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드셋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통화, 음악 감상, 게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연결 방식에 따라 유선과 무선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통신용, 게임용, 음악 감상용 등으로, 형태에 따라 착용 방식, 이어피스 형태, 마이크 형태 등으로 분류된다. 헤드셋은 항공 교통 관제, 교통, 스포츠, 군사, 소방 등 전문 분야와 어학 학습, 방송, 통화, 컴퓨터 사용 등 일반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크로폰 - 팬텀 파워
팬텀 파워는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1966년 노르웨이 방송 공사에서 48V 팬텀 파워를 사용하면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밸런스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직류 전압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마이크로폰 - 마이크 드롭
마이크 드롭은 공연이나 연설 후 성공적인 마무리 또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는 자신감의 표현으로 마이크를 떨어뜨리는 행위를 지칭하며, 래퍼와 코미디언의 사용으로 대중화되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사용으로 밈화되었으나, 구글의 만우절 기능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으며, 한국에서는 힙합 문화를 중심으로 자신감의 표현으로 사용되지만 과도한 사용은 비판받는다. - 헤드폰 - 에어팟
에어팟은 애플에서 출시한 무선 이어폰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디자인, 기능, 칩셋이 개선되었고,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갖춘 프로 모델과 4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높은 가격, 배터리 문제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헤드폰 - 픽셀 버즈
픽셀 버즈는 구글에서 개발 및 판매하는 무선 이어폰 시리즈로, 다양한 라인업과 구글 어시스턴트 연동, 터치 컨트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음향 기기 - 헤드폰
헤드폰은 이어폰과 밴드를 결합한 장치로, 초기 전기적 소리 신호 청취에 사용되었고, 스테레오 헤드폰과 소형 이어피스 등장, 무선 이어폰 시장 성장, 다양한 형태와 연결 방식, 노이즈 캔슬링 등 신기술 개발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음향 기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헤드셋 | |
---|---|
일반 정보 | |
명칭 | 헤드셋 |
유형 | 이어폰 마이크 |
용도 | 전화 통신 컴퓨터 오디오 게임 음악 감상 |
형태 | 모노 스테레오 서라운드 사운드 |
기술 정보 | |
연결 방식 | 유선 (3.5mm 오디오 잭, USB) 무선 (블루투스) |
마이크 종류 | 콘덴서 마이크 다이내믹 마이크 |
임피던스 | 다양함 |
주파수 응답 | 다양함 |
추가 기능 | |
노이즈 캔슬링 | 노이즈 캔슬링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다름 |
음량 조절 | 음량 조절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다름 |
마이크 음소거 | 마이크 음소거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다름 |
무선 충전 | 무선 충전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다름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이어폰 마이크 헤드폰 핸즈프리 |
참고 | |
참고 사항 | 헤드셋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기술 발전과 함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
2. 종류
헤드셋은 연결 방식, 사용 목적,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컴퓨터 헤드셋은 표준 3.5mm 연결과 USB 연결 두 가지 유형이 있다. 3.5mm 헤드셋은 사운드 카드를 통해, USB 헤드셋은 자체적으로 오디오 변환을 한다. 게임용 헤드셋은 게이머를 위한 추가 기능(게임별 사운드 모드, 디자인, 분리형 마이크, RGB 조명 등)을 제공한다.
휴대폰 헤드셋은 핸즈프리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착용 스타일(목뒤, 머리 위, 귀 착용, 경량 이어버드 등)이 있다. 일부는 2.5mm 플러그를 사용해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3.5mm 잭을 사용하지만, OMTP 및 CTIA 핀 정렬 방식이 있어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
블루투스 헤드셋도 많이 사용되며, 블루투스 어댑터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다. 블루투스 1.1부터 음성 통화 및 음악/비디오 재생이 가능하지만, A2DP 프로필이 없으면 스테레오 재생이 불가능하다.
2. 1. 연결 방식
연결 방식에 따라 유선 헤드셋과 무선 헤드셋으로 나뉜다.휴대폰 헤드셋은 종종 핸즈프리라고도 불린다. 구형 휴대폰은 마이크 모듈이 케이블에 연결된 단일 이어폰을 사용했다. 음악을 재생하는 휴대폰의 경우, 제조사에서 스테레오 이어폰과 마이크를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더 나은 음질이나 무선 연결을 위해 타사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모바일 헤드셋은 목뒤 착용, 머리 착용, 귀 착용, 경량 이어버드 등 다양한 착용 스타일로 제공된다. 일부 모바일 헤드셋은 휴대폰의 오디오 커넥터와 다른 표준 2.5mm 플러그를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어댑터를 구입해야 한다. 스마트폰은 표준 3.5mm 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헤드셋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3.5mm 플러그에는 OMTP와 CTIA 핀 정렬 방식이 있으므로, 사용자는 헤드셋을 구입하기 전에 자신의 장치가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2019년, 무선 헤드셋은 기업 및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다양한 무선 제품이 있으며, 사용 분야와 전력 관리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 최초의 무선 헤드셋은 아폴로 계획 당시 우주 비행사와의 통신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플랜트로닉스가 공동으로 발명했다.[4][5]
블루투스 기술은 근거리 음성 전송에 널리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짧은 거리(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저전력을 사용하기 때문)가 제한 요소이다. 주로 사용자의 주머니에 있는 휴대폰과 핸즈프리 블루투스 이어폰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2. 1. 1. 유선 헤드셋
유선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3.5mm 오디오 잭이나 USB 포트를 통해 장치에 연결된다. 안정적인 연결과 고음질을 제공하지만, 케이블로 인해 이동성이 제한될 수 있다.컴퓨터용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표준 3.5mm 연결과 USB 연결의 두 가지 연결 유형으로 제공된다. 일반 3.5mm 컴퓨터 헤드셋에는 2개의 3.5mm 커넥터가 함께 제공된다. 하나는 마이크 잭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컴퓨터의 헤드폰/스피커 잭에 연결된다. 3.5mm 컴퓨터 헤드셋은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헤드셋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사운드 카드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된다. USB 컴퓨터 헤드셋은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며 오디오 변환은 헤드셋 또는 헤드셋 제어 장치에서 발생한다.
컴퓨터용 게이밍 헤드셋은 게임용으로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게이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에는 게임별 사운드 모드, 인기 게임이나 테마에서 영감을 받은 미적 디자인, 분리형 마이크, RGB 조명이 포함된다.[3]


전화 헤드셋은 유선 전화 시스템에 연결된다. 전화 헤드셋은 전화의 수화기를 대체하여 작동한다. 표준 유선 전화용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RJ-9 커넥터라고 하는 표준 4P4C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많은 DECT 전화 및 기타 응용 프로그램에 2.5mm 잭 소켓이 있는 헤드셋도 있다.
2. 1. 2. 무선 헤드셋

많은 무선 모바일 헤드셋은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폰이나 컴퓨터와 연결된다. 블루투스 버전 1.1부터 음성 통화 및 음악/비디오 재생이 가능하지만, A2DP 프로필이 없으면 스테레오 재생이 불가능하다.[7] A2DP 프로필을 지원하는 헤드셋은 스테레오 음악을 재생할 수 있지만, 일부는 음악 재생 중 마이크 기능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한다.[7] 에어팟과 같은 최신 블루투스 헤드셋은 통화 및 Siri와 같은 디지털 비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한다.[8]
디지털 향상 무선 통신(DECT)은 무선 전화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유럽에서는 1.88~1.90GHz RF, 미국에서는 1.92~1.93GHz RF를 사용한다. DECT의 일반 액세스 프로필(GAP)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기지국과 핸드셋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플랜트로닉스, 자브라 등의 회사는 GAP 지원 DECT 전화와 직접 페어링되는 무선 헤드셋을 출시하여 가정용 DECT 전화와 연결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6]

2.4GHz RF를 사용하는 무선 헤드셋도 있다. 이 주파수 대역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무선 통신용으로 개방되어 있어 널리 사용되지만, 무선 LAN, Wi-Fi 등과 같은 다른 무선 기술과 주파수를 공유하기 때문에 간섭에 취약할 수 있다. 2.4GHz 무선 헤드셋은 무선 전화와 직접 통신할 수 없으므로, 베이스 스테이션이 필요하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핸드셋 잭을 통해 전화기에 연결되며, 무선 헤드셋과 2.4GHz RF로 통신한다. 일부 제품은 자동 핸드셋 리프터를 제공하여 무선으로 핸드셋을 들 수 있게 한다.
2. 2. 사용 목적
헤드셋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게임용 헤드셋: 컴퓨터 게임용으로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게이머에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3.5mm 연결 외에 USB 연결도 지원한다.
- 휴대폰 헤드셋: 핸즈프리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착용 스타일로 제공된다. 일부는 휴대폰의 오디오 커넥터와 다른 표준 2.5mm 플러그를 사용하므로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표준 3.5mm 잭을 사용하지만, OMTP 및 CTIA 핀 정렬 방식이 있어 구매 전 확인해야 한다.
- 무선 헤드셋: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해 휴대폰이나 컴퓨터와 연결된다.
2. 2. 1. 통신용 헤드셋
통신용 헤드셋은 주로 전화 통화, 화상 회의, 콜센터 업무 등에서 선명한 음성 전달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주변 소음을 줄여주는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가 탑재된 헤드셋은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상대방에게 또렷한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전화용 헤드셋은 유선과 무선 방식으로 나뉜다. 유선 헤드셋은 일반적으로 RJ-9 커넥터라고 하는 표준 4P4C를 사용하며, 일부는 2.5mm 잭 소켓을 사용하기도 한다. 무선 헤드셋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콜센터와 같이 전화 사용이 많은 업무 환경에서는 헤드셋이 필수적이다. 헤드셋을 사용하면 두 손이 자유로워져 통화 중에도 컴퓨터 작업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헤드셋 호환성 및 핀 정렬
모든 전화 헤드셋이 모든 전화 모델과 호환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셋은 표준 수화기 잭을 통해 전화에 연결되는데, 전화기마다 수화기 잭의 핀 배열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헤드셋을 전화기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화 어댑터나 핀 정렬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다.
; 전화 증폭기
구형 전화기의 경우, 헤드셋 마이크와 원래 수화기의 임피던스가 달라 전화 헤드셋의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해 전화 증폭기가 필요하다. 전화 증폭기는 핀 정렬 어댑터 역할뿐만 아니라, 마이크와 스피커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기능도 한다. 대부분의 전화 증폭기는 볼륨 조절, 음소거, 수화기와 헤드셋 간 전환 기능을 제공하며, 배터리나 AC 어댑터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 퀵 디스커넥트 케이블
대부분의 전화 헤드셋에는 퀵 디스커넥트(QD) 케이블이 있어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전화기에서 빠르게 분리할 수 있다.

; 수화기 리프터

수화기 리프터는 전화기의 수화기를 자동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려놓는 장치이다. 주로 무선 헤드셋과 함께 사용되며, 구형 전화기에서도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헤드셋 버튼을 누르면 베이스 스테이션이 수화기 리프터에 신호를 보내 수화기를 제어하는 방식이다.[2]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장치가 필요 없는 전화기들이 많아지면서 수화기 리프터는 구식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2. 2. 2. 게임용 헤드셋
컴퓨터용 게임용 헤드셋은 게임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게이머에게 유용한 몇 가지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에는 게임별 사운드 모드, 인기 게임이나 테마에서 영감을 얻은 미적 디자인, 탈착식 마이크 및 RGB 조명이 포함된다.[3]일반적으로 컴퓨터용 헤드셋은 표준 3.5mm 연결과 USB 연결의 두 가지 연결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3.5mm 컴퓨터 헤드셋은 두 개의 3.5mm 커넥터를 갖추고 있는데, 하나는 마이크 잭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컴퓨터의 헤드폰/스피커 잭에 연결된다. 3.5mm 컴퓨터 헤드셋은 사운드 카드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며, 사운드 카드는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헤드셋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USB 컴퓨터 헤드셋은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되며, 오디오 변환은 헤드셋 또는 헤드셋의 제어 장치에서 이루어진다.
2. 2. 3. 음악 감상용 헤드셋
음악 감상용 헤드셋은 넓은 주파수 대역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고음질의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한다.[1]2. 3. 형태
헤드셋은 착용 방식과 이어피스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모바일 헤드셋은 목뒤 착용, 머리 위 착용, 귀 착용, 경량 이어버드 등 다양한 스타일로 제공된다. 구형 휴대폰은 케이블에 연결된 단일 이어폰을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스테레오 이어폰과 마이크가 함께 제공된다. 음질 향상이나 무선 연결을 위해 타사 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컴퓨터 헤드셋은 3.5mm 연결이나 USB 연결을 사용한다. 전자는 사운드 카드를 통해, 후자는 자체적으로 오디오 변환을 처리한다. 게임용 헤드셋은 게이머를 위한 추가 기능(게임별 사운드 모드, 디자인, 분리형 마이크, RGB 조명 등)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은 표준 3.5mm 잭을 사용하지만, OMTP 및 CTIA 핀 정렬 방식이 있어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 블루투스 헤드셋도 많이 사용되며, 블루투스 어댑터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다.
2. 3. 1. 착용 방식
머리 위로 착용하는 헤드밴드가 있는 표준 헤드셋은 '''오버이어 헤드셋'''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의 목 뒤로 헤드밴드가 지나가는 헤드셋은 '''백웨어 헤드셋''' 또는 '''비하인드-넥 헤드셋'''으로 알려져 있다. 부드러운 이어 후크로 귀에 걸치는 헤드셋은 '''오버이어 헤드셋''' 또는 '''이어루프 헤드셋'''으로 알려져 있다. '''컨버터블 헤드셋'''은 사용자가 다양한 부품을 재조립하여 착용 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속기사들이 착용하는 헤드폰과 유사한 '''언더-더-친 헤드셋'''도 있다.[1]
2. 3. 2. 이어피스 형태
헤드셋 이어피스는 한쪽 또는 양쪽 귀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인 이어(in-the-ear): 귓구멍 바깥 부분에 맞는 이어버드 안에 작은 스피커가 들어 있다.
- 온 이어(on-the-ear): 외부 귀에 얹는 평평한 스피커(종종 쿠션이 있음)가 있다.
- 오버 이어(around-the-ear): 외부 귀를 감싸고 머리에 밀착되어 더 많은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더 크고 쿠션이 있는 이어패드가 있다.
2. 3. 3. 마이크 형태
헤드셋의 마이크 암 형태는 외장형과 음성 튜브형(내부 마이크 디자인)으로 나뉜다. 외장형 마이크는 마이크 암 앞부분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음성 튜브형은 이어피스 근처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고, 튜브를 통해 소리가 전달된다.[2]외장형 마이크는 대부분 무지향성 마이크 또는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유형이다.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는 양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데, 수음 범위가 마이크의 정면과 정반대 후면 두 각도로 제한된다. 이는 "8"자 모양의 필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소리는 잘 수음하고 주변 소음은 줄이는 효과가 있다.[2]
무지향성 마이크는 360도 모든 방향의 소리를 수음하므로 주변 소음이 많이 포함될 수 있다.[2]
3. 구조 및 형태
헤드셋은 스피커, 마이크, 헤드밴드, 이어컵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밴드는 머리에 착용하는 부분으로, 정수리를 지나는 형태, 양쪽 귀와 뒤통수로 지지하는 형태, 뒤통수와 관자놀이로 지지하는 형태, 목에 거는 형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는 골전도식 헤드폰 또는 마이크를 사용한 헤드셋이 사용된다. 모터스포츠에서는 피트 크루나 스포터 등이 소음 속에서도 통신을 하기 위해 밀폐형으로 강한 차음성이 있는 이어머프를 사용한 헤드폰을 사용한다. 또한 드라이버의 헬멧 내부에는 얇은 스피커와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가 내장된 경우가 많다.[1]
마이크는 주로 단일 지향성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가 사용되며, 자신의 목소리 외의 소리는 최대한 잡지 않도록 설계된다. 콘덴서 마이크가 많이 사용되지만, 다이내믹 마이크를 사용한 헤드셋도 있다. 음성을 잡기 쉽도록 마이크가 입 근처까지 뻗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뮤지컬 등에서는 관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살색의 초소형 마이크가 얼굴 옆에 장착되기도 한다. 주변 소음을 거의 잡지 않는 인후식 마이크가 사용되기도 한다.[1]
4. 용도
헤드셋은 오락,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컴퓨터용 헤드셋은 3.5mm와 USB 연결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된다. 3.5mm 헤드셋은 마이크와 헤드폰/스피커 잭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를 사용하며,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사운드 카드를 통해 연결된다.[2] USB 헤드셋은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며, 오디오 변환은 헤드셋 자체 또는 제어 장치에서 이루어진다.[2] 게임용 헤드셋은 게이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게임별 사운드 모드, 독특한 디자인, 분리형 마이크, RGB 조명 등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2]
휴대폰용 헤드셋은 핸즈프리라고도 불리며, 초기에는 케이블에 마이크가 연결된 단일 이어폰 형태였다.[2] 최근에는 스테레오 이어폰과 마이크가 함께 제공되거나, 음질이나 무선 연결을 위한 타사 제품도 있다.[2] 모바일 헤드셋은 목뒤 착용, 머리 위 착용, 귀 착용, 경량 이어버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2] 일부 제품은 2.5mm 플러그를 사용하므로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다.[2] 스마트폰은 3.5mm 잭을 주로 사용하지만, OMTP와 CTIA 핀 배열이 다르므로 구매 전 확인이 필요하다.[2]
무선 모바일 헤드셋은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전화나 컴퓨터에 연결되며, 블루투스 어댑터를 USB 포트에 연결하기도 한다.[2] 블루투스 1.1 버전부터 음성 통화, 음악 및 비디오 재생이 가능하지만, A2DP 프로필이 없으면 스테레오로 재생되지 않는다.[2]
4. 1. 전문 분야
- 항공 교통 관제
- : 관제사, 지상 직원, 보스제 노이즈 캔슬링 헤드셋을 사용하는 P-8의 조종사[2] 등 직종에 맞는 제품이 있다. 데이비드 클라크제의 헤드셋을 착용한 미국 공군 병사도 있다[2]. 플랜트로닉스의 점유율이 높다[2].
- 소형기용: 헤드폰 부분이 밀폐형[2]
- 대형기용: 개방형[2]
- 전투기나 전투 헬리콥터 탑승자용: 헬멧 내장형[2]
- 지상 직원용: 소음이 심한 가운데 사용하기 때문에 밀폐형으로 외부 소음을 줄이는 구조[2]
- 전화로 빈번하게 연락이 필요한 트럭 등의 운전자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일체화된 것을 사용하여 운전하면서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2]
- 통신선 공사
: 회선 보수를 담당하는 사람이 배선반의 선이 어떤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2]
종목 | 사용 목적 | 특징 |
---|---|---|
사이클 로드 레이스 | 선수 주행 중 감독 지시 및 선수-감독 간 상황 보고[2] | 일반 헤드셋 또는 소형 이어폰 마이크를 볼에 부착[2] |
모터스포츠 | 선수와 팀(피트) 간 통신, 랠리의 경우 동승 크루 간 대화[2] | 헬멧 내장형, 이어플러그 타입 스피커, 이동 구간에서는 일반 헤드셋 착용[2] |
미식축구 (NFL) | 감독-코치 간 지시[2] | 코치용: 지향성 마이크, 대형 이어컵(한쪽 귀만), 선수용: 소형 경량, 충격에 강함, 모토로라 "NFL 스타일 헤드셋" 제조[2] |
- 군사
: FAST 헬멧에 장착된 컴택제 헤드셋을 착용한 영국 육군 병사[2], 보병이나 특수 부대 인원이 착용하여 작전 중의 지휘 연락 수단으로 이용[2]
- 펠터사제 "컴택" 시리즈가 유명[2]
- 택티컬 헤드셋: 발포음/폭발음 차단 노이즈 캔슬링 기능, 작은 소리 증폭 및 방향 판별 기술 이용 음향 증폭 장치[2]
- 레플리카는 서바이벌 게임 관계자에게도 사용[2]
- 소방
: 미국의 소방차에서는 사이렌을 울리며 급행 중에는 차내에서의 대화가 어렵기 때문에 승무원은 헤드셋을 착용[2]
: 콘테스트나 DX 페디션처럼 스탠드 마이크의 푸시 투 토크 스위치를 누르는 시간조차 아까운 경우에 사용(손은 무전기를 조작하고 기록을 하고, 스위치는 발로 조작)[2]
4. 2. 일반 분야
- 어학 학습
- *: LL 교실 등에서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elephone Headset
http://universaltele[...]
2010-05-27
[2]
웹사이트
How to connect a headset to console?
https://bestreviewsb[...]
2016-08-18
[3]
웹사이트
What to Look For in a Gaming Headset
https://www.soundguy[...]
2022-01-22
[4]
웹사이트
NASA - As Clear as a Bell
https://www.nasa.gov[...]
2019-07-19
[5]
웹사이트
Apollo space program spawned technologies, products still in use
https://www.upi.com/[...]
2019-07-19
[6]
웹사이트
Plantronics and Jabra Headset - Amplification and Frequency Variations
http://headsetplus.c[...]
2016-06-23
[7]
웹사이트
Bluetooth – A2DP explained.
http://www.pcauthori[...]
[8]
웹사이트
Do AirPods have a microphone?
https://www.electron[...]
[9]
웹사이트
Bone conduction headphones: Gimmick or godsend?
https://www.soundguy[...]
[10]
웹사이트
HOW DO BONE CONDUCTION HEADPHONES WORK?
https://www.salusu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