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포스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포스 5세는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179년까지 마케도니아를 통치한 왕이다. 그는 젊은 시절 카리스마와 용맹함으로 헬레네스 동맹을 이끌고 사회 전쟁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했지만, 로마와의 갈등으로 제1차,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을 겪었다.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패배한 후 로마의 간섭 속에서 마케도니아 재건을 시도했으나, 아들 데메트리오스 처형 이후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했다. 그의 아들 페르세우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9년 사망 - 임오 (전한)
임오는 전한 초 고조를 도와 풍 땅을 지키고 상당태수를 지냈으며, 진희의 반란을 막은 공으로 광아후에 봉해졌으나 여후 시기에 어사대부에서 면직되었고 문제 원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기원전 179년 사망 - 유교 (초원왕)
전한 고조 유방의 동생인 유교는 젊은 시절 시경을 배우고 유방을 도와 항우를 멸망시킨 공으로 초왕에 봉해져 초나라를 다스리며 유학을 숭상하여 학자를 우대했다. -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 아탈로스 1세
아탈로스 1세는 기원전 241년부터 197년까지 페르가몬을 통치한 왕으로, 갈라티아인 격퇴, 셀레우코스 왕조와의 전쟁 승리, 로마와의 동맹, 문예 장려, 키벨레 숭배 도입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207년)는 기원전 207년 마카니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타군과 필로포이멘이 이끄는 아카이아 동맹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필로포이멘의 승리로 끝나고 마카니다스는 전사했다.
필리포스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바실레우스 |
출생일 | 기원전 238년 |
출생지 | 마케도니아 펠라 |
사망일 | 기원전 179년 (59세) |
사망지 | 마케도니아 암피폴리스 |
국적 | 마케도니아 |
통치 | |
왕조 | 안티고노스 왕조 |
즉위 | 기원전 221년 |
퇴위 | 기원전 179년 |
선임자 | 안티고노스 3세 도손 |
후임자 | 페르세우스 |
가족 | |
아버지 | 데메트리오스 2세 아이톨리쿠스 |
어머니 | 프티아 또는 크리세이스 |
배우자 | 폴리크라티아 |
자녀 | 페르세우스 아파메 4세 데메트리오스 필리포스 |
이름 |
2. 생애
필리포스 5세는 데메트리오스 2세와 크리세이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229년 아버지가 죽은 뒤 안티고노스 3세 도손이 섭정을 하였고, 기원전 221년 안티고노스 3세가 죽은 후 18세에 마케도니아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215년 제2차 포에니 전쟁이 이탈리아에서 벌어지자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과 동맹을 맺고 일리리아에 있는 로마의 속국들을 공격했다. 그 후 10여 년간 로마와의 전쟁을 벌였으나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했고, 기원전 205년 〈포이니케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서유럽 진출이 로마 공화정에 의해 저지되자, 필리포스 5세는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아라비아 지방으로 진출을 꾀했다. 기원전 203년경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2세와 공모하여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 영토를 약탈하고 로도스를 노렸으나, 키오스섬 앞바다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패했다. 이어서 로마와의 두 번째 전쟁을 치렀다. 이후 로마의 계속된 공격으로 그의 영향력은 약해졌고, 결국 로마의 요구에 따라 마케도니아 외 다른 도시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잃었다. 또한 전쟁 배상금으로 1,000 탈란트를 지불하고 아들 디미트리오스와 인질, 함대 대부분을 로마에 넘겨주었다. 이후 필리포스 5세는 로마 편에서 그리스 내 반로마 세력 격퇴를 지원했다.
말년에 필리포스 5세는 마케도니아의 힘을 키우는 데 전력하고 내실을 다졌으나, 커져만 가는 로마의 세력 앞에 마케도니아 제국과 헬레니즘 제국이 완전히 끝나고 로마 제국의 시대가 도래할 것을 직감하고 기원전 179년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은 페르세우스는 마케도니아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필리포스는 젊은 시절 매력적이고 카리스마가 넘쳤다. 용감하고 용맹한 전사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비유되었고,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를 모델로 삼았다. 폴리비우스에 따르면 그리스인들에게 자비로운 행동을 보였기 때문에 '그리스인들의 보편적인 사랑을 받았다'(κοινός τις...ἐρώμενος...τῶν Ἑλλήνων; Plb. 7.8.11grc).[3] 그는 기원전 213년까지 궁정에서 명망있는 지위를 유지했던 시키온의 아라토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3]
2. 1. 유년기 및 즉위
데메트리오스 2세와 크리세이스 사이에서 태어난 필리포스는 9살이던 기원전 229년 아버지가 죽은 뒤, 숙부인 안티고노스 3세 도손이 섭정을 하였다.[2] 기원전 221년 안티고노스 3세가 죽은 후, 18세에 마케도니아의 왕위에 올랐다.[2]왕위에 오른 후 필리포스 5세는 통치 첫 해에 다르다니와 마케도니아 북부의 다른 부족들을 몰아냈다. 그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마케도니아 북부로부터의 다르다니아인의 침공을 막는 등 통솔력을 보였다.
3. 그리스 내정 개입과 동맹 전쟁
데메트리오스 2세와 크리세이스 사이에서 태어난 필리포스 5세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안티고노스 3세 도손의 섭정을 받다가 기원전 221년 1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케도니아 북쪽에서 침입해온 다르다니아인을 막아내는 등 통솔력을 보여주었다.
기원전 220년부터 기원전 217년까지, 필리포스 5세는 그리스 내정에 개입하여 헬레네스 동맹의 주도권을 잡고 아이톨리아, 스파르타, 엘리스에 대항하여 군사 행동을 일으켰다. 이 일련의 행동을 통해 그는 그리스에서 지도적인 입지를 확립하고, 그리스 밖에서도 그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3. 1. 사회 전쟁 (기원전 220-217년)
필리포스 5세는 헬레닉 동맹의 지도자로서 아이톨리아, 스파르타, 엘리스를 상대로 3년간 전쟁을 이끌었다.[4] 그는 아이톨리아의 정치적, 종교적 수도인 테르뭄을 약탈하여 큰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 필리포스의 군대는 2,000개의 조각상을 파괴하고 아이톨리아인들이 스토아를 장식했던 약 15,000개의 방패와 갑옷을 포함한 막대한 양의 보물을 가져갔다. 이 방패들은 아이톨리아인들이 이전의 군사적 승리에서 적들로부터 가져온 무기였으며, 기원전 3세기에 그리스를 침략했던 골족의 방패도 포함되었다.[4][5]필리포스 5세와 헬레닉 동맹은 기원전 217년 나우팍토스 회의에서 아이톨리아, 스파르타, 엘리스를 상대로 승리하였다.[4] 이 전쟁을 통해 필리포스 5세는 자신의 권위를 안정시키고 그리스 내에서 지도력과 군사적 역량을 인정받게 되었다.[4]
4. 로마와의 갈등
필리포스 5세는 데메트리오스 2세와 크리세이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229년, 9살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안티고노스 3세 도손이 섭정을 맡았다가 양자로 입적되었다. 기원전 221년, 안티고노스 3세가 사망하면서 필리포스 5세는 18세의 나이로 마케도니아의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215년,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과 동맹을 맺고 일리리아에 있는 로마의 속국들을 공격했다. 이후 10여 년간 로마와 전쟁을 벌였으나 큰 소득을 얻지 못하고, 기원전 205년 포이니케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로마 공화정에 의해 서유럽 진출이 좌절되자, 필리포스 5세는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아라비아 지방으로 눈을 돌렸다. 기원전 203년경 안티오코스 3세와 공모하여 프톨레마이오스 5세 영토를 약탈하고 로도스를 공격하려 했으나, 키오스섬 앞바다에서 패배했다. 이후 로마와 두 번째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로마의 계속된 공격으로 필리포스 5세의 영향력은 약해졌고, 결국 로마의 요구에 따라 마케도니아를 제외한 다른 도시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잃었다. 또한 전쟁 배상금으로 를 지불하고, 아들 디미트리오스를 포함한 인질과 함대 대부분을 로마에 넘겨주어야 했다. 이후 필리포스 5세는 로마 편에 서서 그리스 내 반로마 세력을 격퇴하는 데 협력했다.
4. 1.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214-205년)
필리포스 5세는 아드리아 해 연안에서 로마의 영향력을 저해하려 했다. 그는 먼저 해로로 일리리아를 침공했으나 처음에는 실패했지만, 재차 공격하여 성공하고 일리리아를 지배하에 두었다.[6][7] 제2차 포에니 전쟁을 이용하여 기원전 215년에는 로마에 대항 중인 카르타고의 장군 한니발과 마케도니아-카르타고 조약을 맺었다.[8] 그러나 기원전 211년에 로마가 아이톨리아 동맹과 동맹을 맺으면서 필리포스 5세의 영향력은 점차 약해졌다. 게다가 로마의 지원을 받은 페르가몬의 아탈로스 1세의 공격을 받는 등 열세에 놓였다.
이런 열세 속에서도 마케도니아는 건재했고, 필리포스 5세는 갑자기 세력을 늘린 아카이아 동맹의 지도자 필로포이멘에게 접근하여 로마의 틈을 타 기원전 207년에는 페르가몬의 세력을 그리스 본토에서 몰아냈다. 그리고 아이톨리아 지방의 종교적 중심지인 테르뭄을 함락시켜 아이톨리아의 여러 도시를 굴복시키고, 로마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그리스 여러 도시와 포이니케 화약을 맺어 유리하게 전황을 이끌었다.
4. 2. 에게 해 확장 시도와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200-197년)
기원전 203년경 필리포스 5세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 동맹을 맺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 영토를 잠식하려 했다.[25] 에게 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페르가몬, 로도스와 갈등을 빚었다. 기원전 200년 로마 공화정은 마케도니아 왕국이 그리스 도시들의 안전을 위협한다며 그리스에 개입했고,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발발했다.[25]기원전 198년 아오오스 전투에서 패배한 후,[21] 필리포스 5세는 평화 협상에 나섰지만, 로마는 필리포스에게 "그리스의 족쇄"인 데메트리아스, 칼키스, 코린토스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결국 협상은 결렬되고 전쟁은 계속되었다.[22]
기원전 197년 6월,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필리포스 5세는 플라미니누스가 이끄는 로마 군단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25] 이 전투에서 마케도니아 팔랑크스는 로마 군단에 격파되었고, 필리포스 5세는 말을 타고 도망쳐 마케도니아로 후퇴해야 했다. 결국 필리포스 5세는 로마의 조건에 따라 평화를 맺어야 했다.[25]
5. 패전과 그 이후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한니발과 동맹을 맺었던 필리포스 5세는 로마와의 전쟁에서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하고 포이니케 조약을 체결했다. 서유럽 진출이 좌절되자 안티오코스 3세와 동맹을 맺고 이집트 영토를 침공했으나, 로도스 공격에 실패하고 로마와의 두 번째 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로마의 계속된 공격으로 필리포스 5세의 영향력은 약해졌고, 결국 로마의 요구에 따라 마케도니아를 제외한 다른 도시 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잃었다. 또한 전쟁 배상금으로 를 지불하고 아들 데메트리오스를 인질로 보내야 했으며, 함대 대부분을 로마에 넘겨주어야 했다. 이후 필리포스 5세는 로마 편에서 그리스 내 반(反)로마 세력을 격퇴하는 것을 지원했다.
기원전 200~199년 겨울, 필리포스 5세는 아이톨리아 동맹과의 외교에 집중했으나, 아이톨리아 동맹은 로마 편에 서서 전쟁에 참여했다.[15] 필리포스 5세는 아이톨리아 군대를 격파하고 타우마키를 포위했지만, 겨울이 다가오자 철수하여 군대 훈련과 외교에 힘썼다.[16]
196년, 필리포스 5세는 로마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본토와 소아시아의 모든 그리스 도시에 대한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25] 또한 자신이 통제하는 영토에서 목재를 수확할 수 없게 되어 해군 함선을 건조할 수 없었다.[25]
평화 조약 이후 필리포스 5세는 로마와 협력하여 스파르타의 나비스와의 전쟁에서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고, 안티오코스 3세와 아이톨리아 동맹에 대항하여 로마를 지원했다.[26] 로마-셀레우코스 전쟁 이후 로마는 필리포스 5세가 정복한 영토를 유지하도록 허용했다.[27]
말년에 필리포스 5세는 마케도니아의 힘을 키우는 데 전력했으나, 커져가는 로마의 세력 앞에 헬레니즘 제국이 끝나고 로마 제국의 시대가 도래할 것을 직감했다. 그는 기원전 179년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은 페르세우스는 마케도니아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5. 1. 로마와의 평화 조약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중 퀴노스케팔레 전투에서 패배한 후, 마케도니아는 로마와 불리한 조건으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마케도니아는 1,000 탈란트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함대 대부분과 점령지를 로마에 넘겨주어야 했으며, 필리포스 5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는 인질로 로마에 보내졌다.이후 필리포스 5세는 로마에 협력하여 스파르타의 나비스와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의 전쟁을 지원했다. 기원전 190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와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가 마케도니아를 방문했을 때 이러한 지원의 대가로 남은 배상금을 면제받았고, 데메트리오스는 로마의 인질에서 풀려났다.
5. 2. 마케도니아 재건 노력과 로마의 견제
필리포스 5세는 마케도니아의 내정과 재정을 재편하는 데 힘썼다. 광산을 다시 열고 새로운 통화를 주조하는 등 국가 재건에 힘썼다.[29] 그는 마케도니아 인구에 세금을 부과하고, 광업, 임업, 농업 등 왕실 재산을 활용하여 수입을 창출했다.[29]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168년 이후 필리포스 5세에게 지불된 조공의 절반도 안 되는 금액이 로마로 전달되었다고 한다.그러나 이러한 필리포스 5세의 노력은 로마의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페르가몬 등 주변 도시들의 요청으로 로마는 다시 필리포스 5세의 내정에 간섭하기 시작했다. 폐위를 우려한 필리포스 5세는 발칸 반도에서 군사적,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지만, 로마와 친하게 지내던 아들 데메트리오스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로마로부터 마케도니아 왕으로 즉위하라는 권유를 받은 데메트리오스와 왕위 계승자인 형 페르세우스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페르세우스의 꾐에 빠진 필리포스 5세는 데메트리오스를 처형했고, 이 일로 크게 후회하며 건강이 나빠져 1년 후 암피폴리스에서 사망했다.
5. 3. 데메트리오스 처형과 죽음
로마와 우호 관계를 맺어 아들 데메트리오스를 인질에서 풀어준 후, 필리포스 5세는 마케도니아 재건에 힘썼다. 그러나 로마는 필리포스 5세를 계속 의심했고, 페르가몬 등 주변국들의 고발로 인해 내정에 간섭했다. 로마가 자신을 왕위에서 몰아낼 것을 우려한 필리포스 5세는 발칸 반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으나, 친로마파인 아들 데메트리오스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형 페르세우스의 모함으로 필리포스 5세는 데메트리오스를 처형했다.[3] 이 일로 필리포스 5세는 깊이 후회하며 건강이 악화되었고, 기원전 179년 암피폴리스에서 사망했다.[3]6. 유산
필리포스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 왕국은 쇠퇴하고, 로마 공화정의 영향력은 강화되었다. 그는 말년에 마케도니아의 힘을 키우는 데 전력하고 내실을 다졌으나, 커져만 가는 로마의 세력 앞에 마케도니아 제국과 헬레니즘 제국이 완전히 끝나고 로마 제국의 시대가 도래할 것을 직감하였다. 그의 아들 페르세우스는 마케도니아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metrius II - Livius
https://www.livius.o[...]
2018-04-05
[2]
서적
The Rise of Philip V
Edizioni dell'Orso
[3]
서적
The Rise of Philip V
Edizioni dell'Orso
[4]
서적
"Polybios, the Laws of War, and Philip V of Macedon"
Historia - Zeitschrift fur Alte Geschichte, 67
[5]
서적
Creating a Common Polity: Religion, Economy, and Politics in the Making of the Greek Koin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A History of Greece, 1300 to 30 BC
Victor Parker
[7]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Rome
Mikhail Rostovtzeff
[8]
서적
"Hannibal's Covenant"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73
[9]
서적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문서
Livy 31.9
[11]
문서
Diodorus 28.6; Livy 31.16-17
[12]
문서
Livy 31.14, 22-3
[13]
문서
Diodoros 28.7; Livy 31.23-26
[14]
서적
Religion in Hellenistic Athe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5]
문서
Livy 31.27-32
[16]
문서
Livy 31.41-43, 32.4-5
[17]
문서
Livy 32.1
[18]
문서
Livy 32.3
[19]
문서
Livy 32.5-6
[20]
문서
Diodorus XXVIII 11; Livy 32.10
[21]
문서
Livy 32.10-13
[22]
문서
Livy 32.32-37
[23]
문서
Livy 33.3-4
[24]
문서
Livy 33.3
[25]
서적
A History of the Laws of War: Volume 2: The Customs and Laws of War with Regards to Civilians in Times of Conflict
Bloomsbury Publishing
[26]
서적
Rome and the Third Macedonian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Rome and the Third Macedonian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Roman Republican Coin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Soldiers and Silver: Mobilizing Resources in the Age of Roman Conquest
University of Texas Press
[30]
서적
Literature and Culture in Late Byzantine Thessalonica
A&C Black
[31]
웹사이트
7.12
http://www.perseus.t[...]
[32]
웹사이트
7.11.8
http://www.perseus.t[...]
[33]
문서
Shipley, p. 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