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루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루프는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사용된 군함의 종류로, 프리게이트보다 작으며 슬루프형 포함이라고도 불렸다. 항해 시대에는 10~20문의 대포를 탑재하고 2~3개의 돛대를 갖춘 군함으로, 주로 호위함이나 경비함으로 활용되었다. 증기선 시대를 거치며 쇠퇴했지만, 제1, 2차 세계 대전에서 초계함, 소해정 등으로 부활하기도 했다. 돛단배로서의 슬루프는 단일 마스트에 하나의 앞돛과 메인세일을 가진 범선을 의미하며, 마스트 위치와 포어스테이 설치 방법으로 커터와 구분된다. 버뮤다 슬루프는 버뮤다식 범선을 가진 슬루프를 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슬루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범선 |
돛대 수 | 1개 |
돛 | 전후범장 |
특징 | 단일 돛대와 전후범장을 가진 항해선 |
다른 의미 | 군함의 일종 (슬루프) |
선체 및 돛 구성 | |
돛 구성 | 주돛 (main sail) 삼각돛 (jib) 플라잉 지브 (flying jib) |
추가 돛 | 크로스잭 (crossjack) 톱세일 (topsail) 세이브올 톱세일 (save-all topsail) 톱 갤런트 세일 (top gallant sail) 개프 톱세일 (gaff-rigged topsail) |
기타 | 여러 개의 사각 돛 장착 가능 |
역사적 용례 | |
용도 | 옛날에는 전쟁에 사용 (군함) 현재는 레저용 또는 항해용 |
용어 관련 참고 사항 | |
명칭 혼동 | 코르벳과 크기 관계가 역전되는 경우 있음 슬루프와 코르벳의 크기 관계가 항상 일정하지 않음 일부 슬루프는 코르벳과 유사 |
참고 | 코르벳#범선 코르벳 문서 참조 |
2. 군함으로서의 슬루프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슬루프는 프리게이트보다 작은 군함으로, 주로 선단 호위, 연안 경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보통 슬루프는 군함으로 분류하지 않았고, 크기나 범장이 다른 슬루프와 프리게이트는 슬루프형 포함(Sloop-of-war)라고 통칭했다.
항해 시대에는 10문에서 20문의 대포를 탑재한 포갑판을 갖추고, 2개나 3개의 돛대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돛대가 2개면 브리그 슬루프, 3개면 쉽 슬루프로 분류했지만, 돛대의 수에 따른 구분이었을 뿐 범장 형식에 따른 엄밀한 구분은 아니었다.
증기선 시대로 넘어가면서 포격함이나 구축함 등에 밀려 슬루프는 점차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때 영국 해군에서 초계형 선단 호위함으로 슬루프가 부활했고,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다양한 소형함이 슬루프라는 이름으로 건조되었다. 하지만 양산성이 높은 코르벳이나 프리게이트에 밀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루프는 더 이상 건조되지 않았다.
프랑스 해군의 식민지 통보함이나, 일본 해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건조한 해방함(일본이 2차대전 중에 사용한 구축함의 일종) 등은 영어 문헌에서 슬루프로 분류되기도 한다.
2. 1. 항해 시대
항해 시대의 슬루프는 10문에서 20문의 대포를 탑재한 포갑판을 갖추고 있었으며, 2개 또는 3개의 돛대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돛대가 2개인 슬루프는 브리그 슬루프, 3개인 슬루프는 쉽 슬루프로 분류되었으나, 이는 돛대의 수에 따른 구분일 뿐 엄밀한 범장 형식에 따른 구분은 아니었다. 주로 선단 호위함이나 연안 경비함으로 이용되었다.2. 2. 증기선 시대와 제1, 2차 세계 대전
항해 시대에서 증기선 시대로 넘어오면서, 슬루프는 포격함이나 구축함 등에 밀려 점차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때 영국 해군에서 초계형 선단 호위함 분류로 슬루프가 부활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선단 호위함, 함대형 소해정, 초계함, 식민지 경비함 등 다양한 소형함이 슬루프라는 이름으로 건조되었다. 하지만, 양산성이 더 높은 코르벳이나 프리게이트에 밀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슬루프는 더 이상 건조되지 않았으며, 블랙스완급 슬루프가 마지막 슬루프형 함선이다.2. 3. 대한민국 해군과 슬루프
대한민국 해군은 공식적으로 슬루프라는 함종을 운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 해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건조한 해방함(일본이 2차대전 중에 사용한 구축함의 일종)은 영어 문헌에서 슬루프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해군의 역사와도 관련이 있다.[3]3. 돛단배(범선)로서의 슬루프
슬루프(sloop)는 '미끄러진다'는 뜻의 고대 영어 단어 'slūpan'과 관련된 네덜란드어 'sloep'에서 유래했다.[3] 슬루프는 일반적으로 단일 마스트에 하나의 앞돛(지브)과 하나의 뒷돛(메인세일)을 가진 돛단배이다. 이러한 형태의 슬루프는 모든 범선 돛대 중 가장 일반적이며, 버뮤다 슬루프는 레저용 선박의 기본 형태로 널리 사용된다.[4] 선박에 두 개 이상의 앞돛이 있다면, 특히 마스트가 뒤쪽으로 더 설치된 경우 커터라고 부를 수 있다.[5]
3. 1. 구조 및 특징
슬루프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마스트에 하나의 앞돛(지브)과 하나의 뒷돛(메인세일)을 가진 돛단배를 의미한다.[3] 슬루프는 가장 일반적인 범선 돛대 형태로, 버뮤다 슬루프는 레저용 선박의 기본 형태로 널리 사용된다.[4] 만약 선박에 두 개 이상의 앞돛이 있다면, 특히 마스트가 뒤쪽으로 더 설치된 경우 커터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5]
슬루프의 헤드세일은 마스트헤드 리그 또는 프랙셔널 리그일 수 있다. 마스트헤드 리그 슬루프에서는 헤드세일이 달린 포어스테이가 마스트 상단에 부착된다. 프랙셔널 리그 슬루프에서는 포어스테이가 상단 아래의 마스트 지점에 부착된다. 슬루프는 선수에서 앞으로 돌출되는 스파인 바우스프릿을 사용할 수 있다.
항해용 슬루프는 마스트 1개에 가프 1장과 지브 1장을 가진 돛 형태이다. 마스트의 개수와 거기에 달린 돛의 종류는 커터와 같지만, "선체에 대한 마스트의 위치"와 "포어스테이의 설치 방법"으로 구분된다.
마스트의 위치는 커터보다 선수 쪽에 가깝다. 따라서 슬루프의 지브는 커터의 것보다 작고, 일반적으로 1장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슬루프라도 프렌드십 슬루프와 같은 형태에서는 여러 개의 선수 돛을 가지고 있으며, 선수 돛의 수는 결정적인 구별 요소가 아니다. 결국 마스트의 위치가 슬루프를 정의하는 가장 큰 요소가 된다.
두 가지를 구별하는 가장 명확한 요소는 포어스테이(마스트와 선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의 설치 방법이다. 슬루프의 경우, 바우스프릿의 끝과 마스트 사이에 스테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바우스프릿을 움직일 수 없고, 항상 설치해 두어야 한다.
3. 2. 슬루프와 커터의 구분
슬루프와 커터는 모두 마스트가 1개이고 가프 1장과 지브 1장을 가진 돛 형태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선체에 대한 마스트의 위치"와 "포어스테이의 설치 방법"으로 구분된다.마스트의 위치는 커터보다 선수 쪽에 가깝다. 따라서 슬루프의 지브는 커터의 것보다 작고, 일반적으로 1장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슬루프라도 프렌드십 슬루프와 같은 형태에서는 여러 개의 선수 돛을 가지고 있으며, 선수 돛의 수는 결정적인 구별 요소가 아니다. 결국 마스트의 위치가 슬루프를 정의하는 가장 큰 요소가 된다.
두 가지를 구별하는 가장 명확한 요소는 포어스테이(마스트와 선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의 설치 방법이다. 슬루프의 경우, 바우스프릿의 끝과 마스트 사이에 스테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바우스프릿을 움직일 수 없고, 항상 설치해 두어야 한다. 반면 커터의 경우, 바우스프릿이 아닌 선체의 선수단에 스테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터는 바우스프릿을 제거하여 수납할 수도 있으며, 혼잡한 항만 내 항해 시나 강풍 하에서 지브를 수납할 때 편리하다.
3. 3. 버뮤다 슬루프
'''버뮤다 슬루프'''(Bermuda sloop)는 17세기 초 버뮤다에서 개발된 버뮤다식 범선을 가진 슬루프이다.[4] 보통 슬루프는 마스트가 1개이지만, 버뮤다 슬루프는 3개의 마스트로 건조된 것도 많아, 버뮤다식 범선 스쿠너와 동의어이기도 하다. 20세기 초 버뮤다 리그가 버뮤다 외부에서 인기를 얻기 전에는 슬루프가 톱세일 야드에 걸리고 크로스잭으로 아래에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사각 돛을 사용했을 수도 있다.[6]4. 대표적인 군함 슬루프
범선 시대의 전투용 슬루프는 슬루프 오브 워(Sloop-of-war)라고도 불렸다.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사용된 프리깃과 코르벳의 중간에 위치하는 군함으로, 1층의 함포 갑판에 10~20문의 대포를 탑재했다. 주로 함대 호위함이나 연안 경비함으로 사용되었다.[1]
범선 시대에서 기관선 시대로 옮겨감에 따라, 포함이나 해방함 등으로 불리게 되어 별로 사용되지 않는 분류가 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원양형 함대 호위함의 분류로서 영국 해군에서 부활했다. 그 후, 제2차 세계 대전에 걸쳐 함대 호위함 외에 함대형 소해정이나 초계함, 식민지 경비함 등 다양한 성격의 소형함이 슬루프라는 이름으로 건조되었다. 그러나, 더 높은 양산성을 가진 코르벳이나 프리깃에 함대 호위함의 주력 지위가 넘어가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블랙스완급 슬루프를 마지막으로 슬루프라는 이름의 함선은 건조되지 않았다.[1]
프랑스 해군의 식민지 통보함(aviso)이나, 일본 해군이 제2차 세계 대전기에 건조한 해방함 등은, 영어 문헌에서 슬루프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1]
; 범선 시대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 플라워급 슬루프(제1차 세계 대전)[1]
- 헌트급(제1차 세계 대전) - 소해 슬루프[1]
- 브리지워터급[1]
- 헤이스팅스급[1]
- 쇼어햄급[1]
- 밴프급(:en:Banff class sloop) - 영국 해군에서 미국으로부터 제공받은 해안경비대의 레이크스급 커터를 분류한 것[1]
- 그림즈비급[1]
- 비턴급(:en:Bittern class sloop)[1]
- 이글릿급[1]
- 블랙스완급[1]
참조
[1]
웹사이트
SLOOP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9-05-12
[2]
서적
The American Sailboat
https://books.google[...]
MBI Publishing Company
2001-12-06
[3]
웹사이트
Sloop
https://www.dictiona[...]
2019-05-12
[4]
서적
Sailing Rigs, an Illustrated Guide
Chatham Publishing
2005
[5]
웹사이트
Cutter sailing craft
https://www.britanni[...]
2019-05-12
[6]
서적
Progressiv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Progressive
1885
[7]
논문
古今(こきん)用語撰
https://doi.org/10.1[...]
日本船舶海洋工学会
2020-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