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벳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벳은 배수량 500~3,000톤의 소형 전투함으로, 연안 해역에서 초계 임무 등을 수행한다. 대항해 시대에는 슬루프와 유사한 소형 군함으로 해안 경비 및 함대 지원 역할을 했으며, 17세기 프랑스 해군에서 처음 "코르벳" 명칭을 사용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쉽고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호송 호위함으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중/소구경 함포, 대함 미사일, 대공 미사일, 대잠 무기 등으로 무장한다. 코르벳은 건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여러 국가에서 운용하며, 특히 발트 해나 페르시아 만과 같은 소규모 해역을 가진 국가에서 선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용 범선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군용 범선 - 맨오브워
맨오브워는 전투원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15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해상 전투의 주력 함선으로, 시대에 따라 캐러크, 갤리온, 전열함 등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전열함은 해상 패권 경쟁 국가들의 주력 함선이었으나 증기선 등장으로 쇠퇴했고, 최대 120문의 대포를 탑재한 강력한 화력을 자랑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코르벳 | |
---|---|
개요 | |
![]() | |
![]() | |
정의 | |
종류 | 소형 군함 |
같이 보기 | |
관련 함급 | 타란툴급 |
2. 역사
"코르벳"이라는 단어는 바구니를 뜻하는 라틴어 ''corbisla''에서 유래했다. 로마 시대 무역선은 망루에 바구니를 매달아 감시했기 때문에 ''corbitasla''라고 불렸다. 중세 시대에는 코르비스타(corbistala)는 1개의 돛대를 가진 갤리선을 가리켰다. 스페인어에서는 B와 V 발음이 혼동되기 쉬워 프랑스어에서 ''corvettela''로 변화했다.
근대 군함으로서 "코르벳"의 시초는 1674년 프랑스 해군이 진수한 대형 바크(barque longue프랑스어)인 "라 코르벳"으로 여겨진다. 이 배는 소형 프리깃과 유사하며, 기존 함선보다 많은 8문의 포를 탑재했다. 17세기 말, 코르벳은 대형화와 함께 포의 수가 증가했다. 1696년 프랑스 해군은 "코르벳"을 대형 바크의 하위 분류로 채택했고, 1746년에는 대형 바크 전체를 나타내는 함종명으로 변경했다.
"코르벳"은 원래 무역선을 나타내는 단어였지만, 군함에 도입되면서 영국 해군의 슬루프처럼 매우 광범위한 함종을 의미하게 되었다. 18세기에는 전투 코르벳(Corvettes de Guerre프랑스어), 통보 코르벳(Corvettes Aviso프랑스어), 화물 코르벳(Corvettes de Charge프랑스어)의 세 종류가 있었다. 전투 코르벳은 영국 해군의 20~24문 함에 해당하며, 6등함으로 분류되어 함대 결전에서는 전열에 참가하지 않고 통신 중계나 손상된 함선 예인 등 보조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상부 갑판 위에 구조물이 거의 없어 통풍이 잘 되었기 때문에 열대 및 아열대 식민지에 많이 배치되었다. 대반란 작전이나 군함 외교에도 편리하게 사용되었다.
thumb의 범선 코르벳 "금강"]]
대륙 유럽에서는 "코르벳"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지만, 영국 해군에서는 여전히 "슬루프"가 널리 사용되었다. 1817년 24~36문 탑재 대형 슬루프가 프리깃으로 분류 변경되면서, 이 함선들은 "덩키 프리깃"이라고 비하되기도 했지만, 나중에는 "코르벳"이라고 불렸고, 1854년에는 정식 함종명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선박용 증기 기관이 보급되어 기범선의 시대가 도래했다. 돛에서 추진기로 바뀌는 흐름 속에서 기존 분류법과는 다른 명칭이 필요해졌고, 1878년 영국 해군은 프리깃과 코르벳을 순양함으로 분류 변경했다.
#범선 코르벳은 순양함의 전신에 해당하며, 단어의 뉘앙스도 순양함에 더 가깝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대형 구축함을 "코르벳"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플라워급 코르벳 등장 이전인 1935년 영국 해군은 순양함 임무를 대신할 구축함 건조를 계획하면서 "코르벳"이나 "프리깃"으로 칭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함종 호칭으로 폐지되었기 때문에 실현되지 않았다.
프랑스 해군은 1960년대 계획한 대형 대잠함을 "코르벳"이라고 칭하고, 프로토타입을 C-65형, 양산형을 C-67형, 개량형을 C-70형으로 불렀다. 그러나 이 함들의 함종은 "프리깃"으로 변경되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페넌트 넘버에서는 처음부터 구축함을 의미하는 "D"가 부여되었다.
현대 해군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더 작고 기동성이 뛰어난 수상 함정을 건조하는 경향을 보이며 코르벳을 건조하기 시작했다. 코르벳은 배수량이 500ton에서 3000ton 사이이며, 보통 중구경 및 소구경 함포, 대함 미사일, 대공 미사일(SAM), 대잠 무기로 무장하며, 소형 또는 중형 대잠전 헬리콥터를 수용할 수 있다.
해안선을 가진 대부분의 국가는 상업 조선 활동 또는 특별히 건조된 조선소에서 코르벳급 선박을 건조할 수 있지만, 센서, 무기 등은 전문화되어 총 비용의 약 60%를 차지하며 국제 시장에서 구매한다.[4] 오늘날 많은 국가들이 코르벳을 운용하고 있으며, 발트해나 페르시아만과 같이 작은 바다에 접한 국가들은 더 작고 기동성이 뛰어난 코르벳을 건조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르벳을 운용하고 있다.
1960년대 포르투갈 해군은 소규모 해군에 적합한 다목적 소형 호위함인 급을 설계했다. 이 함급은 스페인 급, 독일 MEKO 140, 프랑스 급, 포르투갈 급 등 유사한 프로젝트에 영감을 주었다.
스텔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작전 코르벳은 노르웨이 해군의 급이었다. 스웨덴 해군은 유사한 스텔스 급을 도입했다.
핀란드는 해군 프로젝트 스쿼드론 2020의 일환으로 2020년대에 급 4척을 건조할 계획이다. 이 코르벳은 헬리콥터 탑재, 기뢰 부설, 쇄빙, 대공 및 대함 능력을 갖추고 총 12억 유로가 소요될 예정이다.
독일 해군 급은 독일의 고속 공격정을 대체하고 스텔스 기술과 육상 공격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이스라엘 해군은 이 중 4척을 주문하여 급으로 명명했으며, 더 강력한 무장 버전이 2019년 인도를 시작했다.
그리스 해군은 이 등급을 고속 공격 미사일정으로 분류했다. 유사한 선박은 독일 조선업체 Lürssen Werft가 코르벳으로 분류한 터키 해군의 급 고속 공격 미사일정이다.
인도 해군은 Garden Reach Shipbuilders and Engineers에서 건조한 4척의 급을 운용하며, 모두 2017년에 취역했다.
이스라엘 해군은 3척의 급을 운용한다. 이스라엘 설계에 따라 미국에서 건조되었으며, 각 함정에는 1대의 헬리콥터가 탑재되어 있고 Barak 8 SAM, 첨단 전자 센서 및 대응책을 포함한 공격 및 방어 무기 시스템으로 무장되어 있다. 만재 배수량은 1,200톤이 넘는다.
터키는 2005년 MİLGEM급 코르벳 건조를 시작했다. MİLGEM급은 대잠수함전 및 연안 순찰 임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선도함 TCG ''Heybeliada''는 2011년에 해군에 취역했다. MİLGEM급의 설계와 임무는 미국의 연안 전투함 급과 유사하다.
2004년 급 순찰정을 대체하기 위해 아랍에미리트 국방부는 Abu Dhabi Ship Building과 급 코르벳 계약을 체결했다. 이 급은 CMN 그룹의 Combattante BR70 설계를 기반으로 하며, 아랍에미리트 영해 및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순찰, 감시, 기뢰 부설, 요격 및 기타 대수상함전 작전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미국은 대형 코르벳인 연안 전투함을 개발하고 있으며, 넉넉한 선체 공간을 통해 기뢰 제거선 또는 대잠수함 급과 같은 전문 등급에 할당되었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임무 모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2. 1. 대항해시대
대항해 시대의 코르벳은 슬루프와 비슷한 소형 전투 군함이었다. 주요 업무는 해안 경비였고, 전투에 참가하는 경우는 비교적 소규모이거나 큰 함대를 지원하는 역할만 맡았다.[2] 1670년, 프랑스 해군에서 처음으로 "코르벳"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2] 영국 해군에서는 슬루프와 코르벳의 크기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폴레옹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 슬루프라고 불렀다.
17세기의 코르벳은 보통 길이가 12m에서 18m 사이였고, 무게는 40~70톤이었으며, 갑판에는 4~8문의 대포를 장착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코르벳의 크기는 점점 커져, 1800년에는 길이가 30m에 달하고 무게는 400~600톤에 육박했다.
미국 독립 전쟁 동안 프랑스 왕국이 잃은 마지막 선박은 1783년 1월 몬테 크리스티 주 아이티의 생 도맹그 앞바다에서 나포를 피하기 위해 선장이 자침시킨 코르벳 ''르 드라곤''이었다.[3]
2. 2. 증기선 시대
증기선 시대의 선박들은 돛을 사용하던 시대의 선박들보다 훨씬 빠르고 기동성이 뛰어났다. 이 시대의 코르벳은 식민지 임무를 수행할 때 일반적으로 포격선과 함께 사용되었다. 전함 및 기타 대형 선박은 극동과 아프리카 원주민과의 전투에서는 불필요했다.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는 기뢰 제거 및 대잠수함 작전을 위한 소형함에 "코르벳"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특히 플라워급 코르벳은 대서양에서 30척 이상의 U-보트를 격침하며 그 유용성을 입증했다.[2]
현대적 코르벳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쉽고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순찰 및 호송 호위함으로 등장했다.[2] 영국 해군 설계자 윌리엄 리드는 Smiths Dock Company의 단일 샤프트 포경선 Southern Pride|서던 프라이드영어를 기반으로 소형 선박을 설계했는데, 이는 상선 건조 표준을 따랐기에 해군 함정을 건조한 경험이 없는 소규모 조선소에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 윈스턴 처칠은 "코르벳"이라는 이름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군비 증강 기간 동안, 1936년 트라이벌급 구축함에 "코르벳" 분류를 적용하려는 논의가 있었으나, 이 등급은 다른 영국 구축함보다 훨씬 크고 성능이 달랐기에 중단되었다.
이후 "코르벳"이라는 용어는 플라워급 코르벳과 같은 소형 대량 생산 대잠 호위함에 적용되었다. 영국 해군 함정은 꽃의 이름을, 캐나다 해군 함정은 작은 캐나다 도시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들의 주요 임무는 대서양 해전과 영국에서 무르만스크로 가는 소련 보급 물자 수송 노선에서 호송선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플라워급 코르벳은 원래 해상 순찰용으로 설계되어 대잠 호위함으로는 이상적이지 않았다. 대양 항해 호송 작전에 적합하기에는 선체가 짧았고, 대공 방어 무장도 충분하지 않았으며, 속도도 호위하는 상선보다 약간 빠른 정도였다. 이는 당시 더 빠른 독일 U-보트의 등장으로 인해 문제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르벳은 내항성과 기동성이 뛰어났지만, 대양 항해 시 승조원의 생활 여건은 열악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영국 해군은 더 크고, 빠르고, 무장이 강화된 프리깃을 호위함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많은 소규모 조선소는 프리깃 크기의 선박을 건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개선된 코르벳 설계인 캐슬급 코르벳이 전쟁 후반에 도입되어 195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었다.
호주 해군은 호주인이 승무한 영국 해군용 20척과 인도 해군용 4척을 포함하여 60척의 바서스트급 코르벳을 건조했다. 이들은 공식적으로 호주 기뢰 제거함 또는 영국 해군에 의해 기뢰 제거 슬루프로 묘사되었으며, 호주의 도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뉴질랜드 해군에서 버드급 기뢰 제거함 또는 트롤선은 코르벳으로 불렸으며, 1943년 솔로몬 제도에서 HMNZS Kiwi|키위영어와 HMNZS Moa|모아영어가 훨씬 큰 일본 잠수함 伊1|이-1일본어을 충돌시켜 격침시켰다.
이탈리아 왕립 해군은 호송선 호위함이 절실히 필요했기 때문에 1942년과 1943년 사이에 29척(계획된 60척 중)이 건조된 가비아노급 코르벳을 설계했다. 이들은 특히 대공 및 대잠 능력과 관련하여 지중해에서 작전에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 성공으로 인해 이 등급은 1972년까지 전쟁 후 이탈리아 해군에서 유지되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영국 해군은 전시를 대비하여 국지 방어용 연안 경비 함정의 신속한 건조를 연구, 포경선 기반의 대잠 함정을 개발했다. 이는 처음에는 단순히 대잠 포경선(A/S whaler|A/S 웨일러영어)으로 불렸으나, 1941년 1월 3일, 플라워급 코르벳으로 개칭되어 근대 코르벳의 시초가 되었다. 또한 기존의 연안 슬루프도 코르벳으로 불리게 되었다.
3. 현대의 코르벳
현대의 코르벳은 배수량 500ton에서 3000ton 사이, 길이 약 54.86m 에서 약 128.02m의 소형 전투함이다. 주로 연안 해역 배치용으로 설계되었으며, 호위함보다 작은 크기와 짧은 항속 거리를 가진다.
현대 코르벳은 보통 중/소구경 함포, 대함 미사일, 대공 미사일(SAM), 대잠 무기 등으로 무장한다. 많은 코르벳은 소형 또는 중형 대잠전 헬리콥터를 수용할 수 있으며, 더 큰 코르벳은 격납고도 갖추고 있다.
1930년대 후반, 영국 해군은 포경선을 기반으로 한 대잠 함정인 플라워급 코르벳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근대 코르벳의 시초가 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르벳이라는 호칭은 세계적으로 근해용 호위함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서방 국가에서 전후형 코르벳의 선구자는 이탈리아 해군과 포르투갈 해군이었다. 이탈리아는 알바트로스급 코르벳과 피에트로 디 크리스토파로급 코르벳을 건조했으며, 포르투갈 해군은 조앙 코치뉴급 코르벳과 바티스타 데 안드라데급 코르벳을 건조하여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과 근해 호위 임무에 투입했다.
함대함 미사일의 발달과 함께 미사일정이 등장했지만, 초기 미사일정은 내항성 문제로 활동 해역이 제한되었다. 이에 따라 미사일정은 대형화되었고, 소련 해군은 개함 방공 미사일을 갖춘 소형 미사일함(MRK)인 나누치카급 코르벳을 건조했다. 이스라엘 해군도 헬리콥터 운용이 가능한 사르 5형 코르벳으로 발전했다.
페르시아만과 발트해에서는 주변 정세와 작전 요구에 따라 미사일정보다 범용성이 높고 방공력이 우수한 코르벳이 선호되었다. 특히 스웨덴 해군의 비스비급 코르벳은 스텔스함화를 통해 생존성을 높였다.
대형 구축함을 "코르벳"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영국 해군은 트라이벌급 구축함을 건조할 때 "코르벳"이라는 명칭을 고려했었고, 프랑스 해군은 투르빌급 구축함을 처음에는 "코르벳"으로 칭했다.
3. 1. 운용 국가
대한민국 해군은 포항급 코르벳을 운용하며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러시아 해군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르벳을 운용하고 있다. 20척의 그리샤급, 6척의 파르킴급, 3척의 부얀급, 10척의 Buyan-M급, 3척의 카라쿠르트급, 8척의 스테레구시급(NATO에서 호위함으로 분류), 1척의 그레먀시급 (NATO에서 호위함으로 분류), 2척의 보라급을 운용한다.
러시아 해안경비대는 1척의 파우크급을 운용한다.
독일 해군 브라운슈바이크급은 독일의 고속 공격정을 대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스텔스 기술과 육상 공격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이스라엘 해군은 3척의 사르 5급을 운용하고 있다. 이스라엘 설계에 따라 미국에서 건조되었으며 각 함정에는 1대의 헬리콥터가 탑재되어 있으며 Barak 8 SAM, 첨단 전자 센서 및 대응책을 포함한 공격 및 방어 무기 시스템으로 무장되어 있다. 만재 배수량은 1,200톤이 넘는다.
인도 해군은 Garden Reach Shipbuilders and Engineers에서 건조한 4척의 카모르타급을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2017년에 취역했다.
스웨덴 해군은 스텔스 비스비급을 도입했다.
조선인민군 해군은 4척의 사리원급, 2척의 남포급 및 1척의 암녹급 코르벳을 운용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국가들이 코르벳을 운용하고 있다.
국가 | 함급 | 척수 |
---|---|---|
알제리 | 아드하퍼급 | 3 |
제벨 쉐누아급 | 4 | |
아르헨티나 | 에스포라급 | 6 |
바레인 | 알 마나마급 | 2 |
방글라데시 | 캐슬급 (개조) | 2 |
방글라데시 해안경비대 | 미네르바급 | 4 |
브라질 | 이나우마급 | 2 |
Imperial Marinheiro급 | 1 | |
대만 | 퉈장급 | 2 |
칭장급 | 11 | |
콜롬비아 | 동해급 | 1 |
에콰도르 | 에스메랄다스급 | 6 |
이집트 | 고윈드급 | 4 |
적도 기니 | 바타급 | 1 |
프랑스 | 데스티엔느 도흐브급 | 5 |
인도 | 압헤이급 | 1 |
비르급 | 7 | |
쿠크리급 | 2 | |
코라급 | 4 | |
인도네시아 | 파르킴급 | 14 |
파타힐라급 | 3 | |
붕 토모급 | 3 | |
디포느고로급 | 4 | |
붕 카르노급 | 1 | |
이란 | 바얀도르급 | 2 |
함제급 | 1 | |
이란 혁명 수비대 해군 | Shahid Soleimani급 | 3 |
Abu Mahdi Al-Muhandis급 | 1 | |
이라크 | 아사드급 | 2 |
말레이시아 | 케다급 | 6 |
카스투리급 | 2 | |
락사마나급 | 4 | |
멕시코 | 시에라급 | 3 |
노르웨이 | 시욜드급 | 6 |
오만 | 카리프급 | 3 |
카히르급 | 2 | |
파키스탄 | 야르무크급 | 2 (+2척 추가 주문) |
아다급 (개조) | 1 (+3척 추가 주문) | |
페루 | PR-72P급 | 6 |
필리핀 | 하신토급 | 3 |
포항급 | 2 | |
말바르급 | 1 | |
폴란드 | 가우론급 | 1 |
카슈브급 | 1 | |
포르투갈 | 조앙 코티뉴급 | 1 |
바티스타 드 안드라데급 | 1 | |
카타르 | 도하급 | 4 |
루마니아 | 어드미럴 페트레 바르부네아누급 | 2 |
테탈급 | 2 | |
사우디아라비아 | 알 주바일급 | 2 |
바드르급 | 4 | |
싱가포르 | 빅토리급 | 6 |
스웨덴 | 비스비급 | 5 |
스톡홀름급 | 2 | |
태국 | 캄론신급 | 3 |
라타나코신급 | 1 | |
타피급 | 1 | |
터키 | 아다급 | 4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멘급 | 1 |
우크라이나 해안경비대 | 파우크급 | 1 |
아랍에미리트 | 바흐난급 | 6 |
무라지브급 | 2 | |
아부다비급 | 1 |
3. 2. 주요 코르벳 함급
함급 | 국가 | 특징 | 비고 |
---|---|---|---|
Visbysv급 | 스웨덴 | 스텔스 기술 기반 | |
Braunschweigde급 | 독일 | 고속 공격정 대체, 스텔스 기술, 육상 공격 능력 | |
Sa'ar 5영어급 | 이스라엘 | 헬리콥터 1대, Barak 8 SAM, 첨단 전자 센서 및 대응책, 만재 배수량 1,200톤 이상 | 이스라엘 설계, 미국 건조 |
Kamorta영어급 | 인도 | Garden Reach Shipbuilders and Engineers 건조, 2017년 전량 취역 | |
Sa'ar 6영어급 | 이스라엘 | Braunschweig급 기반, 강화된 무장 | 2019년 인도 시작 |
포항급 코르벳 | 대한민국 |
4. 논란 및 쟁점
코르벳은 현대 해전에서 그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연안 해역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함정으로 여전히 중요한 해상 전력으로 평가받고 있다.[1]
4. 1. 코르벳의 효용성 논란
현대 해전에서 코르벳의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코르벳은 연안 해역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함정으로 여전히 중요한 해상 전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해군은 북한의 해상 도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코르벳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1]코르벳은 주로 작은 구경의 함포로 무장하여 초계 임무를 수행한다. 배수량은 1000t 전후로, 프리깃 정도의 다양한 기능은 없지만 건조 비용이 저렴하여 많은 해군에서 사용되고 있다. 라틴 연합의 통신함(프랑스어: Aviso) 및 러시아의 소형 대잠 전함과 소형 미사일함도 대체로 코르벳에 해당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corvett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1-08-13
[2]
서적
The Price of Admiralty
https://archive.org/[...]
Viking
1989
[3]
문서
Freddy Van Daele "The Enigmatic Ostend Model "The Dragon-1783"-Alfred Van Daele publisher September 2015
[4]
웹사이트
East/West Divide Grows In the International Navy Shipbuilding Business
http://www.nationald[...]
2011-05-16
[5]
웹사이트
Trois corvettes lourdes russes bientôt livrées à la marine Algérienne -
https://www.menadefe[...]
2020-11-22
[6]
웹사이트
L'Algérie commande six corvettes Type 56 à la Chine
https://www.menadefe[...]
2021-09-08
[7]
웹사이트
Angolan Navy to receive corvettes from Abu Dhabi Ship Building under billion euro deal
https://www.defencew[...]
2024-01-17
[8]
웹사이트
Construction works for 600-tonne CGA ship starts in Kaohsiung - Focus Taiwan
https://focustaiwan.[...]
2019-01-04
[9]
웹사이트
Diplomat: France Is In Talks With Egypt For New Corvette Sale
https://www.defensen[...]
2017-05-25
[10]
웹사이트
The Navy's new vessels are projected to be completed in 2027
https://www.defmin.f[...]
[11]
웹사이트
The PeSCo's European Patrol Corvette (EPC) programme gains momentum *
https://www.edrmagaz[...]
2020-10-19
[12]
웹사이트
Germany awards €2.4bln contract for five new K130 corvettes
https://www.navaltod[...]
2017-09-13
[13]
웹사이트
DEFEA 2021: Israel Shipyards Introduce the Themistocles-Class Corvette
https://www.navalnew[...]
2021-07-22
[14]
웹사이트
Greece to Procure FDI, Gowind Warships from France
https://www.defensew[...]
2021-09-28
[15]
웹사이트
Indonesia rejects proposal to procure ex-South Korean corvette
https://www.janes.co[...]
2023-02-06
[16]
웹사이트
Indonesia approves proposal to procure ex-South Korean corvettes
https://www.janes.co[...]
2023-02-06
[17]
뉴스
Major deal: Israel to purchase four patrol ships from Germany to defend gas rigs
https://www.ynetnews[...]
2015-05-11
[18]
웹사이트
Israel Shipyards Introduces the SAAR 72 Mini-Corvette Design
https://defense-upda[...]
2013-05-16
[19]
웹사이트
Turkey signs deal to produce 4 corvettes with Pakistan
https://www.aa.com.t[...]
[20]
웹사이트
Hyundai Heavy Industries wins deal to build two corvettes for Philippine Navy
https://www.navaltod[...]
2021-12-28
[21]
웹사이트
Sweden's Future Surface Combatant To Be Known As Luleå-Class
https://www.navalnew[...]
2024-03-02
[22]
웹사이트
В Зеленодольске начнется строительство первого МРК проекта 22800 "Каракурт"
https://www.arms-exp[...]
2021-12-28
[23]
웹사이트
Shipbuilders to float out cutting-edge missile corvette for Russian Navy by Aug 30
https://tass.com/def[...]
[24]
웹사이트
Al Defaiya | Russia Places Orders for Project 20380 Corvettes, Cruise Missile Onix
https://www.defaiya.[...]
2020-08-27
[25]
웹사이트
Shipbuilders to launch construction of latest corvettes for Russian Navy in 2021
https://tass.com/def[...]
[26]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second project 20386 corvette to start in 2018
https://tass.com/def[...]
[27]
웹사이트
Ukrainian official reveals number of Ada-class corvettes on order from Turkey
https://www.defensen[...]
2021-07-28
[28]
웹사이트
UAE, Naval Group quietly cut $850 million deal for Gowind ships
https://www.defensen[...]
2019-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