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클레티예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클레티예산맥은 '저주받은 산'을 의미하며,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최남단 부분으로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60km 이상 뻗어있는 산맥이다. 이 산맥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알바니아 부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뚜렷한 경사와 빙하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클레티예산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유럽에서 빙하 침식의 증거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곳 중 하나이다. 산맥에는 여러 국립공원이 있으며, 다양한 식물과 동물, 특히 멸종 위기에 놓인 발칸스라소니가 서식한다. 이 지역은 농업, 임업, 관광을 통해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며, 관광객 증가와 인프라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산맥 - 디나르알프스산맥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에 위치한 석회암 산맥으로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역사적으로 요새 역할을 했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 알바니아의 산맥 - 디나르알프스산맥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에 위치한 석회암 산맥으로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역사적으로 요새 역할을 했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 알바니아의 산맥 - 핀도스산맥
    핀도스산맥은 그리스 북부에 위치하여 에피루스 지역을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지역과 구분하며, 스몰리카스 산을 비롯한 주요 봉우리들과 깊은 협곡, 다양한 민족, 그리고 비코스-아오스 국립공원과 핀도스 국립공원을 포함한 보호 지역을 포함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가진 산맥이다.
  • 코소보의 산맥 - 디나르알프스산맥
    디나르알프스산맥은 발칸 반도에 위치한 석회암 산맥으로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역사적으로 요새 역할을 했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뻗어 있다.
  • 코소보의 산맥 - 코파오니크산맥
    코파오니크 산맥은 세르비아 중부에 위치하여 동쪽은 이바르 강 계곡, 서쪽은 라슈카 지역과 접하고 남서쪽으로 코소보와의 경계를 이루며, 최고봉인 판치치의 봉우리를 포함한 자연 보호 구역이자 관광 명소이며, 아고산 기후와 풍부한 동식물, 그리고 과거 은 매장량으로 유명했던 산이다.
프로클레티예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프로클레티예산맥, 멀리 마야 예제르처 봉우리
프로클레티예산맥, 멀리 마야 예제르처 봉우리가 보인다.
다른 이름알바니아 알프스
별칭저주받은 산
현지 이름알바니아어: Bjeshkët e Nemuna (비예슈크ët 에 네무나)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Проклетије / Prokletije (프로클레티예)
번역저주받은 산
위치알바니아, 코소보, 몬테네그로
산맥디나르알프스산맥
길이약 1,000km
방향북서-남동
최고봉마야 예제르처, 알바니아
해발고도2,694m
상대 높이알 수 없음
모봉알 수 없음
고립도알 수 없음
지질학적 정보
형성알 수 없음
조산 운동알 수 없음
시대알 수 없음
종류알 수 없음
지질알 수 없음
화산 지역알 수 없음
마지막 분화알 수 없음
기타 정보
최초 등반알 수 없음
가장 쉬운 경로알 수 없음
일반적인 경로알 수 없음
접근성알 수 없음

2. 명칭

"악마의 산"이라는 이름의 기원은 논란이 있다. 한 지역 전설에 따르면, 악마가 지옥에서 탈출하여 험준한 빙하 카르스트 지형을 하루 만에 만들어냈다고 한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한 여성이 매우 더운 날 아이들과 함께 산을 넘다가 물을 찾지 못해 산을 저주했다고 한다. 세 번째 전설은 슬라브 군인들이 이 산을 넘기가 너무 힘들어 "저주받은 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3]

Bjeshkët e Nemuna|베슈커 에 네무나sq와 Prokletije|프루클레티예sh 모두 "저주받은 산"을 의미한다.[4][5]

3. 지리

프로클레티예산맥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슈코더 호수에서 코소보까지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40km 이상 뻗어 있다. 넓은 의미에서 프로클레티예산맥은 하일라와 모크나 산괴가 있는 미트로비차까지의 산맥도 포함하지만, 일부에서는 림 강을 북쪽 경계로 보기도 한다.[6][7]

이 산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의 충돌로 인한 습곡으로 형성되었다. 발칸 반도에서 빙하 침식의 증거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곳으로, 알프스산맥 다음으로 스칸디나비아 빙상 남부 유럽에서 가장 빙하가 발달한 곳이다. 매우 가파른 석회암 경사면과 풍부한 카르스트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에서 아직 완전히 탐험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산맥 중 하나이다.

일부 지역에서 프로클레티예산맥은 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 코소보에 있는 샤르 산맥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 지각 충돌로 산맥이 독특한 지그재그 모양을 갖게 되었고, 지배적인 디나르 산맥의 북서-남동 방향에서 북동쪽 방향으로 굽어지게 되었다.[8]

빙하기 동안의 침식은 많은 특징적인 지형을 남겼다. 깊은 강 협곡과 평평한 계곡이 산의 능선을 따라 구불구불하게 이어진다. 루고바 협곡은 코소보에 위치해 있으며, 몬테네그로 국경에서 페야까지 25km 길이이며, 깊이는 1000m이다.[10]

3. 1. 지형

공중에서 본 프로클레티예산맥


프로클레티예산맥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최남단 부분으로, 남서쪽의 슈코더 호수에서 북동쪽의 코소보까지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약 64.37km 이상 뻗어 있다. 이 지역은 서부 발칸 반도의 지중해 지역에 위치하며 북위 42°45'와 42°15'에 해당한다.[6][7] 프로클레티예산맥의 남쪽 경계는 드리니 강과 그 지류인 발보나 강이다. 넓은 의미에서 프로클레티예산맥은 하일라와 모크나 산괴가 있는 미트로비차까지의 산맥도 포함하지만, 일부에서는 림 강을 북쪽 경계로 보기도 한다.

슈코더 호수에서 산맥은 쳄 강을 따라 북동쪽으로 뻗어 제라비차 정상을 향해 약간 동쪽으로 굽어진다. 여기서 프로클레티예산맥은 보기체비차 산괴와 차코르 고개를 넘어 북쪽으로 방향을 틀고 또 다른 산맥을 이룬다. 프로클레티예산맥은 수바 플라니나(1750m) 산괴 바로 뒤, 미트로비차 근처 상부 이바르 강 계곡 지역에서 끝난다.

프로클레티예산맥은 민족학적으로나 사회학적으로 다양하며, 여러 알바니아 부족 (호티, 그루다, 켈멘디, 카스트라티, 두카지니, 슈크렐리, 샬라, 니카지, 크라스니치, 가시, 쿠치 및 루고바)의 이름이 산맥 내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이 산맥의 몬테네그로 쪽, 코플레 정상의 암벽에는 이 지역에서 가장 어려운 암벽 등반 루트인 "프르보 코플레"가 있다. 이 루트는 스코페 출신의 자르코 고스토비치 (1950-2019)와 크로아티아 카슈텔 캄벨로바츠 출신의 안테 베달로프 (1952-1974)가 1972년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사흘 반에 걸쳐 최초로 등반했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에는 늦은 홀로세 기간 동안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최소 5개의 활성 빙하와 해발 1980m~2420m 사이에 몇몇 비활성 빙하가 있다.[13][14][15] 최후 빙하기 동안 로포야니, 그르바야 및 발보나 계곡은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빙하에 의해 깎였다. 가장 긴 로포야나 빙하는 12.5km의 길이에 20km2의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빙하로는 9.5km 및 10.5km2의 발보나 빙하, 5km 및 6.7km2의 그르바야 빙하, 6km 및 6.9km2의 보기체비차 빙하가 있다.[13] 또한, 예제르차 봉우리 북쪽에 있는 부니 예제르체 호수군, 리드스코 호수, 부쿠미르스코 호수, 리카바츠코 호수를 포함하여 약 20개의 작은 빙하 기원의 호수가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의 지리학자들은 마야 에 예제르처스 인근 지역에서 해발 1980m~2100m에 위치한 4개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빙하를 발견했다. 가장 큰 빙하는 현재 축구장 6개 크기이며, 평균 총 표면적은 5ha이다. 이 빙하는 녹는 것을 상쇄하기 위해 49.7m 에서 66.4m의 눈에 해당하는 연간 축적이 필요하다. 유럽 최남단에 속하는 이 빙하들은 지역 설선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 존재하며, 빙하 발달에 대한 지역적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지리학자들은 19세기에 유럽 알프스에서 소빙하기의 절정에 해당하는 이웃 산에 적어도 8개의 빙하가 존재했다고 생각한다.[15]

'''주요 봉우리'''

높이봉우리 이름
2600m 이상
2500m 이상
2400m 이상
2400m 미만


3. 2. 지질

악령산맥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슈코더 호수에서 코소보까지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을 따라 40km 이상 뻗어 있다. 넓은 의미에서 악령산맥은 하일라와 모크나 산괴가 있는 미트로비차까지의 산맥도 포함하지만, 일부에서는 림 강을 북쪽 경계로 보기도 한다.

이 산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의 충돌로 인한 습곡으로 형성되었다. 발칸 반도에서 빙하 침식의 증거가 가장 많이 남아있는 곳으로, 알프스산맥 다음으로 스칸디나비아 빙상 남부 유럽에서 가장 빙하가 발달한 곳이다. 매우 가파른 석회암 경사면과 풍부한 카르스트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에서 아직 완전히 탐험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산맥 중 하나이다.

산맥의 서부 및 중부 지역은 주로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시대의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부 악령산맥에는 석회암 및 백운암 계열 외에도 고생대 후기 및 트라이아스기 시대의 암석, 중기 트라이아스기 화산암 및 쥐라기 변성암이 있다.

칼크타펠은 Përroi i Thatë 북쪽의 다양한 암괴, 그 남쪽의 Biga e Gimajive, Shala와 발보나 계곡 사이의 Jezerca 블록, Maja e Hekurave의 산괴, 발보나 북쪽의 Maja e Kolats 고원, 발보나 북동쪽의 Shkëlzen을 따라 계곡을 깊숙이 깎았다. 계곡은 최대 1000m 깊이의 매우 가파른 벽과 공동을 만든 빙하에 의해 형성되었다. 마자 아라피트의 남쪽 벽은 800m 높이로 발칸 반도에서 가장 높은 암벽이다.[9]

프로클레티예 산맥에는 늦은 홀로세 기간 동안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최소 5개의 활성 빙하와 해발 1,980~2,420미터 사이에 몇몇 비활성 빙하가 있다.[13][14][15] Ropojani, Grbaja 및 Valbona의 계곡은 최후 빙하기 동안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빙하에 의해 깎였다. 가장 긴 Ropojana 빙하는 12.5km 길이에 20km2의 표면적을 가졌으며, 다른 빙하로는 9.5km 및 10.5km2의 Valbona 빙하, 5km 및 6.7km2의 Grbaja 빙하, 6km 및 6.9km2의 Bogićevića 빙하가 있다.[13] 예제르차 봉우리 북쪽에는 부니 예제르체 호수군, 리드스코 호수, 부쿠미르스코 호수, 리카바츠코 호수를 포함하여 약 20개의 작은 빙하 기원의 호수가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 지리학자들은 Maja e Jezerces 인근 해발 1980~2100미터에 위치한 4개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빙하를 발견했다. 가장 큰 빙하는 현재 축구장 6개 크기이며, 매년 크기가 달라진다. 이들의 평균 총 표면적은 5ha이다. 빙하-기후 모델링에 따르면 이 빙하는 녹는 것을 상쇄하기 위해 4137mm 에서 5531mm (강우량 환산) 사이의 연간 축적이 필요하며, 이는 49.7m 에서 66.4m의 눈에 해당한다. 이 축적의 상당 부분은 바람에 날리는 눈, 특히 눈사태로 인한 눈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5]

3. 3. 산괴

악령산맥은 여러 개의 큰 산괴(산의 무리) 또는 산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산괴는 다음과 같다.[8]

산괴 이름높이
포플룩스 (Popluks) 군2694m
슈쿠르트 (Shkurt) 군2554m
라도히머스 (Radohimës) 군2570m
자보러스 에 크라스니처스 (Zaborës e Krasniçës) 군2625m
비옐리츠 (Bjelic) 군2556m
카란필리-브라다 (Karanfili-Brada) 군2554m
라버스 (Rabës) 군2232m
에르셸리트 (Ershellit) 군2066m
카키녜스 (Kakinjes) 군2359m
슈켈젠2407m
보기체비차2533m
호롤라츠 (Horolac) 군2199m
케르시 코차이 (Kershi Kocaj) 군2399m
마야 에 제저 (Maja e Zezë) 군2400m
룸바르디트 (Lumbardhit) 군2522m
코프라니크2460m
스트렐츠 (Strellc) 군2377m
제라비차2656m
유니크2296m
스타라츠-초코르 (Starac-Qokorr) 군2426m
하일라2403m
스테딤-아흐미차 (Stedim-Ahmica) 군2272m
즈렙-루술리야 (Zleb-Rusulija) 군2382m
모크나2155m
수바 플라니나 (Suva Planina) 군1750m


3. 4. 협곡과 계곡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전형적인 디나르 카르스트 고산 지대로, 뚜렷한 경사와 빙하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1800m에 달하는 최대 고도 차이는 발보나, 그르바야, 로포자니 및 쳄 계곡에서 발견된다. 서부 및 중부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돌출된 벽과 뾰족한 봉우리를 형성하는 능선이 특징이며, 동부 산맥은 덜 험준하고 고도가 낮다. 계곡은 플라이스토세 빙하 작용의 특징적인 영향을 보여주며, 대부분 지역은 빙하 활동에 의해 변형되었고 서부 지역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있다.[8]

칼크타펠은 Përroi i Thatë 북쪽의 다양한 암괴, 그 남쪽의 Biga e Gimajive, Shala와 발보나 계곡 사이의 Jezerca 블록, Maja e Hekurave의 산괴, 발보나 북쪽의 Maja e Kolats 고원, 발보나 북동쪽의 Shkëlzen을 따라 계곡을 깊숙이 깎았다. 계곡은 최대 1000m 깊이의 매우 가파른 벽과 공동을 만든 빙하에 의해 형성되었다. 마자 아라피트의 남쪽 벽은 높이가 800m로, 발칸 반도에서 가장 높은 암벽이다.[9]

빙하기 동안의 침식은 많은 특징적인 지형을 남겼다. 깊은 강 협곡과 평평한 계곡이 산의 능선을 따라 구불구불하게 이어진다. 가장 큰 협곡은 루고바 협곡이다. 코소보에 위치해 있으며, 몬테네그로 국경에서 페야까지 25km 길이이며, 깊이는 1000m이다.[10] 양쪽에 매우 가파른 수직 산비탈이 있다. 낮은 고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계곡은 알프스 고도에서 발견되며, 알바니아의 부니 예제르체와 같은 산길과 계곡 바닥을 형성한다. 부니 예제르체는 "호수의 계곡"을 의미하며, 6개의 작은 빙하 호수를 포함하고 있고, 가장 큰 호수는 부니 예제르체 대호수라고 불린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협곡'''

  • 루고바 협곡
  • 데차니 협곡
  • 가시 협곡
  • 체미 협곡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계곡'''

  • 베르모시 계곡
  • 발보나 계곡
  • 테티 계곡
  • 로포요나 계곡
  • 게르브야 계곡
  • 부니 예제르체
  • 체미 이 니크치 계곡

알바니아 타마라 협곡

4. 강과 호수

프로클레티예산맥에는 이 지역의 여러 주목할 만한 강들이 있다. 이 산맥의 강들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림강으로 흘러드는 강이고, 다른 하나는 백색 드리니로 흘러들어 흑색 드리니와 합류하여 드리니 합류 지점에서 만나는 강이다. 프로클레티예산맥의 남쪽과 동쪽 사면은 후자에 속한다. 타라 강과 림 강은 디나르알프스 강 시스템의 두 주요 수원으로, 프로클레티예산맥의 북쪽 경계에서 발원한다. 브르모시는 몬테네그로 북서부 산악 지역, 알바니아 국경 근처에서 발원한다. 드리나강의 지류로서 다뉴브강으로 흘러들어 흑해로 유입된다. 림 강은 플라브 호수를 통과한다. 이바르는 하일라 산자락에서 발원하여 세르비아의 서부 모라바를 거쳐 다뉴브강으로 향하는 유사한 경로를 따른다.

플라브 호수


프로클레티예산맥 남부에서는 드리니 강이 우세를 보인다. 드리니 강은 지류와 함께 산맥의 대부분의 물을 배출하며, 라다바치에 있는 백색 드리니의 수원에서 레자 근처 드리니 강 어귀까지의 길이는 335km에 달한다. 그러나 드리니 강이 모두 프로클레티예산맥 근처나 평행하게 흐르는 것은 아니다. 드리니 강 지류 중 하나는 발보나 강으로, 아드리아해로 흘러들어가며, 그 동쪽 지류는 가시 강이다. 산맥 서쪽에는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 북서부 지역의 물을 아드리아해로 배출하는 셈 강이 있다. 카르스트 지형이 물을 지하로 배출하기 때문에 수위가 변동한다. 알바니아의 페로이 이 타테와 같은 일부 강이나 시내는 여름 가뭄 동안 완전히 말라버린다. 코소보의 룸바르디 이 페예스 강은 짧지만 매우 강력하며 루고바 협곡을 만들었다.

Lake Liqenat


프로클레티예산맥에는 빙하 기원의 작은 고산 호수가 약 20개 있다. 많은 호수는 코소보와 알바니아 사이의 보기체비카 국경 지역과 예제르차와 보이스 봉우리 근처의 "부니 이 예제르체" 협곡에 있다. 코소보의 레키나트 호수와 몬테네그로의 흐리드 호수와 같은 일부 호수는 관광 명소이다. 흐리드 호수는 잘 보존된 빙하 지형의 명확한 예이다. 홍적세 시대에 이곳은 주변 봉우리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이 암석의 단계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질적인 물질을 함께 끌고 다니는 집결지였다. 강수는 작은 암석을 씻어냈지만 더 큰 암석은 호수 남서부와 서쪽 해안에 남아 있다. 호수는 길이가 295m, 폭이 110m이며 평균 수심은 약 5m이다. 강수 외에도 호수 해안 근처의 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다.[11] 가장 큰 호수는 몬테네그로의 플라브 호수이다. 이 호수는 해발 906m의 플라브 계곡에 위치하며, 프로클레티예산맥과 비지터 산맥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폭포는 산맥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코소보의 백색 드리니 폭포는 높이가 25m에 달한다. 페야에서 멀지 않아 접근이 용이하며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알바니아의 그루나스 폭포는 높이가 30m이며 테스 국립공원에 있다. 구시녜 근처 몬테네그로의 알리 파샤 자연 샘은 이 도시의 주요 명소이다.

5. 기후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유럽에서 가장 습한 지역 중 하나이다. 계곡에 있는 보가 마을은 연간 강수량이 3033mm에 달하며, 다른 지역도 연간 2000mm에서 2500mm의 강수량을 보인다.[7] 높은 고도에서는 매우 건조한 해를 제외하고 여름에도 눈을 볼 수 있다.[13]

프로클레티예 산맥에는 홀로세 후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최소 5개의 활성 빙하와 해발 1,980~2,420m 사이에 몇몇 비활성 빙하가 있다.[13][14][15] Ropojani, Grbaja 및 Valbona 계곡은 최후 빙하기 동안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빙하에 의해 깎였다. 가장 긴 Ropojana 빙하는 길이가 12.5km, 표면적이 20km2이며, 다른 빙하로는 Valbona 빙하 (9.5km, 10.5km2), Grbaja 빙하 (5km, 6.7km2), Bogićevića 빙하 (6km, 6.9km2)가 있다.[13] 또한, 예제르차 봉우리 북쪽에 있는 부니 예제르체 호수군, 리드스코 호수, 부쿠미르스코 호수, 리카바츠코 호수를 포함하여 약 20개의 작은 빙하 기원의 호수가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 지리학자들의 보고서에 따르면, Maja e Jezerces 인근 지역에서 해발 1980~2100m에 위치한 4개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빙하가 알바니아 산맥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큰 빙하는 축구장 6개 크기이며, 겨울 강설량과 여름 기온에 따라 매년 크기가 달라진다. 이들의 평균 총 표면적은 5ha이다. 빙하-기후 모델링에 따르면 이 빙하는 녹는 것을 상쇄하기 위해 연간 4137mm에서 5531mm (강우량 환산) 사이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는 49.7m에서 66.4m의 눈에 해당한다. 이 축적의 상당 부분은 바람에 날리는 눈, 특히 눈사태로 인한 눈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유럽 최남단에 속하는 이 빙하들은 지역 설선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 존재하며, 빙하 발달에 대한 지역적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지리학자들은 19세기에 유럽 알프스에서 소빙하기의 절정에 해당하는 이웃 산에 적어도 8개의 빙하가 존재했다고 생각한다.[15]

6. 생태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발칸 반도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하위 섹션 '식물'에서는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식물상을 자세히 다룬다. 발칸 반도에서 가장 다양한 식물군을 보유한 지역 중 하나로, 알바니아 지역에서만 1,611종의 야생 식물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50종은 고유종, 아고유종 또는 멸종 위기 종이다.

'동물'에서는 이 지역의 동물상을 다룬다. 유라시아 불곰, 회색늑대 등 다른 지역에서 멸종된 대형 포유류가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발칸스라소니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이다. 황금독수리, 뱀독수리 등 다양한 조류와 대리석 송어를 비롯한 어류, 알파인 도롱뇽, 불도롱뇽 등의 양서류, 울타리 도마뱀, 그리스 거북이 등의 파충류도 서식한다. 특히 프로클레티예 바위 도마뱀(''Dinarolacerta montenegrina'')은 이 산맥 고유종이다.

6. 1. 식물

Popluks와 Jezerca 봉우리 앞에 있는 ''Pinus heldreichii''


고유종인 ''Wulfenia baldaccii''


게르자비차 주변의 고대 숲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식생은 발칸 반도에서 가장 풍부하며 식물의 주요 중앙 유럽 지역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알바니아 지역에서만 1,611종의 야생 식물이 발견되었다.[16] 50종의 식물 종은 고유종, 아고유종 및 멸종 위기 종이다.[17] 산맥의 남쪽 가장자리는 아-지중해성 특징을 띤다. 협곡의 가장 깊은 계곡과 햇볕이 잘 드는 비탈에서 다양한 상록수 관목이 발견되며,[20] 높은 계곡에서는 낙엽성 시블랴크 관목이 흔하다. 산에는 ''앵초'', ''사투레야'' 및 ''세이델리스'' 속을 포함하여 100종이 넘는 약용 허브가 발견된다. 고도와 선호하는 서식지 때문에, 이 산맥은 북극-알파인 잔류 식물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18] 발칸 반도의 옛 빙하 식물 77종 중, 프로클레티예 산맥에서 50종이 조금 넘는 종을 찾을 수 있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식생 수준은 알파인 수준과 일치하며, 고산 계곡에서 숲이 없는 알파인 및 아고산 매트와 생토에서 광대한 잔해 더미와 원시 토양에 영구 동토층이 있는 subnivale 툰드라에 이르기까지 몬테인 산 단계까지 이어진다. 실제 눈 수준은 널리 퍼져 있지 않지만, 높은 고도에서는 눈과 고사리 밭이 4개의 매우 작은 빙하에서 여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곳은 예제르카의 그늘에서 발견된다.

너도밤나무, 전나무 및 규산염 가문비나무 숲이 산 지역을 지배한다. 그러나, 북유럽 종은 드물게 발견되며, 전형적으로 스코틀랜드 소나무(''Pinus sylvestris'')이다. 가뭄에 강한 지중해 크기의 흑송(''Pinus nigra'') 또한 흔하다. 사시나무 (''Populus tremula'')는 단풍나무 (''Acer pseudoplatanus'') 및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Picea abies'')와 함께 습한 곳에서 자란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유럽에서 가문비나무가 자라는 최남단 지역 중 하나이다. 숲의 "전투 지역"은 산 소나무 (''Pinus mugos)''의 조밀한 덤불로 형성된다. 뱀가죽 소나무(''Pinus heldreichii'')와 같은 침엽수는 탄산염 암석 위에 있으며, 마케도니아 소나무 (''Pinus peuce'')는 고유 발칸 식물의 전형적인 요소인 규산염이다.

''Seslerion juncifoliae''의 쿠션 사초 및 블루 그래스 잔디가 알파인 지역에서 자라며, 얕은 석회암 토양에서 ''Oxytropidion dinaricae''가 자라며, 여기에 알프스에서와 같이 알파인 그래스 크룸이 자란다. 다른 식물로는 알파인 과꽃 ''Aster alpinus'', 에델바이스 ''Leontopodium alpinum'' 및 흰색 산 원추리 ''Dryas octopetala''가 있다.[19] 이러한 식물은 짧은 생장기, 자외선 복사, 추위 및 얇은 토양에 특히 적응된 비정형 알파인 식물이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바위 지역의 식물은 특히 주목할 만하며, 제3기 잔류 종 ''Amphoricarpos neumayeri''를 포함하여 드물게 풍부하고 고유종이기 때문이다. 많은 식물 종은 고유종이거나 프로클레티예 산맥에서 주로 발견된다. 질경이과 식물은 중앙 프로클레티예 산맥에서 알파인 울페니의 변종으로 발견되지만, 700km 떨어진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Petasites doerfleri''는 예제르카 봉우리에서만 발견되며, 알바니아 백합 ''Lilium albanicum''과 ''Viola ducagjinica''는 마야 라도히메스 경사면 꼭대기에서만 발견된다.[20] 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Viola vilaensis Hayek''이다. ''Viola chelmea''는 몬테네그로-알바니아 국경 지역, 특히 2100m의 부쿠미르스코 예제로 호수에서 발생하는 제비꽃 종에 속하며, 목질의 튼튼한 근경, 폐쇄 화서, 그리고 산기슭의 부재로 인해 자랄 수 있는 소아시아와 발칸 반도에서만 발견된다. 프로클레티예 산맥은 또한 제3기 잔류 종 ''Forsythia europaea''가 자라는 유일한 유럽 지역이다.

6. 2. 동물

스라소니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포식자 중 하나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이미 멸종된 유라시아 불곰, 회색늑대, 금색 자칼, 붉은여우, 유럽 야생 고양이, 노루, 사슴, 붉은사슴, 멧돼지, 유럽수달 등과 같은 대형 포유류 종들이 이곳에서 발견된다.[21][20][22] 유라시아 스라소니의 아종인 발칸스라소니는 매우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주로 테트 국립공원에서 발견된다. 약 20~50마리가 여전히 서식하고 있지만, 밀렵이 여전히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샤무아는 고지대 전역에서 발견되며, 약 720마리의 샤무아가 코소보와 몬테네그로 국경 사이에 서식한다.[23] 무플론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프로클레티예산맥에서 서식하다가 사라졌다는 추측이 있다.[24]

조류 종으로는 황금독수리, 뱀독수리, 꿀벌매, 송골매, 자고새, 바위자고새, 알락올빼미, 유라시아수리부엉이, 눈송이참새 등이 있다.[25] 지금까지 140종의 나비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프로클레티예산맥이 유럽에서 나비가 가장 풍부한 지역임을 보여준다.

강에는 점점 더 많은 수의 대리석 송어가 서식하고 있다. 양서류에는 알파인 도롱뇽 (가장 남쪽 서식지),[26] 불도롱뇽, 배불뚝이 두꺼비, 붉은배두꺼비 등이 있다. 풍부한 파충류에는 울타리 도마뱀, 녹색 도마뱀, 그리스 거북이 및 독이 있는 뿔살무사와 살무사를 포함한 뱀이 있다. 프로클레티예산맥에는 도마뱀의 고유종인 프로클레티예 바위 도마뱀(''Dinarolacerta montenegrina'')이 있으며, 이 산맥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7]

7. 등반 역사

1929년 7월 26일, 영국의 등반가 슬리먼(Sleeman), 엘말리에(Elmalie), 엘우드(Ellwood)가 마야 예제르체 정상에 최초로 도달했다.[28] 수년 후 오스트리아 산악인들도 이 봉우리를 등반했다. 많은 탐험가와 과학자들이 프로클레티예산맥을 방문하여 박물관에 전시할 암석과 표본을 수집했다. 1929년 초여름까지 모든 봉우리의 높이가 이탈리아 측지학자들에 의해 측정되었다.

8. 국립공원 및 보존 노력

발보나 계곡 국립공원의 발보나 강 (알바니아 알프스 국립공원으로 통합 이전)


프로클레티예산맥에는 몬테네그로, 코소보, 알바니아에 각각 하나씩 3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불법 산림 벌채는 주요 문제이며, 어느 정도는 국립공원에도 영향을 미친다. 건조한 여름에는 산불이 흔하다. 늑대, 샤무아, 여우, 오소리, 멧돼지를 포함한 모든 대형 포유류는 국립공원 경계와 관계없이 사냥된다.[29]

2022년 알바니아에서는 테스 국립공원, 발보나 계곡 국립공원, 가시 강 엄격 자연 보호 구역을 통합하여 86ha에 달하는 알바니아 알프스 국립공원이 새로 조성되었다.[30][31] 테스 국립공원은 1966년에 지정되었으며[32] 테티 강을 따라 2ha 면적을 차지한다. 공원의 주요 볼거리는 그루나스 폭포이다.[32] 발보나 계곡 국립공원은 1996년에 지정되었으며 발보나 계곡과 발보나 강을 포함하여 8ha 면적을 차지한다.[33]

몬테네그로 측 산맥은 2009년에 프로클레티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16ha 면적을 포함한다. 코소보 측의 비에슈케트 에 네무나 국립공원은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50ha 면적으로 높은 고산 지역뿐만 아니라 루고바 협곡과 주요 강을 포함한다. 1955년 유고슬라비아는 마야 에 로페스 산의 일부를 주로 마케도니아 소나무, 소나무 및 너도밤나무가 있는 25ha 면적의 꽃 산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같은 해, 코즈냐르 지역은 특히 샤무아를 보호하기 위해 161ha 면적의 동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34]

2010년 현재 코소보, 알바니아, 몬테네그로는 이 지역에 발칸 평화 공원이라는 또 다른 3개국 공원을 설립할 계획이다.[35]

9. 경제 및 교통

프로클레티예 산맥 지역은 교통이 불편하지만, 최근 도로 건설 및 개선 사업을 통해 접근성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

알바니아에서는 SH20 도로가 켈멘드 지역을 관통한다. 이 도로는 몬테네그로 국경 검문소인 한 이 호티에서 시작하여 쳄 계곡을 따라 베르모슈를 지나 구시녜까지 이어진다. Hani Hotit과 Tamare 사이 구간은 유럽 표준으로 포장되었다. 코플리크에서 보가까지는 SH21 도로가 최근 포장되었다. Qafa Thores에서 테스까지 이어지는 도로는 포장되었지만 여전히 험난하다.[39] 테스에서 샬라 계곡 교회까지는 도로 상태가 좋지 않다. 자코바에서 바이라움 추리를 거쳐 Qafa e Morinës까지 이어지는 SH22 도로는 재건되었다. 페야로자예 고속도로 건설로 몬테네그로와 코소보 사이의 교통 상황이 개선되었다.[40] 과거에는 포드고리차플라브 사이를 잇는 대상 루트가 림 강과 쳄 강을 따라 산을 넘었다.[41][42]

켈멘드 지역 레케트 에 호티의 SH20 도로


코만 협곡은 페리의 운송로 역할을 한다.

9. 1. 주민 및 경제

프로클레티예 산맥에는 알바니아인,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이 거주하지만 인구 밀도는 매우 낮다. 산맥 가장자리에는 몇몇 정착촌이 있다. 알바니아의 코플리크(Koplik)와 몬테네그로의 투지(Tuzi)는 슈코다르 호 근처 서쪽에, 몬테네그로 북쪽 상부 림강(Lim river) 계곡의 플라브와 구시녜(Gusinje)가 있으며, 산맥 동부 지역의 트로포야(Tropoja) 지구의 주요 도시인 바지람 추리가 있다.[21] 슈코더르(Shkodra), 포드고리차(Podgorica), 자코바(Gjakova), 페야(Peja)와 같은 더 큰 도시들도 영향력을 행사하며, 고지대 주민들이 심부름, 행정 절차 및 시장 판매를 위해 자주 방문한다.

바지람 추리(Bajram Curri)에서 바라본 도시 북쪽 산의 모습


산에는 마을의 인구가 수백 명에 불과하며, 명확한 중심 없이 흩어져 있는 정착촌이 많다. 가장 큰 마을 중에는 쳄 계곡에 위치하고 켈멘드 공동체에 속하는 타마라와 셀카가 있다. 베르모쉬를 포함한 8개의 마을 공동체는 6,600명의 주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마라는 현재 중부 산악 지역에서 중등학교와 같은 기반 시설을 갖춘 유일한 장소이며, 타마라와 베르모쉬는 산부인과 병원을 공유한다.[21] 보가, 테스 또는 발보나와 같은 내부 마을의 많은 주민들은 겨울철에 마을이 몇 주 동안 고립되기 때문에 여름철에만 그곳에 거주한다.

이 산악 지역은 농업 소득이 낮아 심각한 "두뇌 유출"로 고통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슈코더르와 코플리크, 티라나(Tirana) 또는 해외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고 조금 더 편안한 생활을 위해 떠나고 있다.[36] 연중 인구가 줄어들고 지형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교사와 같은 주 또는 지방 정부 직원이 거의 없다. 지역 소득은 농업, 반불법적인 임업 및 관광에서 발생한다.

테스(Theth)와 같은 몇몇 지역에서는 레크리에이션 하이킹으로 관광이 활성화되었다. GTZ의 도움으로 40개의 개인 주택이 관광 숙박 시설 (B&B)로 변모했다. 2010년에는 총 130개의 침대가 있었는데, 이는 2007년보다 100개 더 많은 수치이다. 또한 하이킹 코스가 표시되었으며 코스 지도와 여행 가이드가 출판되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관광객 수는 연간 300명에서 약 7,500명으로 증가했다. 알바니아의 다른 지역과 달리 이러한 증가는 외국인 관광객 덕분이었다. 플라브 및 흐리드와 같은 호수도 여름철에 많은 관광객을 맞이한다. 많은 마을에는 마을에 전기를 공급하는 작은 수력 발전 발전소가 있다.[37]

192km의 발칸 산맥 봉우리 트레일은 세 국가를 모두 연결한다.[38]

많은 마을은 이미 15세기에 정착했으며, 일부 계곡은 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그러나 공산주의가 종식되면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주하여 이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

9. 2. 교통



SH20 도로는 알바니아 북서부 켈멘드 지역의 프로클레티예산맥을 가로지른다. 이 도로는 몬테네그로 국경 검문소인 한 이 호티에서 스쿠타리 호수 동쪽 해안에서 시작하여 쳄 계곡으로 들어가는 첫 번째 고개까지 이어진다. 이후 베르모슈를 지나 Qafa e Predelecit의 기원 고도까지 이어지며, 또 다른 국경 검문소를 거쳐 구시예에서 끝난다. Hani Hotit과 Tamare 사이의 SH20 구간은 포장되어 유럽 표준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는 최근 코플리크에서 보가까지 포장된 SH21 도로만 존재한다. Qafa Thores에서 테스까지 이어지는 도로는 최근 충돌 방지벽과 가드레일을 추가하여 포장되었지만, 여전히 가파르고 구불구불하며 좁은 구간이 있다.[39] 테스에서 샬라 계곡 교회까지는 도로 상태가 좋지 않으며, 강을 따라 걷는 길만이 슈코드라로 이어진다. 자코바 이후 바이라움 추리에서 Qafa e Morinës를 가로지르는 SH22 도로는 재건되었다. 과거 몬테네그로와 코소보 사이의 국경을 넘는 유일한 경로는 루고바 협곡을 통과하는 매우 위험하고 가파른 길이었으나, 페야로자예 고속도로 건설로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40] SH21에서 라젬으로 이어지는 SH42 도로 역시 최근 재건되었다.

역사적으로 포드고리차와 플라브 사이의 대상 루트는 림 강과 쳄 강을 따라 산을 넘었다.[41][42]

참조

[1] 서적 Crna Gora: Prilozi i rasprave CID
[2] 간행물 Glacier Evolution in a Changing World https://www.manchest[...] Manchester University 2017-10-04
[3] 웹사이트 The Peak of the Balkans Trail: Europe's last true wilderness https://www.bbc.com/[...] 2023-04-26
[4] 서적 Fjalor enciklopedik shqiptar: N-Zh dhe një shtojcë https://books.google[...] Akademia e Shkencave e Shqipërisë
[5] 서적 L'Albania: notizie geografiche, etnografiche e storiche http://asa.archivios[...] Societa' Ed. Dante Alighieri 2021-06-28
[6] 웹사이트 Website des Montenegrinischen Tourismusministeriums http://www.visit-mon[...]
[7] 문서 "Akademia e Shkencave e RPSSH: ''Fjalor enciklopedik shqiptar'', Tirana 1985 und ''Gjeografia fizike e Shqipërisë'', Tirana 1990"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8] 웹사이트 Dinaric Alps : Climbing, Hiking & Mountaineering : SummitPost http://www.summitpos[...]
[9] 웹사이트 Maja e Arapit, Geoquest Kletterführer http://www.geoquest-[...] 2010-08-03
[10] 웹사이트 Rugova Canyon (Pec) – 2018 All You Need to Know Before You Go (with Photos) – TripAdvisor http://www.tripadvis[...]
[11] 웹사이트 Bogićevica/Bogiçevica : Climbing, Hiking & Mountaineering : SummitPost http://www.summitpos[...]
[12] 웹사이트 Karanfili : Climbing, Hiking & Mountaineering : SummitPost http://www.summitpos[...]
[13] 학술지 Pleistocene glacial relief of the central part of Mt. Prokletije (Albanian Alps) 2008-11-01
[14] 학술지 Phil Hughes: Twenty-first Century Glaciers and Climate in the Prokletije Mountains, Albania https://www.escholar[...]
[15] 간행물 Glaciers discovered in 'cursed' mountains of Albania http://www.mancheste[...]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2010-01-27
[16] 학술지 Floristic and chorological news from north Albania http://botanicaserbi[...]
[17] 컨퍼런스 Overview of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Albanian Alps - the degree of conservation and threats http://rgdoi.net/10.[...] 2017
[18] 학술지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Arctic-Alpine species in the Balkans 2009
[19] 문서 Treasures
[20] 서적 Albania Bradt Travel Guide
[21] 웹사이트 Dr. Michael Galaty in Northern Albania http://millsaps.edu/[...] 2008-08-16
[22] 서적 Albania – Guide to its Natural Treasures Verlag Herwig Klemp
[23] 웹사이트 Lov - Lovački portal SRBIJALOV - www.srbijalov.com http://www.srbijalov[...]
[24] 웹사이트 Euronatur: Albaniens Wilder Norden – Schatzkammer der ökologischen Vielfalt in Europa http://www.euronatur[...] 2009-07-27
[25] 웹사이트 BirdLife IBA Factsheet http://www.birdlife.[...] 2009-06-19
[26]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Salamandra atra http://www.iucnredli[...] 2008-12-14
[27] 웹사이트 Prokletije Rock Lizard, Dinarolacerta montenegrina http://www.euroherp.[...] 2011-01-24
[28] 문서 Reveue de géographie: – Volumes 10–13 – Page 8
[29] 웹사이트 Illegal Logging Ravages Albania's Forests http://www.balkanins[...] 2009-12-16
[30] 웹사이트 Journey to Valbona » Blog Archive » Something New is Happening : The Albanian National Park of the Alps http://www.journeyto[...]
[31] 웹사이트 Parku Kombëtar i Alpeve nën mbrojtjen e Shqipërisë dhe Kosovës http://www.telegrafi[...] 2015-10-17
[32] 웹사이트 Historia e Parkut Kombetar Theth http://www.thethi-gu[...] 2010-07-28
[33] 웹사이트 Valbona Valley National Park http://www.akt.gov.a[...] 2010-07-28
[34] 문서 Summit Post – Bogiçevica
[35] 뉴스 Bashkepunimi rajonal bisedime per nje park kombetar shqiptaro-kosovaro-malazez http://www.alsat.tv/[...] 2010-07-28
[36] 서적 Albanien entdecken Trescher Verlag, Berlin 2006
[37] 웹사이트 Grenzüberschreitende Destinationsentwicklung für Bergtourismus (Albanien, Montenegro, Kosovo) http://www.gtz.de/de[...] 2010-08-17
[38] 웹사이트 The Peak of the Balkans Trail: Europe's last true wilderness https://www.bbc.com/[...] 2023-12-29
[39] Youtube The Highway to Theth - Albania 2021 https://www.youtube.[...]
[40] 서적 Albanien: Das komplette Reisehandbuch Unterwegs-Verlag, Singen 2008
[41] 웹사이트 Shala Valley Project – Final Report of the 2006 Field Season http://www.millsaps.[...]
[42] 서적 Albania & Kosovo – Blue Guide A & C Black, London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