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무테지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독일의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20세기 초 근대 디자인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독일 공작 연맹의 창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기능주의와 합리주의에 기반한 디자인 철학을 발전시켰다. 런던 주재 독일 대사관 근무를 통해 미술 공예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저서 '영국의 주택'을 통해 이를 소개했다. 또한, 일본에서 건축 기술자로 활동하며, 일본 최초의 독일 개신교 교회를 설계하기도 했다. 무테지우스는 독일 공작 연맹의 규격화 주장을 펼치며, 앙리 반 데 벨데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의 디자인 철학은 전 세계 디자인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베를린의 무테지우스 예술 아카데미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사망 - 김학렬
김학렬은 일제강점기 출신으로 고등고시 합격 후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에서 요직을 거쳐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며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정책 추진과 포항종합제철소 건설을 위한 경제협력자금 유치에 기여한 관료이다. - 1927년 사망 - 이해조
이해조는 일제강점기 신소설 작가이자 언론인으로, 《제국신문》, 《매일신보》 등에서 활동하며 《고목화》, 《빈상설》, 한국 최초 추리소설로 평가받는 《쌍옥적》 등 다수의 신소설을 발표했고, 고전 소설 재해석, 쥘 베른 소설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 신소설 창시자로 인정받는다. - 1861년 출생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1861년 출생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헤르만 무테지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861년 4월 20일 |
| 출생지 | 그로스노이하우젠, 튀링겐주, 독일 제국 |
| 사망일 | 1927년 10월 29일 |
| 사망지 | 베를린, 바이마르 공화국 |
| 교육 | 프리드리히-빌헬름 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 |
| 직업 | 건축가, 작가, 외교관 |
| 사조 | 미술공예 운동 |
| 배우자 | 안나 트리펜바흐 |
2. 생애 및 교육
무테지우스는 1861년 에르푸르트 근처 그로스노이하우젠에서 태어나 건축업자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당시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서 철학과 미술사를 공부하고 샤를로텐부르크 공과대학(현재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건축학을 전공했다. 학업을 마친 후 1887년부터 1891년까지 일본 도쿄의 독일 건설 회사에서 근무하며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독일 개신교 교회를 완공하고 아시아를 여행했다.[1][2] 1891년 독일로 돌아와 프로이센 공공사업부에서 일했으며, 1895년에는 이탈리아에서 유학했고, 약 2년 동안 건설 저널의 편집자로 활동했다.[2][3]
1896년 런던 주재 독일 대사관 문화 담당관으로 임명되어 안나 트리펜바흐와 결혼했다.[4] 이후 6년간 영국의 주거 건축, 가정 생활, 디자인을 연구하여 1904년과 1905년에 ''Das englische Hausde''(번역: 영국 주택)를 출판했다.[5] 그는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찰스 레니 매킨토시의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글래스고 미술 학교의 작품을 조사하고 윌리엄 비들레이크가 버밍엄에 지은 주택에 대해 글을 썼다.
1904년 독일로 돌아와 사설 건축가로 활동하며, 프로이센 정부의 공식 자문역을 겸임하며 공예 훈련에 더 중점을 두도록 미술 및 디자인 교육 개혁에 주력했다.[5] 이후 20년 동안 독일 전역에 걸쳐 일련의 주택을 설계했다.
2. 1. 초기 생애
무테지우스는 1861년 에르푸르트 근처 그로스노이하우젠에서 태어났으며, 건축업자였던 아버지로부터 조기 교육을 받았다. 군 복무를 마친 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당시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서 2년간 철학과 미술사를 공부했으며, 1883년 샤를로텐부르크 공과대학(현재 베를린 공과대학교) 건축학과에 입학하는 동시에 국회의사당 건축가 파울 발로트의 사무실에서 일했다.2. 2. 일본에서의 활동 (1887-1891)
무테지우스는 학업을 마친 후 1887년부터 1891년까지 일본 도쿄에 있는 독일 건설 회사인 엔데 & 뵈크만에서 근무했다.[1]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첫 번째 건물인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독일 개신교 교회를 완공하는 것을 보았고,[2] 아시아 전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할 수 있었다.메이지 시대의 일본으로 건너가 1887년부터 1890년까지 헤르만 엔데와 빌헬름 베크만에 의한 관청 집중 계획(법무성 붉은 벽돌 건물은 그 성과 중 하나)에 건축 기술자로 종사했다. 또한 1897년에 도쿄부 고지마치에 완성된 일본 최초의 독일 개신교 개신교회(관동 대지진으로 소실된 후 도고자카 교회)의 설계를 담당했다.[12]
2. 3. 런던 주재 독일 대사관 근무 (1896-1903)
1896년, 무테지우스는 런던 주재 독일 대사관 문화 담당관직을 제안받았다. 그는 패션 디자이너이자 가수로 활동한 안나 트리펜바흐와 결혼했다.[4] 이를 통해 영국인들의 생활 방식을 연구할 기회를 얻었다. 이후 6년간 주거 건축, 가정 생활, 디자인을 조사하는 데 집중했으며, 1904년과 1905년에 3권으로 출판된 보고서인 ''Das englische Haus|영국 주택de''은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 되었다.[5] 그는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지만, 특히 기능, 겸손, 절제, 개성, 재료에 대한 정직성을 강조하는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의 철학과 실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를 독일 19세기 건축의 과시적인 역사주의와 장식에 대한 집착에 대한 대안으로 보았고, 산업 디자인에 장인 정신을 불어넣으려는 노력은 국가 경제에 중요한 이점으로 여겼다. 찰스 레니 매킨토시의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글래스고 미술 학교의 혁신적인 작품을 조사하기 위해 글래스고를 방문했으며, 윌리엄 비들레이크가 버밍엄에 지은 주택에 대해 글을 썼다.무테지우스는 공식 보고서 외에도 작가로서 경력을 쌓아 자신의 아이디어와 관찰을 영향력 있는 일련의 책과 기사를 통해 전달했으며, 이는 그를 독일의 중요한 문화적 인물로 만들었고, 궁극적으로 ''Das englische Haus|영국 주택de''으로 이어졌다. 그의 아내는 반(反) 패션에 대해 글을 썼으며, 독일 의류 산업가들이 여성들을 어떻게 착취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프랜시스 맥도날드가 디자인한 새로운 표지를 포함한 그녀의 책은 예술적 의상 운동에 중요한 기여로 간주된다.[6]
무테지우스는 1905년에 출판된 ''데코라티베 쿤스트|Dekorative Kunstde''의 한 호에 글래스고의 윌로우 티룸에 대해 글을 썼는데, 이 호는 거의 전적으로 "글래스고의 매킨토시 티룸"에 할애되었다. 그는 "오늘날 글래스고를 방문하는 사람은 누구나 미스 크랜스턴의 티룸에서 몸과 마음을 쉬며 몇 푼으로 차를 마시고, 아침 식사를 하며, 자신이 동화 속에 있다고 꿈꿀 수 있다"고 말했다. 동시에 그는 매킨토시가 "이 빽빽한 추함의 정글에서 아름다움의 깃발을 들기" 위해 보상받지 못하는 고군분투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7]
이후, 무테지우스는 프로이센 정부의 관리로서 런던의 대사관에 근무하며 (1896년 - 1903년) 미술 공예 운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04년에 『영국의 주택』(Das englische Haus|de)을 간행하여, 미술 공예 운동의 소개자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3. 디자인 철학
무테지우스는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디자인은 기능을 충족해야 하며, 단순하고 합리적인 형태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디자인과 기술의 통합을 강조하며, 기술과 결합한 디자인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야 한다고 보았다.[5]
3. 1. 기능주의와 합리주의
무테지우스는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디자인은 기능을 충족하는 것이어야 하며, 단순하고 합리적인 형태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디자인과 기술의 통합을 강조하며, 디자인은 기술과 결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무테지우스는 1904년 독일로 돌아와 사설 건축가로 활동하며, 프로이센 정부의 공식 자문역을 겸임하며 공예 훈련에 더 중점을 두도록 미술 및 디자인 교육 개혁에 주력했다.[5]
이후 20년 동안 그는 독일 전역에 걸쳐 일련의 주택을 설계했으며, 자신의 유명한 저서에서 설명한 원칙과 실천을 바탕으로 이를 확립했다.
3. 2. 미술공예운동의 영향
무테지우스는 1896년부터 1903년까지 런던 주재 독일 대사관 문화 담당관으로 근무하며 미술 공예 운동에 큰 영향을 받았다.[4] 그는 영국에서 6년간 주거 건축, 가정 생활, 디자인을 연구했고, 1904년에는 『영국 주택』(Das englische Haus)을 간행하여 미술 공예 운동의 소개자로 알려지게 되었다.[5]그는 기능, 겸손, 절제, 개성, 재료에 대한 정직성을 강조하는 영국의 미술 공예 운동 철학과 실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이를 독일 19세기 건축의 과시적인 역사주의와 장식에 대한 집착에 대한 대안으로 보았고, 산업 디자인에 장인 정신을 불어넣으려는 노력은 국가 경제에 중요한 이점으로 여겼다. 그는 찰스 레니 매킨토시의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글래스고 미술 학교의 혁신적인 작품을 조사하기 위해 글래스고를 방문했으며, 윌리엄 비들레이크가 버밍엄에 지은 주택에 대해 글을 썼다.
무테지우스는 1905년에 출판된 ''데코라티베 쿤스트de''의 한 호에 글래스고의 윌로우 티룸에 대해 글을 썼는데, "오늘날 글래스고를 방문하는 사람은 누구나 미스 크랜스턴의 티룸에서 몸과 마음을 쉬며 몇 푼으로 차를 마시고, 아침 식사를 하며, 자신이 동화 속에 있다고 꿈꿀 수 있다"고 묘사했다.[7]
한편, 무테지우스는 영국의 건축가 레지날드 블롬필드가 쓴 "The Formal Garden in England"(1892년)를 통해 풍경식 정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베를린의 공원 감독자 구스타프 마이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렌네-마이어 학파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4. 독일 공작 연맹 (Deutscher Werkbund)
독일 공작 연맹은 20세기 초 독일에서 결성된 디자인 및 건축 단체이다. 무테지우스는 이 단체의 창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1910년부터 1916년까지 의장을 역임했다. 독일 공작 연맹은 산업 생산품에 예술적 디자인을 접목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독일 공작 연맹은 르 코르뷔지에,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어 로에 등 훗날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들의 초기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작 무테지우스 자신은 아르누보나 바우하우스 디자인을 19세기의 피상적인 스타일과 유사하다고 평가하며 초기 모더니즘에 공감하지 않았다.
무테지우스는 드레스덴 근교 헬러라우 건설에 참여했는데, 헬러라우는 가든 시티 운동의 영향을 받은 계획도시였다. 헬러라우 건설은 독일 공작 연맹의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무테지우스의 직원이었던 마틴 바그너는 헬러라우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1924년부터 1932년까지 베를린에 대규모 주택 단지를 건설했다.
1907년, 무테지우스는 독일 공작 연맹 설립에 참여하여 산업과 예술의 통일을 추구했으며, 전시회 개최 및 출판 사업을 진행했다. 1914년 쾰른 전시회 이후, 무테지우스는 규격화를 중시하는 입장을 보인 반면, 앙리 반 데 벨데는 작가 개인의 예술성을 강조하여 이들 사이에 "규격화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4. 1. 설립 배경
1907년, 무테지우스는 '쿤스트게베르베 경제적 이익 전문 협회'로부터 베를린 강연에서 독일 산업 제품의 품질을 비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로 인해 여러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와 산업가들이 협회를 탈퇴하고, 대량 생산품에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일 공작 연맹'을 설립하는 논란이 일었다.4. 2. 설립과 활동
이 무렵 무테지우스는 영국 문화를 숭상하는 사람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이는 그가 이중 충성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1907년, 그는 '쿤스트게베르베 경제적 이익 전문 협회'(Fachverband für die wirtschaftlichen Interessen des Kunstgewerbes)로부터 베를린 강연에서 독일 산업 제품의 품질을 비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로 인해 여러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와 산업가들이 협회를 탈퇴하고, 대량 생산품에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일 공작 연맹'(Deutscher Werkbund)을 설립하는 논란이 일었다.[12]독일 공작 연맹은 르 코르뷔지에,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초기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무테지우스는 여러 면에서 독일 공작 연맹의 정신적 아버지였고 1910년부터 1916년까지 의장을 역임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모더니즘의 부상에 거의 공감하지 못했으며, 아르누보와 나중에 바우하우스의 디자인을 19세기의 그것들과 마찬가지로 피상적인 스타일로 간주했다.
무테지우스는 1909년에 설립된 드레스덴 교외의 가든 시티인 헬러라우를 건설한 주요 건축가 중 한 명이었다. 그 창립은 독일 공작 연맹의 활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무테지우스의 많은 직원 중에는 독일 사회주의 도시 계획가 마틴 바그너가 있었는데, 그는 1924년부터 1932년까지 헬러라우에서 얻은 교훈을 베를린에 대규모로 적용했다.
1907년, 독일의 산업 육성을 목표로 한 독일공작연맹의 설립에 참여하여, 산업과 예술의 통일을 구상하고, 전시회 개최 및 출판 등의 사업을 했다. 무테지우스는 규격화를 중시했기 때문에, 1914년의 쾰른 전시회 이후, 작가 개인의 예술성을 주장하는 앙리 반 데 벨데와의 사이에 "규격화 논쟁"이 일어났다.
4. 3. 영향
무테지우스는 20세기 초 근대 디자인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독일 공작 연맹 창립과 바우하우스 설립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철학을 발전시켰다. 무테지우스의 디자인 철학은 전 세계 디자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1907년, 무테지우스는 '쿤스트게베르베 경제적 이익 전문 협회'로부터 베를린 강연에서 독일 산업 제품의 품질을 비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로 인해 여러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와 산업가들이 협회를 탈퇴하고, 대량 생산품에 최고 수준의 디자인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일 공작 연맹을 설립하는 논란이 일었다.[2]
독일 공작 연맹은 르 코르뷔지에,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초기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무테지우스는 여러 면에서 독일 공작 연맹의 정신적 아버지였고 1910년부터 1916년까지 의장을 역임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모더니즘의 부상에 거의 공감하지 못했으며, 아르누보와 나중에 바우하우스의 디자인을 19세기의 그것들과 마찬가지로 피상적인 스타일로 간주했다.[2]
무테지우스는 1909년에 설립된 드레스덴 교외의 가든 시티인 헬러라우 건설에 참여한 주요 건축가 중 한 명이었다. 헬러라우의 설립은 독일 공작 연맹의 활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무테지우스의 많은 직원 중에는 독일 사회주의 도시 계획가 마틴 바그너가 있었는데, 그는 1924년부터 1932년까지 헬러라우에서 얻은 교훈을 베를린에 대규모로 적용했다.[2]
5. 건축 작품
무테지우스는 건축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했다. 그는 독일의 여러 도시에서 건축물을 설계했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베를린의 "무테지우스 하우스"와 "바우하우스 건물"이 있다. 에어푸르트 근교 그로스노이하우젠 출생으로, 교외 주택을 많이 설계했으며, 1920년에는 당시 최첨단 기술 중 하나였던 무선 통신을 위한 나우엔 무선 전신국|나우엔 무선 전신국de을 브란덴부르크 주하펠란트군에 준공했다.
5. 1. 주요 작품
- 베른하르트 주택 (1906년), 베를린 빌머스도르프, 14193, 뷜러 스트라세 11[9]
- 크라머 주택 (1912년), 베를린 첼렌도르프, 14195, 파첼리알레 18[10]
- 리히터펠데-베스트의 키친넷 주택 (1909년), 베를린 14195, 운터 덴 아이헨 53 (현재는 라이헨슈타이너 베크). 이 건물은 1970년 기준으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11]
- 나우엔 무선 전신국|나우엔 무선 전신국de (1920년), 브란덴부르크 주하펠란트군

나우엔 무선 전신국(1920년).
6. 무테지우스와 정원 논쟁
다나카 마사히로[13]에 따르면, 18세기는 풍경식 정원의 황금기였지만, 19세기에 건축가가 조원 전시회를 열면서 일반의 관심이 건축가의 작품에 쏠리게 되었고, 조원은 본질적인 전환에 직면하게 되었다고 한다.
영국의 건축가 레지날드 블롬필드(Reginald Blomfield)는 저서 "The Formal Garden in England"(1892년)에서 풍경식 정원의 저속함, 비합리성, 자연 모방성, 낭만적인 자연관을 가차 없이 공격했고, 이를 독일에 이식한 무테지우스는 베를린의 공원 감독자 구스타프 마이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렌네-마이어 학파와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이러한 상황을 Marie-Luise_Gothein|마리 루이제 고타인영어 여사는 "1904년에는 분노하며 소란을 피우던 그들은 무테지우스 공격에 여전히 다투었지만, 역시 상황은 착실하게 진행되었다. 조경가가 불평을 할수록, 건축가는 더욱 강하게 정원을 점유했다…"라고 말했다.
7. 영향과 유산
무테지우스는 20세기 초 근대 디자인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독일 공작 연맹의 창립과 바우하우스의 설립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철학을 발전시켰다. 무테지우스의 디자인 철학은 전 세계의 디자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8]
1907년 독일 킬에 'Städtische Handwerker und Kunstgewerbeschule'(시립 공예 및 예술 공예 학교)가 개교했으며,[8]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교는 그의 업적을 기려 '무테지우스-베르크슐레 킬 für 공예 및 응용 예술'(무테지우스 팩토리 학교 킬 공예 및 응용 예술)로 개명되었다.
1907년, 독일의 산업 육성을 목표로 독일공작연맹 설립에 참여하여, 산업과 예술의 통일을 구상하고, 전시회 개최 및 출판 등의 사업을 했다. 무테지우스는 규격화를 중시했기 때문에, 1914년 쾰른 전시회 이후, 작가 개인의 예술성을 주장하는 앙리 반 데 벨데와 "규격화 논쟁"이 일어났다.
1920년에는 무선 통신이 최첨단 기술 중 하나였으며, 브란덴부르크 주하펠란트군에 Nauen Transmitter Station|나우엔 무선 전신국영어을 준공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ermann Muthesius: Architect and Writer
http://www.mackintos[...]
University of Glasgow
2014-09-08
[2]
웹사이트
Muthesius, (Adam Gottlieb) Hermann
http://arthistorians[...]
Department of Art, Art History, and Visual Studies of Duke University
2014-09-08
[3]
서적
Sächsische Biografie
http://saebi.isgv.de[...]
Institute of Saxon History and Cultural Anthropology
2006-01-12
[4]
웹사이트
Dictionary of Art Historians - Hermann Muthesius
http://arthistorians[...]
2018-01-13
[5]
서적
(정보 부족)
1997
[6]
뉴스
Das Eigenkleid der Frau and Artistic Dress
https://gsalibrarytr[...]
2014-12-18
[7]
간행물
Dekorative Kunst
1905
[8]
서적
Kunstwende, Der Kieler Impuls des Expressionismus 1915 – 1922
Wachholtz
1992
[9]
웹사이트
Landhaus Bernhard
https://berlingeschi[...]
[10]
웹사이트
House of Cramer
https://deu.archinfo[...]
[11]
웹사이트
Kitchenette houses in Lichterfelde-West
https://deu.archinfo[...]
[12]
문서
クロイツキルヒェ
[13]
간행물
造園の展開 : 転機に立っている造園
195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