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도스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도스 산맥은 그리스 북부와 알바니아 남부에 걸쳐 있는 산맥이다. 역사적으로 에피루스와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지역을 구분하는 지형으로 여겨졌으며, 12세기에는 메초본으로 불렸다. 주요 산으로는 그람모스 산, 스몰리카스 산 등이 있으며, 최고봉은 스몰리카스 산(2,637m)이다. 에피로테스, 룸렐리오테스, 블라흐인 등이 거주하며, 전통적인 목축 경제가 이루어졌다. A2 고속도로가 산맥을 지나며, 다양한 고도와 서식지를 포함하여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존재한다. 핀도스 산맥의 숲은 과도한 방목, 농업, 산림 벌채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최근에는 산악 관광과 스키 리조트 개발로 인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알바니아에는 Vjosa 야생강 국립공원이, 그리스에는 Vikos–Aoos 국립공원과 핀도스 국립공원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살리아의 지리 - 템페 계곡
    템페 계곡은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의 페네이오스 강을 따라 올림포스 산과 오사 산 사이에 있는 협곡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신화 속 중요성,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역사적 가치, 현대 교통로의 역할을 한다.
  • 알바니아의 산맥 - 디나르알프스산맥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에 위치한 석회암 산맥으로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역사적으로 요새 역할을 했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 알바니아의 산맥 - 프로클레티예산맥
    프로클레티예산맥은 "저주받은 산"이라는 뜻으로, 디나르알프스산맥 최남단에 위치하며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뻗어 있고, 험준한 카르스트 및 빙하 지형, 다양한 동식물, 3개의 국립공원이 특징이다.
핀도스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에피루스 지방의 핀도스 산맥 – 라크모스 산, 칼로기루 봉우리 동쪽 면 아래에 자리 잡은 안토호리 마을.
에피루스 지방의 핀도스 산맥 – 라크모스 산, 칼로기루 봉우리 동쪽 면 아래에 자리 잡은 안토호리 마을.
기본 정보
다른 이름핀도스, 핀도스
현지 이름그리스어: Πίνδος (핀도스)
알바니아어: Pindet (핀데트)
아루마니아어: Pindu (핀두)
위치그리스, 알바니아
행정 구역서마케도니아, 에피루스, 테살리아, 중앙 그리스 (그리스)
코르처 주, 지로카스터르 주 (알바니아)
길이112 마일 (180 km)
35 마일 (56 km)
방향남북
최고봉스몰리카스 산
해발 고도2637 미터
지질
지도알바니아#그리스

2. 명칭의 역사

역사적으로 핀도스(Pindos)라는 이름은 에피루스(Epirus) 지역을 마케도니아(Macedonia)와 테살리아(Thessaly) 지역과 구분하는 산악 지형을 지칭했다.

12세기 비잔틴 작가 요안니스 체체스(John Tzetzes)에 따르면 핀도스 산맥은 당시 메초본(Metzovon)이라고 불렸다.

Αναστάσιος Γόρδιος|아나스타시오스 고르디오스el가 Παχώμιος Ρουσάνος|파호미오스 루사노스el가 1552년에 작성한 성 비사리온(St. Vissarion)에 대한 초기의 찬사를 (1682/83년에서 1689년 사이에) 좀 더 일상적인 언어(구어)로 번역하면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그리스인들이 핀도스라고 부르는 산은 야만인들이 메초본이라고 부르는 산과 같다.”라고 썼고, 같은 텍스트의 더 아래 부분에서 그는 “이 산, 메초본은 이오안니나(Ioannina) 지역을 테살로니키(Thessaloniki) 지역과 구분한다.”라고 덧붙였다.

18세기까지 메초보(Metsovo)라는 이름이 핀도스 산맥과 동일시되었다(1756년 프랑스 백과사전에). 1825년, 여행가 존 캠 호브하우스(John Cam Hobhouse)는 "…현재 메초보(Metzovo)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후자의 산들은 핀두스(Pindus)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라고 썼으며, 1818년의 한 총대주교 문서는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에피루스(Epirus)의 핀도스(Pindos)의 높은 산, 즉 일반적으로 메소본(Messovon)이라고 불리는…". 핀도스라는 단어는 문학적 자료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고, 중세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산맥의 민간 이름은 "메초보(Metsovo)" 또는 "메초보의 산"이었다. 아마도 이 이름은 오늘날 의미하는 것처럼 전체 산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아스프로포타모스, 트리칼라(Aspropotamos, Trikala) 지역과 아오오스(Aoös) 강의 발원지 사이의 중앙 부분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이 부분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핀도스라고 불렀던 산악 지역과 일치한다.

3. 주요 산

핀도스산맥에서 주목할 만한 산으로는 그람모스 산, 스몰리카스 산, 바실리차 산, 팀피(가밀라 산), 락모스(페리스테리 산), 아타마니카(츌메르카 산), 바르두시아 산, 아그라파 산이 있다. 그리스 남부의 일부 산들도 핀도스 산맥의 연장선으로 간주된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스몰리카스 산으로 해발 2637m이다.

4. 인구

핀도스 산맥의 주요 민족은 에피로테스, 룸렐리오테스, 블라흐인이다. 핀도스에는 많은 마을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마리나로, 그리스에서 가장 높은 고도를 자랑한다. 이 지역은 전통적인 목축 경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곳에서 사라카차니족과 아로마니아인들이 양을 길렀다. 페리볼리와 스믹시와 같은 많은 마을에는 원래 목동과 농부였던 아로마니아인(블라흐인) 공동체가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메초보와 같은 여러 마을이 스키 시설을 갖춘 관광 휴양지로 발전했다.

5. 교통

A2 고속도로(에그나티아 오도스)가 핀도스산맥을 지나며, 그리스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6. 자연 및 야생

트리칼라현의 아스프로포타모스 계곡과 밀리아 마을


핀도스 지역은 깊은 협곡에서 가파른 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도와 서식지를 포함한다. 고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산림 지대, 즉 침엽수 지대와 혼합 활엽수림 지대가 나타난다.

핀도스 산악 호수에는 해오라기, 넓적부리, 백로, 펠리칸 등이 서식하며, 특히 희귀한 달마시안 펠리컨을 볼 수 있는 유럽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숲에서는 늑대, 자칼, 등이 발견된다.

6. 1. 식생

핀도스 지역은 깊은 협곡에서 가파른 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도와 서식지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고도는 두 가지 주요 산림 지대를 형성한다.

  • 침엽수 지대: 오스트리아 소나무의 아종과 고유종인 그리스 전나무와 같은 나무가 가장 높은 고도를 특징지으며, 주니퍼 숲이 수목 한계선 근처를 지배한다.
  • 혼합 활엽수림 지대는 중간 및 낮은 고도의 계곡과 협곡을 지배한다.


해오라기, 넓적부리, 백로, 펠리칸의 대규모 번식 군집이 핀도스 산악 호수의 물에서 먹이를 찾는다. 이곳은 희귀한 달마시안 펠리컨을 발견할 수 있는 유럽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늑대, 자칼, 이 숲에서 발견된다.

6. 2. 동물상

핀도스 지역은 깊은 협곡에서 가파른 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도와 서식지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고도는 두 가지 주요 산림 지대를 형성한다.

  • 침엽수 지대: 오스트리아 소나무의 아종과 고유종인 그리스 전나무와 같은 나무가 가장 높은 고도를 특징지으며, 주니퍼 숲이 수목 한계선 근처를 지배한다.
  • 혼합 활엽수림 지대는 중간 및 낮은 고도의 계곡과 협곡을 지배한다.


해오라기, 넓적부리, 백로, 펠리칸의 대규모 번식 군집이 핀도스 산악 호수의 물에서 먹이를 찾는다. 이곳은 희귀한 달마시안 펠리컨을 발견할 수 있는 유럽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늑대, 자칼, 이 숲에서 발견된다.

7. 환경 문제

남부 핀도스 산맥의 일부


이 지역의 숲은 오랜 역사 동안 과도한 방목, 농업, 산림 벌채 등 여러 위협에 직면해 왔다. 현재 가장 큰 위협은 산악 관광 및 스키 리조트 개발이다. 가파른 산의 토양 불안정성 때문에 도로 건설 및 벌목 작업으로 인해 위험한 산사태와 산비탈 붕괴가 발생했다. 보크사이트 채굴, 과도한 방목, 과도한 식물 채집 또한 이 생태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

8. 국립공원

핀도스 산맥 지역에는 여러 국립공원이 있다. 알바니아 지역에는 최근 지정된 국립공원이 있으며, 그리스 지역에는 비코스–아오스 국립공원과 핀도스 국립공원이 있다.

8. 1. 알바니아 지역

Vjosa 강은 2023년 3월 15일에 지정된 유럽 최초의 야생강 국립공원이다. 이 강 계곡은 알바니아의 생물 다양성 핫스팟으로 여겨지며, 수달, 멸종 위기에 처한 흰머리수리, 멸종 위급종인 발칸산고양이 등 1,100종 이상의 야생 동물에게 이상적인 수생 서식지를 제공한다.[1] 발칸산고양이는 15마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된다.[1]

8. 2. 그리스 지역

; 비코스–아오스 국립공원

콘니차 마을 남쪽, 자고리 지역 서부에 위치하며, 팀피 산, 비코스 협곡, 아오스 협곡 등을 포함한다. 1973년에 설립되었다.

; 핀도스 국립공원

메초보 북쪽, 페리볼리 남쪽의 핀도스 산맥 북동부 외딴 지역에 위치한다. 1966년에 약 7,000헥타르 규모로 지정되었다. 검은 소나무와 너도밤나무 숲이 있으며, 높은 지역에는 보스니아 소나무(''Pinus leucodermis'')도 자란다. 이 공원은 , , 스라소니의 서식지이다.[4][5]

검은 소나무 기념 주화


이 국립공원은 2007년에 발행된 두 개의 고액 유로 수집가용 주화의 주요 모티브로 선정되었다. 즉, 10유로 그리스 새와 꽃 및 검은 소나무 기념 주화이다. 후자의 앞면에는 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검은 소나무의 파노라마 뷰가 새겨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ncarta http://encarta.msn.c[...]
[2] 서적 Le grand dictionnaire historique, ou Le mélange curieux de l'histoire sacrée et profane https://books.google[...]
[3] 서적 A journey through Albania and other provinces of Turkey in Europe and Asia to Constantinople during the years 1809 and 1810, Volume 1 https://books.google[...] James Cawthorn 1825
[4] 웹사이트 Valia Kalda Refuge website http://www.katafigio[...] 2009-07-27
[5] 웹사이트 Valia Kalda Refuge website http://www.katafigio[...] 2009-07-27
[6] 웹사이트 Encarta http://encarta.msn.c[...]
[7] 서적 반 룬의 지리학 도서출판 아이필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