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사니아 아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사니아 아랍어는 하사니야어 또는 하싸니야어라고도 불리며, 카람 비단이라고도 불리는 아랍어의 한 방언이다.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모리타니와 서사하라로 세력을 확장한 하산족에서 유래했으며, 현재 모리타니, 서사하라, 모로코, 말리, 세네갈, 알제리, 리비아, 니제르 등지에서 약 300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하사니아어는 음운 체계에서 혁신적이면서도 보수적인 특징을 보이며, 다른 아랍어 방언과 달리 고전 아랍어의 /q/와 /dˤ/의 음소적 지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하사니아어는 주로 아랍 문자로 표기되지만, 세네갈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사니아어 화자들은 현대 표준 아랍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 다른 언어와 코드 전환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그레브 - 리비아 아랍어
    리비아 아랍어는 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힐랄족과 술라이미족, 안달루시아 아랍인들의 이주와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튀르키예어, 베르베르어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구어 의사소통과 문화 영역에서 활용된다.
  • 마그레브 - 알제리 아랍어
    알제리 아랍어는 알제리 인구 대다수가 사용하는 구어체 방언으로, 힐랄 방언과 힐랄 이전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달리 일상적인 의사소통과 오락에 널리 쓰이고 프랑스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아랍의 언어 - 리비아 아랍어
    리비아 아랍어는 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힐랄족과 술라이미족, 안달루시아 아랍인들의 이주와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튀르키예어, 베르베르어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구어 의사소통과 문화 영역에서 활용된다.
  • 아랍의 언어 - 차드 아랍어
    차드 아랍어는 차드와 인근 국가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바가라족의 언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수단 아랍어와 함께 이집트-수단어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차드 남부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나타낸다.
  • 사하라 사막 - 리비아 사막
    리비아 사막은 이집트와 리비아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지형과 건조한 기후를 특징으로 하고,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의 배경이 되었다.
  • 사하라 사막 - 아이르산맥
    아이르 산맥은 니제르 북서부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다양한 지질 시대를 거쳐 형성된 과알칼리성 화강암 지형의 산맥으로, 니제르 최고봉을 포함한 9개의 산괴로 이루어져 있으며, 멸종 위기 동식물과 암각화 유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하사니아 아랍어
지도
언어 정보
이름하사니아어
다른 이름모리타니 아랍어
켈렘 엘 비탄
하사니
하사니야
모국어 이름حسانية (Ḥassānīya)
사용 민족아랍인
아랍-베르베르인 (사하라위인, 베이다네)
하라틴
네마디인
이므라겐인
사용 국가알제리 남서부
말리 북서부
모리타니
모로코 남부
니제르 북부
서사하라
공용어말리
소수 언어모로코
사용자 수5,206,980명 (2014–2021년)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
중앙셈어
아랍어
마그레브 아랍어
힐랄 방언
방언네마디 방언
이므라겐 방언
문자아랍 문자
라틴 문자 (세네갈)
ISO 639-3mey
Glottologhass1238
Glottolog 명칭Hassaniyya
추가 정보
주요 사용 지역모리타니
말리
모로코
알제리
사용자 수 (2004년-2006년)3300만 명

2. 명칭

'''하사니야어'''(Ḥassānīya|하싸니야ar)는 '''카람 비단어'''(كلام البيظانar)라고도 한다.

3. 특징 및 분포

하사니아 아랍어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모리타니서사하라로 세력을 확장한 하산족(Banū Ḥassān)이 사용하던 아랍어 방언에서 유래했다. 모리타니와 서사하라는 원래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던 지역이었지만, 이 아랍어 구어로 완전히 대체되었다.[6]

하사니야 방언은 다른 북아프리카 방언들과는 비교적 거리가 있다. 지리적 배경으로 인해 베르베르어 계열의 제나가어와 니제르-콩고어족의 월로프어의 영향을 받았다. 하사니야 방언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주된 차이는 음성적인 것이다.[6]

암녹색은 표준 아랍어와 하사니야 방언, 밝은 녹색은 투아레그어와 표준 아랍어 및 하사니야 방언 지역, 회색에도 일부 하사니야 방언이 분포


하사니야 방언의 분포 지역


아랍어 방언 지도


Ethnologue》에 따르면, 하사니야어 화자는 약 300만 명 이상이며, 지역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6]

국가인구연도
모리타니2,770,000명2006년
서사하라모로코 남부 (테크나 지역)200,000명 이상1995년
말리175,800~210,000명2000년
세네갈162,000명2015년
알제리150,000명1985년
리비아40,000명1985년
니제르10,000명1998년


4. 음운 체계

하사니야 아랍어의 음운 체계는 매우 혁신적이면서도 보수적인 특징을 모두 보여준다. 고전 아랍어의 모든 음소가 이 방언에 나타나지만, 많은 새로운 음소도 존재한다. 다른 베두인 방언처럼 고전 아랍어의 /q/는 대부분 /ɡ/로, /dˤ/와 /ðˤ/는 /ðˤ/로 합쳐졌고, 치경음 /θ/와 /ð/는 보존되었다. 자음 ج /d͡ʒ/는 /ʒ/로 발음된다.

4. 1. 이중 음소 대응

고전 음소와 그에 해당하는 방언 음소가 이중으로 대응되는 경우가 있다. 일부 "고전적인" 형태는 문어(예: '법'을 뜻하는 /qaː.nuːn/)로부터의 최근 차용어이거나, 정착 생활 방식과 관련된 개념의 경우 정착민 방언으로부터의 차용어(위의 '가위'를 뜻하는 /mqass/와 같이)로 설명할 수 있다. 어원적으로 /ðˤ/는 항상 /ðˤ/로 나타나고, /dˤ/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q/와 /dˤ/뿐만 아니라 /ɡ/와 /ðˤ/의 음소적 지위는 다른 많은 아랍어 방언과 달리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고전 아랍어의 /ʔ/는 대부분의 문맥에서 사라지거나 /w/ 또는 /j/로 바뀌었지만('가족'을 뜻하는 /ahl/ (/ʔahl/ 대신), '주장하다'를 뜻하는 /wak.kad/ (/ʔak.kad/ 대신), '어제'를 뜻하는 /jaː.məs/ (/ʔams/ 대신)), 일부 문학 용어에서는 명확하게 보존된다: '고통(분사)'을 뜻하는 /mət.ʔal.lam/ (고전 아랍어 /mu.ta.ʔal.lim/).

4. 2. 자음

하사니야 방언은 강세/무강세의 구분 확대를 통해 많은 자음을 혁신했다. /rˤ/와 /lˤ/는 명확한 음소적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bˤ fˤ ɡˤ mˤ nˤ/는 그보다 약간 덜 명확하다. 추가적인 강세 음소 /zˤ/는 인접한 제나가 베르베르어에서 유래하며, 남쪽의 니제르-콩고어족 언어에서 온 전체 구개음 계열 /c ɟ ɲ/도 함께 유래한다. 적어도 일부 화자들은 프랑스어(그리고 서사하라에서는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것을 통해 /p/-/b/의 구분을 한다. 전체적으로 하사니야 방언의 자음 음소의 수는 31개이며, 변별성이 약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43개이다.

}

| mˤ|ar

|

|

| n|ar

| (nˤ|ar)

| ɲ|ar

|

|

|

|

|-

! rowspan="2" style="text-align: left;" | 파열음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80%;" | 무성

| (p|ar)

|

|

|

| t|ar

| tˤ|ar

| c|ar

| k|ar

| q|ar

|

| (ʔ|ar)

|-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80%;" | 유성

| b|ar

| bˤ|ar

|

|

| d|ar

| dˤ|ar

| ɟ|ar

| ɡ|ar

| (gˤ|a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마찰음

|

|

|

|

|

|

| (t͡ʃ|ar)

|

|

|

|

|-

! rowspan="2" style="text-align: left;" | 마찰음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80%;" | 무성

| f|ar

|

| θ|ar

|

| s|ar

| sˤ|ar

| ʃ|ar

|

| χ|ar

| ħ|ar

| h|ar

|-

! style="text-align: left; font-size: 80%;" | 유성

| v|ar

|(vˤ|ar)

| ð|ar

| ðˤ|ar

| z|ar

| zˤ|ar

| ʒ|ar

|

| ʁ|ar

| ʕ|ar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전동음

|

|

|

|

| r|ar

| rˤ|ar

|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접근음

|

|

|

|

| l|ar

| lˤ|ar

| j|ar

| w|ar

|

|

|

|}

음성학적 수준에서, 고전적인 자음 /f/와 /θ/는 일반적으로 유성 [v](이후 /v/로 표기)와 [θ̬]로 구현된다. 그러나 후자는 여전히 /ð/와 다르게 발음되며, 그 차이는 아마도 불어나가는 공기의 양에 있을 것이다. 연음 및 어말 위치에서는 두 음소 모두 무성이며, 일부 화자들에게는 /θ/가 모든 위치에서 무성인 것으로 보인다. 연구개 마찰음 /ʁ/ 또한 연음 위치에서는 무성으로 구현되지만, 마찰음이 아니라 파열음인 [qː]이다. 다른 위치에서는 어원적으로 /ʁ/가 /q/와 자유 변이를 보이는 것 같다(그러나 어원적으로 /q/는 /ɡ/와만 자유 변이를 보인다).

4. 3. 모음

모음 음소는 장모음과 단모음의 두 계열로 나뉜다. 장모음은 고전 아랍어의 aː iː uː|ar와 같으며, 단모음은 여기에 하나를 더하여 a i u ə|ar가 된다. 고전 이중모음 aj|ar과 aw|ar는 여러 가지로 발현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변이는 각각 eːʲ|ar과 oːʷ|ar이다. 그러나 aj|ar과 aw|ar뿐만 아니라 eː|ar과 oː|ar와 같은 발현도 가능하지만, 덜 흔하다.

대부분의 마그레브 아랍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어원적인 단모음은 일반적으로 열린 음절에서 생략된다(여성 명사 어미 -a/ar < -ah/ar 제외). 예를 들면 */tak.tu.biː/|ar > /tə.ktbi/|ar '너(여성 단수)는 쓴다', */ka.ta.ba/|ar > */ka.tab/|ar > /ktəb/|ar '그는 썼다'와 같다. 나머지 폐쇄 음절에서 방언의 /a/는 일반적으로 고전 /a/|ar에 해당하는 반면, 고전 /i/|ar와 /u/|ar는 /ə/|ar로 합쳐진다. 그러나 형태론적 /j/|ar는 어두 자음 앞 위치에서 [i]|ar로, /w/|ar는 [u]|ar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u.ɡəft/|ar '나는 일어섰다' (어근 ''w-g-f''; /ktəbt/|ar '나는 썼다', 어근 ''k-t-b'' 비교), /i.naɡ.ɡaz/|ar '그는 내려온다' (주어 접두사 ''i-''; /jə.ktəb/|ar '그는 쓴다', 주어 접두사 ''jə-'' 비교)와 같다. 어떤 경우에는 이 초기 모음이 길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모음의 음운론적 지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예를 들면 /uːɡ.vu/|ar '그들은 일어섰다'와 같다. 또한, 열린 음절의 단모음 /a i/|ar는 /a.raː.ɡaːʒ/|ar '남자', /i.vuː.kaːn/|ar '1~2세 어린 송아지' 와 같은 베르베르어 차용어에서, 그리고 수동태 형성에서 /u/|ar /u.ɡaː.bəl/|ar '그는 만났다' (/ɡaː.bəl/|ar '그는 만났다' 비교) 에서 발견된다.

5. 코드 전환

많은 교육을 받은 하사니야 아랍어 화자들은 코드 전환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사하라에서는 하사니야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 스페인어 간의 코드 전환이 일반적이다. 스페인이전에 이 지역을 지배했기 때문이다. 하사니야 아랍어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에서는 프랑스어가 추가적인 언어로 사용된다.

6. 문자

하사니아어는 일반적으로 아랍 문자로 쓰인다. 그러나 세네갈에서는 2005년 10월 21일 자 2005-980 법령에 따라 정부가 이 언어를 쓰는 데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4]

하사니야 아랍어의 자음 음소
colspan="2" rowspan="2" |순음치간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목젖음인두음성문음
일반강세일반강세일반강세
비음{{lang|ar|m|}
하사니아어 알파벳 (세네갈)
ABCDE
ËFGHIJ
KLMNÑO
QRSŜT
ŦUVWX
YZŻʔ
abcde
ëfghij
klmnño
qrsŝt
ŧuvwx
yzżʼ


참조

[1] 웹사이트 JOURNAL OFFICIEL DE LA REPUBLIQUE DU MALI SECRETARIAT GENERAL DU GOUVERNEMENT - DECRET N°2023-0401/PT-RM DU 22 JUILLET 2023 PORTANT PROMULGATION DE LA CONSTITUTION https://sgg-mali.ml/[...] 2023-07-26
[2] 웹사이트 Morocco 2011 Constitution, Article 5 https://www.constitu[...] 2021-07-18
[3] 논문 Yemenis in the Western Sahara https://www.jstor.or[...] 1962
[4] 웹사이트 Decret n° 2005-980 du 21 octobre 2005 https://web.archive.[...] 2021-12-10
[5] 간행물 Hassaniyya reference at Ethnologue 2013
[6]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