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4성 장군)이 맡으며, 한미연합군사령관, 유엔군사령관, 주한미군사령관은 미국 육군 대장이 겸임한다. 1978년 류병현 대장이 초대 부사령관으로 임명된 이후 역대 부사령관들이 임무를 수행했으며, 2019년 지상작전사령부 출범으로 전시 지상군사령관 직위는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 -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은 육군참모총장을 보좌하는 직위로, 이응준, 장도영, 김종오, 이진삼 등을 비롯한 역대 육군 중장들이 해당 직위를 거쳐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국방부 장관 등 요직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장군 - 대한민국의 제3야전군사령관
대한민국의 제3야전군사령관은 평시에는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예하 부대를 지휘·감독하고, 전시에는 합동참모의장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초대 사령관은 이세호이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김동진 (1938년)
김동진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 출신으로 제33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육군참모총장과 합동참모의장 역임,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의 경력을 거쳐 한국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한경대학교 초빙교수와 자유민주연합 특임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김병주 (군인)
김병주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포병 장교로 복무하여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까지 역임한 예비역 육군 대장 출신으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이 된 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 남양주시 을 지역구에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한 정치인이며 현재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 육군 대장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 육군 대장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명칭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정부 기관 | 한미연합군사령부 |
설치 | 1978년 |
현직 | |
![]() | |
현직 | 강신철 육군 대장 |
취임일 | 2023년 10월 30일 |
역대 부사령관 | |
초대 | 류병현 대장 |
2. 역할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유엔군사령관, 주한미군사령관은 미국 육군 대장이, 한미연합군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맡는다. 2019년 지상작전사령부가 출범하기 전까지는 전시 지상군사령관을 겸임하였다.
3. 역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목록
정부 대수 사진 이름 계급 임기 비고 제4공화국 초대 류병현 대장 1978년 11월 7일 ~ 1979년 12월 2대 백석주 대장 1979년 12월 21일 ~ 1981년 9월 국보위 제5공화국 3대 박노영 대장 1981년 9월 8일 ~ 1983년 8월 4대 이상훈 대장 1983년 8월 ~ 1985년 9월 5대 한철수 대장 1985년 9월 ~ 1987년 8월 6대 정진태 대장 1987년 8월 ~ 1989년 4월 하나회 출신 노태우 정부 7대 나중배 대장 1989년 4월 ~ 1990년 12월 하나회 출신 8대 김진영 대장 1990년 12월 ~ 1991년 12월 3일 하나회 출신 9대 김동진 대장 1991년 12월 3일 ~ 1993년 3월 국방부 장관 역임 김영삼 정부 10대 김재창 대장 1993년 3월 31일 ~ 1994년 4월 19일 하나회 출신 11대 장성 대장 1994년 4월 19일 ~ 1996년 10월 21일 12대 김동신 대장 1996년 10월 21일 ~ 1998년 3월 국방부 장관 역임 김대중 정부 13대 정영무 대장 1998년 3월 ~ 2000년 4월 28일 14대 이종옥 대장 2000년 4월 28일 ~ 2002년 4월 10일 15대 남재준 대장 2002년 4월 10일 ~ 2003년 4월 4일 국가정보원장 역임 노무현 정부 16대 신일순 대장 2003년 4월 4일 ~ 2004년 6월 2일 17대 김장수 대장 2004년 6월 2일 ~ 2005년 3월 31일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역임 18대 이희원 대장 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21일 19대 김병관 대장 2006년 11월 21일 ~ 2008년 3월 28일 이명박 정부 20대 이성출 대장 2008년 3월 28일 ~ 2009년 9월 21일 21대 황의돈 대장 2009년 9월 21일 ~ 2010년 6월 24일 육군참모총장 역임 22대 정승조 대장 2010년 6월 24일 ~ 2011년 10월 24일 합동참모의장 역임 23대 권오성 대장 2011년 10월 24일 ~ 2013년 9월 27일 육군참모총장 역임 박근혜 정부 24대 박선우 대장 2013년 9월 27일 ~ 2015년 9월 17일 25대 김현집 대장 2015년 9월 17일 ~ 2016년 9월 22일 하나회 출신 26대 임호영 대장 2016년 9월 22일 ~ 2017년 8월 11일 알자회 출신 문재인 정부 27대 김병주 대장 2017년 8월 11일 ~ 2019년 4월 17일 28대 최병혁 대장 2019년 4월 17일 ~ 2020년 9월 23일 29대 김승겸 대장 2020년 9월 23일 ~ 2022년 5월 25일 43대 합동참모의장 임명 윤석열 정부 30대 안병석 대장 2022년 5월 26일 ~ 2023년 10월 30일 31대 강신철 대장 2023년 10월 30일 ~
3. 1. 제4공화국
wikitext
3. 1. 1. 초대 류병현
1978년 11월 7일부터 1979년 12월까지 류병현 대장이 초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3. 1. 2. 2대 백석주
백석주 대장은 1979년 12월 21일부터 1981년 9월까지 제2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국보위 출신이다.3. 2. 제5공화국
제5공화국 시기에는 총 4명의 육군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
3대 | 박노영 | 대장 | 1981년 9월 8일 ~ 1983년 8월 |
4대 | 이상훈 | 대장 | 1983년 8월 ~ 1985년 9월 |
5대 | 한철수 | 대장 | 1985년 9월 ~ 1987년 8월 |
6대 | 정진태 | 대장 | 1987년 8월 ~ 1989년 4월 |
- 3대 박노영 부사령관은 1981년 9월 8일부터 1983년 8월까지 재임했다.
- 4대 이상훈 부사령관은 1983년 8월부터 1985년 9월까지 재임했다.
- 5대 한철수 부사령관은 1985년 9월부터 1987년 8월까지 재임했다.
- 6대 정진태 부사령관은 하나회 출신으로 1987년 8월부터 1989년 4월까지 재임했다.
3. 2. 1. 3대 박노영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
박노영 | 대장 | 1981년 9월 8일 ~ 1983년 8월 |
3. 2. 2. 4대 이상훈
대수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4대 | 이상훈 | 대장 | 1983년 8월 ~ 1985년 9월 |
3. 2. 3. 5대 한철수
한철수는 제5공화국 시기인 1985년 9월부터 1987년 8월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한 대한민국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다.
3. 2. 4. 6대 정진태
정진태(鄭鎭泰)는 육군 대장 출신으로 1987년 8월부터 1989년 4월까지 제6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직을 수행했으며, 하나회 출신이다.3. 3.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 시기에는 3명의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7대 나중배 대장, 8대 김진영 대장, 9대 김동진 대장이 그들이다. 나중배 대장과 김진영 대장은 하나회 출신이다. 김동진 대장은 이후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3. 3. 1. 7대 나중배
노태우 정부 시기인 1989년 4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나중배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직을 맡았다. 나중배 대장은 하나회 출신이다.3. 3. 2. 8대 김진영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김진영 | 대장 | 1990년 12월 ~ 1991년 12월 3일 | 하나회 출신 |
3. 3. 3. 9대 김동진
김동진 대장은 1991년 12월 3일부터 1993년 3월까지 제9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고, 이후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였다.3. 4. 김영삼 정부
김재창, 장성, 김동신은 김영삼 정부 시기에 육군 대장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비고 |
---|---|---|---|---|
10대 | 김재창 | 1993년 3월 31일 ~ 1994년 4월 19일 | 하나회 출신 | |
11대 | 장성 | 1994년 4월 19일 ~ 1996년 10월 21일 | ||
12대 | 김동신 | 1996년 10월 21일 ~ 1998년 3월 | 국방부 장관 역임 |
3. 4. 1. 10대 김재창
김재창(金在昌)은 김영삼 정부 시기인 1993년 3월 31일부터 1994년 4월 19일까지 제10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한 육군 대장이다. 하나회 출신이다.3. 4. 2. 11대 장성
정부 | 대수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김영삼 정부 | 11대 | 장성 | 대장 | 1994년 4월 19일 ~ 1996년 10월 21일 |
3. 4. 3. 12대 김동신
김동신 대장은 1996년 10월 21일부터 1998년 3월까지 제12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였다.3. 5. 김대중 정부
김대중 정부 시기에는 정영무, 이종옥, 남재준 등 3명의 육군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비고 |
---|---|---|---|---|
13대 | 정영무 | 1998년 3월 ~ 2000년 4월 28일 | ||
14대 | 이종옥 | 2000년 4월 28일 ~ 2002년 4월 10일 | ||
15대 | 남재준 | 2002년 4월 10일 ~ 2003년 4월 4일 | 국가정보원장 역임 |
3. 5. 1. 13대 정영무
정영무 대장은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 28일까지 제13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3. 5. 2. 14대 이종옥
이종옥(李鍾玉)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 4월 28일부터 2002년 4월 10일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3. 5. 3. 15대 남재준
남재준 대장은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2년 4월 10일부터 2003년 4월 4일까지 제15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하였다.
3. 6. 노무현 정부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신일순, 김장수, 이희원, 김병관 등 4명의 육군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비고 |
---|---|---|---|---|
16대 | 신일순 | 2003년 4월 4일 ~ 2004년 6월 2일 | ||
17대 | 김장수 | 2004년 6월 2일 ~ 2005년 3월 31일 |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역임 | |
18대 | 이희원 | 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21일 | ||
19대 | 김병관 | 2006년 11월 21일 ~ 2008년 3월 28일 |
3. 6. 1. 16대 신일순
신일순은 노무현 정부 시기인 2003년 4월 4일부터 2004년 6월 2일까지 육군 대장 계급으로 제16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3. 6. 2. 17대 김장수
김장수(金章洙) 대장은 2004년 6월 2일부터 2005년 3월 31일까지 제17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육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였다.3. 6. 3. 18대 이희원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이희원 | 대장 | 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21일 |
3. 6. 4. 19대 김병관
김병관은 육군 대장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시기인 2006년 11월 21일부터 2008년 3월 28일까지 제19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3. 7.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4명의 대장이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비고 |
---|---|---|---|---|
20대 | 이성출 | 2008년 3월 28일 ~ 2009년 9월 21일 | ||
21대 | 황의돈 | 2009년 9월 21일 ~ 2010년 6월 24일 | 육군참모총장 역임 | |
22대 | 정승조 | 2010년 6월 24일 ~ 2011년 10월 24일 | 합동참모의장 역임 | |
23대 | 권오성 | 2011년 10월 24일 ~ 2013년 9월 27일 | 육군참모총장 역임 |
3. 7. 1. 20대 이성출
이성출은 육군 대장으로,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8년 3월 28일부터 2009년 9월 21일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3. 7. 2. 21대 황의돈
황의돈 대장은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9년 9월 21일부터 2010년 6월 24일까지 제21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3. 7. 3. 22대 정승조
3. 7. 4. 23대 권오성
권오성 대장은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11년 10월 24일부터 2013년 9월 27일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였다.
3. 8.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3명의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 임명되었다.- 제24대 박선우 대장은 2013년 9월 27일부터 2015년 9월 17일까지 재임하였다.
- 제25대 김현집 대장은 2015년 9월 17일부터 2016년 9월 22일까지 재임하였으며, 하나회 출신이다.
- 제26대 임호영 대장은 2016년 9월 22일부터 2017년 8월 1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알자회 출신이다.
3. 8. 1. 24대 박선우
박선우 대장은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3년 9월 27일부터 2015년 9월 17일까지 제24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3. 8. 2. 25대 김현집
김현집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박근혜 정부 시기인 2015년 9월 17일부터 2016년 9월 22일까지 제25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하나회 출신이다.
3. 8. 3. 26대 임호영
임호영 대장은 2016년 9월 22일부터 2017년 8월 11일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알자회 출신이다.
3. 9.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 시기 임명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은 다음과 같다.대수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
27대 | 김병주 | 대장 | 2017년 8월 11일 ~ 2019년 4월 17일 | |
28대 | 최병혁 | 대장 | 2019년 4월 17일 ~ 2020년 9월 23일 | |
29대 | 김승겸 | 대장 | 2020년 9월 23일 ~ 2022년 5월 25일 |
3. 9. 1. 27대 김병주
김병주 대장은 2017년 8월 11일부터 2019년 4월 17일까지 문재인 정부에서 제27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3. 9. 2. 28대 최병혁
Choi Byung-hyeok영어은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9년 4월 17일부터 2020년 9월 23일까지 육군 대장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재임 기간 동안 최병혁 부사령관은 한미 동맹 강화와 연합 방위 태세 유지에 기여하였다.
3. 9. 3. 29대 김승겸
김승겸은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20년 9월 23일부터 2022년 5월 25일까지 제29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한 육군 대장이다. 이후 제43대 합동참모의장으로 임명되었다.
3. 10. 윤석열 정부
윤석열 정부 시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3. 10. 1. 30대 안병석
Lieutenant General영어 안병석은 육군 대장으로, 2022년 5월 26일부터 2023년 10월 30일까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이름 | 계급 | 임기 |
---|---|---|
안병석 | 대장 | 2022년 5월 26일 ~ 2023년 10월 30일 |
3. 10. 2. 31대 강신철
강신철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2023년 10월 30일부터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맡고 있다. 계급은 대장이다.임기 | 2023년 10월 30일 ~ 현재 |
---|---|
계급 | 대장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