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부학적코담배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부학적코담배갑은 손등의 엄지 쪽에 위치한, 손목의 일부분을 이루는 삼각형 모양의 옴푹한 부위이다. 긴엄지폄근, 짧은엄지폄근, 긴엄지벌림근의 힘줄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며, 안쪽으로는 긴엄지폄근, 가쪽으로는 짧은엄지폄근과 긴엄지벌림근, 몸쪽으로는 노뼈의 붓돌기가 위치한다. 이 부위에는 노동맥, 노신경의 얕은 가지, 노쪽피부정맥 등이 지나간다. 해부학적코담배갑 아래에는 요골과 손배뼈가 위치하며, 손을 짚고 넘어지는 경우 손배뼈 골절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손배뼈 골절 시 혈액 공급 문제로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엑스레이로 골절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손 - 엄지두덩
    엄지두덩은 손바닥 엄지 쪽에 위치한 융기 부위로, 엄지의 다양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세 근육으로 구성된다.
  • 손 - 손 씻기
    손 씻기는 비누와 물 또는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의 세균을 제거하는 행위이며, 감염병 예방에 기여하고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해부학적코담배갑
개요
해부학적 코담배갑
손을 신전시킨 상태의 해부학적 코담배갑. 노란색으로 강조된 부위가 움푹 들어간 부분이며, 이미지 상단과 하단에서 힘줄로 둘러싸여 있다.
라틴어fovea radialis
영어anatomical snuffbox, snuffbox
구조
동맥노동맥
정맥노쪽피부정맥
신경노신경
상세 정보
정의손등의 엄지 쪽, 손목 부위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경계안쪽 (자쪽): 긴엄지폄근 힘줄
가쪽 (노쪽): 짧은엄지폄근긴엄지벌림근 힘줄
바닥요골
주상골
큰마름뼈
지붕피부
임상적 중요성
촉진노동맥 맥박을 쉽게 촉진할 수 있는 부위임.
주상골 골절주상골 골절 시 압통이 나타나는 부위임.
어원
유래과거 이 부위를 코담배를 올려놓고 흡입하는 데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함.

2. 구조

손목의 등쪽면, 엄지손가락 바닥 부근에서 관찰되는 움푹 들어간 삼각형 공간이다.[1] 이 공간은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여러 힘줄들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3][4][5] 바닥은 손목뼈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4] 해부학적코담배갑 주변으로는 중요한 동맥, 정맥, 신경 등이 지나간다.[2][4][6] 이 부위의 구조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자세한 경계와 주변 구조물과의 위치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경계


  • 안쪽(자쪽) 경계: 긴엄지폄근힘줄[3][4][5]
  • 가쪽(노쪽) 경계: 짧은엄지폄근의 힘줄과 긴엄지벌림근의 힘줄. 두 힘줄은 평행하게 주행하며 서로 밀접하게 붙어 있다.[7][1][3][4][5] 엄지손가락을 펼 때 이 경계가 뚜렷해지면서 해부학적코담배갑이 더 오목하게 들어가 잘 보이게 된다.[1]
  • 몸쪽(근위) 경계: 노뼈(요골)의 붓돌기(경상돌기)[4]
  • 먼쪽(원위) 경계: 첫째손허리뼈(제1 중수골) 바닥 부분에 해당하며, 해부학적코담배갑을 이루는 대략적인 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을 형성한다.[4]
  • 바닥: 손목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지만, 만져볼 때 큰마름뼈(대능형골)와 주로 손배뼈(주상골)를 느낄 수 있다.[4]

2. 2. 위치 관계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안쪽 경계 (척골 쪽): 긴엄지폄근힘줄이다.[3][4][5]
  • 가쪽 경계 (요골 쪽): 짧은엄지폄근 힘줄과 긴엄지벌림근 힘줄이 나란히 주행하며 경계를 이룬다.[1][3][4][5]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을 펼 때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오목한 부분이 더 뚜렷하게 보인다.
  • 몸쪽 경계 (근위): 요골의 요골 붓돌기(경상돌기)이다.[4]
  • 먼쪽 경계 (원위): 첫째 손허리뼈(중수골)의 몸쪽끝 부분이다.[4]
  • 바닥: 손목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지만, 주로 손배뼈(주상골)와 큰마름뼈(대능형골)를 만져볼 수 있다.[4]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경계를 이루는 힘줄들의 깊은쪽이나 천장 쪽으로는 다음과 같은 중요 구조물들이 지나가거나 위치한다.

  • 노동맥: 경계 힘줄의 깊은쪽에 위치하며, 해부학적 코담배갑 바닥면의 손배뼈큰마름뼈를 감싸며 주행한다. 이후 첫째 등쪽뼈사이근의 두 갈래 사이를 지나 손바닥으로 들어가 얕은손바닥동맥활과 깊은손바닥동맥활 형성에 기여한다.[2][6] 노동맥은 요골 붓돌기 근처에서 노신경의 얕은가지와 매우 가깝게 (48%의 경우 2mm 이내) 위치하거나,[8][2][6] 가쪽아래팔피부신경과 가까이 위치하기도 한다 (24%).[8][2][6]
  • 노신경 얕은가지: 손에서는 감각신경으로만 작용하는 노신경의 종말가지 중 하나로,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천장 쪽(피부 바로 아래)을 주행한다. 긴엄지폄근 힘줄을 따라 만져볼 수 있다.[2]
  • 노쪽피부정맥: 아래팔노쪽피부정맥이 해부학적 코담배갑 위쪽에서 형성된다. 이 정맥은 손등정맥그물에서 오는 가지들이 합쳐져 만들어지며, 아래팔의 가쪽을 따라 위로 올라가 팔오금 부위로 혈액을 보낸다.[4][5] 이곳에서 정맥 주사(천자)가 가능하지만, 노동맥이 가까이 있어 동맥류나 혈관 폐쇄, 혈종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4]

3. 임상적 의의

해부학적코담배갑은 손목 부위의 중요한 임상적 지표가 되는 부위이다. 이 부위에 국소적인 압통이 느껴지는 경우, 특히 손배뼈골절을 의심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손을 짚고 넘어지는 경우(FOOSH) 손목에 가해지는 충격이 이 부위에 집중되어 노뼈손배뼈골절되기 쉬운데, 이 두 뼈는 손목에서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부위 중 하나이다. 특히 손배뼈 골절은 혈액 공급의 특성상 무혈성 괴사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 깊은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3. 1. 손배뼈(주상골) 골절

노뼈손배뼈는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깊은 곳에서 손목 관절의 일부를 형성한다.[7] 넘어지면서 손을 짚는 경우(FOOSH, Fall on outstretched hand)처럼 손목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이 힘이 노뼈손배뼈 부위에 집중되어 이 뼈들이 손목에서 가장 쉽게 골절되는 부위가 된다. 특히 해부학적 코담배갑 부위에 국한된 압통이 느껴진다면 손배뼈 골절을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 손배뼈는 손목 관절의 안정성보다는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작고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손배뼈 골절은 진단이나 치료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하기 쉬워, 의료 소송의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한다.

손배뼈의 혈액 공급은 주로 뼈의 먼쪽(원위부) 끝을 통해 이루어진다. 만약 손배뼈 중간이나 몸쪽(근위부)에서 골절이 발생하면, 뼈의 몸쪽 부분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될 위험이 있다. 혈액 공급이 중단된 뼈 조직은 죽게 되는데, 이를 무혈성 괴사라고 한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배뼈에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손배뼈는 작고 모양이 불규칙하여 골절 초기에는 엑스선 촬영만으로는 골절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외에도 손목뼈의 불안정성(인대 파열 동반)이나 골절과 함께 탈구가 동반되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3. 2. 기타

집게손가락의 힘줄과 힘줄 연결.


왼손의 손바닥, 피부 주름과 뼈의 위치, 그리고 손바닥 아치를 보여주는 표면 표시.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10: THE FOREARM http://www.dartmouth[...] 2008-01-05
[2] 논문 Applied anatomy of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radial nerve 2008
[3] 서적 標準解剖学 医学書院 2017-03-01
[4] 웹사이트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Hand Anatomical Snuff Box https://www.ncbi.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2-02-02
[5] 웹사이트 Snuff box https://www.instanta[...] Instant Anatomy 2023-04-14
[6] 논문 Applied anatomy of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radial nerve
[7] 웹인용 Chapter 10: THE FOREARM http://www.dartmouth[...] 2008-01-05
[8] 간행물 Applied anatomy of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radial nerve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