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소카와 요리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의 무장으로,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와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보좌하며 막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야마나 씨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사촌 호소카와 키요우지를 제거하는 등 군사적 공을 세웠으며, 요시아키라 사후에는 어린 요시미쓰를 보좌하며 엄격한 규율과 개혁 정치를 펼쳤다. 사치 금지령을 시행하는 등 검소함을 강조했으나,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인해 실각했다. 이후 사면되어 다시 막부에 참여하여 요시미쓰를 보좌하다 1392년 사망했다. 그는 막부의 권력을 강화하고 행정 절차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으나, 권력 독점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29년 출생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1329년 출생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관령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관령 - 호소카와 가쓰모토
    호소카와 가쓰모토는 무로마치 시대 막부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무장으로, 야마나 소젠과의 대립으로 오닌의 난을 일으키고 여러 가문의 가독 상속 분쟁 등에 관여하여 센고쿠 시대 도래를 앞당긴 인물이자 선종을 신봉하고 예술적 재능을 발휘한 문화인이다.
  • 게이초 호소카와씨 - 오닌의 난
    오닌의 난은 1467년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후계자 문제로 시작되어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11년간 교토를 중심으로 벌어진 대규모 내전이며, 아시카가 막부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센고쿠 시대의 시작을 알린 사건이다.
  • 게이초 호소카와씨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호소카와 요리유키
기본 정보
이름호소카와 요리유키
한자 표기細川 頼之
출생1329년
사망1392년3월 25일
어린 시절 이름미쿠로
계명영태원전계암상구대거사
묘소교토부교토시의 지장원
분골 묘소가가와현다카마쓰시의 입선사
또 다른 묘소아이치현오카자키시의 연성원
관직
관위종사위하무사시노카미, 사가미노카미
막부무로마치 막부간레이, 중국 간레이, 시코쿠 간레이
수호아와, 이요, 비고, 사누키, 도사
가계
주군아시카가 다카우지, 요시아키라, 요시미쓰
씨족경조가
부모아버지: 호소카와 요리하루, 어머니: 구로사와 젠니
형제자매요리유키, 아키하루, 요리아리, 요리모토, 미쓰유키
배우자정실: 가스가노쓰보네 (지묘인 야스요의 딸)
자녀양자: 요리모토 , 모토유키, 양자?: 고노 미치유키
기타
로마자 표기Hosokawa Yoriyuki
계승 정보
직책게이초 호소카와 가 당주
전임자호소카와 요리하루
후임자호소카와 요리모토
직책간레이
대수2
전임자시바 요시유키
후임자시바 요시유키
이미지
호소카와 요리유키 상 (지장원 소장)

2. 생애

호소카와 요리하루의 아들로 태어난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막부의 무장으로 활약했다. 1361년 야마나 씨와의 전투에서 승리했고, 여러 전투에서 막부군을 지휘하며 공을 세웠다. 특히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의 신임을 받아 그의 사촌이자 적인 호소카와 키요우지를 죽이기도 했다.[1]

요시아키라가 병으로 눕자 요리유키는 쇼군의 부관으로 임명되었고, 요시아키라는 죽기 직전 자신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요리유키에게 맡겼다.[1] 이듬해 요시미쓰가 10세의 나이로 쇼군이 되자, 요리유키는 6년간 그의 최고 장관으로서 활동했다. 요리유키는 엄격하고 공정한 정치를 펼쳤으며, 30년 전 겐무 시대의 정책에서 영감을 받아 사무라이 가문에 규율과 충성심을 도입하고 반대 세력을 억압하고자 했다.[1] 이를 위해 사치품 제한, 사치스러운 관습 금지 등 사치금지령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요시미쓰는 성인이 되면서 검소함에 대한 생각을 거부하고 요리유키와 갈등을 빚었다. 요시미쓰가 은퇴 후 지은 금박을 입힌 금각사는 이러한 갈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요리유키는 조정에서 가장 강력한 씨족들의 충성심을 고취하기 위해 시바 씨, 하다케야마 씨와 함께 간레이 직책을 돌아가며 맡도록 제안했다. 또한 세습 지주, 종교 집단, 황실 토지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막부의 군사적, 법적 권력을 확장하고자 했다. 이전 부관 고 모로나오와 관련된 군벌들이 막부의 이름으로 명령과 칙령을 발표하는 것을 종식시키기도 했다.

요리유키는 막부의 행정 절차 개발에도 힘썼다. 이전 쇼군들은 개인적으로 사무를 처리하여 조직이나 절차가 거의 없었지만, 요리유키의 지도 아래 행정 방식이 확립되고 정부 운영이 상당 부분 조직되었다.

하지만 막부의 권력을 증대시키고 행정 조직 방식을 확립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둔 요리유키는 권력을 축적한다는 비난을 받아 다른 사무라이 가문 구성원들의 분노를 샀고, 결국 1379년 쇼군으로부터 사임을 요청받았다.[1]

2. 1. 초기 생애와 가문 배경

호소카와 요리하루의 아들로, 미카와국아카다군호소카와향(현재의 아이치현오카자키시호소카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야쿠로였다. 아버지는 무로마치 막부의 유력 무장이었고, 요리유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성장했다.

2. 2. 관응의 난과 시코쿠 평정

1350년, 관응의 난이 발발하자, 요리유키는 아버지 요리하루를 대신하여 아와국에서 군사 활동을 시작했다.[1] 1352년, 아버지 요리하루가 전사하자, 요리유키는 위령 전투를 위해 상경하여 요시아키라를 따랐다.[1] 이후 요리유키는 아와, 사누키, 도사, 이요시코쿠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시코쿠 평정에 큰 공을 세웠다.[1] 특히, 이요의 가와노 미치토모를 토벌하여 시코쿠를 완전히 평정하였다.[1]

1350년 아와국 국인 오가사와라 요리키요가 남조에 가담하자 요리유키는 아버지 대신 아와에 파견되었다. 1352년 남조의 교토 침공으로 아버지가 전사하자, 군대를 이끌고 상경,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를 도와 남산 전투에 참가하여 남군을 격퇴했다. 그사이 아와 남군이 다시 활발해지자, 아버지의 아와 수호를 계승, 오가사와라씨와 이요 가와노씨 등과 싸우며 시코쿠 영토 지배를 확립했다.

1354년 가와노 미치모리를 대신해 이요 수호에 임명되었다. 1356년 나오후유 정벌군에서는 비고국 수호, 규슈 나오후유 토벌 지휘 대장을 명령받았다. 요리유키는 결소 처분권 문제로 사양하려 했으나, 키요우지의 설득으로 비젠・비추・비고・안키・이요 등을 통괄, 군사 지휘 및 행정 권한을 행사했다. 그는 '''중국 대장''', '''중국 관령'''으로 불리며 나가토 탐제 나오후유에 대항하는 막부의 중심 역할을 했다.

1362년 키요우지가 남조로 달아나자, 요리유키는 키요우지 토벌을 명령받았다. 산기국 우다즈(가가와현아야우타군우다즈정)에서 키요우지 군을 격파, 시라미네성 전투에서 키요우지를 전사시켰다. 이후 오우치 히로요, 야마나 토키우지 등의 귀순으로 나오후유 세력은 진압되었다. 요리유키는 중국 관령직에서 해임되었지만, 아와, 산기, 도사 수호를 겸임하고, 이요 가와노 미치토모를 토벌하여 시코쿠를 평정했다.

2. 3. 중국 지역에서의 활약

中国大将|주고쿠 다이쇼일본어, 中国管領|주고쿠 간레이일본어로 불리며 군사 지휘권과 행정 권한을 행사하여 중국 지방을 평정한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1356년 비고국 수호에 임명되어 규슈에서 세력을 가진 아시카가 다다후유 토벌을 지휘했다.[1] 요리유키는 결소 처분권을 장군 다카우지에게 거부당해 취임을 고사하고 아와국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사촌 형제 키요우지의 설득으로 교토로 돌아왔다고 한다. 아와의 남군에 대해서는 유력 피관 니이카이씨를 수호대로 삼으면서, 자신은 중국 지방으로 출병하여 비젠국・비추국・비고・안키국이요국 등 여러 국을 통괄하고, 각지에서 군세 촉구와 감장 수여 등의 군사 지휘권 외에, 소령 안도와 수호 권한 등 행정 권한을 행사했다.[1]

2. 4. 간레이 취임과 막부 정치

1366년 정치의 변으로 스바 요시마사가 실각하자, 요리유키는 막부에 소환되어 간레이(管領)에 취임했다.[1] 요리유키는 어린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보좌하며 막부 권력 강화와 안정에 힘썼다. 검약령 등 법령을 제정하고, 1368년에는 사찰과 귀족의 영지를 보호하는 반제(오안대법)를 시행했다.[4] 바사라를 규제하는 등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남조 세력에 대해서는 구스노키 마사요시를 막부 측으로 귀순시키고,[4] 이마가와 사다요시(료슌)를 규슈 단다이에 파견하여 규슈 평정을 추진했다.

히에이산 등 전통적인 불교 세력과 난젠지 등 신흥 선종 세력의 갈등을 중재하는 데에도 노력했다.

2. 5. 고랴쿠 정변과 실각

요리유키의 개혁 정치는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379년(고랴쿠 원년, 덴주 5년), 고랴쿠 정변이 일어나 요리유키는 간레이 직에서 파면되고 본가(本幹)의 영지(領地)인 사누키로 낙향했다.[1] 요리모토를 총대장(총대장)으로 하는 기이국에 대한 남조(南朝) 정벌이 실패하자, 요시미쓰는 반(反) 요리유키 파인 야마나 씨 등을 정벌에 나서게 하였다. 더욱이 스파 씨와 도키 요리야스에게 군사(兵)를 주자, 여러 장수(諸将)들은 요리유키의 파면(罷免)을 요구하며 교토로 군사를 진격했다. 교고쿠 다카히데 등도 쇼군 저택(将軍邸)을 포위했고(어소권(御所巻)), 이 쿠데타의 결과 요리유키는 퇴거 명령을 받았다. 후임 간레이에는 스파 요시마사가 취임했고, 막부 인사도 스파 파로 교체되었으며, 일부 정책은 뒤집혔다.

2. 6. 복권과 말년

요리모토는 사면 운동을 벌였고, 1389년에 요시미츠가 잇쿠시마 신사를 참배할 때는 사누키 국인들의 선박 제공을 주선하여 우타즈에서 사면되었다. 1391년에 시바 요시마사가 요시미츠와 대립하여 관령직을 사임하자, 요시미츠로부터 상락 명령을 받은 요리유키가 교토로 들어왔다.

요시미츠는 요리유키의 관령 복귀를 바랐지만, 요리유키는 이미 출가했기 때문에, 대신 요리모토를 관령으로 삼고, 요리유키는 이를 보좌하게 되었다. 막부 직책에 없는 요리유키를 막정에 참여시키기 위해, 요시미츠는 쇼군의 사적인 모임에 가까웠던 어전사태에 요리유키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개최하여 중요 사항을 심의하였다. 이 선례는 후에 요시미츠가 적남 요시모치에게 쇼군직을 물려주고 출가한 후, 스스로 막정을 주재할 때에도 사용되었다.

1390년, 비고 국이 혼란에 빠지자, 요리유키는 비고 슈고가 되어 이를 평정하였다.[3] 다음 해 메이토쿠의 난에서는 막부 측으로서 야마나 우지키요와 싸운 후, 다시 교토로 소환되어 막정에 관여하였다.[3] 그러나, 1392년에 감기에 걸려 중병에 걸려 3월에 사망하였다. 향년 64세.

장례식은 요시미츠가 주최하여 쇼코쿠지에서 거행되었다. 계명은 법호를 사용하여, 영태원전 계엄상구대거사.

3. 인물 평가와 영향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초기에 혼란했던 정국을 안정시키고 막부의 권위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를 보좌하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요시아키라 사후에는 어린 쇼군 요시미츠의 후견인으로서 막부를 이끌었다.[1]

요리유키는 겐무 시대의 정책에서 영감을 받아 사무라이 가문 사이에 규율과 충성심을 확립하고 반대 세력을 억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치품과 사치스러운 관습을 제한하는 사치금지령을 발표하기도 했다.[1] 그러나 성인이 된 요시미츠는 검소함을 강조하는 요리유키의 정책에 반대했고, 결국 요리유키는 사임하게 된다.[1]

관령(管領) 직책을 신설하여 자신의 가문인 호소카와 가문이 시바, 하다케야마 가문과 함께 번갈아 맡도록 하여, 조정 내 유력 가문들의 충성심을 높이고자 했다. 또한, 세습 지주, 종교 집단, 황실 토지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막부의 군사적, 법적 권한을 확대하고자 했다.[1] 이전 쇼군들과 달리, 행정 절차를 체계화하여 막부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으나, 권력을 독점한다는 비판을 받고 사임하였다.[1]

3. 1. 인물됨

요리유키는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용감했다고 전해진다. 에도 시대의 일화집 『잡잡습유』에는 요리유키의 총명함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으며, 『호소카와 삼장략전』에는 사촌 형인 호소카와 키요우지와 힘겨루기를 했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아버지 요리하루를 따라 몽창소석의 법문을 듣고 감화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5] 10세 무렵에는 "주인의 심부름을 가는 도중에 부모의 원수를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부모의 원수를 갚아야 할 사람은 무엇보다도 원수를 갚아야 하며, 그 동안은 주인을 섬겨서는 안 된다"라고 즉시 대답했다고 한다.[5]

요리유키는 무예 뿐만 아니라 학문에도 능했다. 와카와 시문, 연가 등 귀족 문화에도 친숙했으며, 그가 지은 와카가 칙선집에 실리기도 했다. 실각하여 시코쿠로 쫓겨날 때 지은 한시 『해남행』도 유명하다. 군사 작법에 대해 기록한 서장도 남아있다. 어린 시절 선승인 몽창소석의 영향을 받아 선종을 믿었으며, 교토경덕사, 지장원, 아와의 광승사 등을 창건했다.

요리유키는 검소하고 청렴한 성품으로 알려져 있다. 아시카가 요시미츠(Ashikaga Yoshimitsu)가 성년이 되면서 검소함을 중시하는 요리유키의 정책에 반대했지만, 요리유키는 사치금지령을 공포하여 사무라이들이 착용할 수 있는 사치품의 종류와 설날 선물 교환과 같은 사치스러운 관습을 제한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고자 노력했다.[1]

3. 2. 평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막부 권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개혁 정치는 비록 실패했지만,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에도 시대의 로쥬 아베 다다아키는 요리유키를 "호소카와 요리유키 이래의 집권자"라고 평가했다. 가쓰 가이슈는 요리유키를 일본 경제를 발전시킨 역사적 인물 중 하나로 꼽았다.

3. 3. 비판적 시각

요리유키의 개혁 정치는 기득권 세력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결국 실패했다는 비판도 있다. 그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은 일부 백성들에게 불만을 샀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요리유키는 막부의 권력을 증대시키고 행정 조직 방식을 확립하는 데 크게 성공했지만, 결국 자신을 위해 권력을 축적한다는 비난을 받아 다른 사무라이 가문 구성원들의 분노를 샀다. 1379년, 그는 쇼군으로부터 사임을 요청받았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호소카와 요리하루
어머니사토자와 젠인
아내조묘인 (승려의 딸)
양자호소카와 요리모토, 호소카와 모토유키


5. 묘소

교토부(京都府) 교토시(京都市) 니시쿄구(西京区)에 있는 지조인(京都市西京区)(地蔵院)과 아이치현(愛知県) 오카자키시(岡崎市) 호소카와정(岡崎市)(細川町)의 렌쇼인(岡崎市)(蓮性院)에 호소카와 요리유키의 묘소가 있다. 지조인에는 산 모양의 자연석 묘비, 요리유키의 법체 초상화(肖像画)와 목상, 요리유키 부인의 초상화가 소장되어 있다. 렌쇼인에는 요리유키의 위패와 염지불(念持仏) 등이 소장되어 있다.[1]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생년은 향년으로 역산, 일부 다른 연령을 기록하는 [[문헌자료 (역사학)|문헌자료]]도 존재한다.
[3] 간행물 時野谷(1979)p.555
[4] 문서 頼之は正儀を助けて南朝と戦うことを唱えたが、認められず、管領を辞して京都嵯峨の[[西芳寺]]に退いた。しかし、将軍義満自ら西芳寺に赴いて頼之の意見にしたがったので、頼之は弟で養子の頼元に正儀を援護させて南朝軍を破った。
[5] 간행물 高野(1997)p.76。原出典は小川信『細川頼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