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원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원왕후는 조선 순조의 왕비로, 안동 김씨 가문 출신이다. 1789년에 태어나 1857년에 사망했으며, 1802년 순조와 혼인하여 효명세자, 명온공주, 복온공주, 덕온공주 등을 낳았다. 순조 사후 헌종이 즉위하자 대왕대비로서 수렴청정을 하였고, 이후 철종을 즉위시키는 과정에서 안동 김씨 세력을 통해 권력을 행사했다. 33통의 편지로 구성된 《순원왕후어필봉서》를 남겼으며,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과 《철인왕후》에서 배역으로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효의왕후
    효의왕후는 조선 정조의 왕비이며, 김시묵의 딸로 청풍 김씨 가문 출신이며, 영조의 뜻에 따라 정조와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고, 정조 사후에는 왕대비가 되었으며 융건릉에 정조와 합장되었다.
  • 조선의 대왕대비 - 정희왕후
    정희왕후는 조선 세조의 왕비로서, 계유정난을 통해 남편의 왕위 등극을 도왔으며, 성종 대에 수렴청정을 실시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룩했다.
  • 조선의 대왕대비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조선 헌종 - 문조 (조선)
    문조는 조선의 추존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로, 순조의 맏아들로서 효명세자에 책봉되어 대리청정을 맡아 국정을 바로잡으려 노력했으며, 문학과 예술에 능해 왕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하여 사후 익종으로 추존되고 고종 때 문조 익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조선 헌종 - 숙의 김씨 (헌종)
    숙의 김씨는 조선 헌종의 후궁으로, 1814년에 태어나 헌종의 유일한 자녀인 옹주를 낳았으나 옹주는 당일 사망했으며, 1895년에 사망 후 1906년 종2품 숙의로 추봉되었고 현재 묘소는 서삼릉 후궁묘역에 있다.
순원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원왕후 책봉례
순원왕후 책봉례
김씨 (金氏)
본관안동 김씨 (新 安東 金氏)
출생1789년 6월 8일
사망1857년 9월 21일 (향년 68세)
묘소인릉
존호 및 시호
시호명경문인광성융희정렬선휘영덕자헌현륜홍화신운수목예성홍정순원왕후 (明敬文仁光聖隆禧正烈宣徽英德慈獻顯倫洪化神運粹穆睿成弘定純元王后)
추존 시호순원숙황후 (純元肅皇后)
가족 관계
아버지김조순 (金祖淳)
어머니청양부부인 청송 심씨 (靑陽府夫人 靑松 沈氏)
배우자순조 (純祖)
자녀효명세자
명온공주
복온공주
대군 (이름 미상)
덕온공주
양자철종 (哲宗)
왕비 시절
책봉1802년
간택1802년 10월 13일
왕대비 시절
섭정 기간1834년 12월 18일 ~ 1841년 1월
1849년 7월 25일 ~ 1852년 1월
기타
능호인릉 (仁陵)
신 안동 김씨신 안동 김씨

2. 생애

1789년 6월 8일(음력 5월 15일) 김수항김창집의 후손이자, 노론 시파 계열로서 정조의 최측근이었던 김조순심건지의 딸 청송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녀의 외조부 심건지는 심온·심강·심의겸의 후손으로, 영조의 사위 심능건의 5촌 당숙이자, 심환지의 6촌이었다. 그녀의 친정어머니 청양부부인 청송 심씨의 오빠 심능적은 배우 심영의 5대조가 된다.[1]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


아버지 김조순의 영향으로 왕세자였던 순조의 유력한 세자빈으로 거론되었고, 초간택과 재간택을 거쳐 세자빈으로 사실상 확정되었다. 그러나 1800년 정조가 갑작스럽게 승하하면서 최종 간택이 미루어졌고, 정순왕후와 심환지의 방해 속에 10월 2일 (음력 9월 6일) 순조 즉위 2년 뒤에야 왕비로 책봉되었다.[2]

민간 전승에 따르면, 정조는 꿈에 생부 사도세자로부터 김조순의 딸을 세자빈으로 택하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한다. 또한 순조김조순의 집을 방문했다가 순원왕후를 보고 마음에 들어, 환궁 후 김조순의 딸이 아니면 혼인하지 않겠다고 하여 정조가 이를 허락했다고도 전해진다. 한편 김관주, 권유 등은 순원왕후의 국혼을 반대하였으나, 국혼이 진행되던 중 정조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음에도 국혼은 그대로 진행되었다.

순원왕후는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의 5대 방손이자, 정명공주의 고종 사촌의 후손이었다. 또한 외가로는 인순왕후의 남동생 심의겸과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의 후손이었다.

1800년 정조가 승하한 뒤 1802년 10월 2일(음력 9월 6일) 왕비로 책봉되었다. 순조와의 사이에서 효명세자를 비롯한 2남 3녀를 낳았다. 대왕대비정순왕후수렴청정을 거두고(1804년 2월 9일 (1803년 음력 12월 28일)[3], 순조의 친정이 선포되자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벽파를 대규모로 숙청하고 안동 김씨 시파를 등용하였는데 이들 중에는 천주교 신자들이 많아 천주교 박해는 다소 완화되었다.[3] 그러나 이 대규모 숙청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발점이 되었다.[3]

순원왕후는 친정의 영화를 위해 행동하며 순조에게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전해진다. 순조는 안동 김씨의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1819년 효명세자의 세자빈으로 풍양 조씨 가문의 신정왕후를 선택하여 혼인시켰다.[3] 1809년에 태어난 맏아들 효명세자는 1827년부터 대리청정을 하였으나, 1830년 대리청정 4년 만에 갑작스럽게 급사하였다.[3]

순원왕후어필봉서.


정순왕후수렴청정을 거두고(1804년 2월 9일)[3], 순조의 장인이자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경주 김씨 벽파를 대규모로 숙청하고 안동 김씨 시파를 등용하였는데, 이는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발점이 되었다.[3] 이후 순원왕후는 1809년에 효명세자를 낳았고, 순조는 안동 김씨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1819년 풍양 조씨조만영의 딸(훗날의 신정왕후)을 효명세자의 세자빈으로 맞아들였다.

1827년 순조는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하게 하였으나, 효명세자는 1830년 대리청정 4년 만에 급사하였다. 1834년 순조마저 승하하자 헌종이 즉위하였고, 순원왕후는 대왕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였다. 이때 헌종의 왕비를 자신의 친척인 김조근의 딸(효현왕후)로 맞아들였다.

1849년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순원왕후는 친가인 안동 김씨 세력과 결탁하여 은언군 이인의 서손자 원범(元範)을 강화도에서 궁으로 데려와 철종으로 즉위시켰다. 철종 즉위 이후, 순원왕후는 철종의 생조부 은언군 내외의 복권과 관련 자료 세초를 지시했다.

순원왕후는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정치를 이어나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왕가 일원으로서 안동 김문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고 노력했다. 철종의 왕비를 안동 김씨인 김문근의 딸(철인왕후)로 맞아들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언문어찰을 보면 오히려 지나친 권력집중을 꺼려 반대한 것을 알 수 있다.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가 절정에 달하던 1857년 9월 21일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69세를 일기로 승하하였다.

순조와 순원왕후가 묻힌 인릉


순원왕후는 1857년 9월 21일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68세(만 67세)로 사망했다.[4] 능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인릉'''(仁陵)으로 남편인 순조와 합장되어 있다. 신정왕후가 흥선대원군의 아들 고종 이명복을 양자로 삼아 다음 왕으로 옹립하면서 왕후 가문의 권력은 쇠퇴했다. 대비는 물러나 자신의 아들을 섭정하도록 돕기 위해 흥선대원군에게 모든 권력을 넘겨주었고, 결국 안동 김씨 가문과 풍양 조씨 가문의 영향력을 모두 제거했다.

대한제국 광무 4년(1900년)에 남편 순조가 순조숙황제(純祖肅皇帝)로 추존되자 순원왕후도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로 추존되었고,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에는 '대한 순조숙황제 인릉 순원숙황후 부좌(大韓 純祖肅皇帝 仁陵 純元肅皇后 祔左)'라는 묘비가 새로 세워졌다.[4]

대표적인 문화재로는 33통의 편지로 구성된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가 있는데, 가문에 대한 애틋한 감정과 당대 정치에 대한 관심 등을 표현하였고, 글씨도 우아한 궁체(宮體)로 되어 19세기 한글 편지의 특징과 언어, 서체 이해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2. 1. 생애 초반

1789년 6월 8일(음력 5월 15일) 김수항김창집의 후손이자, 노론 시파 계열로서 정조의 최측근이었던 김조순심건지의 딸 청송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녀의 외조부 심건지는 심온·심강·심의겸의 후손으로, 영조의 사위 심능건의 5촌 당숙이자, 심환지의 6촌이었다. 그녀의 친정어머니 청양부부인 청송 심씨의 오빠 심능적은 배우 심영의 5대조가 된다.[1]

아버지 김조순의 영향으로 왕세자였던 순조의 유력한 세자빈으로 거론되었고, 초간택과 재간택을 거쳐 세자빈으로 사실상 확정되었다. 그러나 1800년 정조가 갑작스럽게 승하하면서 최종 간택이 미루어졌고, 정순왕후와 심환지의 방해 속에 10월 2일 (음력 9월 6일) 순조 즉위 2년 뒤에야 왕비로 책봉되었다.[2]

민간 전승에 따르면, 정조는 꿈에 생부 사도세자로부터 김조순의 딸을 세자빈으로 택하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한다. 또한 순조김조순의 집을 방문했다가 순원왕후를 보고 마음에 들어, 환궁 후 김조순의 딸이 아니면 혼인하지 않겠다고 하여 정조가 이를 허락했다고도 전해진다. 한편 김관주, 권유 등은 순원왕후의 국혼을 반대하였으나, 국혼이 진행되던 중 정조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음에도 국혼은 그대로 진행되었다.

순원왕후는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의 5대 방손이자, 정명공주의 고종 사촌의 후손이었다. 또한 외가로는 인순왕후의 남동생 심의겸과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의 후손이었다.

2. 2. 왕비 시절

1800년 정조가 승하한 뒤 1802년 10월 2일(음력 9월 6일) 왕비로 책봉되었다. 순조와의 사이에서 효명세자를 비롯한 2남 3녀를 낳았다. 대왕대비정순왕후수렴청정을 거두고(1804년 2월 9일 (1803년 음력 12월 28일)[3], 순조의 친정이 선포되자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벽파를 대규모로 숙청하고 안동 김씨 시파를 등용하였는데 이들 중에는 천주교 신자들이 많아 천주교 박해는 다소 완화되었다.[3] 그러나 이 대규모 숙청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발점이 되었다.[3]

순원왕후는 친정의 영화를 위해 행동하며 순조에게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전해진다. 순조는 안동 김씨의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1819년 효명세자의 세자빈으로 풍양 조씨 가문의 신정왕후를 선택하여 혼인시켰다.[3] 1809년에 태어난 맏아들 효명세자는 1827년부터 대리청정을 하였으나, 1830년 대리청정 4년 만에 갑작스럽게 급사하였다.[3]

2. 3.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정순왕후수렴청정을 거두고(1804년 2월 9일)[3], 순조의 장인이자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경주 김씨 벽파를 대규모로 숙청하고 안동 김씨 시파를 등용하였는데, 이는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발점이 되었다.[3] 이후 순원왕후는 1809년에 효명세자를 낳았고, 순조는 안동 김씨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1819년 풍양 조씨조만영의 딸(훗날의 신정왕후)을 효명세자의 세자빈으로 맞아들였다.

1827년 순조는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하게 하였으나, 효명세자는 1830년 대리청정 4년 만에 급사하였다. 1834년 순조마저 승하하자 헌종이 즉위하였고, 순원왕후는 대왕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였다. 이때 헌종의 왕비를 자신의 친척인 김조근의 딸(효현왕후)로 맞아들였다.

1849년 헌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순원왕후는 친가인 안동 김씨 세력과 결탁하여 은언군 이인의 서손자 원범(元範)을 강화도에서 궁으로 데려와 철종으로 즉위시켰다. 철종 즉위 이후, 순원왕후는 철종의 생조부 은언군 내외의 복권과 관련 자료 세초를 지시했다.

순원왕후는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정치를 이어나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왕가 일원으로서 안동 김문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고 노력했다. 철종의 왕비를 안동 김씨인 김문근의 딸(철인왕후)로 맞아들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언문어찰을 보면 오히려 지나친 권력집중을 꺼려 반대한 것을 알 수 있다.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가 절정에 달하던 1857년 9월 21일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69세를 일기로 승하하였다.

2. 4. 최후



순원왕후는 1857년 9월 21일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68세(만 67세)로 사망했다.[4] 능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인릉'''(仁陵)으로 남편인 순조와 합장되어 있다. 신정왕후가 흥선대원군의 아들 고종 이명복을 양자로 삼아 다음 왕으로 옹립하면서 왕후 가문의 권력은 쇠퇴했다. 대비는 물러나 자신의 아들을 섭정하도록 돕기 위해 흥선대원군에게 모든 권력을 넘겨주었고, 결국 안동 김씨 가문과 풍양 조씨 가문의 영향력을 모두 제거했다.

대한제국 광무 4년(1900년)에 남편 순조가 순조숙황제(純祖肅皇帝)로 추존되자 순원왕후도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로 추존되었고,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에는 '대한 순조숙황제 인릉 순원숙황후 부좌(大韓 純祖肅皇帝 仁陵 純元肅皇后 祔左)'라는 묘비가 새로 세워졌다.[4]

대표적인 문화재로는 33통의 편지로 구성된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가 있는데, 가문에 대한 애틋한 감정과 당대 정치에 대한 관심 등을 표현하였고, 글씨도 우아한 궁체(宮體)로 되어 19세기 한글 편지의 특징과 언어, 서체 이해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3. 평가

4. 가족 관계

순원왕후의 본관은 안동 김씨이며, 1789년 5월 28일(음력 5월 15일)에 태어나 1857년 9월 9일(음력 8월 4일) 창덕궁 양심합에서 사망하였다. 아버지는 영안부원군 김조순(1765년 - 1832년)이며, 어머니는 청양부부인 청송 심씨(1766년 - 1828년)이다. 청송 심씨심풍지의 조카딸이다.

남편은 조선 제23대 국왕 순조이며, 1790년 7월 18일(음력 6월 18일) 창경궁 집복헌에서 태어나 1834년 12월 1일(음력 11월 13일) 경희궁 회상전에서 사망하였다.

순원왕후는 순조와의 사이에서 효명세자(1809년 - 1830년), 명온공주(1810년 - 1832년), 복온공주(1818년 - 1832년), 덕온공주(1822년 - 1844년)와 1820년에 태어나자마자 사망한 대군을 두었다. 효명세자는 신정왕후와 혼인하여 헌종을 낳았다. 명온공주는 김현근과, 복온공주는 김병주와, 덕온공주는 윤의선과 혼인하였다.

순원왕후는 철종을 양자로 들였다. 철종은 1831년에 태어나 1864년에 사망하였으며, 철인왕후와 혼인하였다.

관계이름생몰년배우자비고
아버지김조순1765년 - 1832년영안부원군
어머니심씨1766년 - 1828년청양부부인
남편순조1790년 - 1834년조선 제23대 국왕
장남효명세자1809년 - 1830년신정왕후조선 추존 국왕, 헌종의 아버지
장녀명온공주1810년 - 1832년김현근
차녀복온공주1818년 - 1832년김병주
차남대군1820년 - 1820년
삼녀덕온공주1822년 - 1844년윤의선
양자철종1831년 - 1864년철인왕후조선 제25대 국왕


5. 저작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 33통이 있다.

6. 관련 작품

6. 1. 드라마

2016년 KBS2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에서 한수연이 순원왕후를 연기했다.[6] 2020년 TVN 드라마 《철인왕후》에서는 배종옥이 순원왕후를 연기했다.[6]

참조

[1] 문서 심영의 족보 정보
[2] 실록 순조실록 (1838) 4권, 순조 2년 9월 6일 http://sillok.histor[...]
[3] 실록 순조실록 (1838) 5권, 순조 3년 12월 28일 http://sillok.histor[...]
[4] 실록 고종실록 39권, 36년(1899) 12월 7일 http://sillok.histor[...]
[5] 문서 혜경궁 홍씨와의 관계
[6] 문서 드라마 설정과 실제 순조의 왕비 비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