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재룡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94년에 태어나 1863년에 사망했다. 1835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판, 병조판서, 금위대장 등을 역임했다. 1844년 딸이 헌종의 계비인 효정왕후로 간택되면서 영돈녕부사 및 익풍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철종 재위 기간에는 헌종실록 편찬을 주도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익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헌종 - 문조 (조선)
문조는 조선의 추존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로, 순조의 맏아들로서 효명세자에 책봉되어 대리청정을 맡아 국정을 바로잡으려 노력했으며, 문학과 예술에 능해 왕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하여 사후 익종으로 추존되고 고종 때 문조 익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조선 헌종 - 숙의 김씨 (헌종)
숙의 김씨는 조선 헌종의 후궁으로, 1814년에 태어나 헌종의 유일한 자녀인 옹주를 낳았으나 옹주는 당일 사망했으며, 1895년에 사망 후 1906년 종2품 숙의로 추봉되었고 현재 묘소는 서삼릉 후궁묘역에 있다. - 조선 철종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조선 철종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1794년 출생 - 윌리엄 휴얼
영국의 박식한 학자이자 사상가인 윌리엄 휴얼은 수학, 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과학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귀납 추론 분석과 "통합" 개념으로 과학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개혁과 건축에도 기여했다. - 1794년 출생 - 이이 나오아키
이이 나오아키는 히코네 번의 15대 번주로, 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이에나리파 숙청 사건으로 사임 후 개명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서양식 군대 연성에 힘썼으며, 가악 연주와 악기 수집에도 조예가 깊었다.
| 홍재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홍재룡 |
| 작위 | 익풍부원군 |
| 배우자 | 연창부부인 안씨 |
| 자녀 | 딸 효정왕후 아들 홍종석 아들 홍종선 딸 홍씨 |
| 가문 | 남양 홍씨 |
| 아버지 | 홍기섭 |
| 어머니 | 덕수 장씨 장지면의 딸 |
| 출생일 | 1794년 11월 6일(음력 10월 13일) |
| 출생지 | 조선 |
| 사망일 | 1863년 2월 21일(음력 1월 4일) |
| 사망지 | 조선 |
| 사망 원인 | 병사 |
| 국적 | 조선 |
2. 생애
1835년(헌종 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대호군이 되었으며, 1838년 8월 18일(헌종 4년 음력 6월 29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린 한림소시에 뽑히고[4], 1842년 3월 15일(헌종 8년 음력 2월 4일)에는 홍문록에 선발되었다[5]. 이후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판, 병조판서, 금위대장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2. 1. 가계 및 초기 활동
1794년(정조 18) 11월 6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공조판서를 지낸 홍기섭이며, 어머니는 장지면(張至冕)의 딸이다. 본관은 남양(당홍계)이며[2], 자는 경견(景見)이다.1831년 3월 6일(순조 31년 음력 1월 22일) 아버지 홍기섭의 배임지인 함열현에서 딸(훗날의 효정왕후)을 낳았다[3].
2. 2. 왕실과의 혼인 및 세도 정치
1843년 (咸豊|함풍중국어 9년) 헌종의 정비 효현왕후가 훙서하자, 이듬해인 1844년(헌종 10년) 순원왕후에 의해 홍재룡의 딸이 헌종의 계비로 간택되었다.[6] 이때 홍재룡은 영돈녕부사 및 익풍부원군에 봉해졌고, 아내 안씨는 연창부부인에 봉해졌다.[7] 아버지 홍기섭의 자급도 한 단계 올라갔다.[8]이후 철종 연간에는 실록청지사가 되어 《헌종실록》 편찬 책임을 맡았다. 그 외에도 훈련대장, 어영대장, 수원부유수, 광주부유수 등을 지냈다. 1863년 2월 21일(철종 14년 음력 1월 4일) 향년 70세로 사망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부인 죽산 안씨와의 사이에서 효정왕후를 포함하여 2남 2녀를 두었다.
2. 3. 철종 대의 활동 및 사망
이후 철종 연간에는 실록청지사가 되어 《헌종실록》의 편찬 책임자가 되었다. 그 외에도 훈련대장 및 어영대장, 수원부유수 및 광주부유수 등을 지냈다. 1863년 2월 21일(철종 14년 음력 1월 4일)에 향년 7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2]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부인 죽산 안씨와의 사이에서 딸 효정왕후를 비롯해 2남 2녀를 두었다.3. 가족 관계
| 구분 | 성명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 아버지 | 홍기섭 | 1781년 | 1866년 | 본가 |
| 어머니 | 덕수 장씨 | 1781년 | 1824년 | 본가 |
| 장인 | 안광직 | 1775년 | 1861년 | 처가 |
| 아내 | 연창부부인 죽산 안씨 | 1814년 | 1883년[9] | 처가 |
| 장녀 | 효정왕후 | 1831년 | 1904년 | |
| 장남 | 홍종석 | 1834년 | 1870년[10] | |
| 차녀 | 이름 미상 | |||
| 차남 | 홍종선 | 1854년 | ?[11] |
4. 기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는 홍재룡이 쓴 간찰이 전시되어 있다. 이 간찰은 1848년 홍재룡이 다른 관리에게서 물건과 편지를 받자 그에 대해 감사하는 내용이며, 11줄의 행서체로 된 편지글이다.[12] 같은 날 같은 내용으로 아버지 홍기섭이 작성한 간찰도 같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3]
참조
[1]
웹인용
남양 홍씨 남양군파 세보 (2003)
https://www.familyse[...]
[2]
뉴스
中 공공씨 후손이 원수 피해 ‘공’자에 ‘수’자 붙여 홍씨 탄생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6-07-19
[3]
실록
고종실록 44권, 고종 41년 3월 15일 양력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실록
헌종실록 5권, 헌종 4년 6월 29일 무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실록
헌종실록 9권, 헌종 8년 2월 4일 계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실록
헌종실록 11권, 헌종 10년 9월 10일 갑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실록
헌종실록 11권, 헌종 10년 9월 10일 갑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실록
헌종실록 11권, 헌종 10년 9월 12일 병자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실록
고종실록 20권, 고종 20년 4월 22일 임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두산백과
홍종석
https://terms.naver.[...]
[11]
웹인용
남양 홍씨 남양군파 세보 (2003)
https://www.familyse[...]
[12]
e뮤지엄
홍재룡 간찰
https://terms.naver.[...]
[13]
e뮤지엄
홍기섭 간찰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