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인츠 하르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츠 하르멜은 독일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친위대(SS)에서 복무했다. 그는 1906년 메스에서 태어나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이후 SS에 가입하여 여러 연대에서 지휘관을 역임했다. 하르멜은 프랑스 전투, 발칸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 등에 참전했으며, 1944년에는 제10 SS 기갑사단 프룬트스베르크의 사단장을 맡았다. 그는 팔레즈 포위전에서 독일군 구출 작전을 지휘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명령 불복종으로 해임되었다. 전쟁 후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혔으며, 2년간 억류된 후 독일로 돌아와 판매 대리점 일을 하다가 94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여단지도자 - 프리츠 비트
    프리츠 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SS 소장으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사단장으로 활동하며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등 여러 전투에 참전했지만,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중 연합군 포격으로 전사한 독일 군인이다.
  • SS여단지도자 - 빌헬름 몽케
    빌헬름 몽케는 나치 친위대 고위 장교로서 아돌프 히틀러의 경호 부대에서 복무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전선에서 활약했고, 전쟁 범죄 연루 의혹과 베를린 전투 당시 정부청사 방어 사령관으로 히틀러의 벙커를 지키다 소련군에 항복한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조사를 받았으나 기소되지는 않았다.
  • 1939년형 전상장 흑장 수훈자 - 오토 카리우스
    오토 카리우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150대 이상의 적 전차를 격파한 독일 국방군의 전차 에이스였으며, 종전 후 약학을 공부하여 약국을 운영하다 2015년에 사망했다.
  • 1939년형 전상장 흑장 수훈자 - 오토 스코르체니
    오토 스코르체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특수작전 부대를 지휘하며 베니토 무솔리니 구출 작전 등 여러 중요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나, 전쟁 범죄 가담 및 나치 정권 부역 혐의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 메스 출신 - 앙브루아즈 토마
    앙브루아즈 토마는 1811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파리 음악원 원장을 역임하고 오페라 《미뇽》과 《햄릿》을 작곡한 19세기 프랑스 오페라 작곡가이다.
  • 메스 출신 - 폴 베를렌
    폴 베를렌은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으로, 격정적이고 방탕한 삶과 아르튀르 랭보와의 관계로 유명하며, 독특한 시적 기법과 음악적인 시어로 상징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준 '저주받은 시인'이다.
하인츠 하르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4년의 하인츠 하르멜
1944년의 하인츠 하르멜
출생일1906년 6월 29일
출생지메스, 독일 제국
사망일2000년 9월 2일
사망지크레펠트, 독일
별칭없음
복무 정보
소속바이마르 공화국 (1926–1933)
나치 독일 (1933–1945)
복무 기간1926년–1945년
군종무장친위대
최종 계급친위대 여단지도자 및 무장친위대 소장
지휘SS 도이칠란트 연대
제10 SS 기갑 사단 프룬츠베르크
주요 참전 전투/전쟁프랑스 전역
노르망디 전역
아른험 전투
서훈[[파일:Infantry Assault Badge of Nazi Germany.jpg|x45px|link=보병 돌격휘장]]
[[파일:Sudetenland Medal Bar.PNG|x20px|link=주데텐란트 메달]] [[파일:Sudetenland Medal Spange Prager Burg BAR.png|x20px|link=주데텐란트 메달]] [[파일:Memel Medal Bar.PNG|x20px|link=메멜 메달]] [[파일:DEU EK 2 Klasse BAR.svg|x20px|link=2급 1939년형 철십자장]] [[파일:DEU EK 1 Klasse BAR.svg|x20px|link=1급 1939년형 철십자장]] [[파일:DEU Ostmedaille BAR.svg|x20px|link=동부전선 메달]]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하인츠 하르멜은 1906년 로트링엔 지방 메스에서 태어나 1926년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에 입대하여 부사관으로 복무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재군비를 선언한 1935년 친위대(SS)에 가입(SS 번호 278,276)하여, SS 특무부대(이후 무장친위대)에서 복무했다. 1939년부터 SS 데어 퓌러 연대 9중대장, 1940년에는 SS 데어 퓌러 연대 2대대장, SS 도이칠란트 연대장을 역임했다.

1940년 프랑스 전투, 1941년 발칸 전역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했다. 1941년 12월 SS 보병 연대 "독일" 지휘를 맡았고,[2] 1943년 하르키우 함락에 참여,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1943년 3월 31일)과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1943년 9월 7일)을 수훈했다.[3]

2. 1. 초기 생애

하인츠 하르멜은 1906년 6월 29일 당시 독일 제국 영토였던 로트링엔 지방 메츠 시에서 태어났다.[1] 1926년 5월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6 보병 연대에 배속되었다.[1] 1928년부터 1935년까지 부사관으로 복무하며 예비역 원사(Oberfeldwebel der Reserve)로 승진했다.[1]

아돌프 히틀러가 재군비를 선언한 1935년, 하르멜은 SS에 가입(SS 번호 278,276)하여 SS 특무부대(무장친위대의 전신) "게르마니아" 연대 1중대에서 소대장으로 근무했다.[1] 1936년부터 1938년까지는 SS소위로 임관하여 SS 도이칠란트 연대 소대장으로 근무했다.[1]

2. 2.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 복무

1926년 5월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6 보병 연대에 배속되었다. 1928년부터 1935년까지 부사관으로 복무하며 예비역 원사(Oberfeldwebel der Reserve)로 승진했다.

2. 3. 친위대 입대 및 초기 활동

하인츠 하르멜은 1906년 6월 29일 당시 독일 영토였던 로트링엔 지방 메츠 시에서 태어났다.[2] 1926년 5월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6 보병 연대에 배속되었고, 1928년부터 1935년까지 부사관으로 복무하며 예비역 원사(Oberfeldwebel der Reserve)로 승진했다.[2]

1935년 10월 2일, 하르멜은 SS에 가입(SS 번호 278,276)하여 SS 게르마니아 연대 1중대에서 소대장으로 근무했다.[2] 1936년부터 1938년까지는 SS소위로 임관하여 SS 도이칠란트 연대 소대장으로 근무했고, 1939년부터 1940년까지는 SS 데어 퓌러 연대 9중대장으로 근무했다.[2] 이후 1940년 11월 14일 SS 데어 퓌러 연대 2대대장에 취임했고, 같은 해 12월 4일에는 SS 도이칠란트 연대장에 취임하여 1943년까지 연대장으로 복무했다.[2]

하르멜은 SS 연대 "더 퓌러"에서 중대장으로 복무하면서 1940년 프랑스 전투에 참전했고, 1941년에는 발칸 전역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했다.[2]

3. 제2차 세계 대전

1906년생인 하르멜은 1935년 SS 의용대(후에 무장친위대로 알려짐)에 자원입대하여 SS 연대 "더 퓌러"에서 중대장으로 복무하면서 1940년 프랑스 전투에 참전했다. 1941년에는 발칸 전역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했다. 1941년 12월, 하르멜은 SS 보병 연대 "독일"의 지휘를 맡았다.[2] 1943년 3월 15일 하르키우 함락에 참여했고, 1943년 3월 31일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을, 1943년 9월 7일에는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을 수훈했다. 1944년 초 사단장 훈련 과정을 마친 후 SS 사단 프룬트스베르크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3]

이후 하르멜은 셰르너 원수에 의해 해임되었고, 제24 SS 카르스트야거 무장산악사단을 중심으로 구성된 임시 전투단, 그라츠의 SS 장교 학교 및 기타 소규모 부대를 지휘했다. 하르멜은 오스트리아에서 연합군에 항복하여 영국군 포로가 되었고, 2000년에 사망했다.[6]

3. 1. 주요 참전 전투

하인츠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무장친위대에서 복무하며 여러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참전 시기참전 전투 및 내용
1940년프랑스 전투에 SS 연대 "더 퓌러" 소속 중대장으로 참전
1941년발칸 전역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여
1941년 12월SS 보병 연대 "독일" 지휘[2]
1943년 3월하르키우 함락에 참여, 3월 31일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수훈[3]
1943년 9월 7일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 수훈
1944년제10 SS 기갑사단 프룬트스베르크 사단장으로 서부 전선에서 팔라이즈 포켓 전투, 마켓 가든 작전 등에 참여
1944년 12월 15일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 검장 수훈
1945년알자스에서 미군과 교전, 이후 오데르 강에서 소련군과 교전


3. 2. 제10 SS 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1944년 4월 27일, 하르멜은 SS 사단 프룬트스베르크의 정식 사단장에 취임했다.[3] 같은 해 여름, 사단은 서부 전선인 노르망디로 이동했다.[4] 하르멜은 약 125,000명의 제7군 병력이 포위된 팔라이즈 포켓에서 독일군을 구출하기 위해 적 전선을 돌파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큰 손실과 피해를 입었다. 이후 하르멜은 네덜란드로 파견되어 연합군의 마켓 가든 작전에 맞서 싸웠다.[5] 나이메헌 전투 이후, 하르멜은 1944년 12월 15일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 검장을 수훈했다.

1945년 1월, 알자스에서 미군과 교전 후 오데르 강으로 이동하여 소련군과 맞섰다. 그러나 히틀러의 사수 명령에 불복하여 1945년 4월 28일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하르멜은 이 결정에 불복, 오스트리아에 있던 육군 인사국에 항의했지만, 오스트리아 방위 지휘를 맡게 되었다. 이후 사단은 알자스로 이동하여 콜마르 포켓에 합류하기 위한 교두보 확보를 명령받았다. 1944년 12월과 1945년 1월 알자스 공세 실패 후, 하르멜의 사단은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포메라니아와 브란덴부르크에서 오데르 전선을 방어했다. 이후 중앙집단군으로 이동하여 4월 말 이반 코네프 원수의 부대에 대한 반격을 명령받았으나, 하르멜은 이를 거부하고 셰르너 원수에 의해 4월 27일 해임되었다.[6]

3. 3. 명령 불복종과 해임

1944년 여름, 하르멜의 SS 사단 프룬트스베르크는 서부 전선인 노르망디로 이동했다.[4] 그는 약 125,000명의 제7군 병력이 포위된 팔라이즈 포켓에서 독일군을 구출하기 위해 적 전선을 돌파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큰 손실과 피해를 입었다. 이후 네덜란드로 파견되어 연합군의 마켓 가든 작전에 맞서 싸웠다.[5] 나이메헌 전투 후, 1944년 12월 15일 철십자훈장 기사십자장 참나무잎장 검장을 수훈했다. 그의 사단은 알자스로 이동하여 콜마르 포켓에 합류하기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실패했다. 1944년 12월/1945년 1월 알자스 공세 실패 후, 하르멜의 사단은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포메라니아와 브란덴부르크에서 오데르 전선을 방어했다. 이후 중앙집단군으로 이동하여 4월 말 이반 코네프 원수의 부대에 대한 반격을 명령받았으나, 이를 거부하고 셰르너 원수에 의해 해임되었다.[6] 1945년 4월 28일, 히틀러의 사수 명령에 불복했다는 이유로 지휘권이 박탈되자, 오스트리아에 있던 육군 인사국에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스트리아 방위 지휘를 맡게 되었다.[6]

4. 종전과 전후 활동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오스트리아에서 연합군에 항복하여 영국군 포로가 되었다. 2년간 억류된 후 독일로 송환되었으며, 판매 대리점 일을 했다. 2000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크레펠트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1. 영국군 포로 생활

1945년 5월 영국군에게 전쟁 포로로 억류되었다.[1] 2년간 억류된 후 독일로 송환되었다.[1]

4. 2. 전후 행적

하인츠 하르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영국군 포로로 2년간 억류되었다가 독일로 송환되었다.[6] 이후 판매 대리점 일을 하다가 2000년 9월 2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크레펠트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5. 진급 내역

진급일계급
1937년 1월 30일친위대(SS) 소위
1942년 6월 0일친위대(SS) 중령
1944년 4월 20일친위대(SS) 준장
1944년 9월 7일친위대(SS) 소장


6. 서훈 내역

Panzervernichtungsabzeichende 은장[2]


  • 1940년 5월 30일: 2급 철십자장[7]
  • 1940년 7월 1일: 1급 철십자장[7]
  • 1940년 12월 4일: 보병돌격장 동장
  • 1941년 11월 29일: 독일십자장 금장[8]
  • 1942년 8월 15일: 동부 전선 종군장
  • 1943년 3월 21일: 전상장 흑장
  • 1943년 3월 31일: 기사십자장 (SS-상급돌격대장(Obersturmbannführer)이자 SS-전차척탄병연대 "독일" 연대장)[8]
  • 1943년 9월 7일: 백엽 기사십자장 (296번째, SS-연대장(Standartenführer)이자 SS-전차척탄병연대 "독일" 연대장)[8]
  • 1944년 12월 15일: 백엽 검 기사십자장 (116번째, SS-여단장(Brigadeführer)이자 무장친위대 소장(Generalmajor der Waffen SS)이자 제10 SS-전차사단 "프룬트스베르크" 사단장)[8]
  • 판처파우스트 같은 개인 휴대용 대전차 화기 혹은 육탄 공격으로 격파했을 때 전차 격파장이 주어졌다. 하인츠 하르멜은 SS 도이칠란트 연대장 시절 육탄으로 전차 1대를 격파한 전적이 있다.[2]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A Bridge Too Far Simon&Schuster
[6] 서적
[7] 서적
[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