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언어 순수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의 언어 순수주의는 한국어의 고유성을 지키고 외국어의 유입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으로, 크게 대한민국의 언어 순화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순화로 나뉜다. 대한민국에서는 국립국어원이 순화어를 선정하고 보급하며, 이오덕과 같은 인물들이 우리말 사용을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유입된 일본어 외래어 순화 시도와 닭도리탕 순화 논란과 같이 언어 순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북한은 남한보다 더 적극적으로 언어 순화 정책을 펼쳐 외래어와 한자어를 고유어로 대체했으며, 이는 남북한 언어 차이의 주요 원인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순수주의 - 언어 되살리기
언어 되살리기는 소멸 위기에 놓인 언어를 보존하고 활성화하여 언어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노력이다. - 언어 순수주의 -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
아이슬란드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아이슬란드어의 고유성을 지키고 외국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 차원의 규제와 지원, 새로운 단어 창조 및 옛 단어 부활 등을 통해 아이슬란드인의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고 모든 지식을 아이슬란드어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어의 언어 순수주의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한국어 |
언어 유형 | 고립어 |
사용 지역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캐나다, 필리핀, 브라질, 기타 해외 거주 한인 사회 |
언어 순수주의 | |
정의 | 언어에서 외래 요소를 제거하고 고유한 형태를 보존하려는 노력 |
한국어 순수주의 | 한국어에서 한자어 및 외래어 등의 외국어 요소를 배제하고 고유한 한국어 어휘를 사용하려는 언어 운동 |
역사 | |
배경 | 일제강점기의 민족주의 운동 해방 이후 민족 정체성 확립 노력 |
주요 활동 | 외래어 대체어 발굴 및 보급 고유어 사용 장려 외국어 사용에 대한 비판 |
관련 단체 | 한글학회 등 |
특징 | |
긍정적 측면 | 언어의 고유성 유지 민족 문화 보존 쉬운 언어 사용 |
부정적 측면 | 지나친 순수주의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언어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대한 저항 국제적인 소통의 제약 |
논쟁 | |
주요 쟁점 | 순수주의의 범위와 기준 외래어 사용의 필요성 언어 순화의 방법 |
비판 | 현실과의 괴리 시대착오적 태도 |
현대 한국어의 언어 순수주의 | |
현황 | 정부 주도의 언어 순화 운동은 과거에 비해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일부 단체 및 개인에 의해 지속되고 있음 |
문제점 | 신조어 및 외래어의 무분별한 사용 젊은 세대의 언어 파괴 현상 |
참고 | |
관련 항목 | 언어 순수주의 국어기본법 한글 외래어 신조어 |
2. 대한민국의 언어 순화
대한민국에서는 국립국어원이 중심이 되어 언어 순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순화어를[12] 선정하고 있으며, 온라인 투표를 통해 순화어를 결정한다.[3]
2. 1. 순화어 보급 활동
국립국어원은 신어 자료집과 검색 포털 사이트를 통해 순화어를 선정하여 보급하고 있다.[12] 순화 대상어와 순화어 제안은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라는 웹사이트에서[13] 받고 있으며, 누리꾼들의 투표로 뽑힌 순화어의 최초 제안자와 순화 대상어 제보자에게는 문화상품권을 지급한다. 국립국어원은 정제된(순화된) 언어에 대한 상세한 사전을 관리하며,[3] 순화된 버전은 온라인 투표를 통해 만들어지고 결정된다.2. 2. 우리말 살려쓰기 운동
한편 외국어를 단순히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하여 바꾸거나 억지스럽게 바꾸기보다는 민중들이 쓰는 말을 살려서 써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우리말 살려쓰기에 앞장선 ‘말글 운동가’로는 《우리글 바로쓰기》[14]를 지은 이오덕[15][16]이 대표적이다.고유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체로는 한글문화연대가 있다.
2. 3. 외국어·외래어 유입에 대한 다양한 시각
대중매체 중 특히 방송에서 무분별한 외국어 사용이 늘면서 고유어를 밀어내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과 염려가 있다.[17]한편, 고종석 한국일보 편집위원은 현대 한국어를 '감염된 언어'로 규정하면서, 일본어에서 들어와 음역된 한자어까지 모두 쓰지 못하게 한다면, 어떤 말도 제대로 할 수가 없어질 것이라고 하였다.[18] 김하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현대 한국어가 가진 '기의 상실'이라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외국어가 성급한 음역으로 도입되는 문제를 '내적 자율성 상실'의 징후로 보았다.[18]
특히, 일본 강점기 동안 한국에 유입된 일본어 외래어는 식민지배의 정치적 함축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종종 순화의 대상이 된다. 1948년에는 일본어 단어를 음역한 일부 단어가 순화되었다:[2]
- 素人|시로또|아마추어/초보자일본어 → 맹문이|맹문이한국어, 날무지|날무지한국어
- 分配|분빠이|분배일본어 → 누누매기|누누매기한국어
이러한 언어 순수주의 운동의 일부 비평가들은 모든 외래어에 대해 억지로 동등한 번역어를 찾는 대신, 널리 사용되는 외래어의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5]
최근 사례로는 한국의 매운 닭고기 요리인 닭도리탕이 있다. 닭도리탕의 중간 단어인 '도리'의 어원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본어-한국어 혼성어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은 이 단어가 일본어 鳥|토리|새일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닭도리탕을 닭볶음탕으로 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6] 그러나 '도리'가 외래어라는 주장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국립국어원이 '도리'와 일본어 'tori'의 음운적 유사성 외에 다른 주장의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7] 닭도리탕이라는 단어는 조선 문인 최영년의 1925년 시집 ''해동죽지''에 등장한다. 이 책에서는 한자 桃|도|한국어, 李|리|한국어, 湯|탕|한국어이 한국 요리 이름을 음역하는 데 사용되었다.[8] 한 음식 칼럼니스트는 만약 이 단어가 일본어에서 유래했다면 한국어 발음을 한자로 음역하는 대신 鳥|조|한국어(일본어 발음은 ''tori'')라는 글자가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9] '도리'의 기원에 대한 다른 이론으로는 한국 고유어 동사 '됴리'의 고어 형태인 '조리'(조리|조리|한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 한국 고유어 동사 '도리다'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10] 하지만 앞서 언급된 이론 중 어떤 것도 확립된 어원으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4. 일제강점기 유입된 일본어 외래어 순화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에 유입된 일본어 외래어는 식민지배의 잔재로 여겨져 순화 대상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1948년에는 일본어 단어를 음역한 일부 단어가 순화되기도 했다.[2]- 素人|시로또|sirotto일본어 (아마추어/초보자) → 맹문이|maengmuni한국어, 날무지|nalmuji한국어
- 分配|분빠이|punppai일본어 (분배) → 누누매기|nunumaegi한국어
이러한 언어 순수주의 운동에 대해 일부 비평가들은 모든 외래어에 대해 억지로 동등한 한국어 번역어를 찾는 대신, 널리 사용되는 외래어의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5]
최근 사례로 한국의 매운 닭고기 요리인 닭도리탕의 어원에 관한 논쟁이 있다. 국립국어원은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 '鳥|토리|tori일본어'(새)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닭볶음탕'으로 순화해야 한다고 제안한다.[6] 그러나 '도리'가 일본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음운적 유사성 외에 다른 근거가 제시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7]
'닭도리탕'이라는 단어는 조선 문인 최영년의 1925년 시집 ''해동죽지''에 등장하며, 여기서는 '도'(桃한국어), '리'(李한국어), '탕'(湯한국어)이라는 한자가 사용되었다.[8] 한 음식 칼럼니스트는 만약 '닭도리탕'이 일본어에서 유래했다면 한자 '조'(鳥한국어)가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9] '도리'의 기원에 대한 다른 이론으로는 한국 고유어 동사 '됴리'(요리하다)의 고어 형태인 '조리'(조리|調理|labels=no한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 '도리다'(잘라내다)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10] 그러나 이들 중 어떤 것도 확립된 어원으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 순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남한보다 한국 토박이말을 폭넓게 살려 쓰고 여진족에 의해 유래된 지명을 순 우리말 또는 그와 무관한 한자어로 순화하였다. 1949년에 한자 사용을 폐지하고 대부분의 외래어를 고유어로 대체하였다.[2] 특히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학술 용어를 포함한 많은 한자어 외래어가 고유 어휘로 대체되었다.
3. 1. 남북한 언어 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은 대부분의 외래어를 제거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남북한 언어의 주요 차이점을 구성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자가 텍스트에서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북한은 1949년에 한자 사용을 폐지했다.[2] 특히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학술 용어를 포함한 많은 한자어 외래어가 고유 어휘로 대체되었다.[2]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關節|관절한국어 (''kwanjŏl'') → 마디|마디한국어 (''madi'')
- 滅菌|멸균한국어 (''myŏlgyun'') → 균깡그리죽이기|균깡그리죽이기한국어 (''kyunkkanggŭrijugigi'')
- 呼吸|호흡한국어 (''hohŭp'') → 숨쉬기|숨쉬기한국어 (''sumshwigi'')
- 容量|용량한국어 (''yongnyang'') → 들이|들이한국어 (''tŭri'')
- 光源|광원한국어 (''kwangwŏn'') → 빛샘|빛샘한국어 (''pissaem'')
- 染色體|염색체한국어 (''yŏmsaekch'e'') → 물들체|물들체한국어 (''muldŭlch'e'')
4. 언어 순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일부에서는 모든 외래어에 대해 억지로 동등한 번역어를 찾는 대신, 널리 사용되는 외래어의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5]
최근 사례로 한국의 매운 닭고기 요리인 닭도리탕이 있다. 국립국어원은 '닭도리탕'의 중간 단어인 '도리'가 일본어 '토리'(일본어: 鳥, 새)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닭볶음탕'으로 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6] 그러나 '도리'가 외래어라는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국립국어원이 '도리'와 일본어 '토리'의 발음 유사성 외에 다른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7]
'도리'의 기원에 대한 다른 이론으로는 한국 고유어 동사 '조리'(요리하다) 또는 '도리다'(잘라내다)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Korea - Korea under Japanese rule
https://www.britanni[...]
2021-03-01
[2]
웹사이트
Differences in linguistic purism in the North and the South
http://www.hangeulmu[...]
[3]
웹사이트
List of refined words
http://www.korean.go[...]
[4]
서적
Urigeul Barosseugi
[5]
뉴스
Obituary: Lee O-Deok, Children's writer and champion of spoken writing
http://news.donga.co[...]
Dong-A Ilbo
2003-08-26
[6]
웹사이트
ko:닭도리탕
http://www.korean.go[...]
2017-04-08
[7]
뉴스
"'닭도리탕'은 순우리말"…국립국어원 "사실 어원 잘 몰라"
http://www.nocutnews[...]
2017-04-08
[8]
서적
Haedong jukji
[9]
뉴스
"[윤덕노의 음식이야기]<96>닭도리탕"
http://news.donga.co[...]
2017-04-08
[10]
웹사이트
ko:닭볶음탕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4-08
[11]
웹인용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http://stdweb2.korea[...]
2012-06-23
[12]
웹인용
국립국어원 순화어 검색
http://www.korean.go[...]
2010-05-17
[13]
웹사이트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http://www.malteo.ne[...]
[14]
서적
한길사
[15]
뉴스
교육 문학·우리글 운동 선구자, 이오덕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7-05-28
[16]
뉴스
〈명복을 빕니다〉 이오덕 아동문학가 겸 말글 운동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3-08-25
[17]
뉴스
〈한글 수난시대〉(상) 한글파괴 선봉 ‘TV’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00-10-08
[18]
뉴스
한국어는 ‘감염된 언어’ 근대한국어의 출발은 번역
http://www.kyosu.net[...]
교수신문
2001-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