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방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방함은 일본 제국 해군에서 사용된 함선 분류로, 1898년 제정된 '해군 군함 등급 분류 표준'에 따라 슬루프, 코르벳 등을 포함하여 3등급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전함, 항공모함, 잠수 모함 등이 해방함으로 편입되거나 분류가 변경되었으며, 1931년 등급이 폐지되었다가 1942년 재정의되면서 시무슈형 해방함 등 신형 해방함이 등장했다. 태평양 전쟁 후기에는 선단 호위를 위해 대량 생산되었으며, 해상자위대 호위함과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원형이 되었다. 해방함은 갑형, 병형, 정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일부는 연합군에 인도되거나 해상보안청에서 순시선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함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함 - 구축함
    구축함은 어뢰정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군함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어 함대 호위, 해안 경비, 대잠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첨단 기술 도입과 무인화, 자동화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해상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해방함
개요
유형해방함
건조국일본 제국 해군
운용 기간1942년 ~ 1945년
역할대잠전, 선단 호위
설계
기준 배수량857톤 (A형, 을형, 병형)
만재 배수량940톤 (A형, 을형, 병형)
길이77.7m (A형, 을형, 병형)
9.1m (A형, 을형, 병형)
흘수3.0m (A형, 을형, 병형)
동력
추진 방식증기 터빈
엔진2축
출력1,900 마력 (A형, 을형, 병형)
속력16.5 노트 (A형, 을형, 병형)
항속 거리3,500 해리 (14노트) (A형, 을형, 병형)
무장
주포120mm 연장포 3문 (A형)
대공포25mm 3연장 기관총 (A형)
폭뢰36개 (A형, 을형, 병형)
승조원
인원197명 (A형, 을형, 병형)

2. 일본의 해방함

1942년 7월 1일 종류 변경을 기점으로 일본 해군의 해방함은 그 성격이 크게 달라졌다. 그 이전에는 구식화된 전함과 순양함을 해방함으로 분류했고, 군함에 적을 둔 채 연근해의 방어에 이용하고 있던 함(이하 ‘옛 정의함’)을 가리켰다. 기준을 변경한 이후에는 “어업 보호와 해상 호위를 목적으로 1937년 이후에 새로 제작된 소형의 호위 함정”을 해방함으로 고쳤다.[51][9] 일반적으로 ‘해방함’이라면 이 변경 이후의 것을 가리킨다.

이 함선들은 연합군의 호위구축함 및 호위함과 동등한 일본 해군의 함선으로, 함대 구축함을 대체하는 저렴한 대잠수함전 대안으로 건조되었다.[3] ''해방함''은 어뢰 발사기를 장착하지 않은 디젤 엔진 함선이었던 반면,[2] 연합군의 호위구축함은 보일러 및 터빈 기계를 특징으로 하고 어뢰를 탑재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설계 차이로 인해 ''해방함''은 호위 임무를 수행할 때 연합군 호위구축함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4]

전쟁 과정에서, 더 많은 수의 함선을 더 빠르게 건조하기 위해 설계가 단순화되고 축소되었다.

일본의 해방함은 1만 톤급의 전함 클래스부터 1,000톤 미만의 소형 함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11][12] 연안·영해경비, 거점 방위, 선단 호위, 대잠 초계 등을 주요 임무로 하였다.[13][14] 임무의 성격상, 무장·장갑을 중시하고 속도·항양성을 희생한 함정이 많았다.[7][15]

태평양 전쟁 이전의 일본 해방함은[9], 구식화된 군함의 총칭이다.[17][18] 동해 해전 (러일 전쟁)에서의 연합 함대 기함(사령장관 도고 헤이하치로 대장 승함)이었던 전함 미카사도 최종적으로 해방함으로 분류되었다.[19][20]

현재 해상자위대에서 이 함종 구분은 존재하지 않지만, 전쟁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해방함으로서의 역할을 겸하도록 설계된 일본 해군의 타치바나형(改丁형) 구축함 ‘나시’(梨)를 해상자위대가 조직으로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증거로 다시 취역시키고, 호위함 ‘와카바’로 운용한 바 있다. 현재는 해방함 역할은 해상경찰(외국의 국경경비대에 해당)인 해상보안청이 담당하고 있다.

2. 1. 해방함의 분류별 변천 (일본 제국 해군)

1898년 3월 21일 일본 제국 해군은 '해군 군함 및 수뢰정 종류별 표준'을 제정하고 군함에 해방함 3등급(1등, 2등, 3등)을 규정했다.[11][27] 초기 슬루프코르벳 등 총 10척을 3등 해방함으로 분류했다.[36]

1905년 12월 12일 2등 전함을 폐지하고 기존의 2등 전함 3척을 해방함으로 편입했다.[37][38]

1912년 8월 28일 '해군 함정 종류별 표준'을 개정하여 3등 해방함을 폐지하고 2등 해방함으로 통합했다.[41][42] 수뢰모함과 통보함 분류를 폐지하고 해방함에 편입했다.[43][44]

1920년 4월 1일 '해군 함정 분류별 표준'을 개정하여 항공모함 분류를 신설하고, 수뢰모함 분류를 부활시켰다.[46][47]

1931년 5월 30일 해방함 등급을 폐지했다.[50]

1942년 7월 1일 '해방함' 정의를 검토하고 군함 분류에서 제외했다.[12] 새로 건조한 호위함을 새롭게 함정의 일종인 '해방함'으로 분류하고, 기존의 해방함은 항해 능력이 있는 것을 1등 순양함, 없는 것을 연습특무함으로 정하고 해방함 적에서 제외했다.[51][54]

일본 제국 해군의 해방함 분류별 변천
시기등급내용
1898년 3월 21일1등, 2등, 3등해군 군함 및 수뢰정 종류별 표준 제정, 군함 내 해방함 규정.[11][27] 초기 슬루프와 코르벳 등 총 10척 3등 해방함 분류.[36]
1905년 12월 12일1등, 2등, 3등2등 전함 폐지, 기존 3척 해방함 편입.[37][38]
1912년 8월 28일2등해군 함정 종류별 표준 개정, 3등 해방함 폐지 및 2등 통합.[41][42] 수뢰모함 및 통보함 종류 폐지, 일부 해방함 편입.[43][44]
1920년 4월 1일2등해군 함정 종류별 표준 개정, 항공모함 종류 신설 및 수뢰모함 종류 부활.[46][47]
1931년 6월 1일(등급 폐지)해방함 등급 폐지.[50]
1942년 7월 1일(정의 변경)해방함 정의 재검토, 군함 분류에서 제외.[12] 신조 호위함 해방함 분류, 기존 해방함 1등 순양함 또는 연습특무함 변경.[54]


2. 2. 태평양 전쟁 시기 신형 해방함

일본 제국 해군태평양 전쟁 후기에 선단 호위와 연안 경비를 위해 프리깃에 해당하는 소형 전투함인 해방함을 대량 건조했다.[3] 해방함은 대공, 대잠 무장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해상자위대 호위함과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원형이 되었다.[57][58]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 일본은 에토로후형 건조를 시작했고, 전쟁 악화로 인해 우라크형, 히비키형 등 대량 생산을 위한 간소화된 해방함을 건조했다.[76][77] 이는 군 당국뿐만 아니라 미쓰비시 중공업, 일본강관, 히타치 조선 등 민간 조선 업체까지 참여한 국가적 프로젝트였다.

전황이 악화되면서 소규모 조선소에서도 건조 가능한 소형화, 단순화된 병형, 정형 해방함이 100척 이상 건조되었다.[83][84] 이는 전시 중 일본 해군이 건조한 함종 중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해방함 투입 시기는 이미 늦었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블록 공법과 전기 용접을 본격 채용하여 전후 조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해방함은 남방과 일본 근해에서 연합군 잠수함, 항공기에 맞서 수송선을 호위하며 전투를 벌였으나, 171척 중 72척이 손실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8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해상 운송은 거의 궤멸되었다.

레이테 만 해전과 마리아나 해전에서 연합 함대가 궤멸되면서 해방함은 일선 작전에 투입되었다. 해방함 운용은 고등상선학교 출신 해군 예비역 장교들이 담당했으며, 이들은 해상교통로 방위를 위해 결사적인 전투를 벌였다.[93][95]

전후 살아남은 해방함은 연합군에 넘겨졌으나, 일부는 해상보안청에서 순시선으로 활약했다.[96]

2. 3. 해방함의 유형 (일본 해군)

일본 해군은 태평양 전쟁 후기에 선단 호위와 연안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소형 전투함인 해방함을 많이 건조했다. 해방함은 다른 나라의 프리깃에 해당하며, 대공, 대잠 무장을 중심으로 하였다. 해방함은 전후 초기에 배치된 해상자위대 호위함과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원형이 된 함이다.

해방함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갑형'''
  • 시무슈형 해방함 (占守型)
  • 에토로후형 해방함 (択捉型)
  • 미구라형 해방함 (御蔵型)
  • 히부리형 해방함 (日振型)
  • 우크르형 해방함 (鵜来型)
  • '''병형''': 1호형 해방함
  • '''정형''': 2호형 해방함


이 함선들은 연합군의 호위구축함 및 호위함과 동등한 일본 해군의 함선으로, 세 종류의 군함 모두 함대 구축함을 대체하는 저렴한 대잠수함전 대안으로 건조되었다.[3] ''해방함''은 어뢰 발사기를 장착하지 않은 디젤 엔진 함선이었던 반면,[2] 연합군의 호위구축함은 보일러 및 터빈 기계를 특징으로 하고 어뢰를 탑재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설계 차이로 인해 ''해방함''은 호위 임무를 수행할 때 연합군 호위구축함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4]

전쟁 과정에서, 더 많은 수의 함선을 더 빠르게 건조하기 위해 설계가 단순화되고 축소되었다. 해방함의 제원(A형, 개량형 A형, B형, 개량형 B형)은 다음과 같다.

구분주 엔진최대 속도항속 거리연료
A형디젤 X 2, 2축 (4200shp)19.7kn8000nmi (16kn)오일 X 120t
개량형 A형디젤 X 2, 2축 (4200shp)19.7kn8000nmi (16kn)기름 X 120t
B형디젤 X 2기, 2축 (4200shp)19.5kn6000nmi (16kn)유류 X 120t
개량형 B형디젤 × 2기, 2축 (4200shp)19.5kn5754nmi (16kn)기름 × 120t



디젤 엔진을 사용한 C형과 터빈 엔진을 사용한 D형으로 설계는 동일했다. 전쟁 기간 동안 모듈식 설계 방식을 사용하여 120척 이상이 대량 생산되었다.

일본의 해방함은 1만 톤급의 전함 클래스부터 1,000톤 미만의 소형 함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1][12] 연안·영해경비, 거점 방위, 선단 호위, 대잠 초계 등을 주요 임무로 하는 함정을 가리킨다.[13][14] 임무의 성격상, 무장·장갑을 중시하고 속도·항양성을 희생한 함정이 많다.[7][15]

3. 한일 관계와 해상 전력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정상적인 작업이 불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을 수정하는 대신, 원본 소스가 없다는 점을 명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수정된 출력)

해당 섹션에 대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어야 위키텍스트 작성이 가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tories and Battle Histories of the IJN's Escorts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13-10-19
[2] 간행물 REPORTS OF THE U. S. NAVAL TECHNICAL MISSION TO JAPAN, SERIES S: SHIP AND RELATED TARGETS http://www.fischer-t[...]
[3] 서적 Sea Power Prentice-Hall 1960
[4] 서적 Imperial Japanese Navy Antisubmarine Escorts 1941–45 Bloomsbury Publishing
[5] 서적 Imperial Japanese Navy Destroyers 1919–45 (2) Bloomsbury Publishing
[6] 간행물 REPORTS OF THE U. S. NAVAL TECHNICAL MISSION TO JAPAN, SERIES S: SHIP AND RELATED TARGETS http://www.fischer-t[...]
[7] 서적 海軍圖説 https://dl.ndl.go.jp[...] 大日本圖書
[8] 문서 "#福井著作10"
[9] 문서 "#丸写真七|写真日本の軍艦7巻"
[10] 웹사이트 海防艦とは https://kotobank.jp/[...] 2021-09-06
[11]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2] 문서 "#木俣海防|海防艦戦記"
[13] 문서 "#平易陸海軍知識|平易に説いた陸海軍の知識"
[14] 문서 "#桑野戦争智識|桑野、戦争の智識"
[15] 서적 陸軍海軍 https://dl.ndl.go.jp[...] 日本青年教育界
[1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7] 문서 "#P年鑑1935|ポケット海軍年鑑(1935年版)"
[18] 문서 "#軍艦2600|日本軍艦集2600年版"
[1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20] 문서 "#達大正10年9月"
[21] 문서 "#雨倉コンボイ|海軍護衛艦物語"
[22] 문서 "#雨倉コンボイ|海軍護衛艦物語"
[23] 문서 "#雨倉コンボイ|海軍護衛艦物語"
[24] 문서 "#雨倉コンボイ|海軍護衛艦物語"
[25] 문서 新造ノ第一海防艦外六艦ニ仮名ヲ附ス https://www.jacar.ar[...]
[2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27] 문서 "#達明治31年3月(1)"
[28] 문서 海防艦発達史 学習研究社 2002
[29] 서적 大日本軍艦写真帖 https://dl.ndl.go.jp[...] 海上協会
[30] 문서 "#百科10国防|児童百科大事典、国防篇"
[31] 문서 "#阿部読本1937|海軍読本(1937)"
[32] 문서 "#幕末以降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33] 문서 "#幕末以降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34] 문서 "#幕末以降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35] 문서 "#幕末以降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
[36] 문서 達明治31年3月(1)
[37]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38] 문서 達明治38年12月
[3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0] 문서 達明治38年12月
[41]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2]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3] 문서 達大正元年8月
[44] 문서 達大正元年8月
[45] 문서 達大正元年8月
[4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7] 문서 達大正9年4月
[48]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9] 문서 達大正9年4月
[50]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51] 문서 内令昭和17年7月(1)
[52] 문서 達昭和17年7月(1)
[53] 문서 内令昭和17年7月(1)
[54] 문서 内令昭和17年7月(1)
[5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7年7月2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4131号 p.20 C12070421700
[56] 문서 内令昭和17年7月(1)
[57]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58] 서적 叢書46海上護衛戦
[59] 서적 補助艦艇奮戦記
[60] 서적 本土方面海軍作戦
[61] 서적 補助艦艇奮戦記
[62]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63]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64]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65] 문서 御説明案
[66] 문서 御説明参考資料(1)
[67] 문서 御説明参考資料(2)
[68] 서적 本土方面海軍作戦
[69] 서적 補助艦艇奮戦記
[70]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71]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72]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73]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74]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75]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76] 서적 海軍護衛艦物語
[77]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78] 간행물 一、經緯
[79] 간행물 第四章 昭和十八年一月より同十八年十月迄の經過
[80] 서적 (1)海防艦の建造
[81] 간행물 別紙 一、艦船建造(イ)緩急順序(一)海防艦 (二)魚雷艇及潜水艦 (三)哨戒艇及輸送用艦船 (ロ)竣工目途|海防艦|年度一八:二四|一九:一〇〇|二〇:一二〇|計:二四四|要求兵力:三三〇|備考:速力一六節附近ニ低下の見込
[82] 간행물 (別紙)第一、艦船建造補充
[83] 서적 ▽丙型丁型海防艦/砲艦
[84] 간행물 (イ)実行計畫 昭和十九年度戰時建造艦艇、昭和二十年度戰時建造艦艇として、夫々昭和十八、十九年度に於て計畫された新規追加建造計畫艦艇次の通り
[85] 서적 樋口直海軍大尉(対潜訓練對司令部附)回想
[86] 서적 護衛艦としての旧式駆逐艦及び水雷艇
[87] 서적 小山貞海軍大佐(臨時護衛船団参謀)回想
[88] 간행물 護衛艦は昭和十八年度(自十八年四月至十九年三月)建造計畫四三隻、昭和十九年度(自十九年四月至二十年三月)建造計畫一八八隻に對するものが續々就役し昭和二十年三月迄には約一三〇隻の新海防艦が實施部隊に加つて居たが戰局に立遅れて居たので遂に敵潜水艦を壓倒することが出來ず戰況酷烈となるや敵潜水艦の外航空機、機雷の爲少なからず喪失するといふ情況であつた。
[89] 서적 松林元哉海軍大佐(佐渡海防艦長)回想
[90] 서적 大地の乱 成田闘争―三里塚反対同盟事務局長の30年 お茶の水書房 1996
[91] 서적 大東亞戦争期間中に竣工した海防艦隻数
[92] 서적 写真日本の軍艦7巻
[93] 서적 船団護衛と海防艦(護国海防艦碑の碑文より)
[94] 간행물 然し兎に角海防艦も増加して來たので編制を強固ならしめる必要を生じ昭和十九年七月初めて海防艦四隻を以て第一海防隊を組織し第一海上護衛隊に編入 十一月には練習巡洋艦「香椎」を旗艦とする海防艦六隻を以て第一〇一戰隊を組織し海上護衛總司令部に編入 更に十二月十日附第一海上護衛隊は第一海上護衛艦隊に昇格、海防隊、海防戰隊(一〇一、一〇二戰隊等と呼稱)の數も逐次増加して居た。
[95] 서적 リザーブ・オフィサー、大活躍
[96] 서적 再び海を守って(昭和二十九年)
[97] 서적 海防艦ってどんな船?
[98] 서적
[99] 간행물 ◎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 明治三十一年三月二十一日(達三五){{small|改正 明治三十二年十月一七八號、三十三年六月一二二號消滅}}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別紙ノ通定ム(別紙)軍艦|戰艦|一等|富士 八島 敷島 朝日|/|二等|扶桑 鎭遠
[100] 간행물 達第百六十號 特務艦類別等級別表中運送艦ノ欄内「神威」ノ次ニ「、富士」ヲ加フ 大正十一年九月一日 海軍大臣男爵 加藤友三郎
[101] 간행물 達第二百十二號 特務艦類別等級別表中左ノ通改正ス 大正十一年十二月一日 海軍大臣男爵 加藤友三郎 運送艦ノ項中「、富士」ヲ削リ測量艦ノ項ノ次ニ左ノ一項ヲ加フ |練習特務艦| |富士|
[102] 간행물 達第七十二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練習特務艦ノ欄内「富士」ノ次ニ「、敷島、朝日」ヲ加フ 大正十二年四月一日 海軍大臣 男爵加藤友三郎
[103] 간행물 達第七十二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練習特務艦ノ欄内「富士」ノ次ニ「、敷島、朝日」ヲ加フ 大正十二年四月一日 海軍大臣 男爵加藤友三郎
[104] 간행물 昭和十二年八月十六日(内令四七二)特務艦類別等級別表中左ノ通改正ス 工作艦ノ部中「明石」ノ下ニ「、朝日」ヲ加フ 練習特務艦ノ部中「、朝日」ヲ削ル
[105] 간행물 達第百九十六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戰艦ノ欄内「香取、鹿島、薩摩、安藝」、巡洋戰艦ノ欄内「生駒、鞍馬、伊吹」及海防艦ノ欄内「三笠、肥前」ヲ削除ス 大正十二年九月二十日 海軍大臣 財部彪
[106] 간행물 内令昭和19年6月
[107] 간행물 海軍軍備(6)特攻戦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