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용은 청나라 시기에 지방 민간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민병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청나라 초기 향병에서 기원하여, 1730년 옹정제의 명으로 오르타이가 윈난성 우멍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향병을 소집한 것이 시초이다. 태평천국의 난 발발 이후, 청나라 정부의 정규군인 팔기병과 녹영병의 전투력 약화로 인해 지방 유력자들이 향용을 조직하게 되었고, 증국번의 상군, 이홍장의 회군 등이 대표적이다. 향용은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을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화민국 시기까지 군벌 할거와 토비 횡행으로 인해 지방 무장 조직의 형태로 유지되었다. 용은 지역 민간인 출신으로, 용영이라는 부대로 묶였으며, 자금 조달과 물류는 황실 정부가 아닌 민간 사회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용영으로는 초군, 상군, 회군, 감숙 용감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용 | |
|---|---|
| 개요 | |
| 유형 | 지역 민병대 |
| 존속 기간 | 19세기 |
| 창설 국가 | 청나라 |
| 역사적 맥락 | |
| 배경 | 태평천국의 난과 같은 대규모 반란 진압의 필요성 |
| 목적 | 정규군인 녹영의 부족함을 보충하고, 치안 유지 |
| 조직 및 운영 | |
| 구성 | 지방의 유지, 지주, 향촌 지도자들이 주도하여 조직 |
| 훈련 | 자체적인 훈련을 실시, 무기 및 군량미 조달 |
| 특징 | 평상시에는 농업에 종사, 유사시 동원되는 예비군의 성격 |
| 역할 및 영향 | |
| 주요 활동 | 반란 진압, 지역 방어, 치안 유지 |
| 영향 | 지방 세력 강화, 군벌화의 가능성 내포 |
| 용어 | |
| 한어 병음 | yǒng yíng |
| 웨이드-자일스 | yung-ying |
| 만주어 | gašan-i yebken urse |
| 몽골어 | tesu bai čooḥa |
2. 역사
향용은 청나라 초기 향병(鄕兵)에서 기원했다. 1730년 옹정제 8년, 오르타이가 윈난성 우멍의 반란을 진압할 때 향병을 임시로 소집했다가 해산시켰고, 이후 가경제 연간 백련교도의 난에서도 향병이 임시로 소집되었다. 지방 유력자가 향진을 도둑떼로부터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한 무장집단인 단련은 향용의 유력한 병력 공급원이었다.
청나라 말기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팔기병이나 녹영병 등 청나라 정규군이 전투력을 상실했다. 이에 청조는 지방 유력자들에게 군사조직을 만들 것을 지시했고, 1852년 함풍제 2년, 증국번이 후난성에서 상군을, 1861년 함풍제 11년, 이홍장은 회군을 조직했다. 상군과 회군은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을 진압하는 주력군이 되었고, 청나라 말기에는 육군에 편입되었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군벌 할거와 토비 횡행으로 지방 유력자들이 향용 성격의 지방 무장 조직을 보유했다.
2. 1. 기원
향용의 기원은 청나라 초기의 향병(鄕兵)이다. 1730년 옹정제 8년, 오르타이가 윈난성 우멍의 반란을 진압할 때 향병을 임시로 소집했다가 이내 해산시켰다. 즉, 정규군이 없었던 것이다.[1] 이후 가경제 연간 백련교도의 난에도 향병이 임시로 소집되었다. 지방 유력자가 향진을 도둑떼로부터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한 무장집단인 단련은 향용의 유력한 병력 공급원이었다.[1]청나라 말기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팔기병이나 녹영병 등 청나라 정규군이 전투력을 상실하고 유명무실해졌다. 이에 청조는 지방 유력자들에게 군사조직을 만들 것을 지시했고, 1852년 함풍제 2년, 증국번이 후난성에서 자신의 고향에서 향용을 조직, 후난성의 별칭인 상(湘)을 따 상군이라 불렀다. 1861년 함풍제 11년, 이홍장은 이후 회군으로 불리는 향용을 조직했다. 상군과 회군은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을 진압하는 주력군이 되었고, 청나라 말기에는 육군에 편입되었다.[1]
중화민국 시대에는 군벌 할거와 토비 횡행으로 지방 유력자들이 향용 성격의 지방 무장 조직을 보유했다.[1] ''퇀롄''(團練)은 주 왕조 시대에 만들어진 지역 마을 민병대를 지칭하는 중국어 용어이다. 1645년 5월, 명나라 반군 지도자 이자성은 후베이성 토지 소유주들로 구성된 퇀롄에 의해 살해되었다.[1]
가경제 치세 동안, 부패하고 무능한 팔기군과 녹영의 공식 군대가 백련교도의 난을 진압할 수 없게 되자, 청나라 조정은 10개의 성의 지역 유지와 토지 소유주들에게 자체 방어를 위해 퇀롄을 조직하도록 명령했으며, 자금 조달과 통제는 지역 유지와 토지 소유주들의 손에 있었다.[1]
2. 2. 발전과 활약
청나라 초기 향병(鄕兵)은 향용의 기원이었다.[1] 1730년 옹정제 8년에 오르타이가 운남 오몽의 반란을 진압할 때 임시로 향병을 소집했다가 곧 해산시켰다. 즉, 정규군은 없었던 것이다. 이후 가경제 연간 백련교도의 난에도 향병이 임시로 소집되었다. 지방 유력자가 향진을 도둑떼로부터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한 무장집단인 단련은 향용의 유력한 무력 공급원이었다.[1]청나라 말기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팔기병이나 녹영병 등 청나라 정규군이 전투력을 상실하고 유명무실해졌다. 이에 청조는 지방 유력자들에게 군사조직을 만들 것을 지시했고, 1852년 함풍제 2년 증국번이 후난성에서 자신의 고향 이름을 따 상군이라 불리는 향용을 조직했다. 1861년 함풍 11년 이홍장은 회군으로 불리는 향용을 조직했다. 상군과 회군은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을 진압하는 주력군이 되었고, 청나라 말기에는 육군에 편입되었다.[1]
상군은 만주족의 팔기군 및 녹영 군대와 별개로 청나라 시대의 "용영" 군대였다. 상군은 현대식 무기를 사용했으며 장교 순환이 없어 장교와 병사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녹영 및 기병대와 달랐다.[2] 다음은 관련 기록이다.
> 비록 식량은 공적 자금에서 나왔지만, 용영 부대 병사들은 자신들을 명부에 포함하도록 선택해 준 대대 장교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받은 것처럼 감사했다. 평상시에는 [장교와 병사 사이에] 친절함과 상호 신뢰의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서로 어려움과 역경을 헤쳐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3]
용영 민병대 병사들은 징갈, 칼, 창, 구식 총기로 무장했지만, 현대식 총기도 보유하고는 있었으나 일반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병영에서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많은 이들이 아편과 도박에 중독된 채 방치되었다. 그러나 이들 민병대 지휘관들은 엄청난 권력을 얻어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에 총독과 지사에 임명되었다. 임명된 44명의 총독 중 20명이 민병대 지휘관이었고, 같은 기간 임명된 117명의 지사 중 52명이 민병대 지휘관이었으며, 지사의 25%는 황실 과거 시험 최고 등급 2개를 갖추지 못했다.[4]
중화민국 시대에는 군벌 할거와 토비 횡행으로 지방 유력자들이 향용 성격의 지방 무장 조직을 보유했다.[1]
2. 3. 중화민국 시기
중화민국 시기에 들어서면서 군벌이 할거하고 토비가 횡행하게 되자, 지방의 유력자들은 향용과 비슷한 성격의 지방 무장 조직을 보유했다.3. 특징
'''용'''(勇|융중국어)은 청나라 말기에 지역 민간인(주로 한족)을 중심으로 모집된 민병대이다. 이들은 "용감한 자들"이라는 뜻의 "용영"(Yong Ying)이라는 부대 또는 대대('ying') 단위로 편성되었다. 용은 정규군인 팔기군이나 녹영에 속하지 않았고, 자금과 물자는 민간에서 조달했다.[2]
상군은 청나라 시대의 "용영" 군대로, 만주족의 팔기군 및 녹영 군대와는 별개로 현대식 무기를 사용했으며, 장교 순환 근무 제도가 없어 장교와 병사 간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다.[2]
다음은 당시 상황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 비록 식량은 공적 자금에서 나왔지만, 용영 부대 병사들은 자신들을 명부에 포함하도록 선택해 준 대대 장교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받은 것처럼 감사했다. 평상시에는 [장교와 병사 사이에] 친절함과 상호 신뢰의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서로 어려움과 역경을 헤쳐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3]
용영 민병대는 주로 징갈, 칼, 창, 구식 총 등으로 무장했으나, 현대식 총기를 보유한 경우도 드물게 있었다. 병사들은 병영에서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며 아편과 도박에 중독되기도 했다. 그러나 민병대 지휘관들은 큰 권력을 얻어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에 총독과 지사로 임명되기도 했다.[4]
1861년부터 1890년 사이 총독 및 지사 임명 현황은 다음과 같다.[4]
| 구분 | 총독 | 지사 | 과거 시험 최고 등급 2개 미소지 지사 |
|---|---|---|---|
| 민병대 지휘관 출신 | 20명 | 52명 | 지사의 25% |
| 전체 임명 | 44명 | 117명 |
3. 1. 조직 및 구성
'''용'''(勇|융중국어)은 지역 민간인(한족) 출신으로 모집된 민병대 구성원들의 공식 명칭이다. "용감한 자들"은 "용영"(Yong Ying)으로 알려진 부대 또는 대대('ying')로 묶였다. 용은 공식적인 청나라 황실 군대인 팔기군이나 녹영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자금 조달과 물류는 황실 정부가 아닌 민간 사회에서 제공했다.상군은 청나라 시대의 "용영" 군대로, 만주족의 팔기군 및 녹영 군대와 별개였다. 상군은 현대식 무기를 사용했으며 장교의 순환이 없었기 때문에 녹영 및 기병대와 달리 장교와 병사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다.[2]
다음 기록이 있다.
> 비록 식량은 공적 자금에서 나왔지만, 용영 부대 병사들은 자신들을 명부에 포함하도록 선택해 준 대대 장교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받은 것처럼 감사했다. 평상시에는 [장교와 병사 사이에] 친절함과 상호 신뢰의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서로 어려움과 역경을 헤쳐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3]
용영 민병대의 병사들은 종종 징갈, 칼, 창, 구식 총기로 무장했지만, 현대식 총기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일반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종종 병영에서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많은 이들이 아편과 도박에 중독된 채 방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병대의 지휘관들은 엄청난 권력을 얻어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에 총독과 지사에 임명되었다.[4]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의 총독 및 지사 임명 현황은 다음과 같다.[4]
| 구분 | 총독 | 지사 | 과거 시험 최고 등급 2개 미소지 지사 |
|---|---|---|---|
| 민병대 지휘관 출신 | 20명 | 52명 | 지사의 25% |
| 전체 임명 | 44명 | 117명 |
3. 2. 장비
향용은 지역 민간인(한족) 출신으로 모집된 민병대 구성원들을 묶어 ''용영''(Yong Ying)이라는 부대 또는 대대('ying')를 만들었다. 용(Yong)은 공식적인 청나라 황실 군대인 팔기군이나 녹영에 속하지 않았으며, 자금 조달과 물류는 황실 정부가 아닌 민간에서 제공했다.[2]향용 민병대는 주로 징갈, 칼, 창, 구식 총 등으로 무장했으나, 현대식 총기를 보유한 경우도 드물게 있었다.
3. 3. 한계
''용''(勇)은 지역 민간인(한족) 출신으로 모집된 민병대 구성원들의 공식 명칭이었다. 이들은 "용영"(Yong Ying)으로 알려진 부대 또는 대대로 묶였다. 용은 공식적인 청나라 황실 군대인 팔기군이나 녹영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자금 조달과 물류는 황실 정부가 아닌 민간 사회에서 제공했다.상군은 청나라 시대의 "용영" 군대로, 만주족의 팔기군 및 녹영 군대와는 별개였다. 상군은 현대식 무기를 사용했으며 장교의 순환이 없었기 때문에 녹영 및 기병대와 달리 장교와 병사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다.[2]
다음 기록이 있다.
> 비록 식량은 공적 자금에서 나왔지만, 용영 부대 병사들은 자신들을 명부에 포함하도록 선택해 준 대대 장교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받은 것처럼 감사했다. 평상시에는 [장교와 병사 사이에] 친절함과 상호 신뢰의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서로 어려움과 역경을 헤쳐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3]
용영 민병대의 병사들은 종종 징갈, 칼, 창, 구식 총기로 무장했지만, 현대식 총기도 보유하고는 있었으나 일반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종종 병영에서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많은 이들이 아편과 도박에 중독된 채 방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병대의 지휘관들은 엄청난 권력을 얻어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에 총독과 지사에 임명되었는데, 임명된 44명의 총독 중 20명이 민병대 지휘관이었고, 같은 기간에 임명된 117명의 지사 중 52명이 민병대 지휘관이었으며, 지사의 25%는 황실 과거 시험의 최고 등급 2개를 갖추지 못했다.[4]
4. 주요 용영
'''용영'''(勇營)은 지역 민간인(한족) 출신으로 모집된 민병대 구성원들인 "용"(勇)을 묶어 편성한 부대 또는 대대('ying')였다. 용은 공식적인 청나라 황실 군대인 팔기군이나 녹영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자금 조달과 물류는 황실 정부가 아닌 민간 사회에서 제공했다.
용영 민병대의 병사들은 종종 징갈, 칼, 창, 구식 총기로 무장했지만, 현대식 총기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일반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종종 병영에서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했으며, 많은 이들이 아편과 도박에 중독된 채 방치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민병대의 지휘관들은 엄청난 권력을 얻었다. 1861년부터 1890년 사이에 총독과 지사에 임명된 사람들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구분 | 총독 | 지사 |
|---|---|---|
| 민병대 지휘관 출신 | 20명 (전체 44명 중) | 52명 (전체 117명 중) |
지사의 경우 25%는 황실 과거 시험의 최고 등급 2개를 갖추지 못했다.[4]
상군은 청나라 시대의 "용영" 군대로, 만주족의 팔기군 및 녹영 군대와 별개였다. 상군은 현대식 무기를 사용했으며 장교의 순환이 없었기 때문에 녹영 및 기병대와 달리 장교와 병사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다.[2]
다음 기록이 있다.
> 비록 식량은 공적 자금에서 나왔지만, 용영 부대 병사들은 자신들을 명부에 포함하도록 선택해 준 대대 장교들에게 개인적인 호의를 받은 것처럼 감사했다. 평상시에는 [장교와 병사 사이에] 친절함과 상호 신뢰의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에, 전투에서 서로 어려움과 역경을 헤쳐나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3]
주요 용영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뉴스
In Chinese:团练之弊 谭伯牛
http://book.sina.com[...]
Book.sina.com.cn
2008-12-21
[2]
서적
The Military Challenge: The North-west and the Co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
서적
Rise of Chinese military power 1895-19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兵科史書中の兵部尚書ガダフン等の題本について
[6]
서적
満漢大辞典
遼寧民族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