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재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재준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참모총장과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다. 1969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1998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수도방위사령관을 지냈다. 2003년 육군참모총장이 되었으며, 2005년 퇴역 후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국정원 예산 유용 혐의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 한민구
한민구는 대한민국의 군인 및 정치인으로,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등 요직을 거쳐 제44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중원대학교 석좌교수 및 충청북도 특별명예고문으로 활동 중인 항일 의병장 한봉수의 손자이다. -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 송호성
송호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하여 초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 - 윤필용
윤필용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군 요직을 거쳐 수도경비사령관을 역임했으나 윤필용 사건으로 강제 예편된 후 한국도로공사 사장, 한국담배인삼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으며, 윤필용 사건은 박정희 정권 말기 군 내부 권력 암투와 신군부 세력의 등장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 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 - 정승화
정승화는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10·26 사건과 12·12 사태를 겪으며 박정희 암살 공범으로 기소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통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김동진 (1938년)
김동진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 출신으로 제33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육군참모총장과 합동참모의장 역임,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의 경력을 거쳐 한국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한경대학교 초빙교수와 자유민주연합 특임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김병주 (군인)
김병주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포병 장교로 복무하여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까지 역임한 예비역 육군 대장 출신으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이 된 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 남양주시 을 지역구에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한 정치인이며 현재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 남재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씨명 | 남재준 |
| 한글 표기 | 남재준 |
| 한자 표기 | 南在俊 |
| 로마자 표기 | Nam Jae-jun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44년 10월 20일 |
| 출생지 | 경성부 |
| 경력 | |
| 군 경력 | 1960 - 2005 |
| 최종 계급 | [[File:19.SKA-GEN.svg|24px]] 육군대장 |
| 제대 후 | 국가정보원 원장 |
| 공직 정보 | |
| 직책 | 대한민국 제10대 국가정보원 원장 |
| 대통령 | 박근혜 |
| 국무총리 | 정홍원 국무총리 |
| 임기 | 2013년 3월 22일 ~ 2014년 5월 22일 |
| 정당 | 무소속 |
| 학력 | 경남대 대학원 |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
| 본관 | 영양(英陽) |
| 근무 기관 | 한미연합사령부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
| 지휘 경력 |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합동참모본부 고문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육군참모총장 |
| 참전 | 베트남 전쟁 |
| 군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복무 기간 | 1969년 ~ 2005년 4월 7일 |
| 계급 | 대장 |
| 서훈 | 보국훈장 국선장 보국훈장 천수장 |
| 경력 (기타) | 한양대학교 초빙교수 한나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새누리당 당무위원 겸 전임위원 통일한국당 당무위원 겸 상임고문 통일한국당 총재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통일한국당 후보 |
2. 생애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임관하여 제36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대한민국 국군 장성이다. 예편 당시 계급은 대장이었다. 현역 시절 12.12 군사 반란 당시 신군부에 저항하다 사망한 김오랑 중령의 묘소에서 통곡한 일과 육군대학 강의 중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을 비판한 일로 알려져 있다.
군 생활 대부분을 작전 분야에서 보냈으며, 육군대학 교관, 제7보병사단 연대장, 1군사령부 작전처장,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제6보병사단 사단장,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2003년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2004년에는 부정한 승진 인사를 한다는 투서로 인해 사표를 제출했으나,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이를 반려하기도 했다.
2005년 예편 후에는 충남대학교, 서경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했으며, 2007년부터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박근혜의 국방안보담당 특보를 지냈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가정보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국정원장 재직 중이던 2014년, 탈북자 간첩 사건 증거 조작 의혹이 불거져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했으며, 이 사건으로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함께 사과해야 했다. 또한 국정원 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전달한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국고손실) 등)로 2017년 11월 체포되었고, 2018년 6월 1심에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2. 1. 생애 초반
1944년 10월 20일 경성(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64년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965년 육군사관학교에 25기로 입교했다. 1969년 2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동기로는 훗날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한 김종환 대장이 있다.임관 후 베트남 전쟁에 소대장으로 참전했다. 1979년에는 육군대학 교관으로 재직했는데, 이 시기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을 육군대학 강의 도중 비판하여 주목받았다. 또한 군 복무 중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에 진학하여 1980년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군 복무
육군사관학교 25기로 1969년 임관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성으로 복무했으며, 제36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예편 당시 계급은 대장이었다.베트남 전쟁에 소대장으로 참전한 경험이 있다. 1979년에는 육군대학 교관으로 재직했는데, 이때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전두환을 비판하는 발언을 하여 주목받기도 했다. 또한 현역 시절 12.12 군사 반란 당시 신군부에 저항하다 사살된 김오랑 중령의 묘소를 찾아 통곡한 일화가 알려져 있다. 군 복무 중이던 1980년에는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군 생활 대부분을 작전 분야에서 보냈으며,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계급 | 주요 보직 |
|---|---|---|
| 1988년 | 대령 | 제7보병사단 3연대장 |
| 1990년 | 대령 | 제1군사령부 작전처 작전과장 |
| 1991년 | 준장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차장, 작전처장 |
| (시기 미상) | 준장 | 육군보병학교 교수부장 |
| 1993년 | 준장 |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
| 1995년 | 소장 | 제6보병사단 사단장 |
| 1997년 | 소장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
| 1998년 4월 | 중장 |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 |
| 2000년 | 중장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 2002년 | 대장 |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
| 2003년 4월 | 대장 | 제36대 육군참모총장 |
2003년 4월,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참모총장 재직 중이던 2004년 가을, 남재준이 자신의 인맥을 이용해 부정한 승진 인사를 했다는 내용의 투서가 청와대에 접수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남재준은 사표를 제출했으나,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이를 반려하고 참모총장 직을 계속 수행하도록 했다.
2005년 대장 계급을 마지막으로 군에서 예편했다.
2. 3. 육군참모총장 재직
2003년 4월, 육군 대장 계급으로 제36대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하나회에 속하지 않았으며, 제5공화국 시절 영관급 장교로 복무하며 진급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소령에서 중령 진급은 4차례 시도 끝에 성공했고, 대령 진급도 3차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당시 군 내부의 인사 관행을 고려할 때 상당한 불이익으로 여겨진다. 또한, 하나회 해체 이후에도 군 내부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사조직 '나눔회'의 회원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7][8][9][10]참모총장 재임 중에는 교육 투자를 늘리고 장교단의 '위국헌신(爲國獻身)' 정신을 강조했으며, 제대한 군인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대한민국 육군 병영 시설 현대화 등 현역 군인의 복무 여건 개선에 힘썼고, 6.25 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확대했다. 군사외교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태평양·아시아지역 육군참모총장회의(PACC-3)와 Defence Asia-2004 행사를 개최했다.
그러나 2004년 가을, 진급 심사 기간에 남재준 총장이 자신의 인맥 위주로 장성 인사를 한다는 내용의 익명 투서가 청와대에 접수되면서 '장성 진급 심사 비리' 의혹이 불거졌다. 군 검찰단 등이 조사에 착수했고, 남재준은 군 인사에 대한 논란의 책임을 지고 2004년 11월 청와대에 전역지원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군인사법에 명시된 육군참모총장의 2년 임기를 보장하기 위해 그의 전역지원서를 반려했다.
2005년 4월, 남재준은 군인사법상 임기 2년을 마치고 육군참모총장직에서 이임한 후 전역했다.
2. 4. 퇴역 이후
2005년 군 퇴역 후, 충남대학교, 원광대학교의 교수로 출강하였으며, 2010년 2월부터는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석좌교수로도 활동했다.정치 활동에도 참여하여, 2007년 한나라당(현재의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과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캠프의 국방안보 특보를 역임하였다.[11]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가정보원장에 취임하였다. 재임 중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여 정치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14년에는 탈북자 관련 정보 유출 혐의로 기소된 인물의 재판 과정에서 국가정보원의 증거 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이로 인해 남재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으며, 국정원 직원 4명이 기소되고 기소유예된 직원이 자살을 시도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결국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남재준은 이 사건에 대해 사과해야 했고, 야당은 남재준의 책임을 강하게 물었다.
2017년 3월 24일에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같은 해 4월 14일 통일한국당의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2017년 4월 29일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를 지지하며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국정원장 재직 시절, 국가정보원 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전달한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국고손실) 등)로 2017년 11월 17일에 체포되었다.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해당 혐의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3. 정치 활동
군 퇴역 이후 충남대학교, 원광대학교의 교수로 출강하였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과 2012년 대선 때 새누리당 박근혜 캠프의 국방안보 특보를 역임하였다.[11] 2010년 2월부터는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석좌교수로도 출강하였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며, 재임 중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해 정치권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또한 2014년, 탈북자 관련 개인 정보를 북한에 유출한 혐의로 기소되었던 인물의 재판 과정에서 국가정보원의 증거 조작 의혹이 제기되어, 남재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다. 이 사건으로 국정원 직원 4명이 기소되었고, 기소유예된 직원이 자살을 시도하는 등 사회적 물의를 빚었으며,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함께 사과 요구에 직면하기도 했다.
2017년 3월 24일에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2017년 4월 14일에는 통일한국당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2017년 4월 29일에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를 지지한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사퇴했다.
한편, 박근혜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장으로서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전달한 혐의로 2017년 11월 17일에 구속되었다.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국고손실) 등의 혐의로 징역 3년의 실형 판결을 받았다.
4. 논란 및 비판
육군참모총장 재직 중이던 2004년 가을, 남재준이 자신의 인맥을 이용하여 부정한 승진 인사를 한다는 내용의 투서가 청와대에 접수되어 논란이 되었다. 남재준은 이에 사표를 제출했으나, 당시 노무현 정부는 이를 반려하고 참모총장 직을 계속 수행하도록 했다.
국가정보원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에는 서울시 공무원 간첩 혐의 사건과 관련하여 국가정보원의 증거 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이 사건에서 국정원이 증거를 조작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남재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다.
또한 박근혜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 댓글 공작 사건의 수사와 재판을 방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2018년 5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 6개월과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다. 재판부는 남재준이 국정원의 최고 책임자로서 사건을 공정하게 지휘할 책임이 있었음에도 조직적인 수사 방해를 지시하여 가장 무거운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12]
국정원장 재직 당시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전달한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 국고손실 등)도 받았다. 이 혐의로 2017년 11월 17일에 체포되었으며,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의 실형 판결을 받았다.
4. 1. 군 관련 논란
2004년 8월 31일, 군 재직 시절 남재준은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군 장성과 영관급 참모 20여 명이 모인 회의 석상에서 노무현 정부의 군 개혁 정책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이 자리에서 “이런 식으로 하면 군인들은 다 굶어 죽으란 이야기냐. 고려 시대에 ‘정중부의 난’(무신정변)이 왜 일어났는지 아는가. 무인들을 무시하고 문인을 우대한 결과 아닌가”라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정부가 군 검찰의 국방부 산하 이전 등 군 문민화 사업을 추진하던 시점이어서, 이 발언은 군 개혁에 대한 정면 반발로 해석되었으며, 일각에서는 ‘사실상 군사 쿠데타를 암시한 것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오며 큰 파장이 일었다.[17] 남재준 본인은 해당 발언 사실을 부인했고, 군 당국의 진상조사도 명확한 결론 없이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2013년 3월, 당시 군 검찰 내사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회의 참석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남재준의 발언이 사실임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남재준 측은 국방부를 통해 “청문회 전에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당시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실 등에서 대대적으로 조사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종결된 사항”이라고 재차 부인했다.[18][19]같은 해인 2004년 가을 진급심사 기간에는 "남재준 총장이 자신의 인맥만 장성으로 진급시킨다"는 내용의 정체불명 투서가 청와대에 배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장성 진급 심사 비리' 의혹은 2004년 11월 22일 본격적으로 불거졌고, 군 검찰단 등이 진위 파악에 나섰다. 남재준은 군 인사에 대한 잡음의 책임을 지고 청와대에 전역지원서를 제출했으나, 노무현 대통령은 군인사법상 보장된 육군참모총장 임기 2년을 지키도록 하기 위해 이를 반려하고 재신임했다.[18]
하나회 이후 공식적으로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던 군내 사조직 문제도 제기되었다. 남재준은 군내 사조직으로 알려진 '나눔회'의 회원으로 추정된다는 의혹을 받았다.[7][8][9][10]
국가정보원장 재임 시절에도 논란이 있었다. 2013년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을 규탄하는 촛불집회가 열리자, 경우회가 맞불집회를 열며 참가자들을 종북 세력으로 비난했다. 검찰 수사 결과, 남재준 당시 국정원장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국정원에 경우회 지원을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 2013년 10월, 남재준은 이헌수 당시 기획조정실장에게 "경우회가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데, 빈사 상태에 있으니 지원 방법을 찾으라"고 지시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이헌수 실장은 현대자동차그룹 김용환 부회장을 만나 경우회 지원을 요청했고,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제철 유럽 공장 고철 처리 과정에 경우회 자회사 '경안흥업'을 끼워 넣어 수의계약을 맺었다. 직원이 소수에 불과했던 경안흥업은 이를 통해 2년간 25억원에 달하는 이익을 얻은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은 경우회가 이 돈을 보수단체에 불법 정치 자금으로 지원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진행했다.[13][14][15]
또한 남재준은 국정원장 재임 시절 국정원 특수활동비 중 6억원을 당시 대통령 박근혜 측에 지원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 등으로 기소되었다.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2부(성창호 부장판사)는 남재준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국정원장의 특활비는 국내·외 보안정보 수집 등에 쓰도록 용도가 정해져 있다"며 "그런 돈을 대통령에게 매달 지급한 것은 사업 목적 범위를 벗어나 위법하다"고 판시했다. 이어 "엄정해야 할 예산 집행체계가 흔들렸고, 해당 예산이 안전 보장에 사용되지 못해 국가와 국민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뇌물' 혐의에 대해서는 "대통령 요구나 지시로 특활비를 지급하게 된 것이지, 대통령의 직무 관련 대가로 지급한 것으로 보긴 어렵다"며 대통령과의 공모에 의한 국고손실 및 횡령으로 판단했다. 남재준이 현대자동차그룹을 압박해 경우회를 지원하게 한 강요 혐의에 대해서도 유죄가 선고되었다.[16]
4. 2. 국가정보원장 재직 시 논란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된 후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취임 직후인 2013년,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전문을 공개하여 정치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2014년에는 탈북자 간첩 사건과 관련하여 국가정보원의 증거 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한 탈북자 출신 서울시 공무원이 간첩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국정원이 중국 정부 문서를 위조하는 등 증거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남재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으며, 국정원 직원 4명이 기소되고 기소유예된 직원이 자살을 시도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남재준 원장은 대국민 사과를 해야 했고, 야당은 남재준의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박근혜 정부 시기 국가정보원 댓글 공작 사건의 수사와 재판을 방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2018년 5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30부(부장판사 황병헌)는 남재준에게 징역 3년 6개월과 자격정지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국정원의 최정점에 있으면서 댓글 사건을 공정하게 지휘해야 할 책임이 있었음에도, 간부들에게 수사 방해를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하는 등 조직적 범행을 벌여 가장 무거운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12]
국정원장 재직 중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불법적으로 전달한 혐의도 받았다. 이 혐의로 2017년 11월 17일에 체포되었고,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국고손실) 등 혐의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4. 3. 부동산 투기 의혹
2004년 11월, 남재준의 부인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 위치한 밭 510m2를 매입했다.[20] 이는 남재준이 육군참모총장을 맡고 있던 시기였다. 해당 부지는 경춘고속도로에서 차로 약 20분 거리에 위치해 있었는데, 2004년 8월 고속도로 착공 이후 땅값이 급등했다. 당시 이 지역 땅값은 3.3m2당 1만~3만원 수준이었으나, 불과 1년 만에 7~8배로 급등했다.[20] 이에 따라 남재준은 전역 직전인 2005년 재산신고 시 이 밭의 가치를 3.3m2당 20만원 수준인 3,080만원으로 신고했다.[21]이에 대해 남재준 측은 "3년 전부터 주말농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부동산 투기가 아니다"라고 해명하며, "(주말농장으로 쓴 지) 햇수로 3년 됐다"고 덧붙였다.[22]
5. 학력
1964년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입교하여 1969년 문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1] 동기로는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한 김종환 육군 대장이 있다.[1]
5. 1. 명예 박사 학위
- 배재대학교 명예 경영학 박사
6. 경력
육군사관학교 25기로 임관하여 제36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대한민국 국군 장성이다. 예편 당시 계급은 대장이었다. 현역 시절 김오랑 소령의 묘소를 찾아 통곡한 일화나 육군대학 강의 중 12·12 군사 반란을 일으킨 전두환을 비판한 일로 주목받기도 했다. 군 복무 중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에 진학하여 1980년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베트남 전쟁에 소대장으로 참전했으며, 이후 군 생활 대부분을 작전 분야에서 보냈다. 육군대학 교관, 제7보병사단 3연대 연대장, 1군사령부 작전처 작전과장, 작전차장을 거쳐 준장으로 진급하며 1군사령부 작전처장이 되었다. 이후 육군보병학교 교수부장,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제6보병사단 사단장,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 1998년 4월 중장으로 진급하여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2000년에는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맡았다. 2002년 4월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대장)을 거쳐 2003년 4월, 제36대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육군참모총장 재직 중이던 2004년 가을, 남재준이 인사 청탁을 통해 부정한 승진을 도왔다는 투서가 청와대에 접수되어 논란이 일었다. 남재준은 이에 사표를 제출했으나,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사표를 반려하고 참모총장 직을 계속 수행하도록 했다.
2005년 군에서 퇴역한 후에는 충남대학교, 원광대학교, 서경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2007년부터는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박근혜의 국방안보담당 특보를 맡았으며,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박근혜 후보를 도왔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제31대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다.
국정원장 재직 중이던 2014년, 탈북자 간첩 혐의 사건과 관련하여 국정원의 증거 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해당 사건의 피고인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논란이 커졌고, 남재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었다. 이 사건으로 국정원 직원 4명이 기소되었고, 기소유예 처분을 받은 한 직원이 자살을 시도하는 일도 발생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남재준 원장은 대국민 사과를 해야 했으며, 야당은 남재준의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후 박근혜 정부 국정원의 특수활동비 상납 사건에 연루되어, 국정원장 재직 시절 정보 수집 활동비를 대통령비서실 간부들에게 전달한 혐의(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국고손실 등)로 2017년 11월 17일 구속되었다. 2018년 6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남재준에게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했다.
| 기간 | 직위 | 계급 |
|---|---|---|
| 1972 ~ 1973 | 베트남 전쟁 참전 | - |
| 1988 ~ 1990 | 제7보병사단 연대장 | 육군 대령 |
| 1990 ~ 1991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부장 | 육군 대령 |
| 1991 ~ 1993 | 제1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 육군 준장 |
| 1993 ~ 1995 |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 육군 준장 |
| 1995 ~ 1997 | 육군 제6보병사단장 | 육군 소장 |
| 1997 ~ 1998 |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 육군 소장 |
| 1998 ~ 2000 | 제21대 수도방위사령관 | 육군 중장 |
| 2000 ~ 2002.04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육군 중장 |
| 2002.04 ~ 2003.04 | 제15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 육군 대장 |
| 2003.04 ~ 2005.04 | 제36대 육군참모총장 | 육군 대장 |
| 2010.02 ~ ? |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석좌교수 | - |
| 2013.03 ~ 2014.05 | 제31대 국가정보원장 | - |
7. 진급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25기로 1969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베트남 전쟁에 소대장으로 참전하였으며, 이후 대한민국 육군대학 교관, 제7보병사단 3연대 연대장(1988년), 1군사령부 작전처 작전과장(1990년), 1군사령부 작전차장(1991년) 등을 거쳤다.
1991년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여 1군사령부 작전처장이 되었고, 이후 육군보병학교 교수부장,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1993년)을 지냈다. 1995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6보병사단 사단장을 역임했으며, 1997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부장을 거쳐 1998년 4월 중장으로 진급, 수도방위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2000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거쳐 200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이 되었다. 2003년 4월에는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으며, 2005년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8. 상훈
9.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결과 |
|---|---|---|---|
| 2017년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 통일한국당 | 사퇴 |
참조
[1]
뉴스
韓国国家情報院、偽造証拠発覚で窮地 野党は政権批判を強化
https://web.archive.[...]
2014-03-15
[2]
뉴스
市職員スパイ疑惑:国情院捜査班長ら4人起訴
http://www.chosunonl[...]
2014-04-15
[3]
뉴스
スパイ事件で証拠捏造、韓国大統領が謝罪 野党は攻勢へ
http://www.asahi.com[...]
2014-04-16
[4]
뉴스
情報機関当局者ら起訴で韓国大統領が謝罪 野党は攻撃の材料に
https://web.archive.[...]
2014-04-15
[5]
뉴스
韓国検察、元駐日大使らを逮捕 朴前大統領側に送金容疑
http://www.asahi.com[...]
2017-11-17
[6]
뉴스
国家情報院の歴代院長3人に実刑判決 韓国地裁
https://www.asahi.co[...]
2018-06-15
[7]
간행물
군 검찰 ‘사조직 박살’ 작전 펼쳤다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05-01-10
[8]
간행물
육군 4대 사조직 명단 & 진급실태 ‘유령조직’ 만나회·나눔회 (159명) 현 군부 장악, 하나회(250명) 극소수 구제, 알자회(120명) 전멸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5-02-01
[9]
뉴스
진급비리 '나눔회' 개입 가능성
http://news.hankooki[...]
2005-01-12
[10]
뉴스
南후보 盧정부때 軍사조직 연루 논란
http://news.ichannel[...]
2013-03-04
[11]
간행물
남재준, 철두철미한 원칙주의자…2007년부터 朴안보특보
http://vip.mk.co.kr/[...]
매일경제
2013-03-03
[12]
뉴스인용
'댓글 수사방해' 남재준 전 국정원장 징역 3년6개월
http://www.segye.com[...]
2018-05-23
[13]
뉴스인용
남재준, 경우회가 '고철통행세' 받도록 대기업 압박 정황(종합)
http://www.yonhapnew[...]
2017-11-14
[14]
뉴스인용
'특활비 상납' 남재준 징역 3년…이병기·이병호 3년6개월(종합)
http://www.yonhapnew[...]
2018-06-15
[15]
뉴스인용
'빈사 상태' 경우회 지원하라"…그 뒤엔 남재준 역할
http://news.jtbc.joi[...]
2017-11-22
[16]
뉴스인용
'특활비 상납' 남재준 징역 3년…이병기·이병호 3년6개월(종합)
http://www.yonhapnew[...]
2018-06-15
[17]
간행물
남재준, 노무현 정부 '군 문민화' 반대 선봉장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3-03-02
[18]
뉴스
남재준 육참총장 때 '측근들 장성 진급' 괴문서 軍 14개월간 재판… 인사개입 정황은 안 드러나
http://news.chosun.c[...]
2013-03-04
[19]
뉴스
남재준, 靑에 허위보고로 진실은폐 의혹
http://www.segye.com[...]
2013-03-04
[20]
뉴스
남재준 부인, 경춘고속도 주변 투기 의혹
http://news.hankooki[...]
2013-03-04
[21]
뉴스
남재준 국정원장 후보, 홍천 땅 투기 의혹
http://www.viewsnnew[...]
2013-03-04
[22]
뉴스
남재준 국정원장 후보자 부인 ‘수상한 땅 거래’
http://www.hani.co.k[...]
2013-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