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인식 (194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인식은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13세에 가라테를 시작하여 무술에 입문, 합기도를 수련하며 홍콩 영화계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그는 1972년 영화 《기린장》 출연을 계기로 《맹룡과강》, 《사제출마》 등 다수의 홍콩 영화에 출연하여 합기도의 붐을 일으켰으며, 이소룡, 성룡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1976년부터 캐나다에 거주하며 합기도 지도와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기도인 - 홍금보
    홍금보는 아역 배우 데뷔 후 무술 감독으로 명성을 얻고 배우, 감독, 제작자로 1980년대 홍콩 영화계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경극 학교에서 무술을 다져 칠소복 리더로 활동, 액션과 코미디를 결합한 작품으로 성공하고 할리우드 진출 후에도 액션 감독으로 꾸준히 활동하는 인물이다.
  • 합기도인 - 지한재
    합기도를 정립하고 신무합기도를 창시한 대한민국의 무술가 지한재는 최용술에게 합기도를, 도사 이에게 삼랑도 텍기를 전수받았으며 영화 출연과 청와대 경호 무술 지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 홍콩의 스턴트 배우 - 성룡
    성룡은 홍콩 출신의 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등으로, 코미디와 무술을 결합한 영화로 아시아에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 세계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 홍콩의 스턴트 배우 - 원표
    원표는 중국 난징 출신으로 성룡, 홍금보와 함께 1980년대 홍콩 액션 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액션 배우이자 무술 감독, 영화 제작자로서, 스턴트맨으로 경력을 쌓아 다양한 액션 연기와 코믹 연기를 선보이며 중화권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었다.
황인식 (194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황인식
한자 표기黃仁植
로마자 표기Hwang Insik
출생일1940년 9월 1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순천 (현재의 북한)
거주지캐나다
국적대한민국
직업배우, 무술가
활동 기간1972년 ~
무술 정보
무술합기도

2. 생애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어렸을 때 경성부로 이주하여 13살 때 가라테를 처음으로 접하여 무술의 길을 가게 되었으며[12], 대한 합기도 협회 사무처장이던 김용진을 사사하여 22살 때 짧은 시간에 합기도의 검은 띠 등급을 받았다.[12]

1972년에 홍콩 영화《기린장》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이소룡이 주연을 맡았던 《맹룡과강》에 일본인 가라테 고수로 출연하였고, 성룡이 출연한 《사제출마》, 《용소야》에 출연하는 등 다수의 홍콩 영화에 출연하여 홍콩 영화계에 합기도의 붐을 일으키게 하였으며, 이소룡, 성룡, 홍금보, 견자단 등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13]

1976년부터 캐나다에서 거주하고 있다.

황인식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 북쪽 순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13세에 당수도를 시작으로 합기도를 접하게 되었다.[1]

황인식은 합기도 창시자인 최용술을 자신의 스승으로 여긴다. 16세에 유단자(검은띠)가 된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지한재가 이끄는 대한합기도협회로 파견되었다. 합기도 발전에 중요한 시기에, 현재 합기도계의 주요 인물들인 한봉수, 김종성, 명광식 등이 그의 선배들이었다.[2] 당시 황인식은 특히 뛰어난 발차기 실력으로 유명했다.

그는 1976년 대한합기도협회(대한민국 합기도협회)에서 7단으로 승단되었고, 협회 본부의 사범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그는 영향력 있는 유명 합기도 사범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무술 입문

황인식은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어렸을 때 경성부로 이주하여 13살 때 가라테를 처음 접하며 무술에 입문했다.[12] 대한 합기도 협회 사무처장이던 김용진을 사사하여 16세에 합기도 검은 띠를 땄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지한재가 이끄는 대한합기도협회로 파견되었다.[2][7] 합기도 발전에 중요한 시기에 한봉수, 김종성, 명광식 등이 그의 선배였다.[2] 당시 황인식은 특히 뛰어난 발차기 실력으로 유명했다.[2][8] 1976년 대한합기도협회에서 7단으로 승단되었고, 협회 본부의 사범으로 임명되었다.[1][7]

2. 2. 대한합기도협회 활동

황인식은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어렸을 때 경성부로 이주하여 13살 때 가라테를 처음 접하며 무술에 입문하였다.[12] 대한 합기도 협회 사무처장이던 김용진을 사사하여 22살 때 짧은 시간에 합기도 검은 띠 등급을 받았다.[12]

16세에 유단자가 된 그는 지한재가 이끄는 대한합기도협회로 파견되었다.[2] 합기도 발전에 중요한 시기에 한봉수, 김종성, 명광식 등이 그의 선배들이었다.[2] 당시 황인식은 특히 뛰어난 발차기 실력으로 유명했다.[2]

1976년 대한합기도협회에서 7단으로 승단되었고, 협회 본부의 사범으로 임명되었다.[1] 이후 그는 영향력 있는 유명 합기도 사범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3. 홍콩 영화계 진출

1972년에 홍콩 영화《기린장》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이소룡이 주연을 맡았던 《맹룡과강》에 일본인 가라테 고수로 출연하였고, 성룡이 출연한 《사제출마》, 《용소야》에 출연하는 등 다수의 홍콩 영화에 출연하여 홍콩 영화계에 합기도의 붐을 일으키게 하였으며, 이소룡, 성룡, 홍금보, 견자단 등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13]

1976년부터 캐나다에서 거주하고 있다.

홍콩 영화 감독 황풍(黃風)은 1972년 삼모홍(洪金寶), 성룡(成龍), 당위정(唐偉成), 호은은(胡茵茵), 모용(毛舜筠), 장의(張義), 진향림(秦祥林)을 서울로 데려와 현지 촬영을 진행했다. 황풍은 또한 홍콩 액션 시퀀스에 새롭고 인상적인 기법을 불어넣을 방법을 모색했고, 그래서 그의 배우들이 황인식과 협회장 지한재(池漢宰) 밑에서 한국 합기도 협회에서 약 4개월간 훈련을 받도록 했다.[1]

오늘날 홍콩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발차기 기술 중 상당수는 이 시대의 문화 교류의 결과이다. 홍은 특히 훈련에 애착을 가졌고, 그의 대표적인 기술 중 일부, 예를 들어 점프 더블 프런트 킥은 합기도 교본에서 직접 나온 것이다.

합기도 사범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은 황풍은 황인식과 지한재를 홍콩으로 초청하여 감독의 한국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아이디어를 개발했다. 1972년에 제작된 이 영화는 ''합기도''라는 제목으로 제작되었으며, 해외에서는 ''레이디쿵푸(Lady Kung-fu)''라는 영어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1] 이 영화에는 모용, 삼모홍, 황가달(黃家達)(Carter Wong)이 출연했다.

영화에서 지한재와 황인식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역할, 즉 합기도 사범과 그 최고 제자인 학생에게 합기도를 가르치는 역할을 맡았다. ''유니콘의 주먹(Fist of Unicorn)''(1973)과 같은 후속 영화들에서도 황인식과 지한재는 다른 역할을 맡았다.

황인식은 다른 영화에도 출연했고, 그의 경력의 첫 번째 단계는 브루스 리의 사망 후에 끝났다. 황인식은 리가 사망하기 일주일 전 ''사망유희(Game of Death)'' 출연에 대해 논의했었다. 황인식은 1972년 리의 ''용쟁호투(Way of the Dragon)''에도 일본 가라테 선수로 잠깐 출연했다.[3] 한국으로 돌아온 후, 황인식은 수년 동안 ''방랑의 영웅(A Wandering Hero)'', ''흑표범(Black Leopard)'', ''흑거미(Black Spider)''를 포함한 일련의 한국 무술 영화에 출연했다. [3] 그 후 황인식은 캐나다로 이민을 가 토론토에 도장을 열고 영화계에서 은퇴했다.

나중에 황인식의 초기 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활동했던 성룡(成龍)이 홍콩 영화계에서 명성을 얻게 되면서 황인식을 은퇴에서 불러내어 원래 15분 분량의 성룡과 황인식의 격투 장면이 포함된 ''영웅본색(The Young Master)''(1980)과 황인식이 성룡과 대립하는 악당으로 출연하는 ''권상(Dragon Lord)''(1982)에 출연하게 했다.[4]

황인식의 홍콩 영화계 활동은 궁극적으로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합기도를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

1972년, 홍콩 영화 제작자 원펑(黃楓, Huang Feng)이 서울을 로케이션 촬영을 위해 방문했다. 이때, 성룡(Jackie Chan), 원표(Samo Hung Kam-Po), 원정례(Angela Mao) 등도 함께 왔다. 원펑은 홍콩 액션 영화에 도입할 인상적이고 새로운 기술을 찾고 있었고, 스타들에게 4개월 동안 합기도 협회 본부 도장에서 훈련을 시켰다.[7] 이때 지도를 맡았던 사람이 바로 이한재와 황인식이다. 홍콩 영화 액션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발차기는 이러한 문화 교류의 영향으로 발전한 것이다. 원표는 이 훈련을 좋아했고, 그의 회전 발차기 등 몇몇 인상적인 액션은 합기도 수련 과정에서 얻어진 것이다.

합기도에 깊은 인상을 받은 원펑은 이한재와 황인식을 홍콩으로 초청하여 한국에서의 경험을 반영한 영화를 제작했다. 이 해에 제작된 영화 「원정례의 여활살권」(원제: Hapkido)에서 이한재와 황인식은 "중국인에게 합기도를 가르치는 스승과 제자"라는 본인 역으로 출연했다.[7] 이 작품과 그 후속 작품들에서는 이한재의 굳히기 기술과 던지기 기술과 함께 황인식의 발차기 기술도 인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황인식이 출연한 영화의 액션에는 합기도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홍콩과 중국 등에서 "합기도"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황인식은 브루스 리(Bruce Lee) 감독 주연의 「용쟁호투(ドラゴンへの道)」에 일본인 가라테 선수 역으로 출연했다. 브루스 리가 사망하기 직전 주에, 리와 황인식은 「게임 오브 데스(死亡遊戯)」의 특정 장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고 한다. 홍콩에서 많은 작품에 출연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액션 영화에도 출연했지만,[9] 1976년 이후 캐나다로 이민을 가 영화계에서는 은퇴 상태가 되었다.

황인식이 출연했던 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활동했던 성룡은 그 후 홍콩 영화계의 스타로 발돋움했다. 성룡은 은퇴했던 황인식을 설득하여 「쾌찬차(ヤングマスター 師弟出馬)」(1980년)에 출연시키는 데 성공했다. 성룡과 황인식의 15분에 걸친 격투 장면은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쾌찬차」의 속편으로 기획된 「프로젝트 A 2(ドラゴンロード)」(1982년)에도 출연하여 성룡 앞에 나타나는 악당 무술가를 연기했다.[10]

3. 1. 합기도 붐을 일으키다

1972년, 홍콩 영화 감독 황풍(黃風)은 삼모홍(洪金寶), 성룡(成龍) 등을 서울로 데려와 현지 촬영을 진행했다. 황풍은 홍콩 액션 시퀀스에 새롭고 인상적인 기법을 불어넣을 방법을 모색했고, 그의 배우들이 황인식과 지한재(池漢宰) 밑에서 한국 합기도 협회에서 약 4개월간 훈련을 받도록 했다.[1]

오늘날 홍콩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발차기 기술 중 상당수는 이 시대의 문화 교류의 결과이다.[1][7] 삼모홍(洪金寶)은 특히 훈련에 애착을 가졌고, 그의 대표적인 기술 중 일부는 합기도 교본에서 직접 나온 것이다.[1]

합기도 사범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은 황풍은 황인식과 지한재(池漢宰)를 홍콩으로 초청하여 영화 아이디어를 개발했다. 1972년에 제작된 이 영화는 ''합기도''라는 제목으로 제작되었으며, 해외에서는 ''레이디쿵푸(Lady Kung-fu)''라는 영어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1] 영화에서 지한재(池漢宰)와 황인식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역할, 즉 합기도 사범과 그 최고 제자인 학생에게 합기도를 가르치는 역할을 맡았다.[1][7]

황인식은 브루스 리의 ''용쟁호투(Way of the Dragon)''에 일본 가라테 선수로 잠깐 출연했고,[3] 브루스 리가 사망하기 일주일 전 ''사망유희(Game of Death)'' 출연에 대해 논의했었다.[3][9] 한국으로 돌아온 후, 황인식은 수년 동안 ''방랑의 영웅(A Wandering Hero)'', ''흑표범(Black Leopard)'', ''흑거미(Black Spider)''를 포함한 일련의 한국 무술 영화에 출연했다.[3] 그 후 황인식은 캐나다로 이민을 가 영화계에서 은퇴했다.[3][9]

나중에 황인식의 초기 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활동했던 성룡(成龍)이 황인식을 은퇴에서 불러내어 ''영웅본색(The Young Master)''(1980)과 ''권상(Dragon Lord)''(1982)에 출연하게 했다.[4] 특히 ''영웅본색(The Young Master)''에서의 15분 분량의 성룡(成龍)과 황인식의 격투 장면은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10]

황인식의 홍콩 영화계 활동은 궁극적으로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합기도를 홍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7]

3. 2. 이소룡, 성룡과의 만남

홍콩 영화 감독 황풍(黃風)은 1972년 삼모홍(洪金寶), 성룡(成龍), 당위정(唐偉成), 호은은(胡茵茵), 모용(毛舜筠), 장의(張義), 진향림(秦祥林)을 서울로 데려와 현지 촬영을 진행했다.[1] 황풍은 그의 배우들이 황인식과 지한재(池漢宰) 밑에서 한국 합기도 협회에서 약 4개월간 훈련을 받도록 했다.[1] 홍콩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발차기 기술 중 상당수는 이 시대의 문화 교류의 결과이다.[1]

합기도 사범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은 황풍은 황인식과 지한재를 홍콩으로 초청하여 영화 ''합기도''를 제작했다.[1] 이 영화에는 모용, 삼모홍, 황가달(黃家達)(Carter Wong)이 출연했다.[1] 영화에서 지한재와 황인식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역할인 합기도 사범과 그 최고 제자를 연기했다. ''유니콘의 주먹(Fist of Unicorn)''(1973)과 같은 후속 영화들에서도 황인식과 지한재는 다른 역할을 맡았다.[1]

황인식은 브루스 리의 사망 일주일 전 ''사망유희(Game of Death)'' 출연에 대해 논의했었고, 1972년 리의 ''용쟁호투(Way of the Dragon)''에도 일본 가라테 선수로 잠깐 출연했다.[3] 한국으로 돌아온 후, 황인식은 ''방랑의 영웅(A Wandering Hero)'', ''흑표범(Black Leopard)'', ''흑거미(Black Spider)''를 포함한 일련의 한국 무술 영화에 출연했다.[3] 그 후 캐나다로 이민을 가 토론토에 도장을 열고 영화계에서 은퇴했다.

나중에 황인식의 초기 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활동했던 성룡(成龍)이 황인식을 은퇴에서 불러내어 ''영웅본색(The Young Master)''(1980)과 ''권상(Dragon Lord)''(1982)에 출연하게 했다.[4]

황인식의 홍콩 영화계 활동은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합기도를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 『용의 길』에서 일본인 무술가로서, 탄 롱(브루스 리)와 대결한다. 이때 "오마이와아~, 탄 롱카~?"와 같이 매우 일본인답지 않은 어투로 말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다만 당시 홍콩 영화계에는 "더빙 배우"라는 성우가 있었기 때문에 모두 더빙이다.

3. 3. 홍콩 영화계에 남긴 발자취

1972년, 홍콩 영화 감독 황풍(黃風)은 홍콩 액션 시퀀스에 새롭고 인상적인 기법을 도입하기 위해 삼모홍(洪金寶), 성룡(成龍) 등 배우들을 서울로 데려와 합기도 훈련을 받게 했다.[1] 이 훈련은 황인식과 지한재가 지도했으며,[1][7] 오늘날 홍콩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인상적인 발차기 기술은 이 시기 문화 교류의 결과이다.[1] 특히 삼모홍은 훈련에 애착을 가졌고, 그의 대표적인 기술 중 일부는 합기도 교본에서 직접 나온 것이다.[1]

황풍은 합기도 사범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황인식과 지한재를 홍콩으로 초청하여 영화 ''합기도''(1972)를 제작했다.[1] 이 영화에서 지한재와 황인식은 합기도 사범과 제자 역을 맡았다.[1] 이후 ''유니콘의 주먹(Fist of Unicorn)''(1973) 등 후속 영화에도 출연했다.[1]

황인식은 브루스 리의 ''용쟁호투(Way of the Dragon)''(1972)에 일본 가라테 선수로 출연했고,[3] 브루스 리 사망 일주일 전 ''사망유희(Game of Death)'' 출연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3]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방랑의 영웅(A Wandering Hero)'', ''흑표범(Black Leopard)'', ''흑거미(Black Spider)'' 등 한국 무술 영화에 출연했다.[3]

1976년 이후 캐나다로 이민을 가 영화계에서 은퇴했으나,[9] 성룡(成龍)의 요청으로 ''영웅본색(The Young Master)''(1980)과 ''권상(Dragon Lord)''(1982)에 출연했다.[4] 특히 ''영웅본색(The Young Master)''에서 성룡과 황인식의 15분 격투 장면은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10] 황인식의 홍콩 영화계 활동은 중국과 한국에서 합기도를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7]

4. 캐나다 이주와 후학 양성

평안남도 순천 출신으로 어렸을 때 경성부로 이주하여 13살 때 가라테를 처음으로 접하여 무술의 길을 가게 되었으며[12], 대한 합기도 협회 사무처장이던 김용진을 사사하여 22살 때 짧은 시간에 합기도의 검은 띠 등급을 받았다.

1972년에 홍콩 영화《기린장》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이소룡이 주연을 맡았던 《맹룡과강》에 일본인 가라테 고수로 출연하였고, 성룡이 출연한 《사제출마》, 《용소야》에 출연하는 등 다수의 홍콩 영화에 출연하여 홍콩 영화계에 합기도의 붐을 일으키게 하였으며, 이소룡, 성룡, 홍금보, 견자단 등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13]

1976년부터 캐나다에서 거주하고 있다. 황인식은 캐나다로 이민하여 가정을 꾸리고 토론토의 던포스(Danforth)에 합기도 도장을 열어 현재까지도 매일 수련과 지도를 계속하고 있다. 캐나다 이민 후에도 드물게 영화에 출연하기는 하지만, 주된 관심은 합기도 지도와 후진 양성으로 옮겨갔다.

세계합기도협회(世界ハプキドー協会)가 결성되자, 황인식은 사범(Chief Instructor)으로 초빙되어 10단의 단위를 받았다.[11] 황인식은 특정 단체에 소속되어 있지는 않지만, 세계합기도협회의 세미나에 협력하고, 노르웨이브라질 등에서 열리는 동 협회의 많은 행사에 참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합기도협회를 설립한 도장 중 하나인 을지관(乙支館,을지관/ウルチグァン한국어)의 고문(senior council of masters)이다.

5. 출연 작품


  • 『안젤라 마오의 여활살권』(Hapkido (film)영어) (합기도(合氣道)/1972년)
  • 『용의 길(ドラゴンへの道)』(맹룡과강(猛龍過江)/1972년)
  • 『사망유희(死亡遊戯)』(사망유희(死亡遊戯)/1972년)
  • 『택견도가 폭발할 때』(When Taekwondo Strikes영어) (태권진구주(跆拳震九州)/1973년)
  • 『스카이호크 응권』(황비홍소림권(黃飛鴻少林拳)/1974년)
  • 『암흑가의 드래곤・전격 스토너』(철금강대파자양관(鐵金剛大破紫陽觀)/1974년)
  • 『더 토너먼트』(중태권단생사전(中泰拳壇生死戰)/1974년)
  • 『영웅본색(ヤングマスター 師弟出馬)』(사제출마(師弟出馬)/1980년)
  • 『용의 길(ドラゴンロード)』(룡소예(龍少爺)/1982년)
  • 『쿵후 풍림화산』(호응(虎鷹)/1982년)

사제출마(1980년)에 출연하였다.[5] 용쟁호투(1972)에서는 일본 가라테 선수로 출연하였다.[5] 격투의 황제(1972)에서는 1층 수호자(미촬영) 역을 맡았다. 영웅본색(1980)에서는 캄 사부 역으로,[5] 용의 제왕(1982)에서는 큰 두목 역으로 출연하였다.[5]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방영된 제2공화국에서 김대중 역을 맡았다.[6]

5. 1. 영화

사제출마(1980년)에 출연하였다.[5] 용쟁호투(1972)에서는 일본 가라테 선수로 출연하였다.[5] 격투의 황제(1972)에서는 1층 수호자(미촬영) 역을 맡았다. 영웅본색(1980)에서는 캄 사부 역으로,[5] 용의 제왕(1982)에서는 큰 두목 역으로 출연하였다.[5] 그 외 『안젤라 마오의 여활살권』(Hapkido (film)영어), 『용의 길(ドラゴンへの道)』, 『사망유희(死亡遊戯)』, 『택견도가 폭발할 때』(When Taekwondo Strikes영어), 『스카이호크 응권』, 『암흑가의 드래곤・전격 스토너』, 『더 토너먼트』, 『영웅본색(ヤングマスター 師弟出馬)』, 『용의 길(ドラゴンロード)』, 『쿵후 풍림화산』등에 출연하였다.

5. 2. 드라마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방영된 제2공화국에서 김대중 역을 맡았다.[6]

참조

[1] 서적 Hwang In-shik: The Movie star and the Man CFW Enterprises 1982
[2] 서적 Hapkido (alternately The Hapkido Bible) Andrew Jackson Press 1991
[3] 웹사이트 Entry in Korean Movie Database http://www.kmdb.or.k[...] 2007-05-10
[4] 서적 Martial Arts Movies: From Bruce Lee To The Ninja Citadel Press 1985
[5] 뉴스 All 13 Bruce Lee Movie Villains (& The Martial Artists Who Played Them) https://screenrant.c[...] Screen Rant 2023-04-30
[6] 뉴스 '황인식부터 유인촌까지' ...TV 드라마에 나온 김대중 https://www.kukinews[...] Kuki News 2009-08-19
[7] 서적 Hwang In-Shik: The Movie star and the Man CFW Enterprises 1982
[8] 서적 Hapkido (alternately The Hapkido Bible) Andrew Jackson Press 1991
[9] 웹사이트 Korean Movie Database http://www.kmdb.or.k[...]
[10] 서적 Martial Arts Movies: From Bruce Lee To The Ninja Citadel Press 1985
[11] 웹사이트 World Hapkido Association Headquarters http://worldhapkido.[...] 2007-03-25
[12] 서적 Hwang In-Shik: The Movie star and the Man CFW Enterprises 1982
[13] 뉴스 홍콩 무술 영화 속 잊혀진 한류 스타 http://news.nate.com[...] 세계일보 2005-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