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1995년 대한민국, 미국, 일본이 북한의 핵 개발을 동결하고 경수로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 기구이다. KEDO는 1994년 북미 간 제네바 합의에 따라 북한에 경수로 2기를 건설하고 중유를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와 북한의 핵 개발 의혹으로 사업이 지연되었다. 2003년 사업이 동결되었고, 2006년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발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발전은 1950년대부터 시작되어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논란이 지속되었으며, 영변 원자력 연구소와 풍계리 핵 실험장을 중심으로 핵 개발을 추진해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아왔다.
  • 남북 관계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남북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
로마자 표기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약칭KEDO
문화어조선반도 에네르기 개발 기구
설립일1995년 3월 15일
해체일2006년
설립자미국
대한민국
일본
본부 위치뉴욕, 미국
설립 목적핵무기 개발 중단을 조건으로 북한에 경수로 발전소 건설을 지원
조직 정보
종류국제 기구
주요 활동 분야핵에너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요 인물
주요 인사스티븐 보즈워스
찰스 카트먼
데스몬드 도즈
신동환
장성택
기타

2. 역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대한민국 외무부 차관보, 미국 국무부 차관보, 일본 외무성 아시아 담당 총책임자의 고위 관리급으로 이루어졌다. 경수로(LWR) 프로젝트에 투입될 자금은 2000년까지 준비되지 않았고, 2기의 원자로 건설은 예정보다 늦어졌다.

2003년 합의가 파기되면서 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했다. KEDO는 북한에 투자된 15억달러 상당의 자금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사용되고 있으며, 잘 보전하고 있다고 보증하였다. 당시 발표에 따르면 건설의 30%가 진행되었으며, 1기가 50%, 2기가 15%가 진행되었다고 보도하였다. 그러나 발전소에 필요한 핵심 장비는 이전되지 않았다.

2005년 KEDO가 경수로 건설 계약을 파기할 것이라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고, 2006년 1월 KEDO는 프로젝트가 종료되었음을 발표하고 모든 인력이 귀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보상을 요구하며, 4500만달러 상당의 남겨진 장비 반환을 거부하였다.[15]

1995년~2005년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단위: 백만 달러)
국가지원액
대한민국1,455
일본498
미국405
유럽원자력공동체122
오스트레일리아14
기타18


2. 1. 소련의 대북 원전 건설 지원 (1985년)

소련은 1985년부터 신포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였다. 이는 북한을 국제 원자력 기구(IAEA)에 가입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19] 발전소 규모는 400메가와트 또는 1760메가와트였다.[19] 1990년 착공하여 1992년 준공할 계획이었으나, IAEA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미흡하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고, 1991년 소련 붕괴로 공사가 중단되었으며, 1993년에는 정치적 이유로 최종적으로 계획이 취소되었다.[19]

2. 2. 북한의 핵무기 개발 의혹과 NPT 탈퇴 (1993년)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지 않고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추진했다. 1993년 2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신고되지 않은 핵 관련 의혹 시설에 대한 '특별 사찰'을 요구하자, 북한은 이에 반발하며 1993년에 NPT 탈퇴를 선언했다.[15]

2. 3. 미·북 제네바 합의와 KEDO 설립 (1994년-1995년)

1994년 10월, 북한은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과의 미·북 틀 협상(미·북 제네바 기본 합의) 체결을 통해 국제 원자력 기구(IAEA) 탈퇴를 철회하고 핵무기 개발을 동결하고 최종적으로 해체할 것을 약속했다.[19]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북한에 한국형 경수로 2기를 제공하고, 경수로가 완성될 때까지 매년 500000ton의 중유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에 따라 1995년 3월, 대한민국, 미국, 일본은 공동으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설립하여 경수로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 건설비는 대한민국이 70%, 일본이 30%를 부담하기로 하였다.[15]

소련은 1985년부터 함경남도 신포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고, 북한을 IAEA에 가입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1990년 착공하여 1992년 준공할 계획이었으나, IAEA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미흡하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고, 1991년 소련이 멸망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다. 1993년에는 정치적 이유로 계획이 최종 취소되었으나, KEDO가 이 부지에 다시 원전을 짓기로 하였다.[19]

1997년 8월 19일, 함경남도 금호에서 두 개의 경수로(LWR) 건설 부지에 대한 공식적인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금호 부지는 소련 붕괴 이전인 1980년대에 이미 비슷한 크기의 원자로 2기 건설을 위해 선정되었던 곳이다.[3][4][5]

그러나 합의문[6] 체결 직후, 미국 의회의 권력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공화당은 이 합의를 지지하지 않았으며,[7][8] 일부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유화 정책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했다.[9][10] KEDO의 초대 사장인 스티븐 보스워스는 "합의문은 서명 후 2주 만에 정치적 고아가 되었다"고 회고했다.[11]

프로젝트 자금 조달은 쉽지 않았고, 공식적인 입찰 초청은 1998년까지 발표되지 않았다. 이러한 지연은 북한을 격분시켰다.[12] 경수로 프로젝트에 대한 상당한 지출은 2000년까지 시작되지 않았으며,[13] 2002년 8월 7일에 건설 현장에서 "첫 번째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졌다.[14] 두 원자로의 건설은 당초 일정보다 훨씬 뒤처졌다.

2. 4. KEDO 사업의 난항과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1994년 빌 클린턴 행정부와 북한 간의 미·북 기본합의문(제네바 합의) 체결 직후, 미국 의회의 주도권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7][8] 공화당은 이 합의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일부 상원의원들은 이를 유화 정책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9][10] KEDO 초대 사장 스티븐 보스워스는 훗날 "합의문은 서명 후 2주 만에 정치적 고아가 되었다"고 회고했다.[11]

이러한 정치적 상황은 KEDO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프로젝트 자금 조달은 쉽지 않았고, 북한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더불어 사업은 계속 지연되었다.[12] 공식적인 입찰 초청은 1998년에야 발표되었고, 경수로 건설에 필요한 상당한 자금 지출은 2000년이 되어서야 시작되었다.[13] 2002년 8월 7일에는 건설 현장에서 첫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졌지만,[14] 이는 당초 일정보다 크게 늦어진 것이었다.

2003년 합의문이 결렬된 후, 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했다.

2. 5. 북한의 핵실험 강행과 KEDO 사업 중단 (2003년-2006년)

2002년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의혹이 제기된 이후, 북한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추방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재선언하는 등 핵 개발을 지속했다.[15]

2003년 11월 21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북한에 대한 경수로 제공 사업을 12월 1일부터 1년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2005년 11월 22일, KEDO는 뉴욕에서 이사회를 열고 경수로 건설 사업 폐지에 합의했다. 2006년 1월, KEDO는 경수로 건설 사업의 공식 종료를 선언하고 모든 인력을 철수시켰다. 북한은 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며, 4500만달러 상당의 남겨진 장비 반환을 거부했다.[15]

3. KEDO 자금 지원 현황 (1995년-2005년)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1995년~2005년)
국가미국 달러 (백만)
대한민국14.55억달러
일본4.98억달러
미국4.05억달러
유럽원자력공동체1.22억달러
오스트레일리아1400만달러
기타1800만달러


4. 역대 사무총장

이름임기
스티븐 보스워스1995년–1997년[16]
L. 데세익 앤더슨1997년–2001년[12]
찰스 카트먼2001년–2005년[17][18]


5. KEDO 사업의 유산과 평가



KEDO 사업은 1994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 개발을 중단시키고, 경수로 발전소를 건설해 주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2006년 여러 요인으로 공식 종료되었다. 사업 종료 후, 북한은 투입된 자금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며 현장에 남아있던 약 4500만달러 상당의 장비 반환을 거부했다.[15]

KEDO 사업은 국제 협력을 통해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려 한 시도였으나, 자금 조달 및 건설 지연, 미국의 정치적 반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비록 사업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중단되었지만,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의 중요한 사례로 기록된다. 특히, 대한민국은 전체 자금 지원의 대부분을 부담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1995년~2005년)
국가미국 달러 (백만)
대한민국14.55억달러
일본4.98억달러
미국4.05억달러
유럽원자력공동체1.22억달러
오스트레일리아1400만달러
기타1800만달러


5. 1. KEDO 사업의 실패 원인

2003년 합의문이 결렬된 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했다.[15] KEDO는 북한 금호 건설 현장과 전 세계 제조업체 시설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 자산(현재까지 15억달러 투자)이 보존 및 유지되도록 보장했다. 프로젝트는 약 30% 완료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 개의 원자로 격납 건물은 약 50% 완료되었고, 다른 하나는 약 15% 완료되었다. 그러나 원자로의 주요 장비는 현장으로 이동되지 않았다.[15]

2005년, KEDO가 경수로 프로젝트 종료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보고서가 있었다. 2006년 1월 9일, 프로젝트가 종료되었고 작업자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북한은 보상을 요구했고, 남겨진 약 4500만달러 상당의 장비 반환을 거부했다.[15]

KEDO 사업 실패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자금 조달 지연: LWR 프로젝트에 투입될 자금은 2000년까지 준비되지 못했다.
  • 건설 지연: 2기의 원자로 건설은 예정보다 늦어졌다.
  • 정치적 반대: 합의문 체결 직후, 미국 의회의 장악권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서 합의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었다. 일부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이 합의를 유화 정책으로 간주하며 강력하게 반대했다.[7][8][9][10]

5. 2. KEDO 사업의 유산

2003년 협정이 파기되기 시작하면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잃었다. KEDO는 북한에 투자된 15억달러 상당의 돈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사용되고 있으며, 개발기구가 잘 보전하고 있다고 보증하였다. 당시 발표에 따르면 건설의 30%가 진행되었으며, 1기는 약 50%, 2기는 약 15%가 진행되었다고 보도하였다. 한편 발전소에 필요한 핵심 장비는 아직 이전되지 않았다고 발표하였다.[15]

2005년에는 KEDO가 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약을 파기할 것이라는 보고가 돌기 시작하였고, 2006년 1월 KEDO는 프로젝트가 종료되었음을 발표했으며, 모든 인력들은 귀국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보상을 요구하였으며, 남겨진 약 4500만달러 상당의 장비 반환을 거부하였다.[15]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1995년~2005년)
국가미국 달러 (백만)
대한민국14.55억달러
일본4.98억달러
미국4.05억달러
유럽원자력공동체1.22억달러
오스트레일리아1400만달러
기타1800만달러


5. 3. 비판적 평가

2003년 합의문이 결렬된 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했다. KEDO는 북한에 투자된 15억달러 상당의 원자력 발전소 자산이 잘 보존되고 유지되도록 보장했다. 당시 발표에 따르면 건설은 약 30% 완료되었으며, 1호기 원자로 격납 건물은 약 50%, 2호기는 약 15% 완료되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원자로의 주요 장비는 현장으로 이동되지 않았다.[15]

2005년에는 KEDO가 경수로 건설 계약을 파기할 것이라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고, 2006년 1월, KEDO는 프로젝트가 종료되었음을 발표하고 모든 인력이 귀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북한은 보상을 요구하며, 4500만달러 상당의 남겨진 장비 반환을 거부하였다.[15]

합의문[6] 체결 직후, 미국 의회의 장악권이 공화당으로 넘어가면서, 공화당은 이 합의를 지지하지 않았다.[7][8] 일부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이 합의를 유화 정책으로 간주하며 강력하게 반대했다.[9][10] KEDO의 초대 사장인 스티븐 보스워스는 "합의문은 서명 후 2주 만에 정치적 고아가 되었다"고 평가했다.[11]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았고, 공식적인 입찰 초청은 1998년까지 발표되지 않았는데, 그때까지의 지연은 북한을 격분시켰다.[12] 경수로 프로젝트에 대한 상당한 지출은 2000년까지 시작되지 않았고,[13] 2002년 8월 7일 건설 현장에서 "첫 번째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졌다.[14] 두 원자로의 건설은 당초 일정보다 훨씬 뒤처졌다.

5. 4. 긍정적 평가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업은 1994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 개발을 중단시키고, 대신 경수로 발전소를 건설해 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사업은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우선, KEDO 사업은 국제 협력을 통해 북한의 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참여하여 북한의 핵 개발을 억제하고, 에너지 지원을 통해 북한을 국제 사회로 이끌어내려는 노력이었다.

또한, KEDO 사업은 실제로 북한 금호 지역에 경수로 건설을 시작하여, 일정 부분 진전을 이루었다. 비록 2006년에 사업이 중단되었지만, 건설 현장에는 상당한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졌고, 일부 시설은 완공 단계에 근접하기도 했다.

KEDO 사업은 비록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1995년~2005년)
국가미국 달러 (백만)
대한민국14.55억달러
일본4.98억달러
미국4.05억달러
유럽원자력공동체1.22억달러
오스트레일리아1400만달러
기타1800만달러


5. 5. 종합적 결론

2003년 합의가 결렬된 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했다. KEDO는 북한 금호 건설 현장과 전 세계 제조업체 시설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 자산(현재까지 15억달러 투자)이 보존되고 유지되도록 보장했다.[15] 프로젝트는 약 30% 완료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 개의 원자로 격납 건물은 약 50% 완료되었고 다른 하나는 약 15% 완료되었다. 원자로의 주요 장비는 현장으로 이동되지 않았다.

2005년 KEDO가 경수로 프로젝트 종료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보고서가 있었다. 2006년 1월 9일, 프로젝트가 종료되었고 작업자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북한은 보상을 요구했고 남겨진 약 4500만달러 상당의 장비 반환을 거부했다.[15]

국가별 KEDO 자금 지원 (1995년~2005년)
국가미국 달러 (백만)
대한민국1,455
일본498
미국405
유럽원자력공동체122
오스트레일리아14
기타18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Our History http://www.kedo.org/[...] KEDO 2016-04-03
[2] 웹사이트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http://oldsite.nauti[...]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11-03-05
[3] 웹사이트 KEDO Breaks Ground on US Led Nuclear Project That will Undermine Client Status of S Korea https://web.archive.[...] korea-np.co.jp 1994-10-21
[4] 동영상 미디어 North Korea: Nuclear Reactors Kedo Consortium Press Conference http://www.aparchive[...] Associated Press 1997-08-19
[5] 학술지 North Korea's Choice: Bombs Over Electricity https://web.archiv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10-06-01
[6] 뉴스 Agreed Framework of 21 October 1994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iaea.org/[...] IAEA 1994-11-02
[7] 웹사이트 North Korea: Negotiations Work http://www.isn.ethz.[...] MIT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2007-02-01
[8] 웹아카이브 Joint resolution relating to the United States-North Korea Agreed Framework and the obligations of North Korea under that and previous agreements with respect to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dialog with the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1995-09-18
[9] 웹사이트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https://www.pbs.org/[...] PBS 2003-03-05
[10] 웹사이트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ichard perle https://www.pbs.org/[...] PBS 2003-03-27
[11] 웹사이트 Rummy's North Korea Connection What did Donald Rumsfeld know about ABB's deal to build nuclear reactors there? And why won't he talk about it? - May 12, 2003 https://web.archive.[...] Money.cnn.com 2003-05-12
[12] 뉴스 Rummy's North Korea Connection https://web.archive.[...] CNN Money 2003-05-12
[13] 웹사이트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Annual Report 2004 http://www.kedo.org/[...]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2004-12-31
[14] 웹사이트 Promot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yond http://www.kedo.org/[...] KEDO 2002-08-07
[15] 웹사이트 Reactor Project Ends in Failure http://english.donga[...] English.donga.com 2006-01-09
[16] 웹사이트 Stephen W. Bosworth - Biographic Sketch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
[17] 웹사이트 2006 Asian Studies Conference https://web.archive.[...]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6-03-25
[18] 뉴스 Interview: Charles Kartman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03-02-20
[19]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fas.org/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