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운대해수욕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운대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해수욕장으로, 수백 년 전부터 모래 해변으로 존재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수영을 가르치는 장소로,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군의 휴양지로 사용되었으며, 1965년 해운대해수욕장으로 정식 개장했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매년 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다. 1.46km의 백사장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북극곰 수영대회, 해운대 모래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해안 침식과 이안류 발생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변에는 동백섬, 해운대온천 등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 - 광안리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축제와 e스포츠 행사가 열리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장소이다.
  • 부산광역시의 해수욕장 - 일광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해수욕장으로, 아름다운 모래사장과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동해선 일광역과 인접해 교통이 편리하다.
  • 부산 해운대구의 지리 - 마린시티
    마린시티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고급 주거 단지이며,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등이 건설되었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부산 해운대구의 지리 - 장산 (부산)
    장산은 백악기 말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화산재, 용암, 화쇄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풍화작용으로 만들어진 돌밭이 많은 것이 특징인 산이다.
  • 해제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태종대
    부산 영도 태종대는 신라 태종 무열왕과 조선 태종의 전설이 깃든 해안 경관지로, 해식 지형과 해송 숲의 절경, 그리고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 기념물에서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된 곳이다.
  • 해제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용두산공원
    용두산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공원으로, 과거 초량왜관, 용두산신사, 난민촌 등이 있었으며, 현재 부산타워, 이순신 장군 동상 등이 있고 매주 토요일 전통 예술 공연이 열린다.
해운대해수욕장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해운대해수욕장
한글해운대해수욕장
한자海雲臺海水浴場
로마자 표기Haeundae haesuyokjang
매큔-라이샤워 표기Haeundae haesuyokchang
위치부산광역시, 대한민국
좌표35° 9′ 39″ N
129° 9′ 50″ E
유형기념물
기념물 번호31
지정일1972년 6월 26일
해제일1993년 5월 22일
길이1.46 km
0.04 km
해변 (2024)
지리
접한 바다동해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해운대구청 해수욕장 소개

2. 역사

1973년 여름의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은 수백 년 전 모래 해변이었다. 1910년 일제 강점기 당시 해운대해수욕장이 있었으며, 1965년에 정식으로 개장하여 2015년에 개장 50주년을 맞이했다.

원래 지역 주민들의 어장이었던 이 해변은 19세기 후반부터 여가 공간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인 이주민들이 이곳에서 아이들에게 수영을 가르쳤고, 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 동안에는 미군이 주둔하여 상륙함정을 준비하며 휴양지로 이용하기도 했다.[17]

1965년에 개장했을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해변이었으며,[17][18] 1994년 특별 관광지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여가 시설이 들어섰다.[17]

2. 1. 해안 침식 문제와 대응

해운대해수욕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안 침식이 진행되어 1947년부터 2004년까지 모래 부분의 면적이 54% 감소하였다. 지방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수중 방파제를 설치하고 매년 모래를 해변에 추가하는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17]

3. 특징

해운대해수욕장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매 시즌 1천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아온다.[2] 최대 12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17]

해변의 모래사장은 길이 1.46km, 폭 40m이다.[3][4] 장애인 접근 가능 주차장도 있다.[4]

2008년, 해운대해수욕장은 가장 많은 파라솔(7,937개)을 설치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5][6]

4. 문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는 일 년 내내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매년 1월에는 북극곰 축제(Polar Bear Festival)가 열려,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거의 얼어붙을 정도로 차가운 바닷물에 들어간다.[7][8][9] 6월에는 한국 유일의 모래 관련 친환경 축제인 해운대 모래축제가 열려, 모래로 만든 예술 작품을 전시하고 방문객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제공된다.[10][11]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기도 했으며,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게임의 e스포츠 행사도 개최되었다.[13][14]

4. 1. 주요 행사

해운대 해수욕장에서는 1년 내내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1월에는 수영으로 건강한 겨울을 보낸다는 뜻으로 하는 북극곰 수영대회가 열린다. 1988년부터 매년 1월에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거의 얼어붙을 정도로 차가운 바닷물에 들어가는 북극곰 축제(Polar Bear Festival)가 열린다.[7][8][9] 6월에는 한국 유일의 모래 관련 친환경 축제인 해운대 모래 축제가 열리는데, 모래로 만든 예술 작품을 전시하고 방문객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제공된다.[10][11] 7~8월에는 부산국제요트매치컵대회가 열린다. 8월에는 부산바다축제가 열린다.

해운대는 부산국제영화제(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를 개최하기도 했으며, 2009년 재난 영화 《해운대》(Tidal Wave)에도 등장했다.[12] 또한 해운대 해수욕장에서는 스타크래프트(StarCraft)와 같은 게임의 e스포츠(e-sports) 행사도 개최되었다.[13] 해상 무대를 포함한 콘서트도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열렸다.[14]

4. 2. 대중문화 속 해운대

5. 사고

해운대해수욕장에서는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여 매년 입욕이 통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5. 1. 이안류 발생 및 대처

해운대해수욕장에서는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여 매년 입욕이 통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안류는 해저 언덕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역파도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해변으로 밀려든 바닷물이 깊이 패인 지형을 통해 썰물처럼 빠져나가며 급물살을 만들어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이 여기에 휩쓸리면 깊은 바다로 끌려가기 때문에 위험하다. 2012년에는 이안류가 11차례 발생해 418명이 휩쓸렸다가 구조되었으며, 2013년에는 무려 13차례나 발생하여 546명이 휩쓸렸다가 구조되었다. 2014년 7월 24일에도 이안류가 발생하여 입욕이 통제되기도 하였다.[22]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이안류가 자주 발생하는 원인은 기상, 지형, 해상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해운대해수욕장은 인근 송정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과 달리 해안선이 남쪽을 향하고 있다. 인근 두 해수욕장은 해안선이 남동쪽을 향하고 있어 해운대해수욕장에는 지속적으로 남풍, 남서풍이 불게 되며 1.5m 이상의 파도가 해안선에 직각으로 밀려들면서 이안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해운대해수욕장의 지속적인 백사장 모래 유실도 해저에 골짜기를 만들어 이안류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신 남쪽에 있어 해일 위험으로부터는 비교적 안전하다.)

이에 따라 기상청에서는 매년 해운대 해수욕장의 이안류 발생 예측정보를 전 해역에 걸쳐 망루별, 시간별로 제공하고 있다. 이안류 예측정보는 오전 9시부터 다음날 오후 6시까지 3시간 간격으로 5단계(매우안전, 안전, 주의, 위험, 매우위험)로 매일 제공된다. 또한 지자체에서는 이안류 발생의 다른 원인으로 판단되고 있는 백사장 모래 유실을 막기 위해 제방을 설치하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23]

6. 주변 관광 명소

해운대 해수욕장 주변에는 여러 관광 명소가 있다.[17] 해수욕장 서쪽 끝에는 예전 섬이었던 동백섬이 있는데, 현재는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동백섬은 오랫동안 아름다움으로 유명하다.[15] 또한 가까운 곳에 해운대온천, 오륙도, 달맞이길, APEC 나루공원, 부산 아쿠아리움과 다양한 레저 및 유흥 시설들이 있다.[17][16]

7. 교통

해운대해수욕장은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인 만큼 근처에 다양한 교통 시설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해운대해수욕장 http://korean.visitk[...] 2018-04-30
[2] 웹사이트 Haeundae Beach: The Busan representative https://www.visitbus[...] 2024-04-20
[3] 웹사이트 해운대해수욕장 https://khoa.go.kr/s[...] 2023-08-28
[4] 웹사이트 해운대해수욕장 > 상세 명소 열린관광 모두의 여행 https://access.visit[...] 2023-08-28
[5] 웹사이트 Largest number of beach umbrellas: Haeundae Beach sets world record (Video) https://www.worldrec[...] 2024-07-04
[6] 웹사이트 Haeundae Parasols Set for Guinness Record https://www.koreatim[...] 2024-07-04
[7] 뉴스 [제31회 해운대 북극곰 수영축제] 만 2세부터 83세까지… 4500명 겨울 바다 달군다 http://news20.busan.[...] 2018-04-30
[8] 웹사이트 36th Polar Bear Festival Takes Over Haeundae Beach this Weekend https://www.hapskore[...] 2024-07-25
[9] 웹사이트 [Photo News] Some 4,500 take a swim in Busan winter sea https://www.koreaher[...] 2024-07-25
[10] 웹사이트 Haeundae Sand Festival (해운대 모래축제) https://english.visi[...]
[11] 웹사이트 An artistic transformation of sand at the Haeundae Sand Festival https://www.visitbus[...]
[12] 웹사이트 「해운대」 http://terms.naver.c[...] 2018-04-30
[13] 웹사이트 오렌지캬라멜이 온다! 히어로즈 슈퍼리그 개막전, 9일 해운대서 개최 https://www.thisisga[...] 2022-04-13
[14] 웹사이트 A glimpse into Busan's thriving cultural scene: How appealing is it for World Expo 2030? https://www.koreatim[...] 2024-07-04
[15] 간행물 해운대 동백섬 (海雲臺 冬栢섬)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2
[16] 간행물 해운대구 (海雲臺區)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4
[17] 웹사이트 해운대 해수욕장 (海雲臺海水浴場) -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s://busan.grandc[...] 2024-07-04
[18] 웹사이트 해운대해수욕장(海雲臺海水浴場)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3-08-28
[19] 웹인용 해운대구청>해수욕장>해운대해수욕장>소개 http://www.haeundae.[...] 2020-03-23
[20] 뉴스 부산 10대뉴스-해운대 비치파라솔 기네스북 등재 https://news.naver.c[...]
[21] 뉴스 해운대 파라솔 기네스 '알고보니 거짓말' http://www.nocutnews[...]
[22] 뉴스 해운대, 이안류 발생으로 입욕 통제…"이안류 의미와 발생 원인은?" http://mbn.mk.co.kr/[...] MBN 2014-07-25
[23] 뉴스 해운대해수욕장 이안류 발생원인은? http://www.korea.kr/[...] 정책브리핑 2012-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