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발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발전은 1950년대부터 시작되어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북한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원자력 기술을 습득하고 영변에 연구용 원자로를 건설하여 핵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 1970년대에는 핵무기 개발 정책을 추진하며, 1980년대에는 5MWe 원자로 건설을 통해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에 나섰다. 1990년대에는 국제 사회와의 갈등 속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했으며, 미국과의 합의를 통해 경수로 건설을 지원받았으나, 2002년 핵무기 개발 계획 시인으로 사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핵실험을 강행하며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았으며, 주요 핵 시설로는 영변 원자력 연구소와 풍계리 핵 실험장이 있다. 국제 사회는 6자 회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남북 관계 등을 통해 북한의 핵 개발에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는 1994년 제네바 합의에 따라 북한의 핵 개발 중단 대가로 경수로 발전소 건설 및 중유 제공을 위해 1995년 대한민국, 미국, 일본 주축으로 설립된 국제기구였으나, 북한 핵 개발 의혹, 자금 문제, 정치적 갈등 등으로 2006년 공식 종료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최고인민회의
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주권 기관으로,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심의, 주요 기관 선출, 법안 심의 확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5년에 한 번 대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데니스 로드먼
데니스 로드먼은 NBA의 뛰어난 수비와 리바운드 능력을 가진 농구 선수로,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와 시카고 불스에서 NBA 챔피언십 우승을 여러 차례 차지했으며, 농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기행과 논란으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력 발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로마자 표기 | 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
수도 | 평양 |
공용어 | 한국어 |
종교 | 무종교 토속신앙 |
건국 | 1948년 9월 9일 |
정치 체제 | 주체사상 사회주의 |
최고 지도자 | 김정은 |
핵 발전 | |
핵무기 개발 | 진행 중 |
핵 실험 횟수 | 6회 |
핵 실험 장소 | 풍계리 핵 실험장 |
최초 핵 실험 | 2006년 10월 9일 |
최근 핵 실험 | 2017년 9월 3일 |
경제 | |
통화 | 조선 원 (KPW) |
GDP (명목) | 260억 달러 (2017년 추정) |
1인당 GDP (명목) | 1,000달러 (2017년 추정) |
주요 산업 | 기계 군수품 전기 화학 광업 |
인구 | |
총 인구 | 25,549,819명 (2021년 추정) |
기타 | |
국가 도메인 | .kp |
전화 코드 | +850 |
2. 역사
1958년 미국이 대한민국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하자, 북한은 소련과 중국에 핵무기 개발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나 소련은 핵과학자 양성 등 평화적 핵에너지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했다.[26]
이후 이 기술은 비밀 핵무기 프로그램으로 발전, 2006년과 2009년 핵실험으로 이어졌다. 2009년 북한은 최대 10개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산되었다.[27][28][29][30]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09년 추방된 핵 사찰관을 재파견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했다.[31] 그러나 2013년 초 북한은 추가 핵실험을 공언했고,[1] 2013년 2월 세 번째 핵실험을 실시했다.[2]
2. 1. 1950년대: 핵 개발의 시작
1950년대부터 북한은 원자력 기술에 관심을 가지면서 소련으로부터 원자력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전수받아 원자력 기술 이용을 추구하였다. 1955년 4월 북한 과학원 2차 총회에서 원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 설치를 결정하고, 1955년 6월 소련에서 개최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학술회의에 과학원 과학자 6명을 파견하면서 북한의 원자력 개발이 시작되었다.[33]1956년 3월 소련과 핵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기술협력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조소(朝蘇)연합 핵연구 조직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에 따라 북한은 매년 30명의 과학자들을 두브나 핵 연구소에 연수를 보냈다. 1959년 9월 모스크바에서 소련과 추가로 원자력 이용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여 소련에서 북한 과학자 파견이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계기가 되었다.[33]
2. 2. 1960년대: 핵 개발 기반 마련
1960년대는 북한이 핵 개발의 기초를 마련한 시기이다. 1962년 1월, 북한은 소련으로부터 연구용 원자로를 제공받아 영변에 건설하기 시작했고, 1965년 6월부터 IRT-2000형 원자로를 가동했다. 이 원자로는 북한 최초의 원자로로, 약 2년간의 시험 운전을 거쳐 1967년부터 본격적으로 운행되었다. 핵연료로는 10% 저농축 우라늄을 사용했으며, 이 농축 우라늄은 소련에서 수입되었고, 사용후 핵연료는 소련에서 회수하였다. 1964년 2월에는 핵물리학 연구소를 설치하였고, 1961년부터 1967년까지 약 3천여 명의 과학자를 소련에 파견했다.[33]
2. 3. 1970년대: 핵무기 개발 정책 추진
1970년대는 핵무기 개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시기인 동시에 산업정책으로서 에너지 개발 및 평화적 연구목적으로 원자력 개발에 몰두하던 시기다. 1971년 4월 중국 핵과학자 8명을 초청, 핵과학 연구소와 원자로 건설에 관한 지원을 받았으며, 1973년 김일성대학에 핵물리학과, 김책공대에 핵전기 공학과 원자로 공학과를 설치했다. 1974년 3월 최고인민회의 5기 3차 회의에서 원자력법이 승인되어 법적 장치를 마련했다.[33]1974년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가입했고, 12월에는 IAEA 극동지역 대표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또 연구용 원자로와 임계 시설이 있는 영변지역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 지역을 특별구로 지정하여 엄격히 통제했다. 1976년에는 프랑스에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관리 연구원, 원자력발전소 요원을 연수시켜 서방의 선진 원자력 기술을 습득했다. 1975년 영변동위원소 실험실에서 자체 핵연료를 이용하여 재처리 실험을 했고, 1976년 동위원소 생산연구실을 설치해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처리기술을 개발하고 1978년부터는 북한지역내 우라늄광을 탐사하여 황해북도 평산과 평안남도 순천에 총 매장량 2600만ton 가운데, 가채량 400만ton을 확인했다. 1977년 7월에는 영변에 있는 원자로와 임계시설에 대한 IAEA 사찰을 받았다.[33]
1970년대 북한의 연구는 더욱 독립적으로 진행되었다. 1974년 북한은 소련에서 공급받은 원자로를 8MW로 증강했고, 1979년에는 영변 핵 과학 연구소에 두 번째 자체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시작했다. 이 원자로 건설과 병행하여 광석 처리 시설과 연료봉 제조 시설이 건설되었다.[8]
2. 4. 1980년대: 핵무기 개발 본격화
1980년대에 북한은 평화적 이용 우선에서 군사 우선 핵 정책으로 목표를 바꾸어 핵무기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33] 1980년 2월 영변에 5 MWe 원자로를 건설하면서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이 원자로는 북한 자체 기술로 북한에서 생산 가능한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 흑연감속형 원자로로서, 195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추진하다 중단된 G-1형과 비슷한 특성을 가졌다. 프랑스에서는 이 원자로가 연구보다 플루토늄 생산이 주목적이어서 경제성이 없어 폐기했다. 북한은 경수로 대신 플루토늄 추출이 용이한 흑연 감속로 건설을 추진하여 핵무기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북한이 흑연 감속로 원자로를 채택한 이유는 플루토늄 추출 목적 외에도 소련이나 중국의 도움 없이 북한 내 매장된 천연우라늄을 핵연료로 쓸 수 있다는 점과 당시 북한이 농축 기술이나 중수 생산 기술을 획득하지 못했고, 흑연 생산 및 흑연 감속재 활용이 북한으로서는 다루기 쉽다는 이유가 있었다.[33]1982년 황해도 평산에 우라늄 정련 및 변환 공장을 건설했고,[33] 1979년에는 영변 핵 과학 연구소에 두 번째 자체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시작했다. 이 원자로 건설과 병행하여 광석 처리 시설과 연료봉 제조 시설이 건설되었다.[8] 1987년에 제 1 원자로가 가동되었으며 플루토늄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50 MWe급 원자로와 200 MWe 발전로를 1985년과 1989년 태천에 각각 착공했다. 또한 구 소련과 660 MWe급 경수로 3기를 신포지역에 건설하기 위해 원자력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으나 건설하지는 못했다. 이 때 북한은 대형 재처리시설의 필요성을 인식, 방사화학실험실 건설을 추진했고 이 시설에 소요되는 사용 후 핵연료를 공급한다는 명목으로 5 MWe 시험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했다.[33]
1980년대 북한 정부는 경수로(LWRs)가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1991년 소련 붕괴 후 러시아는 신포 경수로 프로젝트에 대한 부지 선정 작업을 계속했다. 그러나 북한은 작업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고, 프로젝트는 사실상 중단되었다.[9][10]
2. 5. 1990년대: 국제사회와의 갈등과 협상
북한은 1985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했지만, 회원국 의무사항인 핵안전조치협정에는 서명하지 않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지 않았다.[32] 1992년 안전협정에 서명하고 IAEA 사찰을 받았으나,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량과 시기가 맞지 않아 마찰을 빚었다. IAEA가 미신고시설 사찰을 요구하자, 북한은 1993년 NPT 탈퇴를 선언하며 대응했다.[33]이에 IAEA는 긴급이사회를 소집해 북한의 특별사찰 수용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고, 북한 핵문제를 유엔 안보리에 보고했다. 유엔 안보리는 1993년 북한의 NPT 복귀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1993년 6월부터 미국은 북한과 직접 협상을 시작했고, 북한에 경수로를 제공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1994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도 경축사를 통해 지원 입장을 밝혔다.
1994년 북한은 미국과 제네바 기본합의서를 체결하여 핵 개발 동결 대가로 금호에 1000 MWe급 경수로 2기를 지원받기로 했다. 이후 2005년 6자 회담에서 북한은 모든 핵 프로그램을 종식하고 NPT에 복귀하며 국제 사찰을 받기로 약속했다.

2008년 6월 북한은 핵 프로그램 종식을 발표했지만, 2006년, 2009년, 2013년 핵실험으로 인해 비핵화 약속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
2. 5. 1. 경수로 지원 사업
1994년 제네바 기본합의서에 따라 북한의 핵개발 동결 대가로 1,000 MWe급 경수로 2기를 제공하기로 하면서, 1995년 3월 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KEDO)가 설립되어 경수로 지원 사업이 추진되었다.[34] KEDO의 주요 의사결정은 대한민국, 미국, 일본, EU로 구성된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되었으며, 이 외에도 9개국이 일반회원국으로 참여하였다.1995년 1월 대한민국은 통일원 산하에 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을 설치하여 경수로 사업을 지원하였다.[34] 같은 해 6월 북미 쿠알라룸푸르 협상에서 KEDO가 경수로 모형 및 주계약자를 결정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한국표준형 원전 공급과 대한민국의 중심적 역할 수행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다.[34] 1996년 3월 한국전력과 KEDO는 한전이 주계약자로서 일괄도급방식으로 시공한다는 데 합의하였다.[34]
1999년 12월 15일 한전과 KEDO는 주계약을 체결하여 경수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34] 주계약은 2000년 2월 3일 발효되어 본공사가 시작되었으며, 계약금액은 1997년 1월 불변가격 기준으로 408억달러였다.[34] 1998년 11월, 대한민국, 일본, 미국, EU 등 KEDO 집행이사국은 재원분담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은 실 공사비의 70%를 원화로 기여하고, 일본은 10억달러 상당의 1,165억 엔을, EU는 7,500만 ECU를 기여하며, 미국은 대북 중유공급비용 및 KEDO의 기타 소요자금에 대한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기로 하였다.[34]
1997년 8월 금호지구에서 착공식이 열렸고, 2000년 2월 3일부터 초기 부지 공사가 시작되었다.[34] 2001년 9월 4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는 북한 당국으로부터 경수로 발전소 건설 허가를 받아 함경남도 신포·금호지구에서 발전소 기초 굴착공사를 착공했다.[35]
2. 6. 2000년대 이후: 핵실험 강행과 제재
2002년 10월, 미국의 켈리 특사와의 회담에서 북한이 핵무기 개발 계획을 시인하면서 2차 핵위기가 발생하였다. 미국은 대북 중유 제공을 중단하였고, 북한은 2003년 1월 10일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했다.[33] 2005년 2월 10일 북한은 핵 보유를 선언했고, 이후 4차례에 걸친 6자 회담이 진행되어 2005년 9월 19일 북미 간 상호 체제를 인정하는 공동성명이 채택되었다.[33]2006년 10월 9일,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일대 지하시설에서 1Kt 정도의 소규모 1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이후 2008년까지 6차에 걸친 6자회담을 통해 북핵 폐기 2단계까지 진행되었다.[36]
2007년 7월 15일 영변 핵시설 가동 중단을 발표하고, 2008년 6월 27일 영변 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하는 등 진전이 있었으나, 2009년 4월 5일 장거리 로켓 발사 이후 6자 회담에 불참하고 핵시설을 재가동했다.[32] 북한은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2009년 6월 1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 제재 결의(제1874호)를 채택했다.[32]
2013년 핵실험 등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은 비핵화 약속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 2013년 4월, 북한은 폐쇄되었던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하고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13]
2018년 7월 7일,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일본의 고노 다로 외무상, 한국의 강경화 외무장관은 도쿄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데 대한 공조를 재확인하며, 북한에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고 기존의 유엔 경제 제재를 유지할 것을 촉구했다.[14]
3. 주요 핵 시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 곳에 핵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핵 시설로는 영변 원자력 연구소, 풍계리 핵 실험장, 평양의 원자력연구소 등이 있다.
영변 원자력 연구소는 북한 최초의 원자로가 설치된 곳으로, 핵무기 개발의 핵심 시설이다. 풍계리 핵 실험장은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으며, 2006년 첫 핵실험이 이루어졌다. 평양의 원자력연구소는 핵 연구와 의학 및 산업 분야 응용을 수행한다.
3. 1. 영변 원자력 연구소
1962년 소련에서 연구용 원자로를 제공받아 영변에 건설하여 1965년 6월부터 IRT-2000형 원자로를 가동했다. 이 원자로는 북한 최초 원자로로 약 2년간 시험운전을 거쳐 1967년 본격적으로 운행에 들어갔다. 핵연료로는 10% 저농축 우라늄을 사용했다.[33] 연구용 원자로 개량 후에는 현재 36% 및 80% 고농축 우라늄 IRT-2M형 조립체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4][5]1980년 2월 영변에 5 MWe 원자로를 건설하면서 본격적인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이 원자로는 북한 자체 기술로 북한에서 생산 가능한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 흑연감속형 원자로로서, 195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추진하다가 중단된 G-1형과 비슷한 특성을 가졌다. 프랑스에서는 이 원자로가 연구보다 플루토늄 생산이 주목적이어서 경제성이 없어 폐기했다. 북한은 경수로 대신 플루토늄 추출이 용이한 흑연 감속로 건설을 추진하여 핵무기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북한이 흑연 감속로 원자로를 채택한 원인으로는 플루토늄 추출 목적 외에도 소련이나 중국의 도움 없이 북한 내 매장된 천연우라늄을 핵연료로 쓸 수 있다는 점과 당시 북한이 농축 기술이나 중수 생산 기술을 획득하지 못했고, 흑연 생산 및 흑연 감속재 활용이 북한으로서는 다루기 쉽다는 이유가 있었다.[33]
2010년 11월, 미국 비정부기구 전문가들은 북한의 영변 핵 과학 연구소를 방문하여 건설 초기 단계에 있는 25~30MWe급 실험용 경수로와 2,000기의 가스 원심분리기를 갖춘 우라늄 농축 시설을 확인했다. 이 시설은 저농축 우라늄(LEU) 연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라늄 농축 시설 건설은 2009년 4월에 시작되었고, 경수로의 초기 가동 목표 시점은 2012년이었다.[17] 2011년 11월 위성사진 분석 결과 경수로 건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부분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수로는 실험용 마그녹스 원자로의 냉각탑이 철거된 부지에 건설되고 있다.[18][19]
3. 2. 풍계리 핵 실험장
2006년 10월 9일 북한은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일대 지하 시설에서 1kt 정도의 소규모 핵 실험을 했다.[33]3. 3. 기타 핵 시설
평양에 있는 원자력연구소(IAE)는 1985년에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소련의 IAEA 기술 협력 프로그램에 따라 수입된 20MeV 사이클로트론과 실험실을 수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6] 사이클로트론의 대부분은 간암 및 유방암 치료를 위한 갈륨-66 생산에 사용된다.[6] 원자력연구소는 성장하여 현재 연구, 원자력을 의학 및 산업에 응용, 특히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종합대학의 핵 연구 학생들을 위한 실험 시설 제공이라는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6]4. 핵무기 프로그램
1958년 미국이 대한민국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한 이후, 북한은 핵무기 개발을 위해 소련과 중국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모두 거절당했다. 그러나 소련은 핵 과학자 양성을 포함한 평화적 핵에너지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26]
이러한 기술 기반은 비밀 핵무기 프로그램으로 발전하여 2006년과 2009년 핵실험으로 이어졌다. 2009년에는 북한이 최대 1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27][28][29][30]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비핵화를 위한 조치가 합의되면 2009년 추방된 북한 핵 사찰단을 재파견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했다.[3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3년 초 북한은 가까운 미래에 추가 핵실험을 하겠다고 공언했으며,[1] 2013년 2월 세 번째 핵실험을 실시했다.[2]
4. 1. 관련 무기
- 로동 1호
- 대포동 1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 살상 무기
5. 국제사회의 대응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6자 회담이 개최되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2005년에는 북미간 상호체제를 인정하는 공동성명이 채택되기도 했다.[33] 그러나 북한은 2006년, 2009년, 2013년 등 핵실험을 강행하여 비핵화 약속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
대한민국 정부는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018년 7월 7일, 한국, 미국, 일본의 외무장관은 도쿄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데 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14]
5. 1. 6자 회담
2002년 10월 미국의 켈리 특사와 회담에서 북한이 핵무기 개발 계획을 시인하여 2차 핵위기가 발생하였다. 미국은 2002년 12월부터 합의한 대북 중유 제공을 중단하였다. 북한은 제네바 합의에서 약속한 대로 2003년까지 완공되지 않을 경우 중대한 시련을 맞이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2003년 1월 10일 NPT 탈퇴를 선언했다.[33]2003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여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이 진행되었다. 2005년 2월 10일 북한의 핵 보유 선언 이후, 4차에 걸친 6자 회담이 진행되었고, 2005년 9월 19일 북미간 상호체제를 인정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33]
2006년 10월 3일 북한은 핵 실험을 예고하고, 6일 만인 10월 9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일대 지하시설에서 1Kt 정도의 소규모 핵 실험을 했다. 이후 2008년까지 6차에 걸친 6자회담으로 성명과 합의 등을 도출하여 북핵폐기 3단계 중 2단계까지 진행되었다.[36]
2007년 7월 15일 영변 핵시설 가동 중단을 발표하고, 2008년 6월 27일 영변 원자로 냉각탑을 폭파했으나, 2009년 4월 5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6자 회담에 불참, 핵시설을 재가동했다. 북한은 2009년 5월 25일 2차 핵 실험을 하고, 2009년 6월 13일 유엔 안보리에서 대북 실험 제제를 결의(제1874호)했다.[32]
5. 2. 남북 관계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1994년 북한은 미국과 미국-북한 핵 합의틀에 서명하여 금호에 신포 원자력발전소로 알려진 1000 MWe급 경수로 2기 건설을 받는 대가로 흑연 감속 원자로 프로그램을 종료하기로 했다. 이 건설은 2000년 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KEDO)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2003년 11월 중단되었다.[11] 2005년 9월 19일 6자 회담에서 북한은 모든 핵 프로그램을 종식하고 핵확산금지조약으로 복귀하며, 국제 사찰을 받기로 약속했다.[11]2008년 6월 23일, 북한은 핵 프로그램 해체를 시작했으며 모든 계획을 국제 사회에 넘길 것이라고 선언했다.[11] 그러나, 2006년, 2009년, 2013년 핵실험은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의문을 제기했다.[2]
2018년 7월 7일,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일본의 고노 다로 외무상, 한국의 강경화 외무장관은 도쿄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데 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plans third nuclear test'
https://www.bbc.co.u[...]
BBC
2013-01-24
[2]
웹사이트
North Korea nuclear test takes place
https://www.theguard[...]
2013-02-12
[3]
웹사이트
Research Reactor Details – IRT-DPRK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1996-07-30
[4]
보고서
Report of Visit to North Korea to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http://fsi.stanford.[...]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Stanford University
2008-03-14
[5]
웹사이트
DPRK – Nuclear Weapons Program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11-23
[6]
보고서
Phased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s Civil Nuclear Programs
http://www.isis-onli[...]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2007-03-19
[7]
저널
The Peaceful Origins of North Korea's Nuclear Programme in the Cold War Period, 1945–1965
2022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3-09-01
[9]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Soviet-North Korean Nuclear Cooperation
James Clay Moltz and Alexandre Y. Mansourov
[10]
저널
North Korea's Choice: Bombs Over Electricity
https://web.archiv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10
[11]
웹사이트
Landmark NKorea nuclear declaration expected Thursday
https://web.archive.[...]
AFP via Google
2008-06-23
[12]
웹사이트
The risks of North Korea's nuclear restart
http://thebulletin.o[...]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2009-05-12
[13]
웹사이트
North Korea to restart Yongbyon nuclear reactor
https://www.theguard[...]
2013-04-02
[14]
웹사이트
Japan, U.S., S Korea unite on N Korea; Pompeo brushes off 'gangster' claim
https://japantoday.c[...]
[15]
뉴스
North Korea claims nuclear fusion success
http://www.theaustra[...]
AFP via The Australian
2010-05-12
[16]
뉴스
DPRK Foreign Ministry Declares Strong Counter- Measures against UNSC's "Resolution 1874"
https://web.archive.[...]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0-06-13
[17]
보고서
A Return Trip to North Korea's Yongbyon Nuclear Complex
http://iis-db.stanfo[...]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Stanford University
2010-11-20
[18]
뉴스
North Korea Makes Significant Progress in Building New Experimental Light Water Reactor (ELWR)
https://web.archive.[...]
Johns Hopkins University
2011-11-18
[19]
저널
North Korea from 30,000 feet
https://web.archive.[...]
2012-01-06
[20]
뉴스
North Korea makes "significant" nuclear reactor progress: IAEA
https://web.archive.[...]
2012-08-31
[21]
뉴스
North Korea's Yongbyon Nuclear Facility: Slow Progress at the Experimental Light Water Reactor
https://web.archive.[...]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6-01-14
[22]
뉴스
Progress at North Korea's Experimental Light Water Reactor at Yongbyon
https://www.38north.[...]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8-02-19
[23]
웹사이트
Jane's by IHS Markit Discovers Likely Operational Testing at North Korean Nuclear Reactor
https://www.business[...]
2018-03-16
[24]
뉴스
Seoul aims for more talks about talks with North Korea this month
https://www.reuters.[...]
2018-03-17
[25]
뉴스
Yongbyon Nuclear Scientific Research Center: Construction at the Radiochemical Laboratory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4-05-23
[26]
저널
U.S. Deployment of Nuclear Weapons in 1950s South Korea &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Towar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nglish version)
http://www.japanfocu[...]
The Asia-Pacific Journal
2009-02-17
[27]
뉴스
AP News: Expert Says North Korea has Several Nukes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09-03
[28]
웹사이트
DPRK Nuclear Weapons Program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9]
웹사이트
Estimates of North Korea’s Possible Nuclear Stockpile
http://www.carnegiee[...]
Carnegie Endowment
2005-05-11
[30]
저널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2005)
http://thebulletin.m[...]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31]
뉴스
IAEA wants to redeploy nuclear inspectors in North Korea: report
https://www.reuters.[...]
Reuters
2011-12-20
[32]
학위논문
북핵과 한국의 대응정책
2012-08-27
[33]
학위논문
北核問題와 6者會談 : 多者協議體로서의 役割과 향후 展望
2012-08-27
[34]
간행물
대형 남북경협 사업 여건과 추진방향
http://contents.arch[...]
통일연구원
2012-08-31
[35]
학위논문
대북경수형원자로 사업과 북한의 변화
2012-08-31
[36]
논문
북핵 문제와 미국의 대북 정책 변화
201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