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解)씨는 성씨의 일종으로, 한국, 중국, 그리고 가공의 인물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해씨는 2015년 인구 조사에서 9명으로 확인되었으며, 북부여의 해모수를 시조로 한다. 고구려 왕실의 성씨였으나 주몽이 고씨로 성을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백제의 대성팔족 중 하나로도 기록되어 있다. 중국의 해씨는 《백가성》에서 174번째 성씨로, 산시성에 많이 분포하며, 대만에서는 185번째로 많은 성씨이다. 이 외에도 소설 《수호전》 등에서 해씨 성을 가진 가공 인물이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씨 - 태후 해씨
    태후 해씨는 고구려 대무신왕의 부인이자 호동왕자의 어머니이며 갈사왕의 손녀로, 그녀의 왕비 즉위 배경은 고구려와 주변국 관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고 호동왕자 설화와 드라마를 통해 널리 알려져 고구려 사회의 권력 투쟁과 개인의 고뇌를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된다.
해 (성씨)
해 (성씨)
다양한 해(謝)씨 로마자 표기
다양한 해(謝)씨 로마자 표기
한자
한자
로마자 표기HAE
한국어
발음
주요 본관해주 해씨 (海州 解氏)
인구 (2015년)451명
중국어
간체자
병음Xiè
일본어
가나カイ、ゲ
로마자Kai, Ge

2. 한국의 해(解)씨

해(解)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명으로 조사되었다.[7]

2. 1. 기원과 역사

북부여의 해모수(解慕漱)를 시조로 한다.

고구려 왕실의 성(姓)은 본래 해씨였으나, 주몽이 졸본(卒本)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세우고 자신이 천제(天帝)의 아들이며 햇빛을 받아 태어났다고 하여 스스로 고씨(高氏)로 바꾸었다.

해씨(解氏)는 백제대성팔족(大姓八族) 중 하나로, 《수서(隨書)》와 《신당서(新唐書)》 등에 기록되어 있다.[3] 부여족 계통이다.[4][5][6]

2. 2. 주요 인물

2. 3. 본관과 인구

북부여의 해모수(解慕漱)를 시조로 한다. 고구려 왕실의 성(姓)은 본래 해씨였으나, 주몽이 졸본(卒本)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건국하고 자신이 천제(天帝)의 아들이며 햇빛을 받아 태어났다고 하여 스스로 고씨(高氏)로 바꾸었다.

해씨(解氏)는 백제대성팔족(大姓八族) 중 하나로, 《수서(隨書)》와 《신당서(新唐書)》 등에 기록되어 있다.[3] 부여족 계통이다.[4][5][6]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해(解)씨는 9명으로 조사되었다.[7]

3. 한국의 해(海)씨

해(海)씨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다. 1930년 국세조사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전라남도 영암군, 목포, 나주 등지에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해 해씨의 시조는 해서필(海瑞必)이며,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 시조의 묘가 있다. 한편,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영암군의 토성으로 혜(嵇)씨가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혜씨가 집계되지 않아 해씨 등으로 변성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8]

3. 1. 기원과 역사

1930년 국세조사에서 전라남도 영암군에 5가구, 목포에 2가구, 나주에 1가구 등 총 8가구가 해(海)씨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암의 5가구는 본관이 김해였으며, 목포에 살던 해종한(海宗漢)은 자신의 조상이 명(明) 태조 때 중국에서 귀화해 왔다고 밝혔다.[8]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해(海)씨는 1960년에 93명, 1985년에 270명, 2000년에 322명, 2015년에 146명으로 조사되었다.

김해 해씨(金海 海氏) 시조는 해서필(海瑞必)이며,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 시조의 묘가 있다.[8]

한편,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라도 영암군의 토성으로 혜(嵇)씨가 기록되어 있는데,[8] 현재 혜씨가 집계되지 않아 해씨 등으로 성씨가 바뀌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2. 본관과 인구

1930년 국세조사에서 전라남도 영암군에 5가구, 전라남도 목포에 2가구, 전라남도 나주에 1가구 등 8가구가 처음 등장하였다. 영암에 살던 5가구는 본관이 김해였으며, 목포에 살던 해종한(海宗漢)은 그의 조상이 명(明) 태조 때 중국으로부터 귀화해 왔다고 하였다.[8]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는 해(海)씨는 1960년에 93명, 1985년에 270명, 2000년에 322명, 2015년에 146명으로 조사되었다.[8]

김해 해씨(金海 海氏) 시조는 해서필(海瑞必)이며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 시조의 묘가 있다.[8]

한편,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영암군의 토성으로 혜(嵇)씨가 기록되어 있는데,[8] 현재 혜씨가 집계되지 않고 있어 해씨 등으로 변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4. 중국의 해(解)씨

중국 해(解)씨는 백가성에 174번째로 기록되어 있다.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 통계에서는 인구 순위 상위 100위 안에 들지 않았고[1], 산시성에 많이 분포한다. 타이완에서는 2018년 기준 185번째로 많은 성씨로 2,685명이 있었다[2]

4. 1. 기원과 역사

백가성에서는 174번째 성씨이다.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 통계에서는 인구 순위 상위 100위 안에 들지 않았고[1], 산시성에 많이 존재하는 성씨이다. 타이완의 2018년 통계에서는 185번째로 많은 성씨로, 2,685명이 있다[2]

산시성(山西省)의 지명인 해현(解県)에서 유래한다.

4. 2. 인구

타이완의 2018년 통계에서는 185번째로 많은 성씨로, 2,685명이 있다[2]중화인민공화국의 2020년 통계에서는 인구 순위 상위 100위 안에 들지 않았고[1], 산시성에 많이 존재하는 성씨이다.

4. 3. 주요 인물


  • 셰펑 - 정치인
  • 셰진 - 관료
  • 셰전화 - 정치인
  • 셰징셴 (, 1983년 10월 31일 출생) - 중국 피아니스트
  • 셰중 (, 1998년 9월 19일 출생) - 중국 페어 스케이팅 선수
  • 셰쉐궁 (, 1913년 10월 6일–1993년 3월 3일) - 중국 정치인, 셰빈으로도 알려짐
  • 셰페이 (解飛|해비중국어, 334–349년 활동) - 중국 발명가이자 후자오의 학자
  • 치에 위안 (1945–1977) - 말레이시아 출생 홍콩 배우이자 무술가
  • 解縉|해진중국어 - 나라의 정치가.

5. 가공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二〇二〇年全国姓名报告》发布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21-02-08
[2]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中華民国内政部 2018-10-01
[3] 웹사이트 대성팔족(大姓八族) http://encykorea.aks[...] 2022-10-07
[4] 뉴스 41년 1월 북부의 해루를 우보에 임명하다(0023년 01월 (음))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5] 뉴스 해루(解婁) http://encykorea.aks[...] 2022-10-08
[6] 뉴스 해루 解婁,BC 55~AC 34 https://www.doopedia[...] 2022-10-08
[7]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8] 문서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나주목 영암군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