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우치 히로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우치 히로요는 남북조 시대의 무장으로, 북조를 지지하며 스오와 나가토의 슈고를 역임했다. 초기에는 남조에 귀순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이후 무로마치 막부에 귀순했다. 1360년 야마구치로 본거지를 옮겨 도시 계획을 추진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그의 본거지가 야마구치 시 오우치미호리 지역으로 여겨진다. 그는 아들 오우치 요시히로와 갈등을 겪었으며, 1380년 사망 당시에는 가독을 둘러싼 내전이 벌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보쿠초 시대의 무장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난보쿠초 시대의 무장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 1380년 사망 - 호유용
    호유용은 명나라 초 좌승상으로 권력을 남용하다 홍무제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되었고, 이 사건으로 재상 제도가 폐지되고 황제 중심의 독재 체제가 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사건 조작 가능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1380년 사망 - 샤를 5세
    샤를 5세는 백년 전쟁 시기 섭정으로 즉위하여 에티엔 마르셀의 반란과 자크리의 난을 진압하고 잃었던 영토를 회복했으며, 상비군과 관료층을 확립하여 프랑스 절대왕정의 기초를 다졌다.
  • 스오국 사람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스오국 사람 - 오우치 요시히로
    오우치 요시히로는 규슈, 야마구치 등을 지배한 유력 다이묘로, 남조 세력 격퇴에 기여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와의 갈등으로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했다.
오우치 히로요
기본 정보
씨명다타라성 오우치 씨
이름오우치 히로요
원어 이름大内弘世
가명고마쓰마루(幸松丸), 마고타로(孫太郎) → 히로요(弘世)
별명쇼주인 겐포 도카이(正寿院玄峰道階)
법명쇼주인덴 겐포 도카이 다이코지(正寿院殿玄峰道階大居士)
묘소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조후쿠지(乗福寺, 당시에는 쇼주인(正寿院)이라는 이름이었다)
시대
생몰 시기난보쿠초 시대 ~ 무로마치 시대
출생쇼추 2년(1325년)
사망덴주 6년/고랴쿠 2년 11월 15일(1380년 12월 12일)
가문
가몬Japanese Crest Oouchi Hisi.svg
가몬 설명오우치 마름모(大内菱)
관직
관위종5위 스오노곤노스케(周防権介), 슈리다이후(修理大夫)
막부무로마치 막부 스오국나가토국이와미국의 슈고
주군
주군아시카가 다카우지고무라카미 천황아시카가 요시아키아시카가 요시미쓰
가계
아버지오우치 히로유키
어머니미상
형제히로요, 모로히로, 모로카타
아내산조 가문 여인
자녀오우치 요시히로
미상
오우치 미쓰히로
미상
오우치 히로마사
오우치 모리미
오우치 히로시게
오우치 히로토
오우치 미치토
오우치 이에히로
딸 (쇼니 후유스케의 아내)
딸 (오토모 지카요의 아내)
딸 (무나카타 우지시게의 아내)
기타 정보
묘소 위치야마구치현야마구치시조후쿠지(당시에는 쇼주인)

2. 생애

오우치씨는 북조를 지지하며 무로마치 막부를 따랐으나, 간노의 소란이라는 막부 내란으로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대립하던 그의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가 남조에 항복하였다. 이후 다툼 끝에 다카우지와 다다요시 사이에 화해가 성립되었고, 남북 조정 사이에도 일시적인 화의인 쇼헤이 일통이 성립되었다. 오우치 씨는 남조와의 화목이 결렬된 뒤에도 다다요시와 그 양자(다카우지의 서자) 아시카가 다다후유를 지지하였고, 히로요는 남조의 무장으로써 미쓰요시 친왕을 받들어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쇼헤이 5년/간노 원년(1350년) 아버지 히로유키와 함께 히로요는 막부가 임명한 스오 슈고직이었던 와시즈씨를 치러 나섰다. 와시즈씨는 오우치씨와 마찬가지로 다타라를 혼세로 하는 서류 가문이었다. 오우치 히로요는 스오 현지의 도다이지 소유 영지였던 요시키 군의 후시노장에 난입해 남조에 귀순할 의사를 보였고, 이듬해 7월에 실제로 남조 귀순을 행동으로 옮겼다. 남조로부터 오우치 히로요는 스오의 슈고직에 임명되었으나, 와시즈씨는 여전히 건재했다.

2. 1. 초기 활동과 남조 귀순

2. 2. 오우치 가문 통솔과 스오 평정

오우치 히로유키는 와시즈 공격을 완수하지 못한 채 1352년에 숨을 거두었다.[9] 가독을 이어받은 오우치 히로요는 스오 평정을 서둘러, 같은 해 2월 19일 · 20일 쓰노 군 와시즈 장 시라사카 산에서 와시즈 나가히로, 나이토 후지토키와 전투를 벌였다.[9] 이어 윤2월 17일에는 고시가키, 윤2월 19일과 3월 27일 · 28일에는 구마게 군 아라야 가와치 마나오, 4월 9일부터 29일에 다시금 쓰노 군 와시즈 장 시라사카 산, 나아가 8월 3일에도 와시즈 나가히로 등과 전투를 벌였다.[9] 그 결과, 1353년 와시즈 씨와의 강화로 와시즈 일파를 자신의 휘하에 두게 되었다.[9]

오우치 히로요가 스오 평정을 서둘렀던 배경에는 1352년아시카가 다다후유다자이후에서 잇시키 노리우지에게 패하고 나가토국으로 철퇴한 것, 그 잇시키 노리우지도 남조측의 기쿠치 씨에게 패하고 나가토 슈고였던 고토 씨는 잇시키 노리우지를 지원하는 슈고 고토 요시타케와 아시카가 다다후유를 지원하는 고토 다케후지로 갈라져서 오우치 씨를 둘러싼 상황이 급변하고 있었던 점을 들 수 있다.[9]

2. 3. 나가토 장악

오우치 히로요는 쇼헤이 10년/분나 4년(1355년) 무렵부터 나가토로 진출, 나가토 슈고였던 고토 씨와 전투를 벌였다.[10] 고토 요시타케(厚東義武)는 저항했지만, 쇼헤이 13년/엔분(延文) 3년(1358년) 정월 시모후리 성(霜降城)이 함락되고, 6월에는 조후(長府)를 함락시켜 나가토 국을 평정하였다. 이후에도 고토 요시타케의 저항은 계속되었으나, 쇼헤이 14년/엔분 4년(1359년) 12월 26일 고토 씨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도요우라 군(豊浦郡) 시오지 성(四王寺城)을 함락시켰다. 이 과정에서 요시타케 측 무장인 고토 아무개, 도에이 마타사부로(富永又三郎)를 베었다.[10][11] 시오지 성 함락으로 요시타케는 나가토를 버리고 부젠(豊前) 企救郡으로 달아났다.

쇼헤이 13년/엔분 3년(1358년) 6월 23일, 히로요는 나가토 슈고직에 임명되어[12][13][14] 오우치 씨는 스오와 나가토 두 구니(国)의 슈고가 되었다. 고토 요시타케는 나가토 복귀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나가토 국의 이치노미야(一宮)였던 스미요시 신사(住吉神社)와 니노미야(二宮)였던 이미키노미야 신사(忌宮神社)는 오우치 씨의 공격에 즉시 내응하였다. 히로요는 이들 신사의 영지를 보호해주고 나가토 내부를 안정시킨 뒤, 곧바로 두 신사의 재건에 착수하였다. 스미요시 신사는 겐토쿠(建徳) 원년/오안(応安) 3년(1370년) 3월 11일에 천궁식(遷宮式)을 집행했고[11][15], 이미키노미야 신사는 쇼헤이 22년/조지(貞治) 6년(1367년)에 사전(社殿) 재건을 완료하였다.

한편, 히로요가 맹주로 의지하고 있던 아시카가 다다후유는 교토 상경을 목표로 본거지를 이와미로 옮기면서, 점차 양측의 필요성은 희박해져 갔다.[16]

2. 4. 무로마치 막부로 귀순과 갈등

오우치 히로요는 2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의 권유로 1363년 북조로 귀순했다.[17][18] 이는 아시카가 다다후유가 규슈에서 더 이상 명분을 내세울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히로요는 북조 귀순의 조건으로 스오-나가토 2국의 슈고직을 인정받았다.

1363년 12월, 히로요는 북조측 무장으로서 부젠의 야나기 성을 공격했다.[18] 1364년 2월에는 남조측 기쿠치 씨의 부젠 우마가타케 성을 공격했으나, 나와 아키나가, 나와 아키타카, 기쿠치 다케카쓰, 고토 스루가노카미 등의 연합군에 패하고 가와라타케로 물러났다. 히로요는 포위된 상황에서 나와 나가오의 중재로 화친을 맺고 스오로 돌아갈 수 있었다.[18][19]

1366년 히로요는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를 알현하기 위해 교토로 상경하여 쇼군 가문의 근신들에게 뇌물을 바쳐 막부 내 발언권을 키웠다.[18] 같은 해, 이와미의 남조 세력을 몰아낸 공으로 이와미 슈고로 임명되었고, 출가하여 도카이라는 법명을 얻었다.[13] 이후 이와미와 아키국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그러나 히로요는 무로마치 막부에 일시적으로 귀순한 것이었고, 막부의 안정화를 추구하던 아들 요시히로와 대립하게 되었다. 1371년부터 규슈 단다이 이마가와 사다요를 지원하여 규슈를 공격하기도 했지만, 1374년1376년에는 아키 고쿠진인 모리 모토하루를 공격하여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간레이 호소카와 요리유키에게 이와미 슈고직을 빼앗기기도 했다.[20] 1379년에는 히로요와 달리 이마가와 사다요 휘하에서 전공을 세운 요시히로에게 이와미 슈고직이 주어져, 부자간의 역학관계는 역전되었다.[21]

1380년, 히로요는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요시히로와 동생 미쓰히로 간의 가독 다툼(고랴쿠 내전) 중에 일어났다.[22] 후지이 다카시는 히로요가 요시히로를 내치고 미쓰히로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며, 히로요의 죽음에 요시히로가 관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2]

2. 5. 사망과 고랴쿠 내전(康暦内戦)

오우치 히로요는 2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의 권유로 1363년 북조로 귀순했다.[17][18] 이후 북조 측 무장으로 활동하며 1364년 남조 측 기쿠치 씨의 부젠 우마가타케 성을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나와 나가오의 중재로 화친을 맺었다.[18][19] 1366년에는 교토로 상경하여 쇼군 가문의 근신들에게 뇌물을 바쳐 막부 내 발언권을 키웠고, 아시카가 다다후유 세력을 몰아낸 공으로 이와미 슈고로 임명되었다.[18] 같은 해 출가하여 법명을 도카이라 하였다.[13]

1366년부터 이와미와 아키에서 남조 세력을 공격했다. 그러나 아들 요시히로와의 대립이 발생했다. 히로요는 1371년부터 규슈 단다이 이마가와 사다요를 지원했지만, 요시히로는 막부의 안정화를 추구했다. 1374년1376년에 모리 모토하루를 공격한 것이 문제가 되어 이와미 슈고직을 빼앗겼다.[20] 1379년에는 요시히로에게 이와미 슈고직이 주어져 부자간 역학관계가 역전되었다.[21]

1380년 히로요는 사망했다. 사망 당시 요시히로와 동생 미쓰히로가 가독을 놓고 내전을 벌이고 있었다. 이를 고랴쿠 내전이라 부른다. 후지이 다카시는 이 내전이 요시히로에게 내쳐진 히로요가 미쓰히로를 후계자로 삼으려 벌인 전투이며, 히로요의 죽음에 요시히로가 관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2]

3. 야마구치 정도(定都)

히로요는 쇼헤이 15년/엔분 5년(1360년)에 본거지를 오우치노다테(大内館)에서 야마구치(山口)로 옮겼다.[23] 오늘날 일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山口市) 대전(大殿) 지구이다. 교토를 모방한 도시계획에 근거해 시가지를 정비하고, 훗날 오우치 문화(大内文化) 번영의 기초를 쌓은 사건이었다.[23] 교토로부터 맞이한 귀부인을 위로하고자 야마구치의 이치노사카 강(一の坂川)을 교토의 가모 강(鴨川)에 본떠서 우지(宇治)의 반딧불이를 잡아와서 이곳에 풀어놓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적 조사에 따르면 야마구치의 도시화는 적어도 히로요 치세 시기까지는 거슬러 올라가지 않으며,[24][25] 오우치(大内) 즉 오늘날의 야마구치 시 오우치미호리(大内御堀) 지구가 히로요의 본거지였다고 여겨지고 있다.[26]

4. 하사(下賜)

요시미 씨의 요시미 '''히로'''노부

참조

[1] 서적 大内氏実録 復刻版 マツノ書店 1995
[2] 문서 厚東系図
[3] 문서 長門国守護代記
[4] 문서 大内氏系図
[5] 문서 愚昧記
[6] 문서 南山巡狩録所載古文書
[7] 서적 太平記
[8] 문서 名和氏紀事
[9] 논문 2013
[10] 문서 厚東系図
[11] 문서 長門国守護代記
[12] 문서 長門国守護代記
[13] 문서 大内氏系図
[14] 문서 愚昧記
[15] 문서 南山巡狩録所載古文書
[16] 논문 2013
[17] 논문 2013
[18] 서적 태평기
[19] 문서 名和氏紀事
[20] 논문 2013
[21] 논문 2013
[22] 논문 2013
[23] 간행물 2010
[24] 간행물 守護大名大内(多々良)氏の居城跡と城下山口ー大内氏館跡と町並遺跡の発掘からー 1994
[25] 간행물 1994
[26] 논문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