보 모델의 도어 실 색상이 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또한 '터보 플러스(Turbo Plus)' 모델이 출시되었는데, 이 모델은 LE 모델과 거의 동일한 외관 및 실내 사양을 갖추었으나 LE 고유의 식별 배지는 없었다.

2000년 초에는 1.8리터 엔진을 탑재한 또 다른 특별 버전이 유럽 본토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새로운 디자인의 가죽 시트, 노란색 바늘이 적용된 흰색 속도계, 새로운 디자인의 16인치 BBS 휠, 허니콤(벌집 모양) 그릴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피아트 쿠페 라인업 전반에 걸쳐 마지막 변경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디자인의 시트(플러스 모델의 레카로 시트와 유사한 피아트 자체 제작 시트 포함)와 사이드 스커트가 적용되었고, 2.0리터 20V 모델과 플러스 에디션 모델의 휠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3. 2. 내장

핀닌파리나가 내장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외장색과 동일한 색상의 라인이 대시보드와 시트 등에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는 이 감성적인 디자인이 좋은 평가를 받아 1995년도 굿 디자인상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6년에는 엔진 라인업 변경과 함께 몇 가지 디자인이 개선되었다. 스티어링 휠, 가죽이 포함된 도어 패널, 내부 중앙 콘솔이 새롭게 디자인되었고, 기존의 디지털 시계는 아날로그 시계로 교체되었다.

1998년에 출시된 리미티드 에디션(LE) 모델은 내장에 특별한 사양을 적용했다. 푸시 버튼 시동 기능, 빨간색 가죽 인서트가 들어간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이 장착되었다. 차체 색상으로 마감되었던 대시보드는 티타늄 그레이 색상으로 변경되었으며, 실내 뒷면 거울 옆에는 각 차량의 고유 번호가 새겨진 배지가 부착되었다.[4] 같은 해 출시된 2.0리터 5기통 터보 '플러스' 모델은 LE의 고유 식별 배지를 제외하고는 LE와 거의 동일한 옵션 키트를 제공했다.

2000년 초, 피아트는 1.8리터 엔진을 탑재한 특별 버전을 유럽 본토에서만 출시했다. 이 모델은 다른 디자인의 가죽 시트와 노란색 화살표가 있는 흰색 속도계를 특징으로 했다.

이후 모델들에서는 새로운 디자인의 시트가 적용되고 추가 에어백이 장착되는 등 개선이 이루어졌다. '플러스' 에디션에는 기존 레카로 시트와 유사한 디자인의 피아트 자체 제작 시트가 제공되기도 했다.

실내 공간은 4인승 쿠페임에도 전후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편이다.

4. 엔진 및 성능

피아트 쿠페는 전륜구동 방식의 쿠페이다. 엔진 라인업과 성능은 다음과 같다.

모델[5][6]엔진배기량출력토크 에서 최고 속도
1.8 16VI41747 cc131PS @ 6300 rpm164Nm @ 4300 rpm9.2 초205km/h
2.0 16VI41995 cc139PS @ 6000 rpm180Nm @ 4500 rpm9.2 초208km/h
2.0 20VI51998 cc147PS @ 6100 rpm186Nm @ 4500 rpm8.9 초212km/h
2.0 20V V.I.S.I51998 cc154PS @ 6700 rpm186Nm @ 3750 rpm8.4 초217km/h
2.0 16V 터보I41995 cc190PS @ 5500 rpm290Nm @ 3400 rpm7.5 초225km/h
2.0 20V 터보I51998 cc220PS @ 5750 rpm310Nm @ 2500 rpm6.3 초240km/h (5단)
250km/h (6단)



초기 모델(16V)에는 4기통 1.8L 및 2.0L DOHC 자연흡기 엔진과 란치아 델타 인테그랄레에서 가져온 2.0L DOHC 터보차저 엔진(통칭 램프레디 유닛)이 탑재되었다. 2.0L 터보 모델에는 비스코 드라이브(Visco Drive)라는 비스커스식 LSD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구동력 손실을 줄였다.[5][6]

이후 마이너 체인지를 거치면서 엔진이 5기통 2.0L 자연흡기 및 터보 엔진(슈퍼 파이어 유닛)으로 변경된 20V 모델이 출시되었다. 20V 모델은 운전 편의성과 출력이 향상되었으며, 터보 모델에는 제동 성능 강화를 위해 브렘보제 브레이크 캘리퍼가 장착되었다. 특히 2.0 20V 터보 모델은 0-100km/h 가속 시간이 6.3초(6단 수동변속기 모델 기준)에 달해, 출시 당시 가장 빠른 전륜구동 자동차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다만, 앞바퀴에 무게가 집중되는 전륜구동 특성상 급격한 코너링에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였다.[5][6]

변속기는 기본적으로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후기형 특별 사양인 리미티드 에디션과 터보 플러스 모델에는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리미티드 에디션 모델은 차체 강성을 높이는 스파르코제 스트럿 타워 바, 엔진 스타터 버튼, 몸을 잘 지지해주는 레카로제 스포츠 시트, 전용 에어로 파츠 등 고성능 주행을 위한 부품들이 추가되어 스포티한 성격을 강조했다.[5][6]

5. 특징

피아트 쿠페는 1992년, 테스트 중인 차의 여러 스파이샷이 공개된 후 자동차 잡지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피아트는 핀닌파리나 공장이 캐딜락 알란테 프로젝트 종료 후 가동을 멈추자, 구형 티포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쿠페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3] 디자인은 피아트의 사내 디자인 센터인 첸트로 스타일과 핀닌파리나가 경쟁했는데, 첸트로 스타일 소속의 미국인 디자이너 크리스 뱅글이 제안한 디자인이 피아트 경영진에게 채택되었다. 뱅글의 디자인은 휠 아치 상부를 가로지르는 대담한 캐릭터 라인이 특징이며, 이는 이후 BMW에서 선보인 그의 디자인 철학을 미리 보여주는 것이었다. 당시 피닌파리나가 제안했던 다른 디자인은 나중에 푸조가 채택하여 1996년 406 쿠페로 출시되었다. 피닌파리나는 쿠페의 내장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외장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라인이 들어간 독특한 인테리어를 선보였다. 일본에서는 이 감성적인 디자인이 높이 평가받아 1995년 굿 디자인상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플랫폼은 피아트 티포의 것을 활용했으며, 알파 로메오 145, 155, GTV, 란치아 데드라와 같은 플랫폼을 공유한다. 차체 크기는 전장 4250mm, 전폭 1766mm, 전고 1340mm이며, 휠베이스는 2540mm이다.

1994년 1월 출시 당시, 쿠페는 4기통 2.0L 16밸브 엔진을 탑재했으며, 터보차저 버전(190 PS)과 자연 흡기 버전(139 PS)으로 나뉘었다. 두 엔진 모두 피아트 트윈 캠 디자인의 후기형으로, 세계 랠리 챔피언십에서 활약한 란치아 델타 인테그랄레로부터 기술을 이어받았다. 1996년에는 엔진 라인업이 확장되어 1.8L 16밸브 엔진(131 PS, 영국 제외), 2.0L 5기통 20밸브 자연흡기 엔진(147 PS), 그리고 2.0L 5기통 20밸브 터보 엔진(220 PS)이 추가되었다. 이와 함께 전면 그릴, 스티어링 휠, 가죽 도어 패널, 내부 중앙 콘솔 디자인 변경 및 아날로그 시계 채용 등 소소한 디자인 변화도 이루어졌다. 영국 등 우측 운전석 시장을 위한 모델 생산은 1995년 초에 시작되었다.

터보차저가 장착된 16V 및 20V 모델에는 강력한 전륜구동 차량에서 흔히 발생하는 언더스티어를 억제하기 위해 효율적인 비스코드라이브 LSD가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서스펜션은 앞뒤 모두 독립식 구조를 채택했다. 전륜에는 보조 크로스멤버에 장착된 맥퍼슨 스트럿과 로어 위시본, 오프셋 코일 스프링, 안티 롤 바가 적용되었고, 후륜에는 보조 서브프레임에 장착된 트레일링 암, 코일 스프링, 안티 롤 바가 사용되었다.

생산량[1]
연도생산 대수
1993119
199417,619
199513,732
199611,273
199712,288
19989,042
19996,332
20002,357
총계72,762



1998년에는 한정판 모델인 '리미티드 에디션(LE)'이 출시되었다. LE 모델은 전용 바디 키트, 특별한 디자인의 휠, 연료 캡, 후미등 컵,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미러 케이스, 빨간색으로 도색된 전륜 브렘보 브레이크 캘리퍼 등 외관상 차별점을 두었다. 실내에는 푸시 버튼 시동 장치, 빨간색 가죽 인서트가 적용된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이 장착되었고, 차체 색상과 동일했던 대시보드는 티타늄 그레이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기계적으로는 표준 20V 터보 모델과 큰 차이는 없었지만, 6단 수동변속기와 스트럿 바가 추가되었고 엔진 커버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었다.[4] LE 모델은 블랙(무광), 레드(무광), 빈치 그레이(메탈릭), 크로노 그레이(무광), 스틸 그레이(메탈릭) 색상으로 생산되었다. 각 LE 차량에는 고유 번호가 새겨진 배지가 부착되었는데, 생산 대수에 대해서는 초기에 약 300대로 알려졌으나 최종적으로는 1,400대 이상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어 논란이 있었다.

같은 해인 1998년, 2.0L 5기통 20V 자연흡기 엔진은 가변 흡기 시스템을 적용하여 출력이 154 PS로 향상되었고, 터보 모델의 도어 실(sill)은 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또한 피아트는 '터보 플러스' 모델을 출시했는데, 이 모델은 LE의 고유 식별 배지를 제외하고는 LE와 거의 동일한 사양을 갖추었다.

2000년 초에는 1.8L 엔진을 탑재한 또 다른 특별판이 유럽 본토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새로운 디자인의 가죽 시트, 노란색 바늘이 적용된 흰색 속도계, BBS 휠, 새로운 허니콤 패턴 그릴 등을 특징으로 했다. 같은 해 여름 생산이 종료되기 전까지 피아트는 전 모델 라인업에 걸쳐 새로운 시트 디자인, 사이드 스커트, 새로운 휠(2.0 20V 모델 및 플러스 에디션), 터보 모델의 6단 변속기 기본 적용, 추가 에어백 등의 변경 사항을 적용했다. 또한 '플러스' 모델에는 기존 레카로 시트와 유사한 피아트 자체 제작 시트가 제공되었다.

성능 면에서 2.0L 20V 터보 모델은 0-100 km/h 가속을 6.5초(터보 플러스는 6.3초)에 완료했으며, 최고 속도는 240km/h에 달했다. 이후 6단 변속기가 장착된 모델은 최고 속도가 250km/h까지 향상되었다. 데뷔 당시에는 시판되는 전륜구동 차량 중 가장 빠른 차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다만, 앞 차축 하중이 커서 급격한 코너링에는 다소 약한 면모를 보였다.

피아트 쿠페는 2000년 12월 생산이 최종 종료될 때까지 총 72,762대가 생산되었다.

6. 특별판

1998년에는 리미티드 에디션(LE)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바디 키트, 티타늄 그레이 색상의 휠, 연료 캡, 후미등 컵, 미러 케이스 등의 외관 디테일과 빨간색으로 칠해진 앞쪽 브렘보 브레이크 캘리퍼가 특징이었다. 내부에는 푸시 버튼 시동 장치, 빨간색 가죽 인서트가 적용된 레카로 시트, 스파르코 페달이 장착되었고, 차체 색상이었던 대시보드는 티타늄 그레이로 변경되었다. 기계적으로는 표준 20V 터보 모델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LE에는 6단 수동변속기와 스트럿 바가 처음으로 추가되었고, 엔진 커버는 빨간색으로 칠해졌다.[4] 일본 시장용 특별 사양차 리미티드 에디션에는 스파르코제 스트럿 타워 바, 엔진 스타터 버튼, 레카로제 스포츠 시트, 전용 에어로 파츠 등이 적용되어 주행 성능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LE는 블랙(무광), 레드(무광), 빈치 그레이(메탈릭), 크로노 그레이(무광), 스틸 그레이(메탈릭) 색상으로 생산되었다.

각 LE 쿠페에는 뒷면 거울 옆에 고유 번호가 새겨진 배지가 부착되었다. 미하엘 슈마허가 LE 0001번 차량의 소유자였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슈마허 본인은 빨간색 쿠페를 소유했지만 LE 0001번은 크로노 그레이 색상이었다고 확인해주었다. 피아트 대변인은 당초 약 300대의 LE만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으나(배지에는 항상 네 자리 숫자가 표시됨), 최종 생산량은 이보다 훨씬 많아 1,400대에 달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로 인해 초기 300대 한정판 소유주들 사이에서 불만이 제기되었고, 이는 차량의 잔존 가치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다만, 피아트 영국 대변인이 언급한 300대라는 숫자는 영국 시장에만 해당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1998년에는 2.0리터 5기통 20V 엔진에 가변 흡기 시스템이 적용되어 출력이 154 PS로 향상되었다. 또한 터보 버전의 사이드 스커트는 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피아트는 2.0리터 5기통 터보 '플러스' 모델도 출시했는데, 이 모델은 LE 고유의 식별 배지가 없고 사소한 실내 디자인 변경 사항을 제외하면 LE와 거의 동일한 옵션 사양을 갖추었다. 일본 시장에서는 리미티드 에디션과 터보 플러스 모델에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2000년 초, 피아트는 1.8리터 엔진을 탑재한 또 다른 특별판을 유럽 본토 시장에만 출시했다. 이 모델은 우아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의 에디션으로 홍보되었으며, 다른 디자인의 가죽 시트, 노란색 화살표가 있는 흰색 속도계, 새로운 16인치 BBS 휠, 새로운 허니콤 그릴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피아트는 나머지 쿠페 라인업에도 몇 가지 변경 사항을 적용했다. 새로운 디자인의 시트(기존 플러스 모델의 레카로 시트와 유사하지만 피아트에서 제조), 사이드 스커트, 2.0리터 20V 모델용 신규 휠, '플러스' 에디션 휠 등이 추가되었고, 터보 모델에는 6단 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되었으며 추가 에어백도 제공되었다.

7. 생산량

피아트 쿠페는 1993년에 처음 119대가 생산된 것을 시작으로[1], 2000년 12월 생산이 최종 종료될 때까지 총 72,762대가 생산되었다.[1] 영국을 포함한 시장을 위한 우측 운전 모델의 생산은 1995년 초에 시작되어 생산 종료 시점까지 계속되었다.

생산량[1]
연도생산 대수
1993119
199417,619
199513,732
199611,273
199712,288
19989,042
19996,332
20002,357
총계72,762


참조

[1] 웹사이트 PRODUZIONE COMPLESSIVA http://www.pininfari[...] 2007-08-03
[2] 웹사이트 Fiat Coupe Service Manual https://www.scribd.c[...] 2023-07-31
[3] 웹사이트 Chris Bangle On The Design Of The Fiat Coupe https://www.formtren[...] 2014-06-19
[4] 웹사이트 Fiat Coupé Buyer's Guide - italicar https://www.italicar[...] 2018-04-30
[5] 웹사이트 Coupé Fiat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2007-08-06
[6] 웹사이트 The Fiat Coupe https://web.archive.[...] 2007-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