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필어는 엘살바도르의 손소나테 주와 아후아차판 주에서 소수의 고령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나와트어, 나우아트어, 피필, 니카라오 등으로 불리며, 우토아즈텍어족의 나우아어군에 속한다. 과거에는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사멸되었다. 1990년대 이후 엘살바도르에서 언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며,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은 미미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트아스테카어족 - 코만치어
코만치어는 코만치족이 사용하는 유토아즈텍어족 언어로, 억압 정책으로 소멸 위기에 처했으나 암호 해독자들의 활약으로 재조명되었고 현재 언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며, 6개의 모음과 자음을 가진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인다. - 유트아스테카어족 - 호피어
호피어는 애리조나 북동부에 거주하는 호피족이 사용하는 유트-아즈텍어족에 속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이며, 스페인어 차용어와 소멸 위기에 따른 보존 노력, 그리고 '호피 시간' 개념 논쟁과 함께 여러 방언과 로마자 표기법을 특징으로 한다. - 엘살바도르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엘살바도르의 언어 - 나와틀어
나와틀어는 멕시코에서 사용되는 우토아즈텍어족의 나와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총칭으로, 30개(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 기준) 또는 28개(Ethnologue 기준)의 개별 변종이 있으며, 과거 아즈텍어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나와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피필어의 포함 여부는 논쟁 중이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피필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나와트어 |
다른 이름 | 피필어 |
토착어 이름 | 나와트, 나와타케찰리스 (나와트) |
사용 지역 |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치아파스, 온두라스,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
주요 사용 지역 | 손소나테 주, 아우아차판 주, 라리베르타드 주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 주, 에스쿠인틀라 주, 리바스 주, 치난데가 주, 히노테가 주, 누에바세고비아 주, 마사야 주, 마타갈파, 과나카스테 주, 올란초 주 |
사용자 | 피필족: 11,100명 (2005년 센서스) 니카라오족: 20,000명 이상 |
추정 화자 수 | 500명 |
소멸 위기 정도 |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유트-아즈텍어족 |
어파 | 남부 유트-아즈텍어파 |
어군 | 나후아어군 |
하위 분류 | 일반 아즈텍어 동부 주변 나후아틀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ppl |
Glottolog | pipi1250 |
2. 지리적 분포
피필어는 엘살바도르의 손소나테 주와 아후아차판 주에서 극소수의 고령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정확한 화자 수는 과거 인디오 학살로 인해 많은 이들이 신분을 숨겨 불분명하며, 최소 20명에서 최대 2000명까지 추산된다.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등에서는 피필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언어들이 사라졌다. 최근 지역 활동가와 학자들을 중심으로 피필어 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정부 차원의 공식 지원은 기대하기 어렵다.
1970년대 캠벨이 보고한 나와트/피필어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17]
지역 |
---|
아타코 |
칠티우판 |
코마사과 |
쿠이스나후아트 |
이살코 |
히칼라파 |
후아이우아 |
나훌린고 |
나우이살코 |
산타 카타리나 마사과트 |
산타 이사벨 이수아탄 |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
타쿠바 |
테오테페케 |
고든(2009)은 돌로레스를 피필어 사용 지역으로 언급한다.[17]
카우프만(1970:66)은 에스쿠인틀라와 코마파를 과거 과테말라의 피필어 사용 지역으로,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을 과거 "메히카노" 사용 마을로 언급한다.[18]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 메히카노의 언어학적 위치는 불확실하다(''알라귀락어'' 참조).
온두라스에서는 소수의 나우아족이 올란초 주의 카타카마스, 과라코, 과타, 하노, 에스키풀라스 델 노르테 시에 거주한다.[19] 정복 시대에 현재 트루히요 시 주변에 거주했던 파파예카족도 나우아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니카라과에서는 니카라오족이 리바스 주와 히노테가 주, 그리고 세바코에 거주한다.[20] 코스타리카의 바가세스는 16세기에 나우아족의 고향이었다.[21]
멕시코 치아파스 주 태평양 연안에서 사용되었던 사멸된 나와틀어 변종은 나와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1. 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 손소나테 주와 아후아차판 주에서 소수의 고령자들이 피필어를 사용하고 있다. 정확한 화자 수는 불분명하지만, 과거 인디오 학살로 인해 많은 인디오들이 신분을 숨겨 최소 20명에서 최대 2000명까지 추산된다. 피필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언어들은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등에서 사라졌다. 최근 피필어 복원에 대한 관심이 지역 활동가와 학자들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지원은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1970년대에 캠벨이 나와트/피필어가 사용된다고 보고한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 |
---|
아타코 |
칠티우판 |
코마사과 |
쿠이스나후아트 |
이살코 |
히칼라파 |
후아이우아 |
나훌린고 |
나우이살코 |
산타 카타리나 마사과트 |
산타 이사벨 이수아탄 |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
타쿠바 |
테오테페케 |
고든(2009)은 돌로레스를 피필어 사용 지역으로 언급한다.[17]
나와트는 과거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이들 국가에서 모두 사라졌다. 카우프만(1970:66)은 에스쿠인틀라와 코마파를 과거 과테말라의 피필어 사용 지역으로,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을 과거 "메히카노" 사용 마을로 언급한다.[18]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 메히카노의 언어학적 위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알라귀락어'' 참조).
온두라스에서는 소수의 나우아족이 올란초 주의 카타카마스, 과라코, 과타, 하노, 에스키풀라스 델 노르테 시에 거주한다.[19] 정복 시대에 현재 트루히요 시 주변에 거주했던 파파예카족도 나우아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니카라과에서는 니카라오족이 리바스 주와 히노테가 주, 그리고 세바코에 거주한다.[20] 코스타리카의 바가세스는 16세기에 나우아족의 고향이었다.[21]
2. 2.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나와트는 과거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이들 국가에서 모두 사멸되었다.[17]카우프만(1970:66)은 에스쿠인틀라와 코마파를 과거 과테말라의 피필어 사용 지역으로,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을 과거 "메히카노" 사용 마을로 언급한다.[18] 산 아구스틴 아카사과스틀란 메히카노의 언어학적 위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알라귀락어'' 참조).
온두라스에서는 소수의 나우아족이 올란초 주의 카타카마스, 과라코, 과타, 하노, 에스키풀라스 델 노르테 시에 거주한다.[19] 정복 시대에 현재 트루히요 시 주변에 거주했던 파파예카족도 나우아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니카라과에서는 니카라오족이 리바스 주와 히노테가 주, 그리고 세바코에 거주한다.[20]
코스타리카의 바가세스는 16세기에 나우아족의 고향이었다.[21]
2. 3. 멕시코
멕시코 치아파스 주 태평양 연안에서 사용되었던 사멸된 나와틀어 변종은 나와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언어 명칭 및 분류
피필어는 우토아즈텍어족에 속하며, 남부 우토아즈텍어족의 하위 분파인 나우아어군(아즈텍어군, 나우아틀어군)에 속한다. 일반 아즈텍어에서 핵심 나우아어와 피필어로 분화되었다.[22]
우토아즈텍어족은 나우아어를 포함한 8개의 분파로 나뉘며, 더 높은 수준의 그룹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캠벨이 제시한 가장 남쪽의 4개 분파 그룹화는 아직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3. 1. 언어 명칭
대부분의 저자는 이 언어를 '나와트'(Nawat), '나우아트'(Nahuat), '피필'(Pipil) 또는 '니카라오'(Nicarao)라는 이름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나와트'(동의어인 '동부 나우아틀'(Eastern Nahuatl)과 함께)는 피필과 마찬가지로 이전의 /t͡ɬ/ 자음(측면 파찰음)을 /t/로 축약한 멕시코 남부의 베라크루스 주, 타바스코 주, 치아파스 주에 있는 나우아틀 언어 변이에도 사용되어 왔다.[22] 이러한 멕시코 방언들은 다른 나우아틀 변이들보다 나와트와 더 많은 유사성을 공유한다.나와트 전문가들(캠벨, 피디아스 히메네스, 제프루아 리바스, 킹, 레무스, 슐츠 등)은 일반적으로 피필/나와트를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별개의 언어로 취급한다. 라스트라 데 수아레스(1986)와 캉게르(1988)는 피필을 나우아틀의 "동부 주변" 방언으로 분류했다. (캠벨 1985)
3. 2. 언어 분류
대부분의 저자는 이 언어를 ''나와트''(Nawat), ''나우아트''(Nahuat), ''피필''(Pipil) 또는 ''니카라오''(Nicarao)라는 이름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나와트''(동의어인 ''동부 나우아틀''(Eastern Nahuatl)과 함께)는 피필과 마찬가지로 이전의 /t͡ɬ/ 자음(측면 파찰음)을 /t/로 축약한 멕시코 남부의 베라크루스 주, 타바스코 주, 치아파스 주에 있는 나우아틀 언어 변이에도 사용되어 왔다.[22] 이러한 멕시코 방언들은 다른 나우아틀 변이들보다 나와트와 더 많은 유사성을 공유한다.나와트 전문가들(캠벨, 피디아스 히메네스, 제프루아 리바스, 킹, 레무스, 슐츠 등)은 일반적으로 피필/나와트를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별개의 언어로 취급한다. 라스트라 데 수아레스(1986)와 캉게르(1988)는 피필을 나우아틀의 "동부 주변" 방언으로 분류했다. (캠벨 1985)
우토아즈텍어족은 논쟁의 여지 없이 나우아어를 포함한 8개의 분파로 나뉜다. 더 높은 수준의 그룹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 중이다. 그러나 캠벨이 채택한 가장 남쪽의 4개 분파의 그룹화는 아직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4. 사용 현황 및 보존 노력
엘살바도르에서 피필어는 소수의 고령층 화자들만이 사용하고 있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정확한 화자 수는 과거 인디오 학살의 영향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최소 20명에서 최대 2000명까지 추산될 뿐이다.[23]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등에서는 이미 피필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말들이 사라졌다.[23]
최근 들어 지역 활동가와 학자들을 중심으로 피필어 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언어학자 앨런 R. 킹은 웹사이트를 통해 나와트어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23] 리빙 통스 연구소와 협력하여 피필 문화 보존을 위한 비디오 기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24]
1990년대 이후 엘살바도르 원주민 공동체 조정 협회(ACCIES)와 돈 보스코 대학교를 중심으로 피필어 교육 자료 제작 및 온라인 강좌 개발 등 소규모 복원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28][29] 2010년에는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마을에 3~5세 어린이를 위한 언어 둥지 "Xuchikisa nawat"("나와트가 피어나는 집")가 설립되었고,[31][32] 마우리시오 푸네스 대통령은 돈 보스코 대학교의 호르헤 에르네스토 레무스 박사에게 국가 문화상을 수여하며 피필어 연구를 장려했다.[33][34]
2009년 ''엘 디아리오 데 오이''는 여러 비영리 단체와 대학교의 협력, 엘살바도르 내전 이후 피필 정체성 부활에 힘입어 피필어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1980년대 약 200명 수준이던 화자 수는 2009년 3,000여 명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멸종 직전의 위기에서 벗어날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35] 그러나 여전히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지원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30]
4. 1. 사용 현황
엘살바도르 손소나테 주와 아우아차판 주에서 소수의 고령자들이 피필어를 사용하고 있다. 과거 인디오 학살로 인해 많은 인디오들이 신분을 숨겨 정확한 화자 수는 불분명하며, 최소 20명에서 최대 2000명까지 추산된다. 피필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말들은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등에서 사라졌다. 최근 피필어 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23]2012년 기준으로, 앨런 R. 킹의 웹사이트에서 나와트어를 배우기 위한 온라인 자료가 제공되고 있다.[23] 리빙 통스 연구소와 협력하여 피필 문화에 초점을 맞춘 비디오 기록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24]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의 나와트어는 현재 사멸 언어이다. 1772년에는 과테말라에서 거의 9천 명이 사용했다.[25]
엘살바도르에서 나와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손소나테 주, 산살바도르 주, 아우아차판 주의 노년층 화자들만 주로 사용한다. 쿠이스나와트와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마을에 화자가 가장 많다. 1985년 추정치는 200명,[26] 1987년에는 20명,[26] 멕시코 공식 보고서에는 최대 2,000명까지 기록되었다. 20세기 동안 나와트어 화자에 대한 박해(1932년 엘살바도르 농민 봉기 진압 후 학살, 나와트어 사용 불법화 법률)로 인해 정확한 화자 수를 파악하기 어렵다.[26]
1990년 이후 엘살바도르에서 나와트어를 부활시키기 위한 소규모 프로젝트가 시도되었다. 엘살바도르 원주민 공동체 조정 협회와 돈 보스코 대학교는 교육 자료를 제작했고, 모니카 워드는 온라인 언어 과정을 개발했다.[28] 나와트어 복구 이니셔티브는 언어 기록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29] 모국어 화자 수가 줄면서 언어 보존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2002년 현재 정부는 참여하지 않았다.[30]
2010년 기준으로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마을에는 언어 둥지인 "Xuchikisa nawat"("나와트가 피어나는 집")가 있었으며, 3~5세 어린이들이 돈 보스코 대학교와 협력하여 나와트어를 배웠다.[31][32]
2010년 엘살바도르 대통령 마우리시오 푸네스는 돈 보스코 대학교의 호르헤 에르네스토 레무스 박사에게 국가 문화상을 수여했다.[33][34]
2009년 ''엘 디아리오 데 오이'' 보도에 따르면, 나와트어는 여러 비영리 단체와 대학교의 협력, 엘살바도르 내전 이후 피필 정체성 부활로 다시 부상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 약 200명이었던 화자는 2009년까지 3,000명이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멸종 직전에서 벗어날 희망을 갖게 되었다.[35]
4. 2. 보존 노력
엘살바도르 손소나테 주와 아후아차판 주에서 소수의 고령자들이 피필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한 화자 수는 과거 인디오 학살로 인해 파악하기 어렵다. 최소 20명에서 최대 2000명까지 추산된다. 피필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언어들은 과테말라, 온두라스, 파나마 등에서 사라졌다.[23]최근 피필어 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2012년 기준으로, 앨런 R. 킹의 웹사이트에서 나와트어를 배우기 위한 [http://tushik.org/english/what-is-nawat 온라인 자료]가 제공되고 있으며,[23] 리빙 통스 연구소와 협력하여 피필 문화 기록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24]
엘살바도르에서 나와트어는 1932년 엘살바도르 농민 봉기 진압 후 학살과 사용 금지 법률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다.[26] 1990년대 이후 엘살바도르 원주민 공동체 조정 협회(ACCIES)와 돈 보스코 대학교를 중심으로 언어 복원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28][29]
2010년에는 산토 도밍고 데 구스만 마을에 언어 둥지인 "Xuchikisa nawat"("나와트가 피어나는 집")가 설립되어 어린이들이 나와트어를 배우고 있다.[31][32] 같은 해, 마우리시오 푸네스 대통령은 나와트어 연구에 기여한 호르헤 에르네스토 레무스 박사에게 국가 문화상을 수여했다.[33][34]
2009년 ''엘 디아리오 데 오이''는 비영리 단체와 대학교의 노력, 내전 이후 피필 정체성 부활로 나와트어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1980년대 약 200명이던 화자 수는 2009년까지 3,000명의 학습 프로그램 참여로 이어져 멸종 위기에서 벗어날 희망을 주고 있다.[35]
5. 나와트어와 나와틀어 비교
나와트어는 고전 나우아틀어와 비교했을 때 음운론 및 문법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음운론적으로 나와트어는 멕시코 방언에서 발견되는 변화와 단일 기본 원순 모음 음소의 변이음으로 대신 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나와트어의 는 고전 나와틀어의 와 뿐만 아니라 명사 복수 접미사와 동사 복수 어미, 단어 종결 성문 파열음에도 해당한다. 원래의 쌍자음 이 단일 로 합쳐지는 것 또한 특징적이다.
문법적으로 나와트는 고전 나우아틀어에 존재하는 동사의 과거 접두사 ''o-''가 없는 등 몇몇 문법적 특징이 부족하다. '제거' 과거 형성법은 나와트어에서 드물게 나타나며, 반복을 통한 복수 명사 형성법은 나와트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고전 나우아틀어에서 생산적이었던 문법적 특징들은 나와트어에 화석화된 흔적만 남겼다.
나와틀어 | 나와트어 | 나와트어 예시 | |
---|---|---|---|
복수 표시 | 고전 나와틀어에서는 제한적 | 일반화됨 | taj-tamal 토르티야, sej-selek '부드러운, 신선한 (복수)' |
복수 형성 | 대부분 접미사 | 대부분 중복 | |
절대 -tli (나와트어 -ti) | 일반적으로 유지됨 | 종종 부재 | mistun '고양이 (절대)' |
구성 /C_ | -wi 또는 제로 | 항상 제로 | nu-uj '나의 길' |
양도 불가 | 명사는 일반적으로 절대형을 가짐 | 많은 양도 불가능한 것들 | *mey-ti, *nan-ti... |
소유 접두사 | 모음 앞에서 o를 잃음 | 모음(u)을 유지함 | nu-ikaw '나의 형제' |
관사 | 고전에서는 일반화된 관사 없음 | 정관사 ne, 부정관사 se | ne/se takat '그/어떤 남자' |
후치사/전치사 | 후치사 | 후치사 없음, 전치사만 존재 | tik ne apan '강 안에' |
나와트어는 정관사 ''ne''와 부정관사 ''se''를 사용하며, 지시사 대명사/한정사인 ''ini'' '이것, 이것들'과 ''uni'' '저것, 저것들'도 독특하다. 수 표시는 거의 모든 복수 명사구로 확장되며, 최소 하나의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 가장 일반적으로 중복으로 표시된다.
많은 명사는 상태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ti''(자음 뒤의 절대 접미사인 고전 ''-tli''와 비교)는 여러 음절로 이루어진 명사 어간에 거의 추가되지 않는다. 많은 명사가 절대형을 가지지 않고 오직 양도 불가능하게 소유되어 나타난다. 후치사는 피필어 문법 체계에서 제거되었고, 관계에서 유래한 일부 단음절 전치사는 문법화되었다.
나와틀어 | 나와트어 | 나와트어 예시 | |
---|---|---|---|
굴절 | 더 복잡함 | 덜 복잡함; 분석적 대체 | kuchi nemi katka '머물고 잠들곤 했다' |
과거 접두사 o- | 고전 나와틀어 + 일부 방언에서 발견됨 | 없음 | rowspan="3" | |
제거 과거 형성 | 고전 나와틀어 + 일부 방언에서 흔함 | 제한적 | |
-ki를 사용한 과거 | 없음 | 있음 | |
-tuk을 사용한 완료 | 없음 | 있음 | ni-kuch-tuk '나는 잤었다' |
미완료 | -ya | -tuya (상태) | ni-weli-tuya '나는 할 수 있었다' |
-skia, -tuskia 조건문 | 없음 | 있음 | ni-takwika-(tu)-skia '나는 노래할 것이다/노래했을 것이다' |
초두 접두사 /_V | i를 잃음 | 대부분 i를 유지함 | niajsi 나는 도착한다, |
나와트는 고전 나우아틀어에 비해 동사의 굴절이 덜 복잡하며, 분석적인 대체 표현을 사용한다. 과거 시제를 만들기 위해 대부분의 나와트어 동사는 ''-k'' (모음 뒤) 또는 ''-ki'' (자음 뒤, 현재 어간의 마지막 모음 손실 후)를 붙인다. 고전 나와틀어에서 흔히 쓰이던, 현재 어간의 모음을 제거하여 과거 어간을 만드는 방식은 나와트어에서는 다음절 동사 어간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나와트어는 완료형으로 ''-tuk'' (동기적으로 분석 불가능)을 사용하며, 복수형은 ''-tiwit''이다. 대과거와 상태 동사의 미완료에는 ''-tuya''가 쓰인다. 나와트어에는 두 개의 조건법 시제가 있다. 미래 시제는 ''-s'' (복수 ''-sket'')로 나타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어 동사 구문 미래가 선호된다. 연쇄 동사 구조에서, 현재 시제는 첫 번째 동사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동사 초두 어간에 접두사가 붙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5. 1. 음운론
나와트어의 두드러진 특징은 여러 멕시코 방언에서 발견된다. 이 로 바뀌는 것과 단일 기본 원순 모음 음소의 지배적인 변이음으로 가 대신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은 특징적이지만 진단적인 것은 아니다.그러나 나와트어의 는 고전 나와틀어의 와 두 소리뿐만 아니라 명사 복수 접미사(예: 나와트어 ''-met'' : 고전 ''-meh'')와 동사 복수 어미(나와트어의 현재 복수형 ''-t'', 과거 복수형 ''-ket'' 등)에서 단어 종결 ''saltillo'' 또는 성문 파열음 에도 해당한다. Campbell은 이 가 방향 변화가 > ''saltillo''였던 고전 나와틀어 반사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가정하에, 이 사실이 유전적 분류에서 나와트어의 위치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특징적인 음운론적 특징은 나와트어에서 원래의 쌍자음 이 단일 로 합쳐지는 것이다.
5. 2. 문법
나와트는 고전 나우아틀어에 존재하는 동사의 과거 접두사 ''o-''와 같은 몇몇 문법적 특징이 부족하다. 다른 특징들은 다르게 분포한다. 예를 들어, 고전 언어에서 매우 흔한 '제거' 과거 형성법은 나와트어에도 존재하지만 훨씬 드물다. 반면에, 반복을 통한 복수 명사 형성법은 아즈텍어에서는 사용 빈도가 제한적이었지만, 나와트어에서는 널리 사용된다. 고전 나우아틀어에서 생산적이었던 또 다른 문법적 특징들은 나와트어에 화석화된 흔적만 남겼다. 예를 들어, 나와트어는 동기적으로 후치사가 없지만, 몇몇 어휘 형태는 어원적으로 오래된 후치사 형태에서 파생되었다. ''apan'' '강' (< *'in/on the water'), ''kujtan'' '미개간 토지, 숲' (< *'under the trees')이 있는데, 이것들은 현대 나와트어에서는 동기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10]5. 2. 1. 명사구
나와트는 고전 나우아틀어와 달리 몇 가지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고전 나우아틀어에서 매우 흔했던 '제거' 과거 형성법은 나와트어에서 훨씬 드물게 나타난다. 반면, 반복을 통한 복수 명사 형성법은 나와트어에서 널리 사용된다.나와틀어 | 나와트어 | 나와트어 예시 | |
---|---|---|---|
복수 표시 | 고전 나와틀어에서는 제한적 | 일반화됨 | taj-tamal 토르티야, sej-selek '부드러운, 신선한 (복수)' |
복수 형성 | 대부분 접미사 | 대부분 중복 | |
절대 -tli (나와트어 -ti) | 일반적으로 유지됨 | 종종 부재 | mistun '고양이 (절대)' |
구성 /C_ | -wi 또는 제로 | 항상 제로 | nu-uj '나의 길' |
양도 불가 | 명사는 일반적으로 절대형을 가짐 | 많은 양도 불가능한 것들 | *mey-ti, *nan-ti... |
소유 접두사 | 모음 앞에서 o를 잃음 | 모음(u)을 유지 | nu-ikaw '나의 형제' |
관사 | 고전에서는 일반화된 관사 없음 | 정관사 ne, 부정관사 se | ne/se takat '그/어떤 남자' |
후치사/전치사 | 후치사 | 후치사 없음, 전치사만 존재 | tik ne apan '강 안에' |
나와트어는 정관사 ''ne''와 부정관사 ''se''를 사용한다. 지시사 대명사/한정사인 ''ini'' '이것, 이것들'과 ''uni'' '저것, 저것들'도 독특하다. 수 표시는 거의 모든 복수 명사구로 확장되며, 최소 하나의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 가장 일반적으로 중복으로 표시된다.
많은 명사는 상태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ti''(자음 뒤의 절대 접미사인 고전 ''-tli''와 비교)는 여러 음절로 이루어진 명사 어간에 거의 추가되지 않으며, 고전 자음 후 구성 접미사 ''-wi''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sin-ti'' '옥수수' : ''nu-sin'' '나의 옥수수', ''uj-ti'' '길' : ''nu-uj'' '나의 길', ''mistun'' '고양이' : ''nu-mistun'' '나의 고양이'와 같다.
많은 명사가 절대형을 가지지 않고 오직 양도 불가능하게 소유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nu-mey'' '나의 손'(하지만 *''mey'' 또는 *''mey-ti''는 아님), ''nu-nan'' '나의 어머니'(하지만 *''nan'' 또는 *''nan-ti''는 아님)는 고전 나와틀어에 비해 절대-구성 대립 및 절대 ''-ti''의 발생을 더욱 줄인다.
후치사는 피필어 문법 체계에서 제거되었고, 관계에서 유래한 일부 단음절 전치사는 문법화되었다.
5. 2. 2. 동사
나와트는 고전 나우아틀어에 비해 동사의 굴절이 덜 복잡하며, 분석적인 대체 표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kuchi nemi katka''는 '머물고 잠들곤 했다'라는 뜻이다.나와틀어 | 나와트어 | 나와트어 예시 | |
---|---|---|---|
굴절 | 더 복잡함 | 덜 복잡함; 분석적 대체 | kuchi nemi katka '머물고 잠들곤 했다' |
과거 접두사 o- | 고전 나와틀어 + 일부 방언에서 발견됨 | 없음 | rowspan="3" | |
제거 과거 형성 | 고전 나와틀어 + 일부 방언에서 흔함 | 제한적 | |
-ki를 사용한 과거 | 없음 | 있음 | |
-tuk을 사용한 완료 | 없음 | 있음 | ni-kuch-tuk '나는 잤었다' |
미완료 | -ya | -tuya (상태) | ni-weli-tuya '나는 할 수 있었다' |
-skia, -tuskia 조건문 | 없음 | 있음 | ni-takwika-(tu)-skia '나는 노래할 것이다/노래했을 것이다' |
초두 접두사 /_V | i를 잃음 | 대부분 i를 유지함 | niajsi 나는 도착한다, |
과거 시제를 만들기 위해 대부분의 나와트어 동사는 ''-k'' (모음 뒤) 또는 ''-ki'' (자음 뒤, 현재 어간의 마지막 모음 손실 후)를 붙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ki-neki'' '그는 그것을 원한다' : ''ki-neki-k'' '그는 그것을 원했다'
- ''ki-mati'' '그는 그것을 안다' : ''ki-mat-ki'' '그는 그것을 알았다'
고전 나와틀어에서 흔히 쓰이던, 현재 어간의 모음을 제거하여 과거 어간을 만드는 방식은 나와트어에서는 다음절 동사 어간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ki-talia'' '그는 그것을 놓는다' → ''ki-tali(j)'' '그는 그것을 놓았다'
- ''mu-talua'' '그는 달린다' → ''mu-talu(j)'' '그는 달렸다'
- ''ki-tajtani'' '그는 그에게 묻는다' → ''ki-tajtan'' '그는 그에게 물었다'
나와트어는 완료형으로 ''-tuk'' (동기적으로 분석 불가능)을 사용하며, 복수형은 ''-tiwit''이다. 대과거(''k-itz-tuya ne takat'' '그는 그 남자를 봤었다')와 상태 동사의 미완료(''inte weli-tuya'' '그는 할 수 없었다')에는 ''-tuya''가 쓰이는데, 이는 멕시코 방언에서 발견되는 ''-ya'' 미완료를 대체한다.
나와트어에는 두 개의 조건법 시제가 있다. 가능성 있는 조건과 결과를 나타내는 ''-skia''와 불가능한 조건에 대한 ''-tuskia''이다. 실제 사용에서는 그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한다. 미래 시제는 ''-s'' (복수 ''-sket'')로 나타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어 동사 구문 미래가 선호된다. (''yawi witz'' 또는 ''yu-witz'' '그는 올 것이다')
연쇄 동사 구조에서, 현재 시제(무표 시제)는 마지막 동사의 시제와 관계없이, 첫 번째 동사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kineki / kinekik / kinekiskia kikwa'' '그는 그것을 먹고 싶어한다 / 원했다 / 먹고 싶어할 것이다')
동사 초두 어간에 접두사가 붙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나와트어에서 단어 시작 시 ''ni-'', ''ti-'', ''shi-'', ''ki-'' 접두사는 대부분 ''i''를 유지한다. (''ni-ajsi'' '나는 도착한다', ''ki-elkawa'' '그는 그것을 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Nawat
https://eapolanco.co[...]
2021-03
[2]
웹사이트
Nawat Language in Central America
https://nahuatl-nawa[...]
[3]
간행물
Náwat – y no náhuatl. El náwat centroamericano y sus sabores: Náwat pipil y náwat nicarao
https://www.caratula[...]
2013
[4]
웹사이트
2 Ways Nahuatl Helped Shape Nicaraguan Spanish
https://www.speaking[...]
[5]
웹사이트
Nahuatl Placenames In Nicaragua
https://nahuatlahtol[...]
2018-08-25
[6]
서적
The Pipil Language of El Salvador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85-01-01
[7]
간행물
Náwat – y no náhuatl. El náwat centroamericano y sus sabores: Náwat pipil y náwat nicarao
https://www.caratula[...]
2013
[8]
문서
The Pipil-Nicarao of Central America
Univ of Oklahoma Press
1981
[9]
웹사이트
An Overview of Nicaraguan Spanish
https://www.learnlat[...]
[10]
웹사이트
Language
https://consuladoden[...]
[11]
웹사이트
Nawat Language
https://academicacce[...]
[12]
웹사이트
Nawat Language in Central America
https://nahuatl-nawa[...]
[13]
간행물
Náwat – y no náhuatl. El náwat centroamericano y sus sabores: Náwat pipil y náwat nicarao
https://www.caratula[...]
2013
[14]
웹사이트
Toltec Culture
https://lahistoriame[...]
[15]
웹사이트
Toltecs
https://www.encyclop[...]
[16]
웹사이트
The Toltec Empire
https://arqueologiam[...]
[17]
문서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Unknown
[18]
문서
Proyecto de alfabetos y ortografías para escribir las lenguas mayances
Editorial José de Pineda Ibarra
1970
[19]
웹사이트
NAHUA – Exposiciones
https://exposiciones[...]
[20]
웹사이트
'9. Nahoas Territorio Indígena y Gobernanza'
https://www.territor[...]
[21]
문서
Ferrero
2002
[22]
문서
Lenguas Indígenas de México y Centroamérica
[23]
웹사이트
Alan R. King's - Nawat Resources
http://alanrking.inf[...]
2012-09-30
[24]
웹사이트
A Video Library for Successor Pipil Generation
http://rising.global[...]
2012-08-28
[25]
문서
Areas lingüísticas y población de habla indígena de Guatemala en 1772
Departamento de Historia de América de la Universidad de Madrid
1969
[26]
뉴스
Tiknekit timumachtiat ne nawat (Queremos aprender náhuat)
http://www.laprensag[...]
2010
[27]
뉴스
¡'Náhuat', levántate y anda
http://www.elmundo.e[...]
2010-04-23
[28]
문서
Nawat
http://www.computing[...]
[29]
문서
Nawat Language Recovery Initiative
http://www.compapp.d[...]
[30]
웹사이트
Chapter 8 Testing and Evaluation = CALL program for learning Nawat
http://www.slideshar[...]
2012-09-30
[31]
뉴스
No hay nadie que sepa más de náhuat que yo
http://www.laprensag[...]
2010-11-07
[32]
웹사이트
Dr. Jorge Lemus, Premio Nacional de Cultura (El Salvador, 2010)
http://tehuacanchent[...]
2010-10-30
[33]
웹사이트
Presidente Mauricio Funes entrega "Premio Nacional De Cultura" a lingüista, doctor, Jorge Ernesto Lemus
http://www.presidenc[...]
2012-09-30
[34]
뉴스
Discurso del Presidente Mauricio Funes en la entrega del Premio Nacional de Cultura 2010
http://www.archivocp[...]
2012-09-30
[35]
뉴스
Náhuat, el renacimiento de una lengua. En 2003 quedaban solo unos 200 náhuat hablantes en todo el país. Seis años después, alrededor de 3 mil estudiantes de 11 escuelas reciben clases de este idioma
http://www.elsalvado[...]
2009
[36]
서적
カステジャノス他(2012)
[37]
서적
小池(1989)
[38]
서적
カステジャノス他(2012)
[39]
간행물
Pipil
http://www.unesco.or[...]
UNESCO Languages Atlas
[40]
서적
カステジャノス他(2012)
[41]
서적
Olson (1991)
[42]
서적
カステジャノス他(2012)
[43]
서적
カステジャノス他(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