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얼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얼교는 1965년 신정일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 "홍익인간"을 창립 강령으로 삼아 깨달음을 추구한다. 1967년 대한민국 문공부로부터 종교단체 인가를 받았으며, 1978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한얼교는 단군, 석가모니, 예수 등 모든 깨달은 존재를 스승으로 여기며, 종교, 인종, 이념 등 모든 형태의 분리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시자의 사후, 신앙과 운영을 분리하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자율적인 수용신앙 시스템을 확립했다. 2015년 창교 50주년을 맞아 한얼정신 문화예술을 통해 온라인으로 한얼철학을 경험하는 새로운 정신문화를 소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종교 -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는 1884년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칼뱅이 소개된 후 평양신학교를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관심 증가와 더불어 활발한 연구와 저작 번역이 이루어져 1980년대 이후 전문 연구자 등장과 원저 번역을 통해 깊이를 더하며 한국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원전 연구, 서구 신학 평가, 칼뱅의 해석학 연구 등을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종교 -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국민의 종교 자유 보장, 국교 불인정, 정교분리 원칙을 명시하여 개인의 신앙 자유를 보장하고 국가의 종교 개입을 방지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한얼교
한얼교
창시자신정일
설립 연도1918년
종교 유형신종교
국가한국
창교 목적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도덕을 회복하여 올바른 사회를 건설
창시자 정보
창시자 (한자)辛正一
출생1890년 12월 5일
사망1970년 8월 2일
주요 내용
주요 사상한얼 사상
주요 의례천제
주요 활동민족정신 고취, 도덕 회복, 사회 정화 운동

2. 역사

1965년 신정일이 대오각성 정각묘득하여 한얼과 바름을 설법하며 대중교화를 시작한 것이 한얼교의 시작이었다.[31][32][33] 1967년 대한민국 문공부로부터 정식 종교단체 인가를 받았고,[34] 1978년 「한교선언」을 통해 현재의 한얼교로 개명했다.[35]

신정일은 종교, 정치, 경제, 외교, 학술, 문화예술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고,[43] 1999년 열반 후에는 그의 진신사리와 진모사리, 치사리가 수습되어 전국적인 사리친견 행사가 열렸다.[44][45][46][47][48]

신정일 열반 이후 한얼교는 운영위원회 공동대표체제를 확립하고,[49]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자율적인 수용신앙 시스템을 구축했다.[50] 또한, 한얼정신문화예술을 통해 형식과 관습을 초월하는 혁신적인 변화를 추구해왔다.[51]

2015년 창교 50주년을 맞아 마니산에서 신정일의 사리 친견과 한얼말씀 판각본 전시 행사를 개최하고,[52] "한얼정신 문화예술"을 통해 온라인으로 한얼철학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정신문화를 소개했다.[54]

2. 1. 창교 배경 및 초기 활동

1965년 신정일이 대오각성 정각묘득하여 한얼과 바름을 설법하며 대중교화를 시작한 것이 한얼교의 시작이었다.[31][32][33][6] 같은 해 신정일은 ''영적 각성''을 이루었고, 한얼에 대한 가르침을 전파했다.[6]

1967년 대한민국 문공부로부터 정식 종교단체 인가를 받았다.[34] "80만 명의 한얼 영적 운동으로의 개종은 1967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합법적인 종교로 승인된 한얼교 창립의 기초를 마련했다."[7] 정부 인가는 전국적으로 지부의 급속한 발전을 이끌었다.[7]

1978년 「한교선언」을 통해 현재의 한얼교로 개명했다.[35]

한얼 영적 기반은 깨달음과 각성에 대한 가르침인 "한얼 원리"[8]를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전통적인 종교 예배 방식보다는 의식의 자기 해방을 추구한다. 창립 강령은 "모든 존재를 하나로 묶어 이롭게 한다 - 홍익인간"이다.[9]

2. 2. 창교주 신정일의 활동

신정일은 종교 분야 외에도 정치 (대통령 선거 출마)[36][37], 경제 (한온그룹 총재)[38][39], 외교 (주한이라크 명예영사)[40], 학술 (하버드, 옥스포드 펠로우)[41], 문화예술체육 (유수협 회장, 대한올림픽위원)[42]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43] 1999년 그의 초월철학의 핵심과 한사상의 정수를 집대성한 한얼말씀을 남기고 열반하였으며,[44] 여러 과의 진신사리와[45] 최초의 진모사리,[46] 28과의 치사리가 수습되어 보존되었고[47] 전국적으로 사리친견 행사를 가졌다.[48]

2. 3. 신정일 열반 이후 변화

신정일 열반 이후 한얼교는 구조조정을 거쳐 신앙과 운영을 분리, 운영위원회 공동대표체제를 확립했다.[49] 이후 혁신을 통해 한얼교 교인이 아니어도 자유롭게 한사상을 배우고, 다른 종교를 신앙하면서도 한얼교의 철학과 사상을 배울 수 있도록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자율적인 수용신앙 시스템을 구축했다.[50]

신정일을 기념하는 성전 건립 대신 진리를 빛의 형태로 표현한 한얼정신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본질에 집중했다. 이를 통해 교세 확장과 고전적 포교활동 대신 누구든 절차와 관습으로부터 자유롭게 한얼정신문화예술을 감상하고 명상과 성찰로 의식과 예식을 대신 할 수 있도록 공식화하는 등 형식과 관습을 초월해 혁신적으로 변화해 왔다고 한다.[51]

2015년 한얼교는 창교 50년 한얼절을 맞아 마니산 한얼본원에서 신정일의 사리 친견과 한얼말씀 판각본을 전시하는 공식 행사를 가졌다.[52] 한얼교는 창교 반세기를 기념하며 종교와 미술의 결합인 "한얼정신 문화예술"을 통해 일반인들이 단체 종교활동 없이 온라인으로 한얼철학을 경험하고 수용신앙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신문화를 소개했다.[54] 한얼교의 모든 재단 구성원은 '한얼 예술 문화 운동'이라는 종교 혁신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기로 합의했다.[16]

'한얼 예술 문화 운동'은 온라인 참여를 종교 수행의 주요 방식으로 활용하여 종교적 의무 없이 종교 철학을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이다.[17] 이 운동은 종교적 경계를 더 넓은 시각으로 확장함으로써 종교적 다문화 발전과 종교 구조의 진화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18]

2. 4. 창교 50주년 (2015년)

2015년 한얼교는 창교 50년 한얼절 교절을 맞아 강화도 마니산 한얼본원에서 창시자 신정일의 사리 친견과 한얼말씀 판각본을 전시하는 공식 행사를 열고,[52] 창립 50주년 반백년 역사를 기념했다.[53]

한얼교는 창교 반세기를 기념하며 창교인 총회의결을 거쳐 종교와 미술을 결합한 "한얼정신 문화예술"을 통해 일반인들이 단체 종교 활동 없이 온라인으로 한얼철학을 경험하고 수용신앙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신문화를 소개했다.[54] 한얼교 창립 50주년 기념 총회에서[15] 한얼교의 모든 재단 구성원은 '한얼 예술 문화 운동'이라는 종교 혁신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기로 합의했다.[16]

'한얼 예술 문화 운동'은 전통적인 방식 대신 온라인 참여를 종교 수행의 주요 방식으로 활용하여 종교적 의무 없이 종교 철학을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이다.[17] 이 운동은 종교적 경계를 더 넓은 시각으로 확장함으로써 종교적 다문화 발전과 종교 구조 진화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18]

3. 한얼교의 사상과 가르침 (한법)

한얼교는 "홍익인간 한얼정신"(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하라), "내얼이 한얼이다"(만물의 본질은 하나이며 본질적 차원에서 온 인류는 하나다), "만교일본 만법귀정"(신앙의 방식은 다를지언정 신앙의 근원인 진리는 하나다)을 근본 종지로 삼는다.[28] 이를 바탕으로 종교 간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하여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화합과 상생을 실현하기 위한 수용신앙을 실천한다.[28]

한얼교는 깨달음과 각성에 대한 가르침인 "한얼 원리"를 영적 기반으로 하며,[8] 전통적인 종교 예배 방식보다는 의식의 자기 해방을 추구한다. 창립 강령은 "모든 존재를 하나로 묶어 이롭게 한다 - 홍익인간"이다.[9]

"나-올은 한-올이다"라는 창시자의 교리는 "나의 영적 본질은 '한'의 영적 본질이다"를 의미하며, "나의 본질은 전체의 본질과 하나이다" 또는 "모든 사람은 동일한 실존적 본성을 공유한다"로 해석될 수 있다.[8]

한얼교는 예술과 영성을 통합한 "깨달음과 각성의 예술"을 도입했다. "깨달음의 예술"은 한얼교 지역 예배당의 상징적 기능을 대체했고, 전통적인 의식과 의례 형식을 "깨달음의 예술"에 대한 묵상 또는 자기 인식에 대한 명상으로 대체할 수 있게 했다.[4]

3. 1. 기본 용어


  • : 하나이자 영원불멸한 전체를 뜻하며, '얼'은 그 안에 깃든 혼, 만물의 본질을 뜻한다.[28]
  • 한얼: 창조의 근원과 만물의 본성, 신앙의 본질이자 진리의 현존을 표현한 것이다.[28]
  • 나얼: 나라는 에고가 생기기 전 내 의식의 본래 존재 상태, 순수 존재 의식이자 에고를 극복할 때 다시 만나는 초월적 본성을 의미한다.[28]

3. 2. 핵심 가르침

한얼교는 "홍익인간 한얼정신"(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하라), "내얼이 한얼이다"(만물의 본질은 하나이며 본질적 차원에서 온 인류는 하나다), "만교일본 만법귀정"(신앙의 방식은 다를지언정 신앙의 근원인 진리는 하나다)을 근본 가르침으로 삼는다.[28]

  • "내얼이 한얼이다": "만물은 존재의 초월적 차원에서 하나이다", "본질적 차원에서 온 인류는 하나다"라는 진리를 나타낸다. 또한 "자아의 마음으로부터 벗어나 한얼의 마음(한얼심)으로 진리를 실천할 때 내가 곧 진리의 현존이다"를 표현하며, '에고의식' 상태에서 깨어나 자신의 본성인 '나얼의식'으로 현존하여 모든 존재를 위한 지혜와 자비를 실천하자는 한얼교의 근원적 가르침을 집약한다.


한얼교는 특정 대상을 숭배하지 않고, 단군, 예수, 부처, 노자, 공자 등 모든 깨어난 성현들을 진리의 스승으로 삼아 그 가르침의 핵심 진리를 이해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가르친다.[29] 에고의식이 아닌 나얼의식(본성)으로 현존하여 지혜와 자비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9]

한얼교는 개개인의 신앙을 존중하며, 각자의 종교를 신앙하면서도 자유롭게 한얼교의 가르침을 배울 수 있다.[30] 한얼교를 신앙하기 위해 자신의 종교를 포기할 필요가 없다.[30]

한얼교는 모든 종교의 창시자들을 포함한 모든 깨달은 성현들을 동일한 진리의 스승으로 존경하며, 타종교의 진리를 추구하는 신앙 방식을 상호 존중하고 장려하는 수용신앙을 실천한다.[56]

한얼교 성전에는 어떠한 형상이나 상징을 두지 않고, 형상 너머의 참된 진리를 상징하는 비어있는 빈자리만을 둔다.[56] 이는 '우리의 형상 너머 본성의 자리', '형상의 근원인 내 얼의 자리', '나얼을 찾아 한얼(만물의 본성)과 하나될 초월의 자리'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신앙의 길을 걸어온 사람들이 형식과 관습을 넘어 서로를 인정하고 수용할 때 진리의 자리에서 하나될 수 있다는 "수용신앙"의 신념을 나타낸다.[56]

3. 3. 단군과의 관계

한얼교는 단군을 포함한 모든 깨달은 성현들을 진리의 스승으로 존경하며, 특정 대상을 숭배하는 대신 형상 너머의 진리를 추구한다. 한얼교 성전에는 어떠한 형상이나 상징도 두지 않고, 형상 너머의 참된 진리를 상징하는 빈 의자를 배치한다.[56] 이 빈 의자는 '우리의 형상 너머 본성의 자리', '형상의 근원인 내 얼의 자리', '나얼을 찾아 한얼(만물의 본성)과 하나 될 초월의 자리'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신앙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형식과 관습을 넘어 진리의 자리에서 하나 될 수 있다는 "수용신앙"의 신념을 상징한다.[56]

한얼교는 "홍익인간 한얼정신"을 근본으로 삼아, 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하라는 단군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며, 이는 형식과 관습을 초월한 진리 추구와 상호 존중을 강조하는 수용신앙으로 이어진다.[28]

4. 한얼교의 상징: 빈 의자

한얼교는 숭배 대상을 두지 않고, "빈 의자"를 통해 자아의 육체적 형태와 에고의 정신적 형태, 즉 '나-올' 너머에 있는 자신의 참된 본질의 보이지 않고 침묵하는 본성을 상징한다.[7] 보이지 않음과 고요함은 궁극적으로 '나-올'과 하나인 '한얼'의 본질을 반영한다.[7]

여기서 '나-올'은 나의 영적 본질을, '한-올'은 만물의 영적 본질을 의미한다. 창시자의 교리에 따르면, "'나-올'은 '한-올'이다"라는 말은 "나의 영적 본질은 '한'의 영적 본질이다"를 뜻하며, 이는 "나의 본질은 전체의 본질과 하나이다" 또는 "모든 사람은 동일한 실존적 본성을 공유한다"로 해석할 수 있다.[8] 한얼교는 자신의 참된 본성('나-올')이 모든 것의 본성('한-올')과 하나임을 찾도록 돕고, 사랑, 지혜, 헌신을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참된 본성을 실현하도록 돕는다.[10]

이는 형상을 초월한 본래 자리, 즉 내면의 참된 본성을 찾는 것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만물의 본성인 한얼과 하나가 되는 자리(초월의 자리)를 의미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신앙 방식을 존중하고, 형식과 제약을 넘어 진리 안에서 하나 됨을 의미하는 수용과 화합의 뜻을 담고 있다.

5. 출간물

한얼교에서는 1960년대부터 다양한 서적을 출간했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는 주로 교리, 사상, 철학 등을 다룬 서적을 출간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한얼말씀'을 중심으로 다양한 내용의 서적을 출간하고 있다.[1]

5. 1. 1960-1990년대

연도저서
1966년묘도경
1967년진공묘유론, 정연장서
1968년바른 모습의 신비, 정일운동요람, 정화
1969년정학경서
1970년정학입문
1972년정화이념
1973년통합종교의 출현
1975년단군바른님
1976년얼.바름.행복
1978년민족성전, 인류성전, 한얼경서
1980년한사상[57], 한얼교
1981년한사상의 본질
1982년한사상의 원론[58], 물질의 본질을 규명하는데 있어서의 한의 철학적 해석
1984년한얼교 창교주 신정일[59]
1985년한과학론
1986년한주의온얼사상론[60]
1987년한경, 대통령직선제로 개헌을 제의한다
1988년제13대 대통령 후보 연설문집, 한얼말씀(한얼성서), 첨단정신 기술학개론
1989년나의 길, 한주의 정치 철학
1990년한반도 통일 창간호 출판
1991년가능성의 삼위일체, 한반도 통일을 향한 중도 노선
1993년온울과학 성격수학 개론
1994년신정일 정신한온학
1995년한얼교 육대원리 교리서
1996년한님의 만년교리[61]
1998년한얼말씀 36권


5. 2.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한얼교의 주요 문헌은 다음과 같다.[1]

제목내용
한얼의 서36권의 원본을 1권으로 편집
만년성서
나얼의 서무형무한 가능성의 교과서
광명의 서
온얼 광명의 서
지적혁명정신적 민주주의
정념의 서
훈법지나얼의 가르침, 한얼 원리의 가르침
실생활법문
전법교육에세이


참조

[1] 웹사이트 한얼교(Hanol-gyo) http://premium.brita[...]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2] 백과사전 신정일 (Shin Jeong Yil) http://terms.naver.c[...]
[3] 웹사이트 신정일(Shin Jeong Yil) http://www.doopedia.[...] 두산백과
[4] 웹사이트 Hanol Innovation http://www.hanol.org[...]
[5] 웹사이트 Shin Jeong Yil, the founder of Hanol-gyo http://www.hanol.org[...]
[6] 백과사전 두산백과 ‘한얼교’ http://www.doopedia.[...]
[7]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얼교’ http://terms.naver.c[...]
[8] 백과사전 다음백과 -한얼교 https://100.daum.net[...]
[9] 백과사전 홍익인간(Hongick Ingan) http://terms.naver.c[...]
[10] 웹사이트 Hanol-gyo http://www.hanol.org[...]
[11] 뉴스 한얼교 창교주 신정일씨 별세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1999-04-06
[12] 뉴스 한얼교 창교주 유골서 사리 28과 발견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1999-04-20
[13] 간행물 화제의 종교 행사 2002년 4월 4,5일 창교주 신정일 한님 한성제 3주년 추모행사 http://blog.naver.co[...] 정경뉴스 2002-05
[14] 뉴스 홍익인간의 정신 계승한 한얼교, 창교 50년 기념하는 한얼절 행사 가져 https://news.naver.c[...] SBS CNBC 2015-04-06
[15] 뉴스 한얼교 올해 창교 50년, 지난 발자취 쫓는다 (Hanol-gyo’s 50th anniversary)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5-04-03
[16] 뉴스 보고 깨닫는 미술 시각견성 http://v.media.daum.[...] News 1 2017-08-06
[17] 뉴스 특이점을 맞이한 정신문화 '시각견성' http://v.media.daum.[...] 한국경제 TV 2017-08-07
[18] 뉴스 New Religious Paradigm initiated by Art in Korea: Hanol Spiritual Movement of Art https://news.naver.c[...] SBS CNBC 2017-08-04
[19] 웹사이트 Hanol-gyo official website https://www.hanol.or[...]
[20] 웹사이트 정학경서 (The Book on the Reflection of Truth) https://www.nl.go.kr[...]
[21] 서적 한사상의 본질 (The Quintessence of HANOL Spirit) https://books.google[...]
[22] 서적 「한」思想原論 (The First Principle of HANOL Spirit) https://books.google[...]
[23] 웹사이트 신정일 정신한온학 (The Text book on HANON theory) https://www.nl.go.kr[...]
[24] 웹사이트 한님의 만년교리 (The Sacred Doctrine of 10,000 years) https://www.nl.go.kr[...]
[25] 문서 영문표기 : Hanol-gyo 또는 Hanolgyo, 한사상 Hanolism 또는 Hanol Philosophy
[26] 웹인용 다음백과 '한얼교' https://100.daum.net[...]
[27] 웹사이트 한얼교 공식홈페이지 참고 http://www.hanol.org[...]
[28]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얼교' https://terms.naver.[...]
[29] 뉴스 반세기 맞은 민족종교 한얼교 http://www.mjknews.c[...] 정경뉴스 2015-07-11
[30] 뉴스 한얼교 창교 50년 기념 '한얼절' 행사 http://news.naver.co[...] 한국경제 2015-04-06
[31] 웹인용 두산백과 '신정일' https://terms.naver.[...]
[32] 웹인용 조선일보 피플조선 '신정일' http://cdb.chosun.co[...] 2015-10-14
[33] 서적 전환기의 한국 종교 집문당
[34] 웹인용 두산백과 '한얼교' https://terms.naver.[...]
[35] 뉴스 종교단체 정일회 한얼교로 개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8-01-27
[36] 뉴스 신정일 통일한국당 후보, 부산 유세 https://imnews.imbc.[...] MBC뉴스 1987-12-06
[37] 뉴스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후보, 강화.김포 첫 유세 https://imnews.imbc.[...] MBC뉴스 1987-11-27
[38] 뉴스 한얼그룹 사업확장 財界주목-컴퓨터등 계열 17社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995-08-04
[39] 뉴스 한얼상사 이라크진출 화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1면 1997-07-03
[40] 뉴스 이라크명예영사취임 신정일씨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1996-10-27
[41] 뉴스 파운데이션 펠로 취임식 참석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1997-08-26
[42] 뉴스 우슈협회장에 신정일 한얼교 이사장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1998-04-09
[43] 뉴스 한얼교 창시 신정일씨 기업-정치-외교 수완 이라크 명예대사도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9-04-07
[44] 뉴스 한얼교 창교주 신정일씨 별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4-06
[45] 뉴스 민족종교 한얼교 한사상, 지적혁명으로 민족의 새천년 하늘 연다 월간 시사매거진 p.36~41 1999-11
[46] 뉴스 한얼교 신정일 법통 추모 8주년 한얼정신 바르게 세운다 월간시사포토뉴스 2007-04
[47] 뉴스 신정일 한얼교 창교주 유골서 사리 28과 발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4-20
[48] 뉴스 양자적도약 시대…종교와 인종 뛰어넘은 '화합' 중요한 때 https://cnbc.sbs.co.[...] SBS CNBC 2016-04-04
[49] 뉴스 개천철 4348년, 한얼교 창교 50주년, 한얼정신 반백년 역사 재정립해 https://web.archive.[...] 정경뉴스 2016-10-04
[50] 뉴스 홍익인간의 정신 계승한 한얼교, 창교 50년 기념하는 한얼절 행사 가져 https://news.v.daum.[...] SBS CNBC 2015-04-06
[51] 잡지 홍익인간정신을 초월적 계몽주의 철학으로 계승한 한얼교, 특이점을 향해 진화하는 시대와 인류 의식진화를 말하다 http://www.powerkore[...] 파워코리아 2015-02
[52] 뉴스 창교 50년 맞은 한얼교, 마니산 한얼온궁에서 한얼절 기념행사 개최 https://news.naver.c[...] 한국경제TV 2015-04-16
[53] 뉴스 한얼교 올해 창교 50년, 지난 발자취 쫓는다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15-04-17
[54] 웹사이트 한얼교 홈페이지 – 한얼혁신 참고 http://www.hanol.org[...]
[55] 웹인용 한얼교 공식 홈페이지 교리 설명 부분 <한얼법> http://www.hanol.org[...]
[56] 웹사이트 한얼교 홈페이지 – 수용신앙 참고 http://www.hanol.org[...]
[57] 서적 한思想 정화사
[58] 서적 한사상원론 https://web.archive.[...] 2014-09-04
[59] 뉴스 한얼교 創敎主 申正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5-24
[60] 웹사이트 한主義 온얼思想論 https://www.nl.go.kr[...]
[61] 웹사이트 한님의 만년교리 -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