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산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두산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공원이다. 조선 시대에는 초량왜관이 있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용두산신사가 건립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용두산신사는 소실되었고, 한국 전쟁 중에는 난민들의 판자촌이 들어섰다.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의 호를 따 우남공원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4.19 혁명 이후 용두산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부산타워, 이순신 장군 동상, 4.19 혁명 기념탑 등 다양한 시설이 있으며, 매주 토요일 전통 예술 공연이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제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태종대
부산 영도 태종대는 신라 태종 무열왕과 조선 태종의 전설이 깃든 해안 경관지로, 해식 지형과 해송 숲의 절경, 그리고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 기념물에서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된 곳이다. - 해제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은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매년 천만 명 이상이 방문하며 다양한 축제와 주변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부산광역시의 공원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부산광역시의 공원 -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은 약 8~7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안산암질 화산암류와 응회질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이기대'라는 이름은 좌수영 남쪽 두 기생의 무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여러 영상 매체에도 등장한 곳이다. - 부산 중구 - 부산항
부산항은 1876년 개항하여 동북아시아 주요 항만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국제 무역항으로, 세계 5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부산항만공사에서 관리하며 북항 재개발 사업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부산 중구 - 국제시장
국제시장은 1945년 도떼기시장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생계터전이었던 부산의 전통시장으로, 화재와 인터넷 발달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대화 노력과 영화 흥행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용두산공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용두산공원 |
로마자 표기 | Yongdusangongwon |
한자 표기 | 龍頭山公園 |
위치 | 부산광역시 중구 |
면적 | 6.9 헥타르 |
지명의 유래 | 용의 머리 산 |
웹사이트 | 용두산공원 공식 웹사이트 |
![]() |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25 |
지정일 | 1972년 6월 26일 |
해제일 | 1993년 5월 22일 |
주소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16번길 13 |
소유 | 부산광역시 |
2. 역사
용두산은 조선시대에 초량소산(草梁小山), 송현산(松峴山) 등으로 불렸으며, 1878년 일본 자료인 조선귀호여록(朝鮮歸好餘錄)에서 '용두산'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다.[8] 부산항 개항 이후에는 소산(小山), 중산(中山)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용두산은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왜구로부터 부산을 보호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3][1] 1955년에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호를 따서 우남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4·19 혁명 이후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변경되었다.[3]
2008년에는 노후화된 시설 정비를 위해 민간자본을 통한 재창조 사업을 공모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백지화되었다.[12]
2. 1. 조선시대와 왜관
용두산은 조선시대 초량왜관의 중심에 있는 산으로 숲이 우거진 곳이었다. 소나무가 많아 송현산으로도 불렸다. 부산항 개항 후 일제강점기인 1915년 11월부터 1916년 6월 사이에 공원이 만들어졌으며, 산 정상은 2단으로 구분되었다.조선시대 왜관 시절부터 일본인 거류자들이 만든 여러 신사가 세워져 있었다. 특히 정상에는 부산을 대표하는 신사인 용두산신사가 있었다.[6]
2. 2. 일제강점기와 신사참배
일제강점기인 1915년 11월부터 1916년 6월 사이에 용두산에 공원이 만들어졌으며, 산 정상은 2단으로 구분되었다. 조선시대 왜관 시절부터 일본인 거류자들이 만든 여러 신사가 세워져 있었는데, 특히 정상에는 부산을 대표하는 신사인 용두산신사가 있었다. 1932년에는 옛 부산시청 자리에 있던 용미산신사까지 용두산 신사 오른쪽으로 옮겨왔다. 용두산 공원 계단을 올라가면 신사 입구를 알리는 커다란 도리이도 있었다.[8]
1916년 이후 용두산 공원에서는 각종 무술대회, 집회 등이 열렸다. 1933년 12월에는 일제 강점기 동안 가장 높은 일장기 게양대(102척)[9]가 세워졌다. 당시 남포동으로 달리던 전차가 일본신을 모신 용두산 신사 앞을 지날 때면 전차 안의 승객들은 모두 일어서서 용두산을 향해 큰절을 해야 했다.[10]
신사참배를 강요한 1935년 이후 용두산 신사는 부산에서 일본인들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광복 후 3개월이 지났으나 멀쩡하게 남아 만주에서 귀환선을 타기 위해 부산으로 모여든 일본인들의 집결소로 쓰이고 있었다. 1945년 11월 17일 토요일 오후 6시 민영석(당시 36세)에 의해 불태워졌다.[11]
2. 3. 광복과 용두산 신사 소실
광복 이후에도 용두산 신사는 만주에서 귀환선을 타기 위해 부산으로 모여든 일본인들의 집결소로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11월 17일, 민영석(당시 36세)에 의해 신사가 불태워졌다.[11] 이는 일제 잔재 청산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2. 4. 한국전쟁과 판자촌
한국 전쟁 중에는 전쟁을 피해 온 난민들의 판잣집들이 산에 가득 들어찼다. 무질서한 환경 때문에 두 차례나 화재로 난민촌이 파괴되었다.[3]2. 5. 이승만 정권과 우남공원
1957년 12월, 이승만 대통령의 호를 따 '''우남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3] 그러나 4.19 혁명 이후 1966년 2월 9일에 '''용두산공원'''으로 이름이 다시 바뀌었다.[13]3. 명칭의 유래
'용두산'이라는 이름은 1878년 일본 자료인 조선귀호여록(朝鮮歸好餘錄)에서 처음 등장한다.[8] 그 이전에는 조선시대에 초량소산(草梁小山), 송현산(松峴山) 등으로 불렸으며, 1876년 부산항 개항 후에는 소산(小山), 중산(中山) 등으로 불렸다.
'용두'는 '용의 머리'를, '산'은 '산'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알려진 이 산이 부산을 '왜구(일본 해적)'로부터 상징적으로 보호했다는 이야기에 빗댄 것이다.[3][1]
4. 주요 시설 및 특징
용두산공원은 부산 남부 번화가인 남포동에 인접해 있으며, 상점가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갈 수 있다. 공원에는 16세기 한국의 해군 영웅인 이순신 장군 동상, 작가 안희재의 흉상, 4.19 혁명을 기념하는 기념비 등이 있다.[1]
조선 후기(일본 에도 시대)에는 이 산을 포함한 일대가 왜관(초량왜관) 부지였으며, 부산 개항 후에는 일본인 거류지가 되었다. 용두산에는 왜관 시대에 사당이 세워져 후에 용두산신사가 되었다. 현재 공원 한쪽에는 이 일대가 왜관이었음을 기록한 비석이 세워져 있다.[6]
4. 1. 부산타워
부산타워는 용두산공원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축물이다.[1] 부산타워에서는 부산항과 영도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5]4. 2. 이순신 장군 동상
이순신 장군 동상은 16세기 한국의 해군 영웅을 기리는 기념물로, 용두산공원에서 가장 눈에 띄는 조형물 중 하나이다. 부산항과 영도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어, 부산 시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한다.[1][3][4][5] 서울특별시에 있는 동상과 함께 유명하다.4. 3. 4.19 혁명 기념탑
4·19 혁명을 기념하는 기념비이다.[3] 민주화 운동을 위해 희생한 이들을 기리는 곳으로,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4. 4. 기타 시설
용두산공원에는 부산타워 외에도 팔각정, 이순신 장군 동상, 4·19 혁명 기념탑, 사찰 등이 있다.[1][3][4]공원 안에는 세계 민속 악기 박물관이 있는데, 2층 건물로 과일, 사람 무릎뼈, 쥐 가죽으로 만든 악기 등 다양한 악기를 전시하고 있다.[1] 특히, 방문객이 전시된 악기를 직접 만져보고 연주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세계 모형 배 전시관에는 80척이 넘는 한국 전통 황포돛배와 거북선 모형뿐만 아니라, 초호화 유람선과 정교한 군함 모형들도 전시되어 있다.[1]
5. 문화 행사
용두산공원에서는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에 전통 예술 공연이 열린다.[1] 이 공연은 방문객들에게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6. 주변 지역
용두산공원 주변에는 40계단, 광복동 BIFF 거리, 부산근대역사관, 중앙성당, 국제시장,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대성당, 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 등이 있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Busan's Yongdusan Park
http://discoveringko[...]
Matt Kelley & DiscoveringKorea.com
2014-03-29
[2]
웹사이트
Yongdusan Park (용두산공원)
http://english.visit[...]
2023-09-29
[3]
웹사이트
부산 용두산공원 (釜山 龍頭山公園)
https://encykorea.ak[...]
2023-09-29
[4]
웹사이트
Yongdusan Park (용두산 공원)
http://english.visit[...]
2015-10-12
[5]
기타
[6]
웹사이트
龍頭山公園
https://www.konest.c[...]
[7]
웹사이트
용두산공원 기본정보
http://tour.busan.go[...]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8]
뉴스
사랑의 열병도, 이별의 아픔도…그곳에선 박꽃처럼 어여뻤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3-03-13
[9]
기타
[10]
뉴스
[김열규 교수의 '내 부산, 내 옛 둥지'] ⑧ '나가테 도오리'(광복로) 야시장에서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1-07-26
[11]
뉴스
[문화 들춰보기] ③ '용두산 신사' 방화범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1-07-26
[12]
뉴스
용두산공원 재개발 사업 주민들 반대로 ‘백지화’
http://www.hani.co.k[...]
이수윤기자
2011-06-15
[13]
웹인용
용두산공원시설안내
http://yongdusanpark[...]
부산시설공단
2011-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